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688A -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688A
KR19980075688A KR1019970011933A KR19970011933A KR19980075688A KR 19980075688 A KR19980075688 A KR 19980075688A KR 1019970011933 A KR1019970011933 A KR 1019970011933A KR 19970011933 A KR19970011933 A KR 19970011933A KR 19980075688 A KR19980075688 A KR 1998007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internal temperature
cook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688A/ko
Publication of KR1998007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688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소정 과정을 통해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고,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에 도달하면 일정시간의 뜸수행 과정을 수행한 후 보온과정을 수행토록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중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취사완료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취사완료온도 인식을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며 제 1 단계를 재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였다고 판단되면 증기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제 3 단계, 및 뜸수행 과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 설정된 뜸시작 온도와 제 3 단계를 통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온도가 뜸시작 온도에 도달하면 뜸수행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보온밥솥으로 취사공정중에 최고 온도인 취사완료온도를 제어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감지부를 통해 취사완료온도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취사온도가 취사완료온도보다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정상적인 뜸공정으로 진행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온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공정별 작동조건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각 취사 키 동작에 따라 그 공정이 시작된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도 1에 도시한 구성 블록도에서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보온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키 입력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 하에 동작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 히터 구동부(16)와, 상기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b에 의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에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301에서 키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스텝 S302를 통해 취사를 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를 입력하였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02에서 취사모드 설정키에 따른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303으로 진행하여 상기 키 입력부(12)의 취사시작 키가 온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결과 키 입력부(12)에서 취사시작 키 입력이 없어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를 다시 세트(S303-1) 하도록 한 후 단계(S301)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키 입력부(12)의 취사시작 키가 온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04로 진행하여 감지부(12)의 감지센서(바닥,몸통,투껑에 설치된 취사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04에서 체크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제 2 가열공정(T3)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75℃)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스텝 S305를 통해 판단하여, 그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면 취사공정을 취소(S305-1)하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하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06을 통해 상기 감지부(12)의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공정(T2)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45℃)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스텝 S306의 과정을 통해 임계온도 이상의 온도상태라고 판단되면 이상공정을 실행(S306-1)하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하이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안치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공정(T1)을 10분11분 동안 실행(S307)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를 제 1 가열공정(T2)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불림공정(T1) 실행이 완료되면 스텝 S308의 과정을 통해 제 2 가열공정(T3)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 1 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내입된 쌀의 량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스텝 S309의 과정을 통해 제 1 가열공정(T2)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비등유지공정(T4)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 2 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 2 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이 가변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10과 스텝 S311를 통해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하여 상기 스텝 S309의 제 2 가열공정(T3)에서 판정된 취사량을 데이터화한다.
추후, 스텝 S312에서는 비등유지공정(T4)을 위한 가열 범위의 한계치(예 : 102130℃)을 결정한다.
상기 가열 범위의 한계치가 예를 들어 125℃로 결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13을 통해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키고 스텝 S314를 통해 상기 감지부(14)의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스텝 S312에서 결정된 125℃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가 아니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감지부(14)의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 이상인가를 판단(S314-1)하여 125℃ 이하이면 상기 스텝 S313로 복귀시켜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계속해서 가열시킨다.
그러나, 상기 스텝 S314에서 판단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 이거나, 상기 스텝 S314-1에서 판단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 이상이면, 소정의 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S315)하여 일정시간(예 :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S316)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12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317로 진행하여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의 가열을 정지시킨 후, 스텝 S318을 통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115℃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115℃ 이상이면 상기 스텝 S316으로 복귀시켜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재차 판단한다.
상술한 과정중 스텝 S318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115℃ 이하라고 판단되면 스텝 S319를 통해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킨 후 상기 스텝 S316로 복귀시켜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재차 판단한다.
