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096B1 -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096B1
KR100193096B1 KR1019960037740A KR19960037740A KR100193096B1 KR 100193096 B1 KR100193096 B1 KR 100193096B1 KR 1019960037740 A KR1019960037740 A KR 1019960037740A KR 19960037740 A KR19960037740 A KR 19960037740A KR 100193096 B1 KR100193096 B1 KR 10019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rice
electric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918A (ko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09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096B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에 묵은쌀로 취사시에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여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취사 완료된 밥을 식사할 때 밥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게되고 취사된 밥알에 끈기가 없어 식사자의 식욕을 돋구어 주지 못하는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취사기능과 보온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뜸공정(S405) 수행 중에 전기보온밥솥을 재 가열하여 이취를 제거하는 공정(S406∼S413-3)을 포함하여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여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하여 고유한 밥 냄새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식사자의 식욕을 돋구어 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보온밥솥에 묵은쌀로 취사시의 묵은쌀의 이취(異臭)를 제거하여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공정별 작동조건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각 취사 키 동작에 따라 그 공정이 시작된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제1도에 도시한 구성 블록도에서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보온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키입력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동작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히터 구동부(16)와, 상기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에 대하여 제3도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면서 키 입력으로 각종 취사모드가 설정되는가를 판단(S302)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진밥, 된밥, 보통밥, 잡곡밥, 현미밥 등을 말한다)가 설정되지 않았으며 계속해서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고, 취사모드가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작동시켜 설정된 취사모드를 실행(S03)하게 된다.
즉, 각 취사모드에 따라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의 동작시간이나 동작온도를 제어하여 설정된 취사모드를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었는가를 판단(S304)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취사모드 실행(S303)하고, 설정된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S305)하고, 보온 기능을 수행하면서 감지부(14)의 취사용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S306)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으가를 판단(S307)하게 된다.
그 결과,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높은 경우에는 재차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감지(S306)하고,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은 경우에는 히터 구동부(16)의 각종 히터를 동작(S308)시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를 유지하므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밥을 보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제2도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가 취사모드로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내부에 내입된 쌀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공정(T1)을 일정시간(약 10분에서 11분 정도의 시간을 말한다) 동안 수행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45℃)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흡수공정(T1)이 완료되면 내부를 일정온도(예 : 75℃)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1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내부에 내입된 쌀의 량을 판정하고, 이어서 제1가열공정(T2)에서 판정된 취사 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예 :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2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가열 공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2가열공정(T3)을 연장하여 내부를 가열하여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예 : 130℃)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약 12분 정도를 말한다) 동안 소정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하면서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다음 공정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보온밥솥은, 묵은쌀로 취사시에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지 못해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지 못하므로 취사 완료된 밥을 식사할 때 밥에서 이취 즉, 이상한 냄새가 나게되고 취사된 밥알에 끈기가 없어 식사자의 식욕을 돋구어 주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묵은쌀로 취사시에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여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전기보온밥솥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묵은쌀을 취사시에 고유한 밥 냄새를 효과적으로 발생(멜라노이드 현상)시켜 식욕을 돋구어 주어 전기보온밥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1)와,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제1,2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2)(S403)와, 취사완료 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S404)와,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 동안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5)와,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4)로 이루어진 취사기능과 보온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뜸공정(S405) 수행중에 전기보온밥솥을 재가열하여 이취를 제거하는 공정(S406∼S413-3)을 수행하는 방법을 전기보온밥솥에 포함하는 것을 주지적인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구성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
제3도는 제1도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감지부 16 : 히터 구동부
18 : 표시부 T1 : 흡수공정
T2 : 제1가열공정 T3 : 제2가열공정
T4 : 비등유지공정 T5 : 뜸공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기보온밥솥은, 취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각종 센서를 구비한 감지부, 각부를 가열시키는 히터 구동부, 표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흐름도로서, 키 입력이나 각 센서의 입력으로 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취사기능과 보온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45℃)로 가열시켜 흡수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1)와, 불림공정이 완료되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예 : 75℃)로 가열하는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2)와, 제1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예 : 102℃)로 가열시켜 제2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3)와, 제2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예 : 130℃)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S404)와,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면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예 : 12)동안 소정의 온도(예 : 115℃)로 가열하는 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5)와, 뜸공정 수행 중에 보온공정으로 출력하기 전에 출력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406)와, 출력 대기모드가 수행되면 일정시간(예 : 3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07)와, 확인된 경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재차 출력 대기 모드를 수행(S406)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히터를 구동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하는 단계(S408)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09)와, 확인된 결과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하이면 계속해서 히터를 구동(S408)시키고,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이면 히터를 정지시키는 단계(S410)와, 히터가 정지된 시간이 일정시간(예 : 1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11)와, 확인된 결과 일정시간(예 : 1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인가를 확인(S409)하고 일정시간(예 : 1분)이 경과되었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412)와, 체크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13)와,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13-1)와,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히터를 정지(S413-2)시키고,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히터를 구동(S413-2)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는가를 재차 확인(S413)하고,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면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4)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묵은쌀로 취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키 입력부(12)를 조작하여 취사자가 취사기능을 설정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를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 구동부(16)의 각각의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입력부(12)를 통한 키 입력뿐만 아니라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부(11)의 각각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에 따라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이 취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4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취사 준비 과정이 완료되어 동작 전원이 투입되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은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히터구동부(13)의 각각의 히터에 의해 일정온도(예 : 45℃)로 가열시켜 흡수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 공정을 수행(S401)한 후 히터구동부(13)의 각각의 히터를 구동시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예 : 75℃)로 가열하는 제1가열공정을 수행(S402)한다.
