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653B1 - 퓨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퓨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653B1
KR100959653B1 KR1020070115072A KR20070115072A KR100959653B1 KR 100959653 B1 KR100959653 B1 KR 100959653B1 KR 1020070115072 A KR1020070115072 A KR 1020070115072A KR 20070115072 A KR20070115072 A KR 20070115072A KR 100959653 B1 KR100959653 B1 KR 10095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vegetable
screw
shredd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950A (ko
Inventor
백성준
Original Assignee
백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준 filed Critical 백성준
Priority to KR102007011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6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1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 제1파쇄기와 연결되어 제1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는 제2파쇄기; 제2파쇄기와 연결되어 제2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하는 교반기; 교반기와 연결되어 교반된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과일 또는 야채를 잘게 파쇄하여 섭취가 편리하다.
퓨레, 과일, 야채, 교반기, 포장기

Description

퓨레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PUREE}
본 발명은 퓨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여 섭취하도록 하는 퓨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또는 야채는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서, 아이들이나 성인들의 영양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과일이나 야채를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하여 섭취하기에는 불편이 따른다. 그러므로 언제어디서나 손쉽게 신선한 과일 또는 야채를 섭취할 수 있는 복용 형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선한 과일 또는 야채의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 손쉽게 과일 또는 야채를 섭취할 수 있는 퓨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 상기 제1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는 제2파쇄기; 상기 제2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파쇄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1공급수단; 상기 제1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1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1파쇄수단; 상기 제1파쇄수단과 연통되고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1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쇄수단은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몸통부; 상기 제1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1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 및 상기 제1몸통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파쇄되도록 제1통공을 갖는 제1파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파쇄기는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2공급수단; 상기 제2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재차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2파쇄수단; 상기 제2파쇄수단과 연통되고 재차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2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파쇄수단은 상기 제2공급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몸통부; 상기 제2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2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 상기 제2몸통부와 상기 제2안내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보다 잘게 파쇄되도록 제2통공을 갖는 제2파쇄판; 및 상기 제2파쇄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2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 상기 제1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의 씨를 분리하는 씨분리기; 상기 씨분리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씨분리기와 상기 교반기 사이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는 제2파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쇄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1공급수단; 상기 제1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1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1파쇄수단; 상기 제1파쇄수단과 연통되고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1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쇄수단은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몸통부; 상기 제1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1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통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결합부분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파쇄되도록 제1통공을 갖는 제1파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공은 상기 과일 또는 야채의 씨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씨분리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투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 씨의 최소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공이 다수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에 근접하는 분리부; 및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끝단에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근접되는 밀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씨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연통되어 상기 씨를 수거하는 수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대에는 상기 배출공과 접촉되는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에 내장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파쇄기는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2공급수단; 상기 제2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재차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2파쇄수단; 상기 제2파쇄수단과 연통되고 재차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2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파쇄수단은 상기 제2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몸통부; 상기 제2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를 회 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2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몸통부와 상기 제2안내부의 결합부분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면서 보다 잘게 파쇄되도록 제2통공을 갖는 제2파쇄판; 및 상기 제2파쇄판에 구비되어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막제거기는 상기 제2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제2파쇄판의 일측에 걸리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제2파쇄판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2스크류와 접촉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막제거기는 일단이 상기 제2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2안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구동축; 상기 모터구동축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구동축에 일단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모터구동축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제2파쇄판에 밀착시키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야채를 제1파쇄기를 통과시켜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기를 통과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기를 통과시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파쇄기를 통과하여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에 씨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씨가 있는 경우 씨 분리기를 통과하여 씨가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쇄기를 통과하여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제2파쇄기에 통과시켜 상기 제1파쇄기 보다 잘게 파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페이스트 상으로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여 섭취가 용이하고 간편한 복용 형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퓨레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제조 공정 중에서 과일 또는 야채의 씨를 수거하므로, 수작업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과일 또는 야채의 씨를 걸러낸 후 파쇄된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여 미세 과립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퓨레(puree)"라는 용어는 과일 또는 야채의 육질을 부수어 페이스트 상으로 만든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상 과일 또는 야채를 과일로 통칭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쇄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쇄기의 제1몸통부와 제1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분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분리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쇄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쇄기의 제2몸통부와 제2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제2스크류와 연동되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자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장치는 제1파쇄기(100), 제2파쇄기(200), 씨분리기(300),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가 제조 시스템에 선택 적용되어, 퓨레를 제조한다. 상기 교반기(400)는 파쇄된 과일을 교반하고, 포장기(500)는 교반된 과일을 포장한다.
