KR200446117Y1 -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17Y1
KR200446117Y1 KR2020090004803U KR20090004803U KR200446117Y1 KR 200446117 Y1 KR200446117 Y1 KR 200446117Y1 KR 2020090004803 U KR2020090004803 U KR 2020090004803U KR 20090004803 U KR20090004803 U KR 20090004803U KR 200446117 Y1 KR200446117 Y1 KR 200446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seat belt
warning sound
inle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훈
Original Assignee
김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훈 filed Critical 김충훈
Priority to KR2020090004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가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안전벨트 버클에서 제거시 좀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인입부를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집어넣을 수 있어서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체결부에 의해 다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는 다각형으로 길게 천공된 버클체결홈이 있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다각형 박스형상인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안전벨트 버클에서 제거시 좀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인입부를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집어넣을 수 있어서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체결부에 의해 다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벨트, 경고음

Description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Safety belt warning sound cancell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가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안전벨트 버클에서 제거시 좀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인입부를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집어넣을 수 있어서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체결부에 의해 다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의 안전과 관련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빈번히 요구되는 것이 안전벨트이다. 안전벨트는 생명벨트란 말이 있듯이 안전벨트는 차를 타면 꼭 해야 하는 장치 중 하나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혹은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 맬 수 있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운전자나 동승자의 안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경우 계기판 등에 안전벨트 경고등이 켜지거나 경고음이 울려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게 된다. 특히 경고음이 울리는 방식에는 경고음을 5회 정도 울린 후 멈추었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경우 다시 5회 정도 경고음을 울 리는 방식이 반복되거나 운전자나 동승자가 안전벨트를 할 때까지 계속하여 경고음을 울리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탑승자가 임산부 등이어서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이거나 승, 하차가 빈번한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 이러한 안전벨트 경고음은 오히려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다고 안전벨트 경고음이 울리지 않도록 하는 수리를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없어지면 다시 안전벨트 경고음이 울리도록 할 필요도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다시 수리를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전벨트의 버클(110)에 텅(120)이 체결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00)와 몸통부(210)로 구성된 별도의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는 단순히 삽입부(200)의 일측 모양을 변형하여 몸통부(210)를 형성하였기에 평소 휴대하거나 보관시 크기를 줄일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삽입부(22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삽입부(220)의 홈(220)에 손가락 등이 다칠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가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안전벨트 버클에서 제거시 좀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인입부를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집어넣을 수 있어서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체결부에 의해 다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각형으로 길게 천공된 버클체결홈(310,420,620)이 있는 인입부(320,430,630,730)와, 상기 인입부(320,430,630,73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다각형 박스형상인 손잡이부(330,440,640,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430)는 상기 버클체결홈(420)의 일측 단부에 천공된 제1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440)는 상기 인입부(4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홈과 연결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440)와 상기 인입부(430)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30,440)의 양측 외주면에 움푹 파인 오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630)는 상기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640)는 상기 인입부(6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홈과 연결되는 제4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체결홈과 상기 제4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640)와 상기 인입부(630)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740)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으로 길게 천공되어 형성된 텅 체결홈과, 상기 텅 체결홈에 체결된 텅 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다각형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를 안전벨트 버클에서 제거시 좀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인입부를 손잡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집어넣을 수 있어서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체결부에 의해 다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 거장치는 다각형으로 길게 천공된 버클체결홈(310)이 있는 인입부(320)와, 상기 인입부(32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다각형 박스형상인 손잡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클체결홈(310)은 인입부(320)에 다각형으로 길게 천공되어 있는데 도 3에서는 버클체결홈(310)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전벨트의 버클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손잡이부(330)는 인입부(32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손잡이부(330)와 인입부(3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330)는 다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3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손잡이부(330)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서리가 있는 다각면체라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도 4a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a와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는 버클체결홈(420)의 일측 단부에 천공된 제1체결홈(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입부(430)와, 상기 인입부(4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480)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460)와 