한편, 스텝 S316에서 12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320으로 진행하여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보온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한 종래의 전기보온밥솥은,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각 취사 공정의 임계치를 여러 가지의 이유로 인해 하드웨어적으로 설정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해당 임계치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검출치의 비교시 그 값의 동일성만을 판단할 수 밖에 없어 전기보온밥솥으로 취사시에 감지부의 감지센서가 취사공정의 비등유지공정에서 취사완료온도(예를들어, 125℃)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더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취사완료온도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취사된 밥이 타게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취사중 밥이 타는 현상 등의 이상 발생시에 취사완료온도가 125℃ 이상으로 상승하여도 취사완료온도를 125℃ 이하로 낮추지 못하므로 인하여 전기보온밥솥이 소손(燒損)되어 전기보온밥솥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보온밥솥으로 취사공정중에 취사완료온도로 기설정된 취사한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인식하지 못하였을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취사한계온도보다 높은 임의의 온도를 동작한계온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한계온도 이상의 온도가 검출되는 경우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온도를 안정화 온도로 낮춘 후 정상적인 뜸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을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
도 3a 내지 도 3b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완료온도 제어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감지부 16 : 히터 구동부
18 : 표시부 T1 : 불림공정
T2 : 제1가열공정 T3 : 제2가열공정
T4 : 비등유지공정 T5 : 뜸공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키 입력이나 각 센서의 입력으로 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소정 과정을 통해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고,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에 도달하면 일정시간의 뜸수행 과정을 수행한 후 보온과정을 수행토록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중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취사완료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취사완료온도 인식을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 1 단계를 재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였다고 판단되면 증기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제 3 단계, 및 뜸수행 과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 설정된 뜸시작 온도와 상기 제 3 단계를 통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온도가 뜸시작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뜸수행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전기보온밥솥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 즉,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도 1과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b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기보온밥솥에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401에서 키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스텝 S402를 통해 취사를 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를 입력하였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취사모드 설정키에 따른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403으로 진행하여 상기 키 입력부(12)의 취사시작 키가 온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스텝 S403에서의 판단결과 키 입력부(12)에서 취사시작 키 입력이 없어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키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를 다시 세트(S403-1) 하도록 한 후 단계(S401)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 S403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키 입력부(12)의 취사시작 키가 온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04로 진행하여 감지부(12)의 감지센서(바닥,몸통,투껑에 설치된 취사온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04에서 체크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제 2 가열공정(T3)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75℃)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스텝 S405를 통해 판단하여, 그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면 취사공정을 취소(S405-1)하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하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06을 통해 상기 감지부(12)의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공정(T2)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45℃)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스텝 S406의 과정을 통해 임계온도 이상의 온도상태라고 판단되면 이상공정을 실행(S406-1)하고,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하이면 히터 구동부(16)의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안치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공정(T1)을 10분11분 동안 실행(S407)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를 제 1 가열공정(T2)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불림공정(T1) 실행이 완료되면 스텝 S408의 과정을 통해 제 2 가열공정(T3)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 1 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내입된 쌀의 량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스텝 S409의 과정을 통해 제 1 가열공정(T2)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비등유지공정(T4)의 초기 온도로 기설정된 임계온도(예를들어,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 2 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 2 가열공정(T3)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이 가변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10과 스텝 S411를 통해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하여 상기 스텝 S409의 제 2 가열공정(T3)에서 판정된 취사량을 데이터화한다.
추후, 스텝 S412에서는 비등유지공정(T4)을 위한 가열 범위의 한계치(예 : 102130℃)을 결정한다.
상기 가열 범위의 한계치가 예를 들어 125℃로 결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13을 통해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키고 스텝 S414를 통해 상기 감지부(14)의 감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상기 스텝 S412에서 결정된 일정온도(125℃)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 이면, 설정된 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S415)하여 일정시간(예 :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S416)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12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17로 진행하여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의 가열을 정지시킨 후, 스텝 S418을 통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115℃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115℃ 이상이면 상기 스텝 S416으로 복귀시켜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재차 판단한다.
