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737A -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 Google Patents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737A
KR20020057737A KR1020010000737A KR20010000737A KR20020057737A KR 20020057737 A KR20020057737 A KR 20020057737A KR 1020010000737 A KR1020010000737 A KR 1020010000737A KR 20010000737 A KR20010000737 A KR 20010000737A KR 20020057737 A KR20020057737 A KR 2002005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cap
screw rod
juic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034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홍재금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금,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filed Critical 홍재금
Priority to KR10-2001-000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0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4Means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frame, especially for C-fra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루 로드의 선단에 형성된 이송채널과 캡의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을 구비한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즙기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로드의 선단부에는 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배출유도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스크루 로드와 착즙통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배출캡 사이에 설치되는 착즙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의 배출구로 찌꺼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 상기 착즙통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보강돌출부가 지지되는 보강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용 착즙기이다.

Description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crush apparatus and cap}
본 발명은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루 로드의 선단에 형성된 이송채널과 캡의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을 구비한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피착즙물을 이송시키면서 분쇄와 압착의 순서에 따라 형성된 즙을 착즙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착즙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0-190676)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뚜껑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즙기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피착즙물을 투입하여 즙을 내거나 분쇄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전방의 환돌부(19)에 접하여 방사형 압착날(7)과 미분쇄 스크루날(8), 분쇄 스크루산(9), 이송 스크루산(10)으로 다단계로 일체화된 스크루봉체(3)를 드럼(2) 내부에 설치하고, 스크루봉체(3)의 전면에는 내면에 등간격으로 삼각형분쇄날(12)을 형성하며 외면은 망(13)으로 된 착즙통(4)을 끼워 넣은 후 배출구(14)가 있는 압축관(15)의 단턱(16)에 고무링(17)을 끼워 결합캡(6b)에 내입하여서 된 배출캡(6)을, 내 전단에 방사형 압착날(20)이 있고 외둘레에 걸림턱(30)이 있는 뚜껑(18)의 전방 걸림홈(31a)에 고정하며, 후방 걸림턱(30)은 드럼(2)의 걸림홈(31)에 결합하게 된 착즙 겸용 분쇄기이다.
전술한 드럼(2)에 직접 체결되는 뚜껑(18)의 내 전단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착날(20)은 스크루봉체(3) 전면의 방사형 압착날(7)과는 날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된 참조번호 1은 본체, 21은 투입구, 22는 유출구이다.
그러나, 전술한 착즙 겸용 분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피착물이 분쇄되고 착즙된 후 남은 찌꺼기의 배출방식은 스크루봉체(3)의 회전에 의해 압출 방식으로 배출구(14)쪽으로 밀어 배출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찌꺼기가 뚜껑(18)의 내면에 형성된 방사형 압착날(20)을 통과할 때 압착날(20)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찌꺼기의 배출속력보다 이송속력이 더 빠르게 되어 착즙작업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다시 착즙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 중지, 드럼 분해, 청소, 조립을 한 후 착즙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착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압착날(7)과 압착날(20)간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마모가 발생한 경우 분쇄기의 경우에는 분쇄물에 혼합되어 배출됨으로써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출되는 찌꺼기의 이송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이송효율과 착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뚜껑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착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루 로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착즙통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착즙기110 : 본체
112 : 스위치114 : 결착링
120 : 스크루 로드122 : 모터축
123 : 선단부124 : 나사산
125 : 최선단부126 : 돌기
128 : 이송채널130 : 착즙통
131 : 망132a,132b : 플랜지
133 : 2차 분쇄날134 : 리브
135 : 안착면136 : 홈
137 : 회전방지돌기138 : 보강돌출부
140 : 하우징140a : 피착즙물 유입부
140b : 즙 유출부140c : 분쇄부
141 : 날(1차 분쇄날)142 : 걸림테
143 : 투입구144 : 호퍼
145 : 결착돌기146 : 유출구
147 : 안내홈147a : 걸림홈
148 : 관통공149 : 패킹
150 : 캡151 : 걸림턱
152 : 안착홈154 : 보강돌출턱
156 : 배출유도경사면158 : 계단식 걸림턱
160 : 배출캡162 : 배출구
164 : 탄성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즙기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로드의 선단부에는 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배출유도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스크루 로드와 착즙통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배출캡 사이에 설치되는 착즙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의 배출구로 찌꺼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 상기 착즙통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보강돌출부가 지지되는 보강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용 착즙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착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루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착즙통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즙기(100)는 크게 본체(110), 스크루 로드(120), 스크루 로드(120)에 끼워지는 착즙통(130),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을 수용하는 하우징(140), 하우징(140)에 결합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10)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본체(110) 외부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12)와 결착링(114)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로드(120)의 일단에는 모터축(122)이 형성되고 모터축(122)은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루 로드(120)를 회전시킨다. 스크루 로드(120)의 외주면에는 피착즙물의 분쇄와 이송을 위한 나사산(124)이 형성되고, 스크루 로드(120)의 선단부(123)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126)가 형성되고, 돌기(126)와 돌기(126) 사이는 이송채널(128)을 이루게 된다. 돌기(126)의 형상은 찌꺼기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굽어진 방사형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찌꺼기의 이송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송채널(128)도 굽어진 방사형으로 이루어진다.
