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57Y1 - 녹즙기 - Google Patents

녹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57Y1
KR200429957Y1 KR2020060018934U KR20060018934U KR200429957Y1 KR 200429957 Y1 KR200429957 Y1 KR 200429957Y1 KR 2020060018934 U KR2020060018934 U KR 2020060018934U KR 20060018934 U KR20060018934 U KR 20060018934U KR 200429957 Y1 KR200429957 Y1 KR 200429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juice
screw
juic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기
Original Assignee
이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기 filed Critical 이대기
Priority to KR2020060018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및 야채등 음식물을 보다 원활하게 이송,압착,절단,분쇄 및 미세분쇄 시킬 수 있도록 한 녹즙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단 투입구와 피착즙물 수용부 및 하단의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송부,절단부,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착즙망체를 수용하고 착즙망체는 압착과 분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점차 좁은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몸체와 결합되는 샤프트로 형성된 스크류로 이루어지되 스크류는 기존 스크류에 비해 이송의 원활함을 위해서 스크류의 이송날개를 갈고리형 커터날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 가공턱과 착즙망체 가공턱에 이송시 물체가 끼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과 착즙망체 결합부 가공턱 모양을 일체형으로 이루어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녹즙기를 제시한다.
녹즙기, 하우징, 착즙망체, 스크류, 갈고리형 커터날, 하우징 캡, 보조 분쇄날

Description

녹즙기{juice extracto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녹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녹즙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녹즙기의 스크류와 착즙망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2의 하우징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2의 착즙망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C-C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하우징캡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하우징 16: 투입구
18: 배출구 20: 하우징캡
24: 보조 분쇄날 26: 착즙망체
30: 스크류 34: 이송날
34a: 갈고리형 커터날 36: 분쇄날
38: 볼록면
본 고안은 과일, 야채 및 각종 음식물을 분쇄 및 착즙하는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착즙물이 투입되어 이송,압착,절단,분쇄 및 착즙이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착즙망체,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피착즙물을 이송시키면서 파쇄하고 착즙망체에서 압착하여 분쇄가 이루어지고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장치이다.
첨부 된 도면1은 종래 일반적인 녹즙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즙기(200)는 일측 상단에는 투입구(116)가 형성되고 타측하단에는 배출구(118)가 형성된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 내 스크류(122)가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122)와 결합된 샤프트(124)가 구동모터 측과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122)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122) 절단,분쇄부를 갖는 착즙망체(128)를 통과한 후 하우징(112)의 배출구(1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하지만 종래 녹즙기(200)는 사용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유발하게 된다.
먼저 피착즙물의 이송은 회전하는 스크류의 이송날(126)을 타고 넘은후 스크 류날개 사이에 안치되고 다시 두 번째 이송날(126)을 타고 넘지 못하고 그 자리에 잔류하거나 하우징(112)과 착즙망체(120)의 결합 부위 잔턱에 끼어 피착즙물의 이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입구(116)로 최초 투입된 음식물은 스크류(122)의 회전력에 의해 위로 튕겨져 투입구(116)쪽으로 다시 역배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류를 갈고리형 커터날형태로 만들어 피착즙물을 잡아 끌고 들어가 보다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하고 스크류날개 사이에 피착즙물이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의 볼록면 부위를 투입구 쪽은 작고 착즙망체로 들어가면서 볼록면이 굵게 형성되어 이송시 피착즙물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녹즙기를 제공함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착즙망체의 결합 방전 가공부위를 일치시켜 내경을 같게 만들고 착즙망체의 직경을 점차 좁은 직경의 크기를 가져 압착과 분쇄의 효과를 높이며 착즙망체 분쇄커터날의 선단을 빗 경사를 주어 피착즙물이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송되도록 한 녹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투입구를 센터상에서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투입된 피착즙물이 회전력에 빨려들어가게 하여 상기 투입구로 역배출 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 녹즙기를 제공함이 있다. 또한 착즙물을 배출하는 하우징캡 내부에는 보조 분쇄날을 형성하여 미세 분쇄의 효과를 더해 주는 녹즙기를 제 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착즙망체 및 상기 착즙망체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회전 동작하는 스크류로 구성한 녹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외경에는 하우징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이송날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34)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갈고리형 커터날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를 제시한다.
