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03B1 -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03B1
KR0175503B1 KR1019960050330A KR19960050330A KR0175503B1 KR 0175503 B1 KR0175503 B1 KR 0175503B1 KR 1019960050330 A KR1019960050330 A KR 1019960050330A KR 19960050330 A KR19960050330 A KR 19960050330A KR 0175503 B1 KR0175503 B1 KR 017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ice cooker
mode
soo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849A (ko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0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숭늉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룽지와 물을 적당히 내입하여 일반 취사공정을 수행하여 숭늉을 만들 경우에 열량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보온밥솥에 내입된 내용물이 끓어 넘칠 우려가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물이 넘쳐흐를 때 전기보온밥솥이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과, 숭늉 취사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전기보온밥솥의 주시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기보온밥솥에서 숭늉모드 키를 선택하여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숭늉모드의 메뉴 특성을 파악하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숭늉을 만들어 열량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보온밥솥에 내입된 내용물이 끓어 넘칠 우려가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물이 넘쳐흐를 때 전기보온밥솥이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숭늉 취사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전기보온밥솥의 주시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을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
도 3은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숭늉을 만드는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감지부 16 : 히터 구동부
18 : 표시부 T1 : 불림공정
T2 : 제1가열공정 T3 : 제2가열공정
T4 : 비등유지공정 T5 : 뜸공정
[발명의상세한설명]
[발명의목적]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의기술]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보온밥솥에서 숭늉모드 키를 선택하여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숭늉모드의 메뉴 특성을 파악하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숭늉을 만들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공정별 작동조건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각 취사 키 동작에 따라 그 공정이 시작된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도 1에 도시한 구성 블록도에서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보온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키 입력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동작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구동부(16)와, 상기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부져포함)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에 대하여 도 3에 의하여 살펴보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면서 키 입력으로 각종 취사모드가 설정되는가를 판단(S302)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진밥, 된밥, 보통밥, 잡곡밥, 현미밥 등)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고, 취사모드가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작동시켜 설정된 취사모드를 실행(S303)하게 된다.
즉, 각 취사모드에 따라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의 동작시간이나 동작온도를 제어하여 설정된 취사모드를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었는가를 판단(S304)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취사모드를 실행(S303)하고, 설정된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S305)하고, 보온 기능을 수행하면서 감지부(14)의 취사용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S306)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은가를 판단(S307)하게 된다.
그 결과,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높은 경우에는 재차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감지(S306)하고,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은 경우에는 히터 구동부(16)의 각종 히터를 동작(S308)시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를 유지하므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밥을 보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도 2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가 취사모드로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내부에 내입된 쌀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불림공정(T1)을 일정시간(약 10분에서 11분 정도의 시간) 동안 수행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45℃)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불림공정(T1)이 완료되면 내부를 일정온도(예 : 75℃)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1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내부에 내입된 쌀의 양을 판정하고, 이어서 제1가열공정(T2)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2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가열공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2가열공정(T3)을 연장하여 내부를 가열하여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예 : 130℃)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약12분 정도) 동안 소정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하면서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다음 공정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숭늉을 만들기 위한 공정이 없으므로, 굳이 사용자가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숭늉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룽지와 물을 적당히 내입하여 일반 취사공정을 수행하여 숭늉을 만들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일반 취사공정에 의해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열량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보온밥솥에 내입된 내용물이 끓어 넘칠 우려가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물이 넘쳐흐를 때 전기보온밥솥이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숭늉 취사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전기보온밥솥의 주시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어 메뉴특성 즉, 전기보온밥솥으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최적의 취사상태를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전기보온밥솥에서 숭늉모드 키를 선택하여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숭늉모드의 메뉴 특성을 파악하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숭늉을 만들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열량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보온밥솥에 내입된 내용물이 끓어 넘칠 우려가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물이 넘쳐흐를 때 전기보온밥솥이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숭늉 취사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전기보온밥솥의 주시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기보온밥솥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입력 대기상태 유지중에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이면 숭늉모드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숭늉모드키가 온이면 숭늉모드를 세트시킨 후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고, 