착즙통(1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즙물에서 생성된 즙이 후술된 즙 유출부(140b)로 유동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망(131), 망(131)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32a), 망(131)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132b), 스크루 로드(1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착즙물의 분쇄가 일어나도록 망(131)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2차 분쇄날(133), 망(13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망(131)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134)로 이루어지되, 스크루 로드(120)와의 효율적인 분쇄를 위해 원뿔형상에서 머리 부분을 절단한 절두체(截頭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랜지(132a)는 대경 부분에 형성되고 플랜지(132b)는 소경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착즙물이 대경 플랜지(132a)에서 소경 플랜지(132b)로 이송됨에 따라 스크루 로드(120)의 나사산(124)과의 간격이 좁아져 미세하게 분쇄되게 된다.
플랜지(132a)에는 후술된 하우징(140)의 걸림테(142)에 안착되는 안착면(135)에 하나 이상의 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6)은 망(131)을 통과하지 못한 즙을 즙 유출부(140b)로 유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의 분쇄날(133)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착즙물이 분쇄되면서 즙을 생성시킨다. 계속되는 분쇄와 찌꺼기 배출로 인해 망(131)의 구멍이 막히게 되면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 사이의 공간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망(131)을 통과하지 못한 즙은 앞으로 전진하려는 분쇄물의 성질 때문에 뒤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역류되는 즙은 피착즙물 유입부(145) 아래쪽의 하우징(140)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홈(136)을 통해 바로 배출되게 된다. 게다가, 후술된 피착즙물 유입부(140a)내에서 1차로 분쇄되어 생성된 즙도 홈(136)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플랜지(132a)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로드(120)와 함께 착즙통(1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우징(140)의 안내홈(147)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137)가 형성되어 피착즙물의 분쇄력을 증가시켜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랜지(132b)는 후술된 캡(150)의 안착홈(152)에 안착되며, 그 선단에는 캡(150)에 형성된 보강돌출턱(154)에 걸려 지지되는 보강돌출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돌출부(138)는 플랜지(132b) 근처에 작용하는 과대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착즙통(130)의 파손 또는 캡(15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캡(150)의 내부를 이중 밀착하여 찌꺼기 등의 분쇄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쇄날(133)의 두께는 플랜지(132b)를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1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즙물 유입부(140a)와 즙 유출부(140b)로 구획되어 있다. 피착즙물 유입부(140a)의 외주면에는 위쪽을 향하는 투입구(143)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날(141), 즉 1차 분쇄날(1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1차 분쇄날(141)은 피착즙물 유입부(140a)와즙 유출부(140b)의 경계에 형성된 걸림테(142)의 내주면에 2개의 날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43)의 상부에는 피착즙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호퍼(14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즙 유출부(140b)의 외주면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유출구(146)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수용된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간 상호 작용하는 분쇄부(140c)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40)의 일면은 스크루 로드(120)의 모터축(122)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관통공(148)이 형성되며, 하우징(140)의 일면 외주에는 본체(110)의 결착링(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착돌기(145)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48)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1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147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턱(151), 후술된 배출캡(160)의 배출구(162)로 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156), 전술한 플랜지(132b)가 안착되는 안착홈(125), 전술한 플랜지(132b)에 형성된 보강돌출부(138)가 지지되는 보강돌출턱(154)으로 이루어진다. 배출유도경사면(156)은 스크루 로드(120)의 선단부(123)와 유사한 형상의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채널(128)과 배출유도경사면(156)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배출유도경사면(156)이 배출구(162)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매끈함으로써 방해됨이 없이 보다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기(126)와 배출유도경사면(156)은 서로 비접촉 상태로 유지됨으로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125)에서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이고 최종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62)가 설치된 배출캡(16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구(162)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탄성체(164)가 끼워져 있다. 탄성체(164)는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125)가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수축되면서 배출구(162)를 앞쪽으로 약간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125)와 배출구(162)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면서, 찌꺼기의 배출을 원활히 하게 한다.