상기 스크류의 볼록면 부위는 중앙부의 직경을 양단부보다 크게 만들어 상기 스크류의 외경을 볼록하게 볼륨을 형성하여 이송,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경과 착즙망체의 내경에는 방전가공부위를 각각 형성하여 착즙망체와 하우징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방전가공부위들은 서로 일치시켜 결합부위에서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즙망체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분쇄날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분쇄날들의 선단부에는 면취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센터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의 선단에는 중앙으로 배출공을 가지는 하우징캡이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캡의 내부에는 보조 분쇄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녹즙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즙기(100)는 하우징(12), 착즙망체(26) 및 스크류(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구동모터(미 도시 함)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원통체형태로 내부에는 일정크기만큼의 공간부(14)가 형성되고, 그 선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캡(20)으로 덮혀진다.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상단에는 상기 공간부(14)와 연통하는 투입구(1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6)는 음식물을 하우징(12)내로 투입시킬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투입구(16)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의 센터(C)상에서 일정거리(D)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투입구(16)를 통해 하우징(12)내로 투입된 피착즙물이 스크류(30)의 회전력에 의해 위로 튕겨져, 상기 투입구(16)로 다시 역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투입구(16)를 하우징(12)의 센터(C)상에서 일정거리(D) 이격되게 형성하면 상기 투입구(16)를 통과한 피착즙물은 하우징(12)내에 한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저장되며, 이 상태에서 스크류(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30)는 피착즙물을 끌고 들어가며 회전하게 됨으 로서 피착즙물이 위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2)의 타측상단에는 상기 공간부(14)와 연통하는 배출구(18)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8)는 피착즙물에서 착즙된 즙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착즙망체(26)는 하우징(1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착즙망체(26)는 압착과 분쇄의 효과를 높이기위해 양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 바람직하게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 직경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한다. 상기 착즙망체(26)는 스크류(30)의 회전동작으로 이송된 피착즙물을 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즙(액체)을 전술한 배출구(18)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착즙망체(26)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분쇄날(28)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분쇄날(28)들은 후술하는 스크류(30)의 이송날 (34)및 분쇄날(36)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착즙중인 피착즙물을 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분쇄날(28)들의 선단부는 면취(모따기)가공하여 일정각도로 면취부(28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취부(28a)를 통해 음식물은 이송과정에서 커터(28)의 선단부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착즙망체(26)내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0)는 전술한 착즙망체(26)의 내부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2)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30)의 끝단에는 샤프트(32)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32)는 전술한 본체(10)의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30)의 외경은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의 직경을 양단부보다 크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볼록면(38)부위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음식물이 이송과정에서 이송날 사이에 끼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스크류(30)의 외경에는 다수개의 이송날(3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송날(34)들은 스크류(30)의 동작으로 회전하며 투입구(16)를 통해 투입된 피착즙물을 전술한 착즙망체(26)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날(34)들의 외주면에는 "갈고리형 커터날"(34a)들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갈고리형 커터날(34a)들은 이송날(34)을 타고 이송중인 피착즙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피착즙물이 회전중인 이송날(34)을 타고 이송될 때, 상기 갈고리형 커터날(34a)들은 피착즙물을 잡아끌어서 이송날(34)의 회전에 따라 피착즙물을 강제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피착즙물은 이송날(34)을 타고 원활히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30)의 외경에는 분쇄날(36)들이 더 구비된다. 