숭늉모드키가 오프상태이면 취사키가 온인가를 판단하여 취사키가 오프상태이면 기존 동작을 실행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취사키가 온상태이면 숭늉모드가 세트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숭늉모드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정상적인 취사모드를 진행하고, 숭늉모드가 세트되었으면 내부를 예열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취사열량을 조절하는 제3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90℃인가를 확인하여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면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취사열량을 조절하는 제4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확인하여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면 3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3분이 경과되었으면 제2가열공정을 수행하여 가열공정을 일정시간 대기시켜 내부온도가 9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90℃ 이하이면 제3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5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 5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판단하여 5분 경과 또는 102℃이면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주지적인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구성및작용]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전기보온밥솥의 구성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서 이미 언급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숭늉을 만드는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401)와, 키입력 대기상태 유지중에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2)와, 판단된 결과 취사모드 설정키가 오프상태이면 단계(S401)로 복귀시키고,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이면 숭늉모드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3)와, 판단된 결과 숭늉모드키가 온이면 숭늉모드를 세트시킨 후 단계(S401)로 복귀시키는 단계(S403-1)와, 숭늉모드키가 오프상태이면 취사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4)와, 판단된 결과 취사키가 오프상태이면 기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S404-1)를 수행하고, 취사키가 온상태이면 숭늉모드가 세트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405)와, 판단된 결과 숭늉모드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정상적인 취사모드를 진행(S405-1)토록 하고, 숭늉모드가 세트되었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예열하는 단계(S407)와, 전기보온밥솥 내부가 예열되면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조절(20/20)하는 단계(S406)와,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90℃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07)와, 확인된 결과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지 않으면 단계(S407)로 복귀시키고,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면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9)와, 제1가열공정이 수행되면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조절(15/20)하는 단계(S410)와,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11)와, 확인된 결과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지 않으면 단계(S410)로 복귀시키고,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면 일정시간(예 : 3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12)와, 확인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S410)로 복귀시키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2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3)와, 제2가열공정이 수행되면 가열공정을 일정시간(예 : 1분) 대기시키는 단계(S414)와, 가열공정이 일정시간 대기되면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9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5)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상이면 단계(S414)로 복귀시키고, 일정온도 이하이면 제3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6)와, 제3가열공정이 수행되면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조절(10/20)하는 단계(S417)와, 릴레이가 온되면 일정시간(예 : 5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418)와, 판단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02℃) 인가를 판단하여 일정온도가 아니면 단계(S417)로 복귀시키는 단계(S418-1)와 단계(S418) (S418-1)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 또는 일정온도이면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9)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b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작전원이 투입되어 전기보온밥솥이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S401)하는 중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인가를 판단(S402)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가 오프상태이면 단계(S401)로 복귀시켜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의 숭늉모드키가 온인가를 판단(S403)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키 입력부(12)의 숭늉모드키가 온이면 사용자가 숭늉모드를 세트(S403-1)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한 후 단계(S401)로 복귀시켜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단계(S403)에서 판단된 결과 키 입력부(12)의 숭늉모드키가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의 취사키가 온인가를 판단(S404)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키 입력부(12)의 취사키가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기존 동작을 실행(S404-1)하여 대기상태를 수행하고, 키 입력부(12)의 취사키가 온상태이면 숭늉모드를 세트되었는가를 판단(S405)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숭늉모드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정상적인 취사모드를 진행(S405-1)토록 하고, 숭늉모드가 세트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히터 구동부(16)를 통해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예열(S407)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를 가열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열량을 20/20으로 조절(S406)하여 내부 열량이 100%가 되도록 한다.
상기 릴레이가 온되어 전기보온밥솥 내부 열량이 100%가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감지센서를 통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90℃인가를 확인(S407)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확인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지 않으면 단계(S407)로 복귀시켜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재차 온시키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제1가열공정을 수행(S409)하기 위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15/20으로 조절(S410)하여 열량이 75%가 되게 한 후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확인(S411)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단계(S410)로 복귀시켜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재차 온시키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내부온도가 102℃를 유지하는 시간이 3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S412)하여 3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S410)로 복귀시켜 그 과정부터 반복해서 수행토록 한다.
그러나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를 유지하는 시간이 3분 경과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의 바닥에 설치되어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구동부(16)의 히터를 가열하여 제2가열공정을 수행(S413)한 후 가열공정을 일정시간(예 : 1분) 대기(S414)시킨다.