상기 제1가이드부(460)의 일측 단부에 관통 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홈(410)과 연결되는 제2체결홈(4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440) 및 상기 제1체결홈(410)과 상기 제2체결홈(470)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440)와 상기 인입부(430)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재(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부(430)는 버클체결홈(420)의 일측 단부에 천공된 제1체결홈(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체결홈(410)은 버클체결홈(420)의 일측 끝단(즉, 인입부(430)가 손잡이부(440)와 결합되는 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적절한 간격으로 떨어져서 원형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부(440)는 인입부(4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480)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460)와, 제1가이드부(460)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체결홈(410)과 연결되는 제2체결홈(4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수용부(480)는 인입부(430)를 감쌀 수 있도록 인입부(430)의 가로(a)와 세로(b) 및 높이(c)를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수용부(480)는 인입부(430)가 제1수용부(480)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480)의 길이(d)가 인입부(430)의 가로(a) 보다 적절히 커야 하며, 제1수용부(480)의 높이(e) 또한 인입부(430)의 높이(c)보다 적절히 커야 할 것이다.
제1가이드부(460)는 제1수용부(480)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제1가이드부(460)의 일측 단부에는 제2체결홈(470)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체결홈(470)은 제1체결홈(410)과 연결된다.
즉, 인입부(430)를 제1수용부(480)에 끼워 넣었을 때 제1체결홈(410)과 제2체결홈(470)이 일치하여 후술할 제1체결부재(450)가 제1체결홈(410)과 제2체결홈(470)을 관통하여 인입부(430)와 손잡이부(4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부재(450)는 제1체결홈(410)과 제2체결홈(470)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440)와 상기 인입부(430)를 연결하는데, 인입부(430)가 손잡이부(440)에 대해 제1체결부재(450)를 축으로 원활히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가 곤란한 운전자나 동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인입부(430)가 손잡이부(4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안전벨트의 버클에 체결하게 된다. 이 후 본 고안을 휴대 또는 보관할 때에는 돌출되어 있던 인입부(430)를 회전시켜 손잡이부(440)에 수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40)의 양측 외주면에는 움푹 파인 오목홈(550)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5에서는 오목홈(550)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클로부터 본 고안을 제거할 때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오목홈(550)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330)의 양측 외주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는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체결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입부(630)와, 상기 인입부(6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680)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660)와 상기 제2가이드부(660)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홈(610)과 연결되는 제4체결홈(6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640) 및 상기 제3체결홈(610)과 상기 제4체결홈(670)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640)와 상기 인입부(630)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재(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부(630)는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체결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3체결홈(610)은 인입부(630)의 세로 방향(b'방향)으로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한다.
또한, 제3체결홈(610)은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두면서 인입부(630) 높이(c')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640)는 인입부(6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680)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660)와, 제2가이드부(660)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3체결 홈(610)과 연결되는 제4체결홈(6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2수용부(680)는 인입부(630)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인입부(630)의 가로(a')와 세로(b') 및 높이(c')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입부(630)가 제2수용부(680)를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680)의 세로(d') 길이는 인입부(630)의 세리(b')보다 적절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입부(630)가 제2수용부(680) 내에 위치할 때에는 인입부(630)가 제2수용부(68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수용부(680)의 높이(e')는 인입부(630)의 높이(c')와 동일하거나 미세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가이드부(660)는 제2수용부(680)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제2가이드부(660)의 일측 단부에는 제4체결홈(670)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4체결홈(670)은 제3체결홈(610)과 연결된다.
즉, 인입부(630)를 제2수용부(680)에 끼워 넣었을 때 제3체결홈(610)과 제4체결홈(670)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부재(650)는 제3체결홈(610)과 제4체결홈(670)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640)와 상기 인입부(630)를 연결하는데, 인입부(630)가 손잡이부(640)에 대해 제2체결부재(650)를 축으로 원활히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b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가 곤란한 운전자나 동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인입부(630)가 손잡이부(6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안전벨트의 버클에 체결한다. 이 후 본 고안을 휴대 또는 보관할 때에는 돌출되어 있던 인입부(630)를 제2체결부재(650)를 축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640)에 수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손잡이부(740)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으로 길게 천공되어 형성된 텅 체결홈(710)과 상기 텅 체결홈(710)에 체결된 텅 제거장치(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740)에 텅 체결홈(710)과 텅 제거장치(72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본 고안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가 안전벨트 버클에 체결한 상태에서도 필요시 본 고안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를 안전벨트 버클로부터 빼내지 않고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어 운전자나 동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안전벨트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4a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10 : 버클체결홈 320 : 인입부
330 : 손잡이부 410 : 제1체결홈
420 : 버클체결홈 430 : 인입부
440 : 손잡이부 450 : 제1체결부재
460 : 제1가이드부 470 : 제2체결홈
480 : 제1수용부
540 : 손잡이부 550 : 오목홈
610 : 제3체결홈 620 : 버클체결홈
630 : 인입부 640 : 손잡이부
650 : 제2체결부재 660 : 제2가이드부
670 : 제4체결홈 680 : 제2수용부
710 : 텅 체결홈 720 : 텅 제거장치
730 : 인입부 740 : 손잡이부