상기 제1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히터구동부(13)의 각각의 히터를 구동시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예 : 102℃)로 가열시키는 제2가열공정을 수행(S403)하여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예 : 130℃)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를 종료(S404)한다.
상기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면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예 : 12분)동안 소정의 온도(예 : 115℃)로 가열하는 뜸공정을 수행(S405)한다.
상기 뜸공정을 수행하여 보온공정(S414)으로 출력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제시한 재가열 공정을 거쳐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뜸공정(S405) 수행중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출력 대기모드를 수행(S406)하여 설정된 일정시간(예 : 3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S407)하여 설정된 일정시간(예 : 3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재차 출력 대기 모드를 수행(S406)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407)에서 확인된 결과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히터구동부(13)의 각각의 히터를 구동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S408)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인가를 확인(S409)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일정온도(예 : 125℃)가 될 때까지 히터 구동부(16)의 히터를 구동(S408)시키고,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이면 히터 구동부(1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를 정지(S410)시킨 후 정지된 시간이 일정시간(예 : 1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S411)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일정시간(예 : 1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25℃) 이상인가를 재차 확인(S409)하고, 일정시간(예 : 1분)이 경과되었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를 감지부(14)의 각각의 온도센서를 통해 체크(S412)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각각의 온도센서에서 체크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는가를 확인(S413)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인가를 확인(S413-1)하여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히터 구동부(1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각각의 히터를 정지(S413-2)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는가를 재차 확인(S413)하고,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히터 구동부(16)의 각각의 히터를 계속해서 구동(S413-2)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는가를 재차 확인(S413)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로 일정시간(예 : 10분) 동안 유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보온공정을 수행(S414)한다.
취사에서 취반은 소화시키기 어려운 생녹말을 소화하기 호화된 전분으로 바꾸는 과정으로서, 이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에서 소정 시간 동안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맛있는 밥을 취사하려면 쌀량 및 쌀의 상태와 물량에 따른 최적의 화력을 설정하여 가열하여야 한다.
따라서, 묵은쌀을 취사할 경우에 물량 및 불림 공정을 적절히 제어하여 최적의 밥맛을 얻도록 시도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뜸공정 수행 중에 전기보온밥솥을 재가열하여 이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면 밥의 끈기 및 이취를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실험에 의하면 묵은쌀의 외형의 터짐과 과다붕괴에 의한 세포막이 파괴되어 그 조직감이 떨어져 끈기가 없어지는 등의 질감 저하의 문제점이 개선되었으며, 또한 여분의 프리스팀(free steam) 방출로서 묵은쌀에 배여있는 이취가 제거되었으며 밥의 맛있는 성분 형성이 극대화되었고, 취사 후 멜라노이드 현상에 의한 밥의 색변질 및 맛변질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묵은쌀로 취사시에 묵은쌀의 이취를 제거하여 밥알의 탄력성을 유지하여 고유한 밥 냄새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식욕을 돋구어 주어 전기보온밥솥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흡수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1)와, 불림공정이 완료되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제1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2)와, 제1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제2가열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3)와, 제2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S404)와, 비등유지공정을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면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 동안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뜸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05)와, 뜸공정이 완료되면 보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414)로 이루어진 취사기능과 보온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뜸공정(S405)에서 보온공정(S414)으로 진행하기 전에 출력 대기모드로 전환는 단계(S406)와, 출력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07)와, 확인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히터를 구동시켜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하는 단계(S408)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09)와,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정지시키는 단계(S410)와, 히터가 정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11)와, 확인된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412)와, 체크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13)와,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보온공정(S414)으로 진행하고, 일정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13-1)와, 확인된 결과 일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정지(S413-2)시키고, 일정온도 이하이면 히터를 구동(S413-2)시켜 상기 단계(S413)로 복귀되도록 하여 재가열에 의해 이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6)에서 출력 대기모드가 수행되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시간을 3분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8)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가를 확인하는 온도를 120℃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10)에서 히터가 정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시간을 1분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12)에서 체크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가를 확인하는 일정온도를 110℃로 설정하고, 일정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KR1019960037740A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KR10019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740A KR100193096B1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740A KR100193096B1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18A KR19980017918A (ko) 1998-06-05
KR100193096B1 true KR100193096B1 (ko) 1999-06-15

Family

ID=663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740A KR100193096B1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900A1 (ko) *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18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9543A (ko) 전기압력보온밥솥과 그의 요리 제어 방법
JP2009219674A (ja) 炊飯器
KR100193096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KR0175504B1 (ko) 전기 보온밥솥의 햅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0175506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JPH064850Y2 (ja) 炊飯器
JP2749524B2 (ja) 炊飯器のお焦げ湯の製造方法
JP3034165B2 (ja) 炊飯器における炊飯容量判別方法
KR19980017933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량 설정방법
KR19980017929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식혜 만드는 방법
KR0175507B1 (ko) 열량가변에 의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9990005368A (ko)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19980017928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KR0170126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의 뚜껑 물맺힘 방지방법
JPH10328025A (ja) 炊飯器
KR0154638B1 (ko) 전자렌지의 밥짓기 제어방법
KR0175503B1 (ko)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02530770B1 (ko) 취반기 제어방법
KR0158519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잡곡조리방법
KR19980040013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 메뉴별 예약온도/예약시간 설정방법
JPS62176410A (ja) 電気炊飯器
KR19990005372A (ko) 전기 보온 밥솥의 취사 공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19980023872A (ko) 전기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제어방법
KR19990060402A (ko) 유도가열밥솥의 쾌속취사 방법
KR19990005365A (ko) 전기보온밥솥에서 뜸 공정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