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098Y1 - 라면 조리기 - Google Patents

라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98Y1
KR200440098Y1 KR2020060030495U KR20060030495U KR200440098Y1 KR 200440098 Y1 KR200440098 Y1 KR 200440098Y1 KR 2020060030495 U KR2020060030495 U KR 2020060030495U KR 20060030495 U KR20060030495 U KR 20060030495U KR 200440098 Y1 KR200440098 Y1 KR 200440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er
cooking heater
rame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철
Original Assignee
이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철 filed Critical 이봉철
Priority to KR2020060030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안전성이 확보된 라면 조리기가 개시된다. 본 라면 조리기는 수동작동 스위치와 시간추가 스위치 및 코인기를 구비하고, 조리히터를 커버하기 위한 안전커버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라면 조리기에 따르면, 수동작동 스위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작동을 조작하게 되어 라면 조리가 자동으로 진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발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시간추가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라면을 추가로 가열하여 취향에 맞는 라면 조리를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인기에 의해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고, 안전커버가 조리히터의 상부를 커버하게 됨으로써 고열의 조리히터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히터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라면, 조리기, 수동작동, 코인기

Description

라면 조리기{NOODLE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면 조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라면 조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하부 케이스 10B : 수직 케이스
12 : 삽입부 20 : 조리용기
60 : 시간작동 스위치 70 : 시간추가 스위치
80 : 코인기 90 : 안전커버
88 :제어부 200 : 물탱크
231 : 급수밸브 250 : 예열히터
305 : 스위치 330 : 고정 브라켓
350 : 누름자 380 : 조리히터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기는 조리히터에 조리용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수동작동 스위치를 접속시켜야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조리가 실행되지 않을 때에는 조리히터를 커버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인기를 추가하여 코인의 투입으로 조리가 시작될 수 있도록 된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 조리기는 라면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온수를 공급하고,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라면을 조리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본원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058015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예열히터에 의해 예열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형성된 물탱크과,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조리히터와,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감지하고 접속하기 위한 누름자 및 스위치와, 조리용기가 안착됨이 감지되면 조리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와, 각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근거하여 각 구동부재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는 조리히터에 조리용기가 안착됨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온수를 공급한 후 조리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라면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라면이 담겨진 조리용기만 조리히터에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조리된 라면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라면 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라면이 담긴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시점부터 물이 공급되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조리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둘째, 조리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도 조리히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리히터가 손상되거나 조리히터의 열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셋째,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시점부터 일정한 시간동안만 조리히터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라면의 조리가 불가능하였다. 즉, 3분의 조리시간은 라면을 쫄깃한 상태로 만든다고 할 때, 쫄깃한 라면보다 더 완전하게 익은 상태의 라면을 원할 경우에 라면 조리시간을 추가하여야 했으나 이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라면 조리기는 일정한 시간만큼만 조리히터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를 할 수 없었다.
넷째, 종래기술에 의한 라면 조리기로는 무인영업을 할 수 없었다. 즉, 관리자가 주문을 받아 라면을 조리용기에 넣고 조리히터에 안착시켜 라면이 끓으면 이를 소비자에게 전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무인영업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라면 조리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조리기의 손상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라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인 영업이 가능한 라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이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 케이스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의 안착공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히터;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 상부에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자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누름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자의 회동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된 조리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 및
상기 스위치의 접속여부 및 상기 조리히터의 온도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 라면 조리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어 스위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작동 스위치의 접속시에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조리용기에 물이 공급된 후 상기 조리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라면 조리가 시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가 조리용기를 추가로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추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라면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코인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히터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상기 조리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직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는 예열히터(250)에 의해 예열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케이스(10B)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00)과,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20)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수직 케이스(10B)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10A)의 안착공(14)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히터(380)와, 조리히터(380)의 일측 상부에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조리히터(380)에 안착되는 조리용기(20)에 의해 회동되도록 조리히터(38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3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자(350)와, 고정 브라켓(330)과 누름자(350)의 사이에 설치되며 누름자(350)의 회동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치(305)와, 조리히터(380)에 안착된 조리용기(20)에 예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231)와,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물 온도감지센서로 감지하고, 수위를 수위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온수용 급수밸브와 예열히터를 제어하고, 스위치(305)의 접속여부 및 조리히터(380)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로 감지하고 그 감지여부에 따라 조리히터(38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8)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88)는 하부 케이스(10A)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스위치(60)를 더 구비한다.
즉, 제어부(88)는 수동작동 스위치(60)를 더 구비하고, 이 수동작동 스위치 (60)의 접속시에만 물탱크(200)의 온수가 급수밸브(231)를 통하여 조리용기(20)에 공급된 후 조리히터(380)에 전원이 인가되어 라면 조리가 시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88)는 조리시간을 임의로 추가할 수 있는 시간추가 스위치(70)를 더 구비한다. 시간추가 스위치(70)는 조리히터(380)가 조리용기(20)를 추가로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시간추가 스위치(70)를 조작하여 취향에 따라 라면의 조리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88)는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0A)를 더 구비한다.