상기 분쇄날(36)들은 스크류(30)의 선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날(34)을 타고 이송된 피착즙을 분쇄시켜 즙을 생성시키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a 내지 도 6b는 하우징과 착즙망체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내경과, 착즙망체(26)의 내경에는 방전가공 부위(K1, K2)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착즙망체(26)는 하우징(12)에 삽입될 때, 상기 방전가공부위(K1, K2)가 서로 맞대여 짐으로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전가공부위(K1, K2)들은 서로 맞대여 질 때,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일치될 수 있도록 동일한 두께로 가공 처리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송중인 음식물이 하우징(12)과 착즙망체(26) 결합부의 단턱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7은 하우징의 선단에 체결되는 하우징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캡(20)의 중앙에는 배출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2)은 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된 착즙물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캡(2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22)의 내측 주위면을 따라 다수개의 보조분쇄날(24)들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분쇄날(24)들은 분쇄중인 피착즙물을 더욱 미세하게 분쇄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녹즙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2 내지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의 구동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하우징(12)내의 스크류(30)는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하우징(12)의 투입구(16)로 피착즙물을 투입시키면 피착즙물은 상기 스크류(30)의 이송날(34)을 타고 착즙망체(26)내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6)는 하우징(12)의 센터(C)에서 일정거리(D)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피착즙물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하우징(12)내로 저장되며, 따라서 스크류(3O)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30)는 피착즙물을 끌고 들어가 며 회전하게 됨으로서 피착즙물이 위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날(34)의 외주면에 형성된 갈고리형 커터날(34a)은 투입된 피착즙물을 잡아끌어당겨 걸려진 상태에서 이송날(34)의 회전에 따라 피착즙물을 강제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피착즙물은 이송날을 타고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어 스크류의 이송,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를 효율적으로 증대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착즙망체(26)내로 이송된 피착즙물은 스크류와 착즙망체(26)내의 분쇄날(28)에 의해 절단,분쇄되고, 또한 절단,분쇄된 피착즙물은 스크류(30)와 착즙망체(26) 사이에서 압착되어 즙을 생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면 6에서와같이 상기 압착,분쇄,절단된 피착즙물은 전술한 하우징캡(20)의 보조분쇄날(24)에 의해 더 잘게 미세분쇄되어 지고, 이 과정에서 더 많은 양의 즙이 생성된다.
이후, 생성된 즙은 상기 착즙망체(26)를 통과한 후, 하우징(12) 아래에 형성된 배출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송,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된 착즙물은 착즙망체(26)의 선단을 통과한 후, 상기 하우징캡(20)의 배출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류이송날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갈고리형 커터날들이 피착즙물을 잡아끌어 걸어진 상태에서 이송날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을 강제 회전시키게 되고 스크류에 볼록면이 투입구에서 착즙망체로 갈수록 굵게 형성되어서 피착즙물을 보다 원활히 이송,압착,절단,분쇄,미세분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착즙망체의 결합부 방전가공부위를 일치시켜 내경을 같게 만들고 또한 착즙망체 내면에 형성된 커터들의 선단을 면취가공하여 이송중인 피착즙물의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투입구를 하우징의 센터상에서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서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투입된 음식물이 튕겨지며 상기 투입구로 역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착즙물을 배출하는 하우징캡 내부에는 분쇄용 커터날을 형성하여 미세분쇄의 효과를 더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투입구(16)와 배출구(18)를 구비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내에 설치되는 착즙망체(26) 및 상기 착즙망체(26)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회전 동작하는 스크류(30)로 구성한 녹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0)의 외경에는 하우징(12)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이송날(3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34)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갈고리형 커터날(34a)들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0)는 중앙부의 직경을 양단부보다 크게 만들어 상기 스크류(30)의 외경을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볼록면(38)부위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의 내경과 착즙망체(26)의 내경에는 착즙망체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 서로 맞물리게 되는 방전가공부위(K1, K2)들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방전가공부위(K1, K2)들은 맞물리는 부위에서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서로 일치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망체(26)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분쇄날(28)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분쇄날(28)들의 선단부에는 면취부(28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6)는 상기 하우징(12)의 센터(C)상에서 일정거리(D)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우징(12)의 선단에는 중앙으로 배출공(22)을 가지는 하우징캡(20)이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캡(20)의 내부에는 보조 분쇄날(2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즙기.