상술한 과정중 스텝 S418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115℃ 이하라고 판단되면 스텝 S419를 통해 히터 구동부(16)의 바닥에 설치된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킨 후 상기 스텝 S416로 복귀시켜 12분이 경과되었는가를 재차 판단한다.
한편, 스텝 S416에서 12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420으로 진행하여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보온공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414에서 판단된 결과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125℃가 아니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텝 S421을 통해 감지부(14)의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입력되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예를들어 130℃)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임도온도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413으로 진행하여 살술한 공정을 재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421의 판단 과정에서 전기보온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스텝 S422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부저 또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경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상기 스텝 S422 이후 스텝 S423에서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충만되어 있는 고온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통해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데, 스텝 S424에서는 상기 스텝 S423에서 증기가 배출됨에 따라 낮아지는 전기보온밥솥 내부의 온도가 뜸공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가를 판단하여 즉, 취사완료온도로 설정된 온도에 근접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부적합한 경우 상기 스텝 S422로 진행하여 상술한 공정을 재수행하고,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텝 S415로 진행한다.
상술한 설명중 스텝 S424에서 판단하는 뜸공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온도는 예를들어, 취사완료온도를 125℃로 가정하면 127℃내외 정의한다.
그에 따라 정상적인 뜸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으로 취사공정중에 취사완료온도로 설정된 임의의 온도보다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높게 상승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전기보온밥솥 내부에 충만되어 있는 고온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정상적인 뜸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온도를 빠르게 낮추어 줌으로 이상현상의 발생으로 인해 밥이 타는 현상을 없애고, 고열로 인하여 전기보온밥솥이 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기보온밥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키 입력이나 각 센서의 입력으로 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소정 과정을 통해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고,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에 도달하면 일정시간의 뜸수행 과정을 수행한 후 보온과정을 수행토록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취사완료온도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중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취사완료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취사완료온도 인식을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 1 단계를 재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이상으로 상승하였다고 판단되면 증기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제 3 단계; 및
    뜸수행 과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 설정된 뜸시작 온도와 상기 제 3 단계를 통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온도가 뜸시작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뜸수행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KR1019970011933A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KR19980075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33A KR19980075688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33A KR19980075688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88A true KR19980075688A (ko) 1998-11-16

Family

ID=6595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933A KR19980075688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6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55A (ko) * 2019-10-15 2021-04-23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6458A (ko) * 2019-10-18 2021-04-28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92585A (ko) * 2020-01-16 2021-07-26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55A (ko) * 2019-10-15 2021-04-23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6458A (ko) * 2019-10-18 2021-04-28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92585A (ko) * 2020-01-16 2021-07-26 (주)쿠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5688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KR100199227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완료온도 제어방법
JP2749524B2 (ja) 炊飯器のお焦げ湯の製造方法
JP2010279646A (ja) 炊飯器および該炊飯器の容量判別方法
JPS59131829A (ja) 調理器
KR0173005B1 (ko) 전기보온밥솥의 과열방지방법
KR0175504B1 (ko) 전기 보온밥솥의 햅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0175506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00197751B1 (ko) 전기보온밥솥에서 뜸 공정 제어 방법
KR0175503B1 (ko) 전기보온밥솥의 숭늉 취사공정 제어방법
KR0170126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의 뚜껑 물맺힘 방지방법
KR19990005368A (ko)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19980017925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
KR100190974B1 (ko) 이상발생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 제어방법
KR19980075690A (ko)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JP2936212B2 (ja) 炊飯ジャー
KR100254314B1 (ko) 전자렌지의 중량센서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9980017926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표시 및 제어방법
KR0148903B1 (ko) 오븐렌지 자동요리 제어 방법
JPH07284444A (ja) 炊飯器
JPH03237922A (ja) 電気調理器
KR100195289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20060081744A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제어방법
KR19980047121A (ko) 전기보온밥솥의 데모모드 처리방법
JPH02277419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