이 표시부(70A)는 조리가 되는 시간을 표시하거나 조리시간을 추가할 때그 추가 시간을 표시하게 되고, 제어부(88)는 조리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의 제어부(88)는 코인기(80)를 구비한다. 코인기(80)는 투입되는 코인을 감지하여 제어부(88)에 전달한다. 제어부(88)는 투입신호에 따라 라면 조리에 필요한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는 조리히터(380)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안착공(14)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조리히터(38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구비한다.
이 안전수단은 수직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12)와, 삽입부(12)에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삽입부(12)로부터 인출되어 안착공(14)을 폐쇄하는 안전커버(9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안전커버(90)는 삽입부(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를 구비한다. 그리고 안전커버(90)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은 조리가 완료된 후에 조리히터(380)의 열이 배출되어 빠른 시간내에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탱크(200)에 예열히터(250)를 설치하여 물이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된 상태에서 조리용기(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물탱크(200)에 냉수를 공급한 후 냉수가 급수밸브(231)를 통하여 조리용기(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라면 조리기는 온수와 냉수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물탱크(200)에 예열히터(250)이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면이 담겨진 조리용기(20)를 안착공(14)을 통하여 조리히터(380)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제어부(88)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조리용기(20)가 조리히터(380)의 상면에 안착되면,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305)가 접속되고, 따라서 제어부(88)는 급수밸브(231)를 개방하여 예열된 온수가 조리용기(20)로 공급되도록 급수밸브(231)를 개방한다. 그리고 조리히터(380)에 일정한 시간 동안 전원을 인가하여 조리히터(380)가 조리용기(20)를 가열하도록 한다. 따라서 라면의 조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라면이 담겨진 조리용기(20)를 안착공(14)을 통하여 조리히터(38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동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라면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리용기(20)가 안착공(14)을 통하여 조리히터(380)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동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면, 제어부(88)는 급수밸브(231)를 개방하여 예열된 온수가 조리용기(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조리히터(380)에 일정시간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표시부(70A)에는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므로 사용자는 라면의 조리 완료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더 가열하고자 한다면 시간추가 스위치(70)를 조작하여 조리시간을 추가한다.
제어부(88)는 시간추가 스위치(70)로부터 입력되는 시간만큼 조리히터(380)에 전원을 인가하고 표시부(70A)에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한편, 라면 조리기에 코인기(80)가 구비되었을 경우에, 코인기(80)로부터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고, 수동작동 스위치(60)의 접속이 감지되면, 제어부(88)는 상기한 작동을 수행하여 라면이 조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코인기(80)는 수동작동 스위치(60)의 조작만으로는 조리히터(38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코인의 투입된 후 수동작동 스위치(60)의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 라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적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는 조리히터(380)를 커버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더 구비한다.
안전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히터(380)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안착공(14)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조리히터(38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케이스(10B)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12)와, 삽입부(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인출/수납되고, 선택적으로 삽입부(12)로부터 인출되어 안착공(14)을 폐쇄하는 안전커버(90)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라면의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직후에 손잡이를 취부하여 안전커버(90)를 삽입부(12)에서 인출하여 안착공(14)의 상부에 위치시켜 안착공(14)을 커버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안착공(14)의 상부가 커버되어 조리히터(380)에 이물질이 떨어져 발화되거나 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조리히터(38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라면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취부한 후 안전커버(90)를 삽입부(12)로 밀어넣어 수납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수단은 안착공(14)의 가장자리 저면 영역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 및 이 안내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안착공을 개폐하기 위한 안전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커버도 안착공(14)을 선택적으로 커버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기는 수동작동 스위치와 시간추가 스위치 및 코인기를 구비하고, 조리히터를 커버하기 위한 안전커버를 구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동작동 스위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작동을 조작하게 됨으로써 라면 조리가 자동으로 진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발지할 수 있고, 시간추가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라면을 추가로 가열하여 취향에 맞는 라면 조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코인기에 의해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고, 안전커버가 조리히터의 상부를 커버하게 됨으로써 고열의 조리히터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히터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온수 또는 냉수가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 케이스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의 안착공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히터;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 상부에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자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누름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자의 회동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된 조리용기에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
    상기 스위치의 접속여부 및 상기 조리히터의 온도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어 스위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작동 스위치의 접속시에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조리용기에 물이 공급된 후 상기 조리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라면 조리가 시작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가 조리용기를 추가로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추가 스위치를 포함하고,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 라면 조리기로서,
    상기 조리히터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상기 조리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직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기.
  6. 온수 또는 냉수가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 케이스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의 안착공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히터;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 상부에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자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누름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자의 회동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된 조리용기에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
    상기 스위치의 접속여부 및 상기 조리히터의 온도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어 스위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작동 스위치의 접속시에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조리용기에 물이 공급된 후 상기 조리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라면 조리가 시작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가 조리용기를 추가로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추가 스위치를 포함하고,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어부; 및
    코인의 투입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라면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코인기를 더 포함한 라면 조리기로서,
    상기 조리히터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상기 조리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직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기.
KR2020060030495U 2006-11-27 2006-11-27 라면 조리기 KR200440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95U KR200440098Y1 (ko) 2006-11-27 2006-11-27 라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95U KR200440098Y1 (ko) 2006-11-27 2006-11-27 라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98Y1 true KR200440098Y1 (ko) 2008-05-23

