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55B1 - 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55B1
KR100920155B1 KR1020070115071A KR20070115071A KR100920155B1 KR 100920155 B1 KR100920155 B1 KR 100920155B1 KR 1020070115071 A KR1020070115071 A KR 1020070115071A KR 20070115071 A KR20070115071 A KR 20070115071A KR 100920155 B1 KR100920155 B1 KR 10092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ruit
crushing plate
vegetab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949A (ko
Inventor
백성준
Original Assignee
백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준 filed Critical 백성준
Priority to KR102007011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1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투입수단; 투입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과일 또는 야채를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통부; 스크류와 결합되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과일 또는 야채를 배출하는 안내부; 몸통부와 안내부의 결합부분에 위치되고,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면서 파쇄되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파쇄판; 및 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는 과일 또는 야채 등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과육 섭취를 용이하게 한다.
과일, 야채, 퓨레, 스크류, 과육

Description

파쇄기{CRUSHER}
본 발명은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 또는 야채 등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과육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또는 야채는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서, 아이들이나 성인들의 영양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과일이나 야채를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하여 섭취하기에는 불편이 따른다. 그러므로 언제어디서나 손쉽게 신선한 과일 또는 야채를 섭취할 수 있는 복용 형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선한 과일 또는 야채의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 손쉽게 과일 또는 야채를 섭취할 수 있도록 과일 또는 야채를 미세하게 파쇄하는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통부;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배출하는 안내부; 상기 몸통부와 상기 안내부의 결합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여 파쇄되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파쇄판; 및 상기 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막제거기는 상기 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파쇄판의 일측에 걸리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걸쳐지는 날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파쇄판에 밀착시키며 상기 스크류와 접촉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는 각진 형상의 결합돌기가 구 비되고,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스크류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막제거기는 일단이 상기 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구동축; 상기 모터구동축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구동축에 일단에 걸쳐지는 날개; 상기 모터구동축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파쇄판에 밀착시키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구동축의 외주면에는 항균재질의 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는 과일이나 채소, 야채 등을 잘게 분쇄하므로 이의 섭취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는 미세 분쇄가 가능하여, 목넘김이 상쾌하고 소화 흡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 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퓨레(puree)"라는 용어는 과일 또는 야채의 육질을 부수어 페이스트 상으로 만든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상 과일 또는 야채를 과일로 통칭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몸통부와 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스크류와 연동되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자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파쇄기는 과일이나 채소 야채 등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장치이며, 퓨레 제조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할 경우, 과일 유입을 위한 제1이송부(10)와 파쇄된 과일 배출을 위한 제2이송부(20)가 장치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부(10)와 제2이송부(20)는 관 형상을 가지며 미도시한 펌프의 작동에 의해 과일을 강압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파쇄기는 과일을 잘게 분쇄하기 위해 투입수단(210), 파쇄수단(220) 을 구비한다. 그리고, 파쇄수단(220)을 통해 배출되는 과육을 저장하여 이송하기 위해 배출수단(230)이 구비된다.
투입수단(210)은 제1이송부(10)를 통해 과일이 공급되는 곳이다. 따라서, 과일 등을 직접 투입수단(210)에 투입하여 과육을 추출할 수 있으나, 과일이 외부와 접촉되어 오염되지 않도록 투입수단(210)은 제1이송부(10)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수단(220)에는 스크류(224)가 내장되어, 과일을 파쇄시키고 이를 배출수단(2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배출수단(230)은 파쇄수단(220)과 연통되고, 파쇄수단(220)을 통해 배출되는 과육이 저장된다. 이러한 배출수단(230)은 제2이송부(20)와 일단이 연결되므로, 배출수단(230)에 저장된 과육은 제2이송부(20)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투입수단(210)은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개방된 부분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투입수단(210)으로 많은 과일이 투입되면, 순차적으로 하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형상은 스크류(224)의 파쇄 속도에 따라 투입되는 과일의 용량을 달리 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파쇄수단(220)은 몸통부(221), 구동부(222) 및 안내부(223)를 구비한다.
몸통부(221)는 상측면 일부가 투입수단(210)의 하단 개방된 부분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개방된다. 몸통부(221)에는 스크류(224)가 내장된다. 이러한 스크류(224)는 회전되는 회전축 외주면에 나선형 날이 구비되어, 과일을 파쇄하면서 몸통부(221)의 개구된 부분으로 이동시킨 다. 이때, 스크류(224)의 날 끝단에는 톱니 형상을 하여, 과일의 파쇄를 촉진할 수 있다.