한편, 과일의 씨 및 껍질을 제외한 부분을 과육이라고 하며,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씨분리기(300)를 통과한 과일을 과육이라 기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퓨레 제조장치는 제1파쇄기(100), 제2파쇄기(200),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조장치의 공정 자동화를 위해, 이송부(1)는 제1파쇄기(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파쇄기(2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파쇄기(100)를 통해 파쇄된 과일을 제2파쇄기(2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파쇄이송부(20)는 제2파쇄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교반기(4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2파쇄기(200)를 통해 보다 작게 파쇄된 과일을 교반기(40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교반이송부(40)는 교반기(4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포장기(500)에 타단이 연결되어, 교반기(400)를 통해 교반된 과일을 포장기(5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송부(1), 제2파쇄이송부(20) 및 교반이송부(40)는 미도시한 펌프의 구동에 의해 과일을 강제적으로 이송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퓨레 제조장치는 제1파쇄기(100), 씨분리기(300),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조장치의 공정 자동화를 위해, 제1파쇄이송부(10)는 제1파쇄기(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씨분리기(3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파쇄기(100)를 통해 파쇄된 과일을 씨분리기(3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분리이송부(31)는 씨분리기(3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교반기(4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씨분리기(300)를 통해 씨가 제거된 과육을 교반기(40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교반이송부(40)는 교반기(4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포장기(500)에 타단이 연결되어, 교반기(400)를 통해 교반된 과육을 포장기(5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파쇄이송부(10), 제1분리이송부(31) 및 교반이송부(40)는 미도시한 펌프의 구동에 의해 과일을 강제적으로 이송시킨다.
도 3를 참조하면, 퓨레 제조장치는 제1파쇄기(100), 제2파쇄기(200), 씨분리기(300),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조장치의 공정 자동화를 위해, 제1파쇄이송부(10)는 제1파쇄기(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씨분리기(3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파쇄기(100)를 통해 파쇄된 과일을 씨분리기(3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분리이송부(32)는 씨분리기(3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파쇄기(2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씨분리기(300)를 통해 씨가 제거된 과육을 제2파쇄기(20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파쇄이송부(20)는 제2파쇄기(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교반기(400)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2파쇄기(200)를 통해 보다 잘게 갈아진 과육을 교반기(400)로 이동시킨다, 또한, 교반이송부(40)는 교반기(4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포장기(500)에 타단이 연결되어, 교반기(400)를 통해 교반된 과육을 포장기(5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파쇄이송 부(10), 제2분리이송부(32), 제2파쇄이송부(20) 및 교반이송부(40)는 미도시한 펌프의 구동에 의해 과일을 강제적으로 이송시킨다.
이하, 각 구성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파쇄기(100)는 제1공급수단(110), 제1파쇄수단(120) 및 제1배출수단(130)을 구비한다.
제1공급수단(110)은 과일이 공급되는 곳으로서, 이러한 과일은 미리 세척된 다음 껍질이 깎여진 상태 또는 기호에 따라 냉동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제1파쇄수단(120)에는 제1스크류(124)가 내장되어 과일을 파쇄하여 제1배출수단(1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배출수단(130)은 제1파쇄수단(120)과 연통되고, 제1파쇄수단(120)을 통해 배출되는 과일이 저장된다. 이러한 제1배출수단(130)은 이송부(1) 또는 제1파쇄이송부(10)와 연결되어, 파쇄된 과일이 다음 단계로 이동된다.
