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738B1 - 무인 라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라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738B1
KR102190738B1 KR1020190096647A KR20190096647A KR102190738B1 KR 102190738 B1 KR102190738 B1 KR 102190738B1 KR 1020190096647 A KR1020190096647 A KR 1020190096647A KR 20190096647 A KR20190096647 A KR 20190096647A KR 102190738 B1 KR102190738 B1 KR 10219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supply
ramen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김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Priority to KR102019009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1)을 자동 조리하여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게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뚜껑(11)과 내부공간(12a)이 형성되는 공급팩(12)을 구비하고, 공급팩(12)을 순차적 공급이 가능하게 공급판(13)을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 상에 공급팩(12)을 분리시켜 내부공간(12a)에 수용된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낙하 시키면서 빈 공급팩(12)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분리수단(21)을 구비하는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로부터 낙하되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수용하면서 라면(1)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냄비(32)와 인덕션(33)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31)를 구비하는 조리부(30); 상기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와 연동되어 조리기구(31)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부(40); 상기 조리부(30)의 일측에 조리기구(31)로 물을 공급하고, 세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세척부(50); 상기 조리부(30)의 후단에 조리된 라면(1)을 조리기구(31)로부터 수용하게 용기(61)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60); 및 상기 공급부(10)와 투입부(20)와 조리부(30)와 조절부(40)와 세척부(50)와 용기공급부(60)와 각각 또는 개별 연동하여 설정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작동하게 구비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판매자의 간단한 초기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사용자의 간편하고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무인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소득이 높은 장점을 지니며, 라면을 끓일 때 마다 세척을 할 수 있어 청결하게 라면을 빠르게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라면 조리 장치{Unmanned Ramen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매자의 간단한 초기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사용자의 간편하고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무인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소득이 높은 장점을 지니며, 라면을 끓일 때 마다 세척을 할 수 있어 청결하게 라면을 빠르게 섭취가 가능한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라면은 6.25 전쟁 이후 농지들이 많이 파괴되어 쌀이 부족했던 대한민국의 상황에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밀가루는 풍족했기 때문에 모두가 가난하고 배고팠던 1960년대의 보릿고개 속에 등장하였다. 이러한 그때의 라면은 배고픈 이에게 배고픔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는 한 끼의 식사였다. 그리고, 지금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이 존재하고 있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한 끼의 식사 또는 간식 등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게 끓여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세계 최대 라면 소비국은 중국이지만 1인당 라면 소비량으로만 따지면 한국이 세계 최고이다. 즉, 통계적으로 한 사람이 1년에 68개를 섭취하는 것으로 적어도 1주일에 한두 번은 라면을 먹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라면을 먹을 수 있는 장소가 집에서 직접 끓여 먹거나 라면 가게에서 조리해주는 라면을 섭취하거나 편의점 등에 직접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담아 조리하는 방법 밖에 없기 때문에 소비자는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였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40098호에 따르면, '온수 또는 냉수가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수직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조리 내용물을 수용하여 안착되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 케이스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의 안착공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조리히터;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 상부에 그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조리히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자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누름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자의 회동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상기 조리히터에 안착된 조리용기에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 상기 스위치의 접속여부 및 상기 조리히터의 온도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와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조리히터에 안착되어 스위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작동 스위치의 접속시에만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조리용기에 물이 공급된 후 상기 조리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라면 조리가 시작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조리히터가 조리용기를 추가로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추가 스위치를 포함하고, 라면이 조리되는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 라면 조리기로서, 상기 조리히터에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상기 조리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수직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공을 폐쇄하는 안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판매자가 없어 무인으로 라면을 조리할 수 있어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지만, 사용자가 직접 작동을 조작하여야 하는 구성임으로 