구동부(222)는 스크류(224)와 결합되어 스크류(2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22)는 모터 및 이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가 스크류(224)와 결합되어 스크류(1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22)는 벨트 방식 외에 직접 스크류와 결합될 수도 있다.
안내부(223)는 몸통부(221)의 개방된 일단과 결합되어 배출수단(230)으로 파쇄된 과일을 안내한다. 배출수단(230)은 몸통부(221) 아래에 위치되고, 안내부(223)는 양단이 개방되며 절곡된 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몸통부(221)와 안내부(223)는 힌지 결합되거나, 안내부(223)가 파쇄기(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227)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221)의 출구 부분과 안내부(223)의 입구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볼트 결합된다.
상기 몸통부(221)와 안내부(223)의 결합부분에는 파쇄된 과육을 보다 작은 크기로 통과시키기 위한 파쇄판(225)이 구비된다. 이러한 파쇄판(225)은 몸통부(221)의 출구 부분 또는 안내부(223)의 입구 부분에 선택 결합되며, 파쇄된 과일이 미세하게 통과하기 위한 통공(226)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통공(226)은 미세한 구멍이므로, 과육이 통과하면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파쇄판(225)에는 수막제거기(250)가 구비된다.
상기 수막제거기(250)는 스크류(224)와 연동되어 회전되거나, 자체 구동장치 를 구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과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류(224)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수막제거기(250)는 구동축(251), 날개(252), 결합체(253)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251)은 파쇄판(225)에 형성되는 관통홀(229)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축(251)은 일부가 파쇄판(225)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축(251)이 스크류(224)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파쇄판(225)에 걸쳐진다. 이러한 구동축(25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체(253)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251)은 날개(25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여, 날개(252)가 구동축(251)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체(253)는 너트와 유사하며, 구동축(251)과 나사 결합되면서 날개(252)를 파쇄판(225)에 접촉시킨다. 이때, 구동축(25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체(253)의 체결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막제거기(250)를 장착한 다음, 몸통부(221)와 안내부(223)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체(253)는 스크류(224)와 접촉되도록 설계한다. 그리하면, 이러한 접촉력에 의해 스크류(224)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결합체(253)가 회전되어, 날개(252)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52)는 회전되면서 파쇄판(225)과 접촉되어 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구동축(251) 또는 스크류(224) 중 어느 하나에는 각진 형상의 결합돌기(258)가 구비되고, 구동축(251) 또는 스크류(224)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258)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25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258)가 결합홈(259)에 삽입되면, 각진 형상으로 인해 스크류(224)가 회전되면서 구동 축(251)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자체 구동되는 수막제거기(260)는 모터구동축(261), 날개(262), 결합체(263) 및 모터부(264)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구동축(261)은 일단이 파쇄판(225)에 형성되는 관통홀(229)을 관통하고 타단이 안내부(22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부(264)는 모터구동축(261)의 타단과 결합하여 모터구동축(261)을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구동축(261)은 날개(26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여, 날개(262)가 모터구동축(261)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체(263)는 너트와 유사하며, 모터구동축(261)과 나사 결합되면서 날개(262)를 파쇄판(225)에 접촉시킨다. 이때, 모터구동축(25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체(263)의 체결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수막제거기(260)는 모터부(264)에 의해 모터구동축(261)이 회전되어, 날개(262)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62)는 회전되면서 파쇄판(225)과 접촉되어 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이때, 날개(252)는 통공(226)을 통과하는 과육을 절단하므로, 날개(252)의 회전속도에 따라 과육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터구동축(261) 외주면에는 항균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준다. 이로 인해, 모터구동축(261) 구동으로 발생하는 기계류의 찌꺼기나 오일 등 오염물질이 과육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쇄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수단(210)으로 투입된 과일이 몸통부(221)로 이동되면, 스크류(224)에 의해 파쇄되면서 안내부(223)로 이동된다.
이때, 몸통부(221)와 안내부(223)의 결합 부분에는 파쇄판(225)이 구비되고, 파쇄판(225)에는 파쇄된 과육이 미세하게 통과할 수 있는 통공(226)이 구비된다.
상기 통공(226)을 통과한 과육은 안내부(223)에 의해 배출수단(230)으로 안내된다. 배출수단(230)은 이송부(20)와 연결되고, 이송부(20)는 배출수단(230)에 저장되는 과육을 다음 단계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파쇄판(225)에는 수막제거기(250,2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막제거기(250,260)는 스크류(224)와 연계되거나, 자체 모터부(264)의 구동에 의해 날개(262)가 회전된다. 이러한 날개(262)는 회전되면서 파쇄판(225)과 접촉되어 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뿐만 아니라, 날개(262)는 과일의 씨방과 같이 쉽게 파쇄되지 않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조되는 퓨레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몸통부와 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스크류와 연동되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자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투입수단 220 : 파쇄수단
230 : 배출수단 250 : 수막제거기

