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928A -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928A
KR19980017928A KR1019960037750A KR19960037750A KR19980017928A KR 19980017928 A KR19980017928 A KR 19980017928A KR 1019960037750 A KR1019960037750 A KR 1019960037750A KR 19960037750 A KR19960037750 A KR 19960037750A KR 19980017928 A KR19980017928 A KR 1998001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mperature
predetermined temperature
cooking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3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928A/ko
Publication of KR1998001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28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용 밥을 취사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를 만들 경우에 적합한 식혜용 밥을 취사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대부분 일반 식사용 밥으로 식혜를 만들게 되면 식혜 고유의 맛이 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취사자가 키 입력부의 식혜밥 선택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식혜밥을 취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를 만들 경우에 사용되는 식혜용 밥을 취사할 때 키 입력에 의해 최적의 조건으로 식혜밥을 취사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공정별 작동조건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각 취사 키 동작에 따라 그 공정이 시작된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도 1에 도시한 구성 블록도에서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보온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키 입력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값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동작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 히터 구동부(16)와, 상기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에 대하여 도 3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면서 키 입력으로 각종 취사모드가 설정되는가를 판단(S302)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진밥, 된밥, 보통밥, 잡곡밥, 현미밥 등을 말한다)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대기상태를 유지(S301)하고, 취사모드가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작동시켜 설정된 취사모드를 실행(S03)하게 된다.
즉, 각 취사모드에 따라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의 동작시간이나 동작온도를 제어하여 설정된 취사모드를 수행하여 취사가 종료되었는가를 판단(S304)한다.
상기 판단결과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취사모드를 실행(S303)하고, 설정된 취사모드의 동작이 종료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S305)하고, 보온 기능을 수행하면서 감지부(14)의 취사용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S306)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은가를 판단(S307)하게 된다.
그 결과,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높은 경우에는 재차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감지(S306)하고,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보다 낮은 경우에는 히터 구동부(16)의 각종 히터를 동작(S308)시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75℃)를 유지하므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밥을 보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도 2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가 취사모드로 설정되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내부에 내입된 쌀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공정(T1)을 일정시간(약 10분에서 11분 정도의 시간을 말한다) 동안 수행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45℃)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흡수공정(T1)이 완료되면 내부를 일정온도(예 : 75℃)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 량을 판정하는 제1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내부에 내입된 쌀의 량을 판정하고, 이어서 제1가열공정(T2)에서 판정된 취사 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예 :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2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가열공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2가열공정(T3)을 연장하여 내부를 가열하여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예 : 130℃)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약12분 정도를 말한다) 동안 소정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하면서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다음 공정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를 만들 경우에 적합한 식혜용 밥을 취사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없어 대부분 일반 식사용 밥으로 식혜를 만들거나, 취사자가 오랜 경험에 의해 물량을 조절하여 식혜를 만들기에 적합한 밥을 취사하여 식혜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를 만들어 보지 않았거나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취사된 밥으로 식혜를 만들게 되면 식혜 고유의 맛이 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용 밥을 취사함에 있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식혜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식혜용 밥 취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보온밥솥으로 식혜를 만들어 보지 않은 무경험자라 하더라도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식혜 고유의 맛이 나도록 간편하게 식혜밥을 취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취사자가 식혜밥 취사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식혜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식혜밥을 가장 간편하게 취사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주지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감지부 16 : 히터 구동부
18 : 표시부 T1 : 흡수공정
T2 : 제1가열공정 T3 : 제2가열공정
T4 : 비등유지공정 T5 : 뜸공정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전기보온밥솥은, 취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각종 센서에 의해 전기보온밥솥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각부를 가열시키는 히터 구동부, 취사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에 따른 흐름도로서, 식혜밥 취사공정이 선택되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401)와, 체크된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2)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50℃) 이상이면 더운물로 간주하여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03)와,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가 온되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30℃)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4)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이면 히터를 계속 온(S403)시키고, 일정온도(예 : 130℃)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5)와, 히터가 오프되면 내부 타이머를 일정시간(예 : 20분) 동안 온시키는 단계(S406)와, 타이머가 온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7)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08)와,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8-1)와,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타이머가 세트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09)와, 타이머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판단(S407)하고, 타이머가 세트되면 식혜밥 취사공정을 완료하여 보온공정(S411)을 수행하는 단계(S410)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상기 단계(S402)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50℃) 이하이면 찬물로 간주하여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12)와,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가 온되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3)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50℃) 이하이면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3-1)하여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예 : 50℃) 이상이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8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4)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80℃) 이하이면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4-1)하여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예 : 80℃) 이상이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5)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이면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예 : 130℃) 이상이면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5)를 수행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취사를 하기 위해서는, 키 입력부(12)를 조작하여 취사자가 취사기능을 설정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로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 구동부(16)의 각각의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를 통한 키 입력뿐만 아니라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부(11)의 각각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값에 따라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이 취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 4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는 식혜밥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키 입력부(12)에는 식혜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부설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예로 식혜밥을 취사하기 위하여 더운물을 전기보온밥솥에 넣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상기한 키 입력부(12)에 의해 식혜밥 취사공정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S401)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체크된 전기 보온 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판단(S402)하여 일정온도(예 : 50℃) 이상이면 전기보온밥솥 내에 더운물이 투입된 것으로 간주하여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켜(S403)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한다.