상기 제1파쇄수단(120)은 제1몸통부(121), 제1구동부(122) 및 제1안내부(123)를 구비한다.
제1몸통부(121)는 상측면 일부가 제1공급수단(110)의 하단 개방된 부분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개방된다. 제1몸통부(121)에는 제1스크류(124)가 내장된다. 이러한 제1스크류(124)는 회전되는 회전축 외주면에 나선형 날이 구비되어, 동결된 과일을 파쇄하면서 제1몸통부(121)의 개구된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제1구동부(122)는 제1스크류(124)와 결합되어 제1스크류(1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1구동부(122)는 모터 및 이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가 제1스크류(124)와 결합되어 제1스크류(1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1구동부(122)는 모터 및 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회전장치의 채택이 가능하다.
제1안내부(123)는 제1몸통부(121)의 개방된 일단과 결합되어 제1배출수단(130)으로 파쇄된 과일을 안내한다. 제1배출수단(130)은 제1몸통부(121) 아래에 위치되고, 제1안내부(123)는 양단이 개방되고 절곡된 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몸통부(121)와 제1안내부(123)는 힌지(127)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몸통부(121)의 출구 부분과 제1안내부(123)의 입구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볼트 결합된다.
상기 제1몸통부(121)와 제1안내부(123)의 결합부분에는 파쇄된 과일을 일정한 크기 이하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1파쇄판(125)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파쇄판(125)은 제1몸통부(121)의 출구 부분 또는 제1안내부(123)의 입구 부분에 선택 결합되며, 파쇄된 과일이 통과하기 위한 제1통공(126)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파쇄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급수단(110)으로 투입된 과일이 제1몸통부(121)로 이동되면, 제1스크류(124)에 의해 파쇄되면서 제1안내부(123)로 이동된다.
이때, 제1몸통부(121)와 제1안내부(123)의 결합 부분에는 제1파쇄판(125)이 구비되므로, 과일은 제1통공(126)을 통과하면서 파쇄된다,
상기 제1통공(126)을 통과한 과일은 제1안내부(123)에 의해 제1배출수단(130)으로 안내된다. 제1배출수단(130)은 이송부(1) 또는 제1파쇄이송부(10)와 연결되어, 과일은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1통공(126)은 과일의 크기에 따라 그 직경을 달리 설계하며, 씨분리기(300)를 사용할 경우, 파쇄된 과일의 씨가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씨분리기(300)는 케이스(310), 회전축(320), 구동원(330), 분리부(340) 및 저장부(36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310)에는 과일이 투입되고, 외주면에는 씨의 최소 직경 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공(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공(311)은 케이스(3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투입된 씨의 최소 직경 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공(311)을 통해 씨는 걸러지고, 과육만 아래로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면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케이스(310)가 개폐되면, 케이스(310)를 개방하여 씨를 제거하거나 케이스(310) 내부의 세척을 하고, 씨분리기(300) 작동시 케이스(310)를 폐쇄하여 과육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를 개방하여 과일을 투입할 수 있으나, 별도의 투입부(350)를 통해 과일을 케이스(3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부(350)는 케이스(310)의 일측면과 연통된다. 이러한 투입부(350)는 상부가 개폐되어 과일이 투입되거나, 제1파쇄이송부(10)와 연결되어 파쇄된 과일이 자동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은 케이스(310)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원(330)은 회전축(320)과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써, 케이스(320)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분리부(340)는 회전축(3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연장판(341) 과, 이러한 연장판(341)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배출공(311)에 근접되는 밀착대(3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판(341)은 과일의 씨를 쓸고 지나가도록 배출공(311)에 근접한다.