또한, 피착즙물이 즙이 많은 것(예컨대, 토마토, 딸기 등의 과일이나 야채)과즙이 적은 것(예컨대, 칡, 솔잎 등)에 따라 착즙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배출구(162)의 내면과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125)간의 밀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계단식 걸림턱(15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착즙기(100)의 걸림턱(158)은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배출구(162)가 3단계에서 1단계로 갈수록 밀착 정도가 작아진다. 예를 들면, 즙이 많은 피착즙물인 경우 배출구(162)를 1단계 또는 2단계 걸림턱에 정지시키고, 즙이 적은 피착즙물인 경우 배출구(162)를 2단계 또는 3단계 걸림턱에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 기능을 하는 분쇄기에서는 착즙통 대신 외주면이 막힌 분쇄통을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착즙기(100)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에 의하면, 이송채널(128)이 스크루 로드(120)의 선단부(123)에 형성되고 배출유도경사면(156)이 캡(150)의 내면에 형성됨으로써 찌꺼기가 이송채널(128)을 따라 압출되고 배출유도경사면(156)의 매끈한 원추면을 따라 배출되어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채널(128)과 배출유도경사면(156)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송효율이 높아짐으로써, 배출구(162)의 막힘 현상을 억제하여 착즙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즙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분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돌기(126)와 배출유도경사면(156)은 비접촉 상태로 압출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어, 청결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로드의 선단부에는 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배출유도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스크루 로드와 착즙통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배출캡 사이에 설치되는 착즙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의 배출구로 찌꺼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내면에 형성된 배출유도경사면;
    상기 착즙통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보강돌출부가 지지되는 보강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캡.
KR10-2001-0000737A 2001-01-06 2001-01-06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10039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37A KR100390034B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37A KR100390034B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37U Division KR200225713Y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737A true KR20020057737A (ko) 2002-07-12
KR100390034B1 KR100390034B1 (ko) 2003-07-07

Family

ID=2769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737A KR100390034B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0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912A2 (ko) * 2011-06-01 2012-12-06 Lee Mun Hyun 착즙기
CN102824095A (zh) * 2011-06-14 2012-12-19 金煐麒 榨汁机
WO2012173334A1 (en) * 2011-06-14 2012-12-2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KR200475273Y1 (ko) * 2013-07-04 2014-11-19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101960191B1 (ko) * 2017-11-22 2019-03-19 우성환 외스크류 타입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64Y1 (ko) * 2014-03-05 2014-11-11 최하영 과일을 압착하여 배출시키는 과일압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912A2 (ko) * 2011-06-01 2012-12-06 Lee Mun Hyun 착즙기
WO2012165912A3 (ko) * 2011-06-01 2013-04-04 Lee Mun Hyun 착즙기
CN102824095A (zh) * 2011-06-14 2012-12-19 金煐麒 榨汁机
WO2012173334A1 (en) * 2011-06-14 2012-12-2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WO2012173333A1 (en) * 2011-06-14 2012-12-2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KR101282313B1 (ko) * 2011-06-14 2013-07-04 김영기 착즙기
US10039404B2 (en) 2011-06-14 2018-08-07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KR200475273Y1 (ko) * 2013-07-04 2014-11-19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101960191B1 (ko) * 2017-11-22 2019-03-19 우성환 외스크류 타입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034B1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CN106724723B (zh) 一种结构简单的挤压式榨汁机
KR200208880Y1 (ko) 즙 배출로가 형성된 착즙기
US8863656B2 (en) Power juicer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200190676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25713Y1 (ko) 착즙기
CN108187845A (zh) 食物垃圾处理器
KR100388643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착즙통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20030092817A (ko)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0390033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하우징
KR200494287Y1 (ko) 착즙기
KR200225712Y1 (ko) 착즙기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100447746B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CN216276004U (zh) 一种餐厨垃圾粉碎机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25698Y1 (ko) 착즙기
KR102396545B1 (ko) 주서기
KR200494898Y1 (ko) 착즙기
KR200287456Y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100441832B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