상기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가 가열되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30℃) 이상인가를 판단(S404)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03)시켜 일정온도(예 : 130℃)가 되도록 가열한다.
그러나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30℃) 이상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릴레이를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S405)시킨 후 내부 타이머를 일정시간(예 : 20분) 동안 온시킨다.(S406)
상기 타이머가 온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판단(S407)하여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킨다.(S408)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시킨다.(S408-1)
상기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내부 타이머가 세트(SET)되었는가를 확인(S409)한다.
상기 확인한 결과 내부 타이머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재차 판단(S407)하여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킨다.(S408)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트라이악을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뚜껑, 몸통히터)를 오프시킨다.(S408-1)
상기 히터 구동부(16)의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타이머가 세트(SET)되었는가를 확인(S409)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타이머가 세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식혜밥 취사공정을 완료(S410)하여 보온공정을 수행(S410)한다.
다음은 식혜밥을 취사하기 위하여 찬물을 전기보온밥솥에 넣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상기한 키 입력부(12)에 의해 식혜밥 취사공정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S401)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체크된 전기 보온 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판단(S402)하여 일정온도(예 : 50℃) 이하이면 전기보온밥솥 내에 찬물이 투입된 것으로 간주하여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켜(S412) 전기보온밥솥 내부를 가열한다.
상기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가 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판단(S413)하여 일정온도(예 : 50℃) 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3-1)하여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켜 일정온도(예 : 50℃) 이하인가를 재차 판단(S413)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50℃) 이상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80℃) 이하인가를 판단(S414)하여 일정온도(예 : 80℃) 이하이면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4-1)하여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켜 상기한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한 결과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80℃) 이상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다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인가를 판단(S415)하여 일정온도(예 : 130℃) 이하이면 릴레이를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계속 온(S412)시켜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일정온도(예 : 130℃) 이상으로 판단되면 릴레이를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바닥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S405)시킨 후 내부 타이머를 일정시간(예 : 20분) 동안 온시킨다.(S406)
상기 타이머가 온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판단(S407)하여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트라이악을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온 시킨다.(S408)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시킨다.(S408-1)
상기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타이머가 세트(SET)되었는가를 확인(S409)한다.
상기 확인한 결과 타이머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인가를 재차 판단(S407)하여 일정온도(예 : 110℃) 이하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온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온시킨다.(S408)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예 : 110℃) 이상이면 트라이악(TRIAC)을 오프시켜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를 오프시킨다.(S408-1)
상기 히터 구동부(16)의 히터(예 : 뚜껑, 몸통에 설치된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타이머가 세트(SET)되었는가를 확인(S409)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타이머가 세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식혜밥 취사공정을 완료(S410)하여 보온공정을 수행(S410)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취사자가 식혜밥 취사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식혜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식혜밥을 가장 간편하게 취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의 일 실시 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기보온밥솥에 의한 취사방법에 있어서, 식혜밥 취사공정이 선택되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401)와, 체크된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2)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상이면 더운물로 간주하여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03)와, 히터가 온되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4)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히터를 계속 온(S403)시키고, 일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5)와, 히터가 오프되면 내부 타이머를 일정시간 동안 온시키는 단계(S406)와, 타이머가 온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7)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08)와, 일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8-1)와,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되면 타이머가 세트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409)와, 타이머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S407)하고, 타이머가 세트되면 식혜밥 취사공정을 완료하여 보온공정(S411)을 수행하는 단계(S410)로 이루지도록 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2)에서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찬물로 간주하여 히터를 온시키는 단계(S412)와, 히터가 온되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3)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3-1)하여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 이상이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4)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취사량 판정을 시작(S414-1)하여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 이상이면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15)와, 판단된 결과 일정온도 이하이면 히터를 계속 온(S412)시키고, 일정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5)를 수행하도록 한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KR1019960037750A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KR1998001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750A KR19980017928A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750A KR19980017928A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28A true KR19980017928A (ko) 1998-06-05

Family

ID=6632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750A KR19980017928A (ko) 1996-08-31 1996-08-31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504B1 (ko) 전기 보온밥솥의 햅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9980017928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한 식혜용 밥 취사방법
JPH064850Y2 (ja) 炊飯器
KR0175506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JP2749524B2 (ja) 炊飯器のお焦げ湯の製造方法
KR0175507B1 (ko) 열량가변에 의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9980017929A (ko) 전기보온밥솥을 이용하여 식혜 만드는 방법
JP3034165B2 (ja) 炊飯器における炊飯容量判別方法
KR100193096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KR100195289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9990005368A (ko)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0175503B1 (ko)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9980017933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량 설정방법
KR930006562B1 (ko) 음식물의 조리방법 및 장치
JPH0632011Y2 (ja) 炊飯器
KR0181669B1 (ko) 전기보온밥솥의 연간차별 취사방법
KR100199227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완료온도 제어방법
JP2936212B2 (ja) 炊飯ジャー
KR0170126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의 뚜껑 물맺힘 방지방법
JPH08299166A (ja) 蒸らし煮装置
JPH064854Y2 (ja) 炊飯器
KR19990005372A (ko) 전기 보온 밥솥의 취사 공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19980030866A (ko) 전기보온밥솥의 히터동작 제어방법
KR0181667B1 (ko) 전기보온밥솥의 월 구분 취사방법
KR19980030855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 공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