상기 분리부(340)가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돌출되면, 회전축(320)의 회전으로 씨가 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도 7과 같이 연장판(341)이 회전축(320)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면, 밀착대(342)의 끝 부분이 회전축(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선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축(320)이 회전되면, 밀착대(342)에 씨가 걸리고, 이 씨는 밀착대(342)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케이스(310)의 외주면은 경사진 분리부(340)와 근접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한편, 경사진 분리부(34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씨를 수거하기 위해 케이스(310)에는 수거부(3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거부(370)는 케이스(310)의 측면과 연통되어 이동되는 씨를 수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수거부(370)가 투입부(35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밀착대(342)에는 패드(343)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패드(343)는 배출공(311)과 접촉되어, 씨를 수거부(370)로 이동시키면서 과육을 배출공(311)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패드(311)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연질 소재를 사용하도록 하고, 일 예로 테프론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저장부(360)는 케이스(310)의 하방에 위치되어 배출공(311)을 통해 배출되는 과육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60)는 케이스(310)의 하방에 이격되어 과 육을 저장할 수 있으나, 배출공(311)과 연통되도록 케이스(310)의 저면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310)와 저장부(360)가 일체로 결합되면, 외부 이물질이 과육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저장부(360)에는 과육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380)가 구비되고, 이동부(380)의 외주면에는 제1분리이송부(31) 또는 제2분리이송부(32)가 결합되어 과육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380)는 이동스크류(381) 및 작동모터(382)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스크류(381)는 저장부(360)에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과육을 제1분리이송부(31) 또는 제2분리이송부(3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동모터(382)는 저장부(360)의 외측에 장착되어 이동스크류(381)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씨분리기(3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부(350)를 통해 씨를 포함하고 있는 과일이 케이스(310)로 투입된 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동원(330)의 구동으로 회전축(320)이 회전되면, 분리부(340)의 밀착대(342) 또는 패드(343)가 과일을 배출공(311)으로 밀어낸다. 이때, 과육은 배출공(311)을 통과하나, 씨는 배출공(311)을 통과하지 못하여 케이스(310) 내에 잔존하게 되며, 분리부(340)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분리부(340)가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설계됨으로써, 씨는 수거부(37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씨가 수거부(370)에 의해 수거됨으로써, 씨를 분리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310)의 하방에는 저장부(360)가 구비되어 배출공(311)을 통과하는 과육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360)에 구비되는 이동스크류(381)의 회 전에 의해, 과육은 제1분리이송부(31) 또는 제2분리이송부(32)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제2파쇄기(200)는 제2공급수단(210), 제2파쇄수단(220) 및 제2배출수단(230)을 구비한다.
제2공급수단(210)은 파쇄된 과일이나 씨가 제거된 과육이 공급되는 곳이다. 이러한 과일이나 과육이 오염되지 않도록, 제2공급수단(210)은 이송부(1) 또는 제2분리이송부(32)와 연결된다. 한편, 파쇄되지 않은 과일이 제2공급수단(210)에 투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씨가 제거된 과육 또한 과일로 통칭한다.
제2파쇄수단(220)에는 제2스크류(224)가 내장되어, 1차 파쇄된 과일을 추가로 파쇄시키고 이를 제2배출수단(2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배출수단(230)은 제2파쇄수단(220)과 연통되고, 제2파쇄수단(220)을 통해 배출되는 과일이 저장된다. 이러한 제2배출수단(230)은 제2파쇄이송부(20)와 연결된다.
상기 제2공급수단(210)은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개방된 부분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제2공급수단(210)으로 많은 과일이 투입되면, 순차적으로 하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형상은 제2스크류(224)의 파쇄 속도에 따라 투입되는 과일의 용량을 달리 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제2파쇄수단(220)은 제2몸통부(221), 제2구동부(222) 및 제2안내부(223)를 구비한다.
제2몸통부(221)는 상측면 일부가 제2공급수단(210)의 하단 개방된 부분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개방된다. 제2몸통부(221)에는 제2스크류(224)가 내장된다. 이러한 제2스크류(224)는 회전되는 회전축 외주면에 나선형 날이 구비되어, 과일을 파쇄하면서 제2몸통부(221)의 개구된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스크류(224)의 날 끝단에는 톱니 형상을 하여, 과일의 파쇄를 촉진할 수 있다.