사용자의 불편함과 함께 서투른 조작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 및 장치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113392호에 따르면, '통상의 자동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조리재료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외측 일단에 손잡이가 일체로 결합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거치시켜 놓고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이 내재된 전기오븐과; 상기 전기오븐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의 의지고정과 동시에 상기 조리용기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도록 한 조리기본체와; 상기 조리기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일 선단이 좌,우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을 섞을 수 있게 된 휘젓개와; 그리고, 상기 휘젓개가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오븐 및 상기 조리기본체 내에 연계장착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 라면조리기 또한 재료와 물 등을 통해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구성이지만 분말스프가 스프봉지로부터 개봉된 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스프가 습기 등으로 굳어져 뭉쳐지고, 뭉쳐진 스프가 정량을 배출할 수 없고, 굳어진 스프의 위생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40098호 "라면 조리기" 한국 등록특허 제1113392호 "자동 라면조리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자의 간단한 초기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사용자의 간편하고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무인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소득이 높은 장점을 지니며, 라면을 끓일 때 마다 세척을 할 수 있어 청결하게 라면을 빠르게 섭취가 가능한 무인 라면 조리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면을 자동 조리하여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게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면과 스프와 건더기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뚜껑과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공급팩을 구비하고, 공급판 상에 다수개로 적층된 공급팩을 순차적 공급이 가능하게 이송 가능한 가림막을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 상에 공급되는 공급팩을 분리시켜 내부공간에 수용된 건조면과 스프와 건더기를 낙하 시키면서 빈 공급팩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낙하되는 건조면과 스프와 건더기를 수용하면서 라면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냄비와 인덕션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를 구비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조리기구와 연동되어 조리기구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부; 상기 조리부의 일측에 조리기구로 물을 공급하고, 세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세척부; 상기 조리부의 후단에 조리된 라면을 조리기구로부터 수용하게 용기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투입부와 조리부와 조절부와 세척부와 용기공급부와 각각 또는 개별 연동하여 설정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작동하게 구비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투입부의 분리수단은 하부에 적층된 공급팩을 지지와 배출이 가능하게 전, 후진되는 안착대와, 공급팩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이송대와, 이송대의 가이드홈 상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공급팩의 뚜껑을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분리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대를 회전시키는 가압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리부의 조리기구는 냄비의 상부에 라면의 조리가 더욱 원활하도록 냄비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부는 냄비와 인덕션과 냄비뚜껑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대와, 연결대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냄비와 인덕션과 냄비뚜껑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모터와, 냄비와 연결대 사이에 장착되어 냄비를 뒤집을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공급부는 다수개로 적층되어 최하층의 용기만이 낙하하여 공급되는 적층통과, 낙하된 용기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대와, 고정대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고정대를 전, 후진시켜 용기를 공급하는 볼스크류를 구비하는 공급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매자의 간단한 초기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사용자의 간편하고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무인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소득이 높은 장점을 지니며, 라면을 끓일 때 마다 세척을 할 수 있어 청결하게 라면을 빠르게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의 세척부를 통해 냄비를 세척하면서 식수를 공급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및 3f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의 조리부를 통해 냄비의 식수를 끓이고 라면을 조리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를 통해 끓은 라면을 저어주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를 통해 끓은 라면을 용기로 이동시켜 배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라면 조리 장치의 분리수단에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라면(1)을 자동 조리하여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게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관련되며, 공급부(10), 투입부(20), 조리부(30), 조절부(40), 세척부(50), 용기공급부(60), 컨트롤부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10)는 내부에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뚜껑(11)과 내부공간(12a)이 형성되는 공급팩(12)을 구비하고, 공급판(13) 상에 다수개로 적층된 공급팩(12)을 순차적 공급이 가능하다. 공급부(10)는 라면봉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급부(10)는 판매자가 초기 작업을 통해 라면봉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공급팩(12)의 내부공간(12a)으로 전부 수용시키게 되고, 공급팩(12)의 하부에 억지끼움되는 뚜껑(11)이 내부에 이물질 또는 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프(3)가 습기 등에 의해 굳어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개의 공급팩(12)이 공급판(13) 상에 적층상태를 유지하면서 순차적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20)는 공급부(10) 상에 공급되는 공급팩(12)을 분리시켜 내부공간(12a)에 수용된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낙하 시키면서 빈 공급팩(12)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분리수단(21)을 구비한다. 