상기 가열공정이 일정시간(예 : 1분) 대기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90℃) 이하인가를 판단(S415)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90℃ 이상이면 단계(S414)로 복귀시켜 가열공정을 대기시키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90℃ 이하이면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하는 제3가열공정을 수행(S416)하기 위하여 전기보온밥솥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미도시)를 온시켜 내부 열량을 10/20으로 조절(S417)하여 열량을 50%로 조절하여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한 후 가열시간이 5분 경과되었는가를 판단(S418)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가열시간이 5분 경과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 인가를 판단(S418-1)하여 102℃가 아니면 단계(S417)로 복귀시켜 그 과정부터 다시 수행토록 한다.
한편, 단계(S418)(S418-1)에서 판단된 결과 가열시간이 5분 경과 또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02℃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취사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보온공정을 수행(S419)하여 숭늉 취사공정을 완료한다.
[발명의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숭늉모드 키를 선택하여 누룽지로 숭늉을 만들 경우에 숭늉모드의 메뉴 특성을 파악하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숭늉을 만들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열량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보온밥솥에 내입된 내용물이 끓어 넘칠 우려가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물이 넘쳐흐를 때 전기보온밥솥이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숭늉 취사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직접 전기보온밥솥의 주시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전기보온밥솥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입력 대기상태 유지중에 취사모드 설정키가 온이면 숭늉모드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숭늉모드키가 온이면 숭늉모드를 세트시킨 후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고, 숭늉모드키가 오프상태이면 취사키가 온인가를 판단하여 취사키가 오프상태이면 기존 동작을 실행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취사키가 온상태이면 숭늉모드가 세트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숭늉모드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정상적인 취사모드를 진행하고, 숭늉모드가 세트되었으면 내부를 예열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취사열량을 조절하는 제3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90℃인가를 확인하여 내부온도가 90℃로 확인되면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취사열량을 조절하는 제4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확인하여 내부온도가 102℃로 확인되면 3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3분이 경과되었으면 제2가열공정을 수행하여 가열공정을 일정시간 대기시켜 내부온도가 9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90℃ 이하이면 제3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열량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5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 5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내부온도가 102℃인가를 판단하여 5분 경과 또는 102℃이면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숭늉모드가 세트되었으면 내부를 예열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조절하는 취사열량을 20/20(100%)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조절하는 취사열량을 15/20(75%)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열공정을 수행하여 바닥에 설치된 릴레이를 온시켜 조절하는 취사열량을 10/20(50%)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019960050330A 1996-10-30 1996-10-30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017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30A KR0175503B1 (ko) 1996-10-30 1996-10-30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30A KR0175503B1 (ko) 1996-10-30 1996-10-30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49A KR19980030849A (ko) 1998-07-25
KR0175503B1 true KR0175503B1 (ko) 1999-05-01

Family

ID=194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330A KR0175503B1 (ko) 1996-10-30 1996-10-30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5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49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503B1 (ko)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200440098Y1 (ko) 라면 조리기
JP3594116B2 (ja) 電気ポットの温度制御装置
JP4009507B2 (ja) 炊飯器
KR0175506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0175504B1 (ko) 전기 보온밥솥의 햅쌀 취사 공정 제어방법
JPH064850Y2 (ja) 炊飯器
KR100843762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소키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전기압력밥솥
JP2007301142A (ja) 炊飯器
KR0181669B1 (ko) 전기보온밥솥의 연간차별 취사방법
KR0175507B1 (ko) 열량가변에 의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JPH0632011Y2 (ja) 炊飯器
KR19980030848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완료온도 제어방법
JPH0739455A (ja) 炊飯器
KR0175509B1 (ko) 전기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제어방법
JP3826070B2 (ja) 炊飯器
KR19980040013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 메뉴별 예약온도/예약시간 설정방법
KR0181667B1 (ko) 전기보온밥솥의 월 구분 취사방법
KR19990005368A (ko)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19980017929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식혜 만드는 방법
KR100193096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KR19980017928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KR0170126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의 뚜껑 물맺힘 방지방법
KR19980075688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KR100195289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