Family

ID=4163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495U KR200440098Y1 (ko) 2006-11-27 2006-11-27 라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0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47B1 (ko) *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KR20150136806A (ko) * 2014-05-28 2015-12-08 최은정 온수기 겸용 즉석식품 조리기
KR20160001979A (ko) * 2014-06-30 2016-01-07 임종호 라면자판기
KR102190738B1 (ko) * 2019-08-08 2020-12-14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무인 라면 조리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47B1 (ko) *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KR20150136806A (ko) * 2014-05-28 2015-12-08 최은정 온수기 겸용 즉석식품 조리기
KR101581352B1 (ko) 2014-05-28 2015-12-30 최은정 온수기 겸용 즉석식품 조리기
KR20160001979A (ko) * 2014-06-30 2016-01-07 임종호 라면자판기
KR101597444B1 (ko) 2014-06-30 2016-02-24 임종호 라면자판기
KR102190738B1 (ko) * 2019-08-08 2020-12-14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무인 라면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445B2 (en) Cooking appliance
KR200440098Y1 (ko) 라면 조리기
TW393308B (en) Rice cooker
JP6050063B2 (ja) 加熱調理器
CN105125050A (zh) 加热烹调器
JP2006288742A (ja) 電気炊飯器
JP2008071550A (ja) 加熱調理器
KR10083211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차일드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전기압력밥솥
KR100746441B1 (ko) 비산방지기능을 지닌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6778850B2 (ja) 炊飯器
JP3412468B2 (ja) 炊飯器
KR100892157B1 (ko) 전기밥솥 표시 제어방법
KR100843762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소키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전기압력밥솥
KR102346108B1 (ko)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5233254B2 (ja) 電気圧力鍋
JP2005245821A (ja) 調理器
KR102401815B1 (ko) 전기 조리기
JP4862494B2 (ja) 炊飯器
JP6016493B2 (ja) 電子調理機器
KR0175503B1 (ko)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JP2005270167A (ja) 炊飯器
JP6673417B2 (ja)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JPH08196419A (ja) 調理器
JP2007298238A (ja) 加熱調理器
JP2936212B2 (ja) 炊飯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