Claims (5)

  1. 다각형으로 길게 천공된 버클체결홈(310,420,620)이 있되, 상기 버클체결홈(420)의 일측 단부에 천공된 제1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입부(320,430,630,730)와,
    상기 인입부(320,430,630,73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결합되고 다각형 박스형상이되, 상기 인입부(4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홈과 연결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330,440,640,740)와,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440)와 상기 인입부(430)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30,440)의 양측 외주면에 움푹 파인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630)는 상기 버클체결홈(6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640)는 상기 인입부(6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홈과 연결되는 제4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체결홈과 상기 제4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부(640)와 상기 인입부(630)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740)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으로 길게 천공되어 형성된 텅 체결홈과, 상기 텅 체결홈에 체결된 텅 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KR2020090004803U 2009-04-22 2009-04-22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KR200446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03U KR200446117Y1 (ko) 2009-04-22 2009-04-22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03U KR200446117Y1 (ko) 2009-04-22 2009-04-22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17Y1 true KR200446117Y1 (ko) 2009-09-25

Family

ID=4164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03U KR200446117Y1 (ko) 2009-04-22 2009-04-22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1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58A (ja) 2005-04-07 2006-10-26 Takaaki Haruse シートベルト未装着時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警告音停止補助具
JP2006315648A (ja) * 2005-05-15 2006-11-24 Tadashi Ozawa 車両用警告信号消去型シートベルトアダプター
KR100802742B1 (ko) 2006-08-2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를 이용한 경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58A (ja) 2005-04-07 2006-10-26 Takaaki Haruse シートベルト未装着時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警告音停止補助具
JP2006315648A (ja) * 2005-05-15 2006-11-24 Tadashi Ozawa 車両用警告信号消去型シートベルトアダプター
KR100802742B1 (ko) 2006-08-21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를 이용한 경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044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8220579B2 (en) Seatbelt use promotion system and method
EP1829728A4 (en)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S IN THE EVENT OF SOFTENING OR INTENTION OF THE DRIVER OF A VEHICLE
JP6667569B2 (ja) シートベルト装着検出装置
US20070101558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seatbelt buckle and seatbelt restraint system comprising same
JP2010038185A (ja) 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およびクリップ
KR200446117Y1 (ko) 안전벨트 경고음 해제장치
JP2021029605A (ja) 車椅子固縛構造
JP5034479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7130235B2 (ja) シートベルト誤操作防止具
JP2585184B2 (ja) 緊急脱出用ハンマー
JP2010047064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7093874B2 (en) Overhead console locking mechanism
WO2013094338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US20060284398A1 (en) Safety device for a trailer connector
JP4876109B2 (ja) 車両用のバックル装置
JP2010083151A (ja) タングストッパ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3115037U (ja) ペット用車載キャリー
JP2006290058A (ja) シートベルト未装着時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警告音停止補助具
JP5616603B2 (ja) 車両用内装構造
JP2014201206A (ja) 車両用荷物固定具
JP2005170077A (ja) 部品取付構造
KR200358663Y1 (ko) 차량용 손잡이
JP2007100481A (ja) ハンドルロック装置
ES2648412B1 (es) Sistema de seguridad activa para vehícul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