투입부(20)는 상술한 공급부(10)의 공급판(13) 상에 다수개로 적층된 공급팩(12)이 하부로 낙하되면 공급팩(12)과 뚜껑(11)을 서로 분리시켜 내부에 수용된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가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수단(21)을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20)의 분리수단(21)은 하부에 적층된 공급팩(12)을 지지와 배출이 가능하게 전, 후진되는 안착대(22)와, 공급팩(1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4)을 갖는 이송대(23)와, 이송대(23)의 가이드홈(24) 상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프레임(25)과, 지지프레임(25) 상에 안착되어 공급팩(12)의 뚜껑(11)을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분리대(26), 지지프레임(25)으로부터 분리대(26)를 회전시키는 가압모터(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수단(21)은 다수로 적층된 공급팩(12)의 최하층과 최하층의 공급팩(12)의 상부에 위치한 공급팩(12)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대(22)가 구비된다. 안착대(22)는 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등으로 수평 방향으로 전, 후진 가능하도록 하여 공급팩(12)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팩(1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4)을 가지는 이송대(23)가 형성되어 가이드홈(24)을 따라 이송 가능한 지지프레임(25)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5) 상에 안착된 가압모터(27)가 분리대(26)와 연결된 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5)은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공급팩(12)의 뚜껑(11)에 분리대(26)가 밀착되도록 위치한 다음, 안착대(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공급팩(12)과 뚜껑(11)이 분리될 수 있도록 가압모터(27)에 회전되는 분리대(26)가 억지끼움되어 있는 뚜껑(11)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내부공간(12a)에 유입되어 있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는 하부에 위치한 냄비(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팩(12)의 뚜껑(11)은 별도의 힌지 등으로 완전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안착대(22)의 해지를 통해 공급팩(12)과 뚜껑(11)이 수집부(28)에 직하방으로 낙하시켜줄 수 있다. 물론, 공급팩(12)과 뚜껑(11)은 완전 분리가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리부(30)는 상기 투입부(20)로부터 낙하되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수용하면서 라면(1)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냄비(32)와 인덕션(33)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31)를 구비한다.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는 실질적으로 라면(1)을 조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술한 투입부(20)에 의해 공급된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수용하면서 조리하게 냄비(32)를 구비하고, 냄비(32)의 하부 방향에 위치한 인덕션(33)의 가열을 통해 조리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리기구(31)를 통해 라면(1)의 조리가 가능해 질려면 냄비(32)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야 하는 바 이는 후술하는 세척부(50)를 통해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는 냄비(32)의 상부에 라면(1)의 조리가 더욱 원활하도록 냄비뚜껑(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냄비뚜껑(34)은 상술한 냄비(32)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 라면(1)을 조리 시 냄비뚜껑(34)이 없이 가열하게 되면 냄비(32)의 내부 열기가 분산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라면(1)의 조리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냄비(32)의 내부에 열기를 잡아주게 됨으로 맛있는 라면(1)의 조리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40)는 상기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와 연동되어 조리기구(31)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조절부(40)는 상술한 조리기구(31)가 이동이 가능하게 서로 연동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부(40)는 조리기구(31)의 냄비(32), 인덕션(33), 냄비뚜껑(34)이 회전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40)는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대(41)(42)(43)와, 연결대(41)(42)(43)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모터(44)(45)(46)와, 냄비(32)와 연결대(41) 사이에 장착되어 냄비(42)를 뒤집을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부(40)는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의 후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41)(42)(43)가 형성되고, 연결대(41)(42)(43)와 연결되는 조절모터(44)(45)(46)에 의해 회전하여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렇게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은 조리 시 회전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냄비(32)는 공급부(10)로 회전하여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세척부(50)로 회전하여 물의 공급 또는 세척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냄비(32)와 연결대(41) 사이에 장착되어 냄비(42) 만을 뒤집을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모터(47)를 구비하여 조리가 완료된 라면(1)을 용기(61)에 수용시킬 수 있고, 세척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50)는 상기 조리부(30)의 일측에 조리기구(31)로 물을 공급하고, 세척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세척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31)의 냄비(32) 상에 물을 공급하면서 라면(1)의 조리가 완료된 냄비(32)를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냄비(32)가 조절부(40)를 통해 회전하여 세척부(50)의 내부에 수용하게 되면 상부에서 물, 즉 식수가 공급되어 냄비(32)의 내부로 수용하게 되고, 조리부(30)를 통해 라면(1)이 조리된 후, 지저분한 내부를 가진 냄비(32)가 세척부(50)로 수용하게 되면 냄비(32) 상에 연결된 회전모터(47)를 통해 냄비(32)는 뒤집어지게 되고, 하부에서 강한 수압을 통해 냄비(32)의 내부를 세척하여 청결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기공급부(60)는 상기 조리부(30)의 후단에 조리된 라면(1)을 조리기구(31)로부터 수용하게 용기(61)를 공급한다. 