Claims (5)

  1. 삭제
  2.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통부;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배출하는 안내부;
    상기 몸통부와 상기 안내부의 결합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여 파쇄되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파쇄판; 및
    상기 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제거기는 상기 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파쇄판의 일측에 걸리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파쇄판에 밀착시키며 상기 스크류와 접촉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는 각진 형상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스크류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4.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통부;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배출하는 안내부;
    상기 몸통부와 상기 안내부의 결합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여 파쇄되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파쇄판; 및
    상기 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제거기는 일단이 상기 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구동축;
    상기 모터구동축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구동축에 일단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모터구동축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파쇄판에 밀착시키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축의 외주면에는 항균재질의 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KR1020070115071A 2007-11-12 2007-11-12 파쇄기 KR10092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71A KR100920155B1 (ko) 2007-11-12 2007-11-12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71A KR100920155B1 (ko) 2007-11-12 2007-11-12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49A KR20090048949A (ko) 2009-05-15
KR100920155B1 true KR100920155B1 (ko) 2009-10-06

Family

ID=4085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71A KR100920155B1 (ko) 2007-11-12 2007-11-12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7748A (zh) * 2014-06-24 2014-10-22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石料破碎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157A (ja) * 1993-12-06 1995-06-20 Techno Kogyo:Kk 銀杏の果肉取り装置
KR980006254U (ko) * 1996-07-22 1998-04-30 강선대 녹즙제조기의 녹즙유출기
KR20000002216U (ko) * 1999-04-29 2000-02-07 김광희 향신료파쇄기
KR20030031800A (ko) * 2001-10-16 2003-04-23 김영기 착즙 분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157A (ja) * 1993-12-06 1995-06-20 Techno Kogyo:Kk 銀杏の果肉取り装置
KR980006254U (ko) * 1996-07-22 1998-04-30 강선대 녹즙제조기의 녹즙유출기
KR20000002216U (ko) * 1999-04-29 2000-02-07 김광희 향신료파쇄기
KR20030031800A (ko) * 2001-10-16 2003-04-23 김영기 착즙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49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079Y1 (ko) 착즙기
KR200429957Y1 (ko) 녹즙기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1566647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150067014A (ko)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100959653B1 (ko) 퓨레 제조장치
JP2004188241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0920155B1 (ko) 파쇄기
KR20210113470A (ko) 착즙기
KR100343399B1 (ko) 곡물탈피 및 분쇄장치
KR100858330B1 (ko) 대용량 착즙기용 파쇄기
KR20190140294A (ko) 과일 야채 뼈 파쇄기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90134416A (ko) 과일 아채 분쇄기
KR100913522B1 (ko) 퓨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93205B1 (ko) 투입된 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KR20090004839U (ko) 마늘 껍질 사료화 장치
KR100480373B1 (ko) 착즙 분쇄기
CN220861631U (zh) 蒜丁冻块破碎机
JP2002292300A (ja) ディスポーザ
KR0121072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200391946Y1 (ko) 녹즙기
KR20030087662A (ko) 맷돌형 착즙기
KR200205626Y1 (ko) 녹즙기
KR200380605Y1 (ko) 분쇄이송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