제2구동부(222)는 제2스크류(224)와 결합되어 제2스크류(2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2구동부(222)는 모터 및 이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가 제2스크류(224)와 결합되어 제2스크류(2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2구동부(222)는 벨트 방식 외에 직접 제2스크류(224)와 결합될 수도 있다.
제2안내부(223)는 제2몸통부(221)의 개방된 일단과 결합되어 제2배출수단(230)으로 파쇄된 과일을 안내한다. 제2배출수단(230)은 제2몸통부(221) 아래에 위치되고, 제2안내부(223)는 양단이 개방되며 절곡된 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몸통부(221)와 제2안내부(223)는 힌지 결합되거나, 제2안내부(223)가 파쇄기(2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227)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통부(221)의 출구 부분과 제2안내부(223)의 입구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볼트 결합된다.
상기 제2몸통부(221)와 제2안내부(223)의 결합부분에는 파쇄된 과일을 보다 작은 크기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2파쇄판(225)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2파쇄판(225)은 제2몸통부(221)의 출구 부분 또는 제2안내부(223)의 입구 부분에 선택 결합되 며, 파쇄된 과일이 미세하게 통과하기 위한 제2통공(226)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제2통공(226)은 미세한 구멍이므로, 과일이 통과하면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파쇄판(225)에는 수막제거기(250)가 구비된다.
상기 수막제거기(250)는 제2스크류(224)와 연동되어 회전되거나, 자체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2스크류(224)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수막제거기(250)는 구동축(251), 날개(252), 결합체(253)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251)은 제2파쇄판(225)에 형성되는 관통홀(229)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축(251)은 일부가 제2파쇄판(225)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축(251)이 제2스크류(224)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제2파쇄판(225)에 걸쳐진다. 이러한 구동축(25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체(253)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251)은 날개(25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여, 날개(252)가 구동축(251)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체(253)는 너트와 유사하며, 구동축(251)과 나사 결합되면서 날개(252)를 제2파쇄판(225)에 접촉시킨다. 이때, 구동축(25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체(253)의 체결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막제거기(250)를 장착한 다음, 제2몸통부(221)와 제2안내부(223)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체(253)는 제2스크류(224)와 접촉되도록 설계한다. 그리하면, 이러한 접촉력에 의해 제2스크류(224)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결합체(253)가 회전되어, 날개(252)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52)는 회전되면서 제2파쇄판(225)과 접촉되어 제2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구동축(251) 또는 제2스크류(224) 중 어느 하나에는 각진 형상의 결합돌기(258)가 구비되고, 구동축(251) 또는 제2스크류(224)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258)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25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258)가 결합홈(259)에 삽입되면, 각진 형상으로 인해 제2스크류(224)가 회전되면서 구동축(251)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자체 구동되는 수막제거기(260)는 모터구동축(261), 날개(262), 결합체(263) 및 모터부(264)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구동축(261)은 일단이 제2파쇄판(225)에 형성되는 관통홀(229)을 관통하고 타단이 제2안내부(22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부(264)는 모터구동축(261)의 타단과 결합하여 모터구동축(261)을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구동축(261)은 날개(26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여, 날개(262)가 모터구동축(261)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체(263)는 너트와 유사하며, 모터구동축(261)과 나사 결합되면서 날개(262)를 제2파쇄판(225)에 접촉시킨다. 이때, 모터구동축(25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체(263)의 체결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수막제거기(260)는 모터부(264)에 의해 모터구동축(261)이 회전되어, 날개(262)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62)는 회전되면서 제2파쇄판(225)과 접촉되어 제2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이때, 날개(252)는 제2통공(226)을 통과하는 과일을 절단하므로, 날개(252)의 회전속도에 따라 과일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터구동축(261) 외주면에는 항균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준다. 이 로 인해, 모터구동축(261) 구동으로 발생하는 기계류의 찌꺼기나 오일 등 오염물질이 과일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파쇄기(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공급수단(210)으로 투입된 과일이 제2몸통부(221)로 이동되면, 제2스크류(224)에 의해 파쇄되면서 제2안내부(223)로 이동된다.