용기공급부(60)는 조리부(30)의 후단으로부터 공급되어 조리기구(31)의 냄비(32)로부터 조리된 라면(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기공급부(60)는 다수개로 적층되어 최하층의 용기(61)만이 낙하하여 공급되는 적층통(62)과, 낙하된 용기(61)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대(63)와, 고정대(63)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고정대(63)를 전, 후진시켜 용기(61)를 공급하는 볼스크류(64)를 구비하는 공급모터(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공급부(60)는 적층통(62) 상에 다수개로 적층되어 있는 용기(61) 중에 최하층의 용기(61)를 하부로 낙하시키는 바, 이는 마치 종이컵이 하나씩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유사 내지 동일하게 별도의 버튼을 실린더 등을 통해 가압하여 용기(61)가 자동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적층통(62)으로부터 낙하된 용기(61)가 고정대(63) 상에 안착하여 감싸게 되고, 고정대(63)와 연결된 볼스크류(64)를 공급모터(65)로부터 회전시켜 고정대(63)가 전진함에 따라 용기(61)를 밀어주게 되고, 조리가 완료된 라면(1)을 냄비(32)의 회전을 통해 용기(61) 내부로 수용하게 된다. 용기(61)의 내부에 라면(1)의 수용이 끝나게 되면 재차 공급모터(65)를 통해 볼스크류(64)를 회전시켜 취식자가 가져갈 수 있도록 용기(61)를 더 밀어 주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부(10)와 투입부(20)와 조리부(30)와 조절부(40)와 세척부(50)와 용기공급부(60)와 각각 또는 개별 연동하여 설정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작동하게 구비한다. 이러한 컨트롤부는 상술한 구성의 전체적인 흐름을 조절하고, 판매자의 설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 구성으로 세척부(50)에 의해 세척되는 냄비(32) 상에 물을 공급한 다음, 조리부(30)가 조절부(40)에 의해 냄비(32)가 인덕션(33) 상에 위치하여 내부의 식수를 가열하게 되고, 재차 조절부(40)를 통해 냄비(32)가 공급부(10)로 이송하여 공급부(10)에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투입부(20)를 통해 냄비(32)의 내부로 수용하여 냄비(32)가 인덕션(33)의 상부에 이송하여 재차 가열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흐른 뒤, 파지부(70)를 통해 끓는 건조면(2)을 휘저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 면발이 쫄깃하게 하여 라면(1)이 완성하게 된다. 그 후, 인덕션(33)은 사용이 중지되면서 용기공급부(60)로부터 용기(61)가 냄비(32)의 하부에 위치하면 냄비(32)가 조절부(40)를 통해 냄비(32)를 회전시켜 용기(62)에 라면(1)을 담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덧붙여 이러한 구성에는 사용자가 라면(1)을 사먹을 수 있도록 별도의 돈투입구, 젓가락 보관부, 반찬 보관부 등을 따로 추가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돈투입구 상에 라면(1)의 일정 비용을 지불하게 되면 상술한 컨트롤부로부터 작업을 시행하여 라면(1)이 완성되고, 완성과 함께 별도의 반찬 및 젓가락, 숟가락 등이 공급되어 매장 내부에서 라면(1)을 취식하거나 매장 밖으로 가지고 나가 취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부(10)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많은 종류의 라면(1)을 사용자가 직접 골라 비용을 지불하여 섭취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판매자의 간단한 초기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사용자의 간편하고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고, 무인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소득이 높은 장점을 지니며, 라면을 끓일 때 마다 세척을 할 수 있어 청결하게 라면을 빠르게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라면 2: 건조면
3: 스프 4: 건더기
10: 공급부 11: 뚜껑
12: 공급팩 12a: 내부공간
13: 공급판 20: 투입부
21: 분리수단 22: 안착대
23: 이송대 24: 가이드홈
25: 지지프레임 26: 분리대
27: 가압모터 28: 수집부
30: 조리부 31: 조리기구
32: 냄비 33: 인덕션
34: 냄비뚜껑 40: 조절부
41, 42, 43: 연결대 44, 45, 46: 조절모터
47: 회전모터 50: 세척부
60: 용기공급부 61: 용기
70: 파지부

Claims (5)

  1. 라면(1)을 자동 조리하여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게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뚜껑(11)과 내부공간(12a)이 형성되는 공급팩(12)을 구비하고, 공급팩(12)을 순차적 공급이 가능하게 공급판(13)을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 상에 공급팩(12)을 분리시켜 내부공간(12a)에 수용된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낙하 시키면서 빈 공급팩(12)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분리수단(21)을 구비하는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로부터 낙하되는 건조면(2)과 스프(3)와 건더기(4)를 수용하면서 라면(1)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냄비(32)와 인덕션(33)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31)를 구비하는 조리부(30);
    상기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와 연동되어 조리기구(31)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조절부(40);
    상기 조리부(30)의 일측에 조리기구(31)로 물을 공급하고, 세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세척부(50);
    상기 조리부(30)의 후단에 조리된 라면(1)을 조리기구(31)로부터 수용하게 용기(61)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60); 및
    상기 공급부(10)와 투입부(20)와 조리부(30)와 조절부(40)와 세척부(50)와 용기공급부(60)와 각각 또는 개별 연동하여 설정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작동하게 구비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20)의 분리수단(21)은 하부에 적층된 공급팩(12)을 지지와 배출이 가능하게 전, 후진되는 안착대(22)와, 공급팩(1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4)을 갖는 이송대(23)와, 이송대(23)의 가이드홈(24) 상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프레임(25)과, 지지프레임(25) 상에 안착되어 공급팩(12)의 뚜껑(11)을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분리대(26), 지지프레임(25)으로부터 분리대(26)를 회전시키는 가압모터(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30)의 조리기구(31)는 냄비(32)의 상부에 라면(1)의 조리가 더욱 원활하도록 냄비뚜껑(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는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대(41)(42)(43)와, 연결대(41)(42)(43)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냄비(32)와 인덕션(33)과 냄비뚜껑(34)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모터(44)(45)(46)와, 냄비(32)와 연결대(41)의 사이에 장착되어 냄비(42)를 뒤집을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부(60)는 다수개로 적층되어 최하층의 용기(61)만이 낙하하여 공급되는 적층통(62)과, 낙하된 용기(61)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대(63)와, 고정대(63)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고정대(63)를 전, 후진시켜 용기(61)를 공급하는 볼스크류(64)를 구비하는 공급모터(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라면 조리 장치.