KR2020060018934U 2006-07-13 2006-07-13 녹즙기 KR200429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34U KR200429957Y1 (ko) 2006-07-13 2006-07-13 녹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34U KR200429957Y1 (ko) 2006-07-13 2006-07-13 녹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57Y1 true KR200429957Y1 (ko) 2006-10-31

Family

ID=4177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934U KR200429957Y1 (ko) 2006-07-13 2006-07-13 녹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57Y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12B1 (ko) 2008-10-17 2011-01-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전기녹즙기
KR101198035B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착즙기
WO2012165713A1 (ko) * 2011-06-03 2012-12-06 Kim Young Ki 주스기
KR101432926B1 (ko) 2013-02-26 2014-08-21 염무연 곡물 착유기
KR101463506B1 (ko) * 2013-05-21 2014-11-19 이은숙 착즙기
KR101480934B1 (ko) * 2014-09-25 2015-01-13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101546047B1 (ko) * 2014-11-07 2015-08-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기
CN105555172A (zh) * 2013-09-09 2016-05-04 Seb公司 用于提取汁和/或浆的提取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装置
KR101625992B1 (ko) 2014-05-14 2016-05-31 박학구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장치
CN107553957A (zh) * 2017-10-10 2018-01-09 潜山县绿锦源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设有预处理的瓜蒌籽油榨装置
KR20190018507A (ko) * 2016-07-06 2019-02-22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푸드프로세서
CN109744843A (zh) * 2017-12-04 2019-05-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卧式螺杆挤压榨汁机
EP3874996A1 (en) * 2020-03-05 2021-09-08 Angel Co., Ltd. Juicer
CN114502042A (zh) * 2019-09-11 2022-05-13 株式会社Nuc电子 食品料理机
KR102568293B1 (ko) * 2022-11-29 2023-08-18 조성경 분쇄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12B1 (ko) 2008-10-17 2011-01-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전기녹즙기
KR101198035B1 (ko) 2010-08-09 2012-11-06 김종길 착즙기
WO2012165713A1 (ko) * 2011-06-03 2012-12-06 Kim Young Ki 주스기
KR101432926B1 (ko) 2013-02-26 2014-08-21 염무연 곡물 착유기
KR101463506B1 (ko) * 2013-05-21 2014-11-19 이은숙 착즙기
CN105555172A (zh) * 2013-09-09 2016-05-04 Seb公司 用于提取汁和/或浆的提取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装置
KR101625992B1 (ko) 2014-05-14 2016-05-31 박학구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장치
KR101480934B1 (ko) * 2014-09-25 2015-01-13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WO2016047915A1 (ko) *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WO2016072720A1 (en) * 2014-11-07 2016-05-12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or
KR101546047B1 (ko) * 2014-11-07 2015-08-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기
US11446890B2 (en) 2016-07-06 2022-09-20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 Ltd. Food processor
KR20190018507A (ko) * 2016-07-06 2019-02-22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푸드프로세서
KR102282931B1 (ko) * 2016-07-06 2021-07-27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푸드프로세서
CN107553957A (zh) * 2017-10-10 2018-01-09 潜山县绿锦源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设有预处理的瓜蒌籽油榨装置
CN109744843A (zh) * 2017-12-04 2019-05-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卧式螺杆挤压榨汁机
CN114502042A (zh) * 2019-09-11 2022-05-13 株式会社Nuc电子 食品料理机
EP4029414A4 (en) * 2019-09-11 2023-11-01 NUC Electronics Co., Ltd. FOOD COOKER
CN114502042B (zh) * 2019-09-11 2024-01-30 株式会社Nuc电子 食品加工机
EP3874996A1 (en) * 2020-03-05 2021-09-08 Angel Co., Ltd. Juicer
KR102568293B1 (ko) * 2022-11-29 2023-08-18 조성경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957Y1 (ko) 녹즙기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1101692B1 (ko) 착즙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CN207493804U (zh) 水果破碎装置
EP2779874A2 (fr) Appareil d&#39;extraction de jus alimentaire
WO2018128359A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80085472A (ko) 착즙기
KR102349312B1 (ko) 착즙기
KR101134728B1 (ko) 착즙기
KR101218489B1 (ko) 착즙기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101717400B1 (ko)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667451B1 (ko) 유성 및 수성 즙 착즙용 착즙기
KR20100006452U (ko) 착즙기의 압송스크루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KR101638701B1 (ko)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20020057737A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100920155B1 (ko) 파쇄기
CN108157473A (zh) 一种双方向肉骨粉碎输出机构
KR20030087662A (ko) 맷돌형 착즙기
US20240057803A1 (en) Fruit and vegetable juicer
KR100209320B1 (ko) 분쇄기
CN220554455U (zh) 用于榨汁机的螺杆和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