이때, 제2몸통부(221)와 제2안내부(223)의 결합 부분에는 제2파쇄판(225)이 구비되고, 제2파쇄판(225)에는 파쇄된 과일이 보다 잘게 통과할 수 있는 제2통공(226)이 구비된다.
상기 제2통공(226)을 통과한 과일은 제2안내부(223)에 의해 제2배출수단(230)으로 안내된다. 제2배출수단(230)은 제2파쇄이송부(20)와 연결되고, 제2파쇄이송부(20)는 제2배출수단(230)에 저장되는 과일을 교반기(400)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2파쇄판(225)에는 수막제거기(250,2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막제거기(250,260)는 제2스크류(224)와 연계되거나, 자체 모터부(264)의 구동에 의해 날개(262)가 회전된다. 이러한 날개(262)는 회전되면서 제2파쇄판(225)과 접촉되어 제2통공(226)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한다. 뿐만 아니라, 날개(262)는 과일의 씨방과 같이 쉽게 파쇄되지 않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조되는 퓨레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퓨레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퓨레로 제조하고자 하는 과일을 선택하여 제1파쇄기(100)에 투입한 다(S10). 이때, 세척이 완료되고, 껍질이 제거된 과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냉동 보관된 과일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2파쇄기(200)를 사용하여 과일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쇄기(100)를 통과한 과일은 파쇄되며, 교반기(400)에 투입되어 교반된(S20) 다음, 포장기(500)를 통과하여 소비자가 섭취 가능하도록 포장된다(S30).
한편, 퓨레 제조과정에서 제1파쇄기(100)를 통과한 과일의 씨를 제거해야 할 경우(S40), 과일은 씨분리기(300)로 투입되어, 씨는 수거되고 과육만 추출된다(S50).
그리고, 퓨레 제조과정에서 제1파쇄기(100)를 통과하고 씨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과일(S40) 또는 씨분리기(300)를 통과한 과육(S50)은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로 순차 이동된다.
만일, 퓨레 제조과정에서 제1파쇄기(100)를 통과하고 씨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과일(S40), 또는 씨분리기(300)를 통과한 과육(S50)을 보다 잘게 파쇄해야될 경우, 과육은 제2파쇄기(200)로 투입된다(S70).
그런 다음, 제2파쇄기(200)를 통과한 과육은 교반기(400) 및 포장기(500)로 순차 이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쇄기의 제1몸통부와 제1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분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분리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쇄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쇄기의 제2몸통부와 제2안내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제2스크류와 연동되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제거기가 자체 구동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레 제조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파쇄기 200 : 제2파쇄기
300 : 씨분리기 400 : 교반기
500 : 포장기

Claims (24)

  1.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
    상기 제1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는 제2파쇄기;
    상기 제2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쇄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1공급수단;
    상기 제1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1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1파쇄수단; 및
    상기 제1파쇄수단과 연통되고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1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쇄수단은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몸통부;
    상기 제1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1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 및
    상기 제1몸통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파쇄되도록 제1통공을 갖는 제1파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기는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2공급수단;
    상기 제2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재차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2파쇄수단; 및
    상기 제2파쇄수단과 연통되고 재차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2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수단은 상기 제2공급수단의 하단과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몸통부;
    상기 제2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2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
    상기 제2몸통부와 상기 제2안내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보다 잘게 파쇄되도록 제2통공을 갖는 제2파쇄판; 및
    상기 제2파쇄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2통공에 형성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6. 과일 또는 야채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
    상기 제1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의 씨를 분리하는 씨분리기;
    상기 씨분리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고,
    상기 씨분리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투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 씨의 최소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공이 다수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에 근접하는 분리부; 및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씨분리기와 상기 교반기 사이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재차 파쇄하는 제2파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기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1공급수단;
    상기 제1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1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파쇄 되어 이동되는 제1파쇄수단;
    상기 제1파쇄수단과 연통되고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1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수단은 상기 제1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몸통부;