KR1020190096647A 2019-08-08 2019-08-08 무인 라면 조리 장치 KR10219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47A KR102190738B1 (ko) 2019-08-08 2019-08-08 무인 라면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47A KR102190738B1 (ko) 2019-08-08 2019-08-08 무인 라면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738B1 true KR102190738B1 (ko) 2020-12-14

Family

ID=7377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47A KR102190738B1 (ko) 2019-08-08 2019-08-08 무인 라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473B1 (ko) 2021-02-19 2022-05-12 신승훈 조리용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압축챔버
KR102652433B1 (ko) 2023-12-15 2024-03-28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라면 자동 조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13A (ko) * 1999-06-08 2001-01-05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100440098B1 (ko) 2002-02-26 2004-07-14 백성욱 영상신호 캡처장치 및 그 캡처 영상을 이용한 물체의 위치설정방법
KR20060031349A (ko) * 2004-10-08 2006-04-12 이봉철 자동 라면 조리기
KR200440098Y1 (ko) * 2006-11-27 2008-05-23 이봉철 라면 조리기
KR101113392B1 (ko) 2010-06-18 2012-03-05 강동일 자동 라면조리기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13A (ko) * 1999-06-08 2001-01-05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100440098B1 (ko) 2002-02-26 2004-07-14 백성욱 영상신호 캡처장치 및 그 캡처 영상을 이용한 물체의 위치설정방법
KR20060031349A (ko) * 2004-10-08 2006-04-12 이봉철 자동 라면 조리기
KR200440098Y1 (ko) * 2006-11-27 2008-05-23 이봉철 라면 조리기
KR101113392B1 (ko) 2010-06-18 2012-03-05 강동일 자동 라면조리기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473B1 (ko) 2021-02-19 2022-05-12 신승훈 조리용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압축챔버
KR102652433B1 (ko) 2023-12-15 2024-03-28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라면 자동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45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rotatable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AU2011254648B2 (en) Remote controlled food processor
RU2506875C2 (ru) Машина, комбинируемая со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идкой еды или напитков
AU2011263725B2 (en) Ergonomic service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TWI437971B (zh) 結合飲水機功能之自動煮食裝置
RU2535273C2 (ru)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одержа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вешивания
AU2011254648A1 (en) Remote controlled food processor
US20090020018A1 (en) Hot Beverage Center
KR102190738B1 (ko) 무인 라면 조리 장치
MX2014001591A (es) Movimiento y control de alimentos dentro de un contenedor para preparación de alimentos.
KR102190739B1 (ko) 무인 라면 조리 장치
RU2692022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KR101566856B1 (ko) 즉석식품 조리기
WO2004008922A2 (en) Multi-function beverage maker
KR200169767Y1 (ko) 라면 자동 판매장치
CN211748773U (zh) 自动炒菜机顶盖及自动炒菜机
KR20150060324A (ko) 소형 떡 찜기
EP2797466B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CN213909677U (zh) 烹饪器具
CN211299499U (zh) 一种养生壶
CN215838356U (zh) 一种焖烧杯
CN215127432U (zh) 锅盖组件及炒菜机
US20230255387A1 (en) Appliance for improved heating of food products using steam
CN105193281A (zh) 一种米水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