    상기 제1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1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통부와 상기 제1안내부의 결합부분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되면서 파쇄되도록 제1통공을 갖는 제1파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공은 상기 과일 또는 야채의 씨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1. 삭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끝단에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근접되는 밀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씨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연통되어 상기 씨를 수거하는 수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대에는 상기 배출공과 접촉되는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에 내장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기는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공급되는 제2공급수단;
    상기 제2공급수단과 연통되고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재차 파쇄되어 이동되는 제2파쇄수단;
    상기 제2파쇄수단과 연통되고 재차 파쇄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제2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수단은 상기 제2공급수단의 하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내장되어 회전하여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일단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몸통부;
    상기 제2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몸통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상기 제2배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통부와 상기 제2안내부의 결합부분에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통과하면서 보다 잘게 파쇄되도록 제2통공을 갖는 제2파쇄판; 및
    상기 제2파쇄판에 구비되어 수막을 제거하는 수막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제거기는 상기 제2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제2파쇄판의 일측에 걸리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제2파쇄판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2스크류와 접촉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제거기는 일단이 상기 제2파쇄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타 단이 상기 제2안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구동축;
    상기 모터구동축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구동축에 일단에 걸쳐지는 날개; 및
    상기 모터구동축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날개를 상기 제2파쇄판에 밀착시키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레 제조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70115072A 2007-11-12 2007-11-12 퓨레 제조장치 KR10095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72A KR100959653B1 (ko) 2007-11-12 2007-11-12 퓨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72A KR100959653B1 (ko) 2007-11-12 2007-11-12 퓨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50A KR20090048950A (ko) 2009-05-15
KR100959653B1 true KR100959653B1 (ko) 2010-05-26

Family

ID=4085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72A KR100959653B1 (ko) 2007-11-12 2007-11-12 퓨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6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01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900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황매실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899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채소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898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청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냉동과일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22B1 (ko) * 2008-12-09 2009-08-21 백성준 퓨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936A (ko) * 1999-09-01 2001-04-06 왕정환 홍시감 퓨레 및 단감 퓨레 제조방법
KR20010047056A (ko) * 1999-11-17 2001-06-15 조해준 식품분쇄기
KR100718816B1 (ko)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936A (ko) * 1999-09-01 2001-04-06 왕정환 홍시감 퓨레 및 단감 퓨레 제조방법
KR20010047056A (ko) * 1999-11-17 2001-06-15 조해준 식품분쇄기
KR100718816B1 (ko)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01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900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황매실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899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황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채소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3898A (ko) 2018-02-02 2019-08-12 광양시 청매실 향미제가 첨가된 기능성 향미강화 냉동과일퓨레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50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473B2 (en) Juice extractor
KR100959653B1 (ko) 퓨레 제조장치
WO2013107008A1 (zh) 一种食物处理机预破碎装置及使用其的榨汁机
KR101291738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US5064671A (en) Fluid impingement method for fruit extracting
CN107927811A (zh) 一种高效卧式油茶果脱壳装置
KR20120032954A (ko) 탄산가스 탱크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9701698A (zh) 一种土豆食品生产用加工设备
KR100959654B1 (ko) 씨 분리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JP200200114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913522B1 (ko) 퓨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70091477A (ko) 다슬기 탈각기
CN112477239A (zh) 一种高效率混合榨汁机
KR20050087558A (ko) 천일염의 세척방법 및 세척설비
KR100920155B1 (ko) 파쇄기
KR20130028762A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0818942B1 (ko) 녹즙제조 시스템의 원료 절단장치
CN113907368A (zh) 一种瓜籽分离的西瓜榨汁系统
CN104223927B (zh) 慢速榨汁机
KR200292995Y1 (ko) 생콩 탈피기
CN214319194U (zh) 一种去除椰子皮生物碱的装置
KR20200001641U (ko) 착즙 주스기
KR920001708Y1 (ko) 과즙기
KR100548621B1 (ko)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