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712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712Y1
KR200225712Y1 KR2020010000336U KR20010000336U KR200225712Y1 KR 200225712 Y1 KR200225712 Y1 KR 200225712Y1 KR 2020010000336 U KR2020010000336 U KR 2020010000336U KR 20010000336 U KR20010000336 U KR 20010000336U KR 200225712 Y1 KR200225712 Y1 KR 200225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crew rod
juicer
hou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아오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아오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아오스카
Priority to KR2020010000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712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착즙물 유입부의 내주면에 분쇄용 날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피착즙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피착즙물을 분쇄시키는 날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기{crush apparatus}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착즙물 유입부의 내주면에 분쇄용 날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피착즙물을 이송시키면서 분쇄와 압착의 순서에 따라 형성된 즙을 착즙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착즙기가 국내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2000-7534)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즙기(10)는 본체(미도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조립체(미도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가 피착즙물이 유입되는 절입부(61) 및 피착즙물을 분쇄/착즙하는 분쇄부(62)로 구획되는 드럼(20), 드럼(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조립체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피착즙물을 분쇄 및 이송하는 스크루(30), 드럼(20)의 분쇄부(62)에 장착되어 스크루(30)의 선단부를 감쌈으로써 스크루(30)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피착즙물을 분쇄 착즙하는 착즙통(40), 드럼(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절입부(61)로부터 분쇄부(62)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절입부(61)에 고인 즙이 분쇄부(6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가능한 배출로(29), 착즙통(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절입부(61)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로(29)의 입구에 필터링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배출로(29)를 통하여 유출되는 즙에 함유된 찌꺼기를 제거하는 걸림수단, 및 드럼(20)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드럼캡(50)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된 참조번호 21은 투입구, 25는 유출구이다.
그러나, 전술한 착즙기(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착즙기(10)의 드럼(20)은 크게 절입부(61)와 분쇄부(62)로 구획되어 있는데, 절입부(61)는 피착즙물이 투입되는 장소이고 분쇄부(62)는 스크루(30)와 착즙통(40)간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즉, 절입부(61)로 투입된 피착즙물은 스크루(30)를 통해 분쇄부(62)로 이송되고, 분쇄부(62)에서 스크루(30)와 착즙통(40)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분쇄되면서 즙을 생성되고 남은 찌꺼기는 드럼캡(5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피착즙물의 분쇄와 착즙은 1차로 분쇄부(62)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착즙 시간이 길어져 착즙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입부(61)로 투입된 피착즙물 자체가 스크루(30)를 타고 그대로 분쇄부(62)로 이송되기 때문에 피착즙물의 크기에 따라 이송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입되는 피착즙물을 미리 분쇄시킴으로써 착즙효율과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착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착즙통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분쇄통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착즙기 110 : 본체
112 : 스위치 114 : 결착링
120 : 스크루 로드 122 : 모터축
124 : 나사산 126,156 : 압착날
130 : 착즙통 131 : 망
132a,132b : 플랜지 133 : 2차 분쇄날
134 : 리브 135 : 안착면
136 : 홈 137 : 회전방지돌기
138 : 보강돌출부 140 : 하우징
140a : 피착즙물 유입부 140b : 즙 유출부
140c : 분쇄부 141 : 날(1차 분쇄날)
142 : 걸림테 143 : 투입구
144 : 호퍼 145 : 결착돌기
146 : 유출구 147 : 안내홈
148 : 관통공 149 : 패킹
150 : 캡 152 : 안착홈
154 : 보강돌출턱 158 : 계단식 걸림턱
160 : 배출캡 162 : 찌꺼기 배출구
164 : 탄성체 170 : 분쇄통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피착즙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피착즙물을 분쇄시키는 날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착즙통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즙기(100)는 크게 본체(110), 스크루 로드(120), 스크루 로드(120)에 끼워지는 착즙통(130),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을 수용하는 하우징(140), 하우징(140)에 결합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10)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본체(110) 외부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12)와 결착링(114)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로드(120)의 일단에는 모터축(122)이 형성되고 모터축(122)은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루 로드(120)를 회전시킨다. 스크루 로드(120)의 외주면에는 피착즙물의 분쇄와 이송을 위한 나사산(124)이 형성되고, 스크루 로드(120)의 선단부(착즙통에서 돌출된 부분)에는 압착날(126)이 형성되어 있다.
착즙통(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즙물에서 생성된 즙이 후술된 즙 유출부(140b)로 유동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망(131), 망(131)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32a), 망(131)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132b), 스크루 로드(1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착즙물의 분쇄가 일어나도록 망(131)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2차 분쇄날(133), 망(13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망(131)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134)로 이루어지되, 스크루 로드(120)와의 효율적인 분쇄를 위해 원뿔형상에서 머리 부분을 절단한 절두체(截頭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랜지(132a)는 대경 부분에 형성되고 플랜지(132b)는 소경 부분에 형성된다.
플랜지(132a)에는 후술된 하우징(140)의 걸림테(142)에 안착되는 안착면(135)에 하나 이상의 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6)은 망(131)을 통과하지 못한 즙을 즙 유출부(140b)로 유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의 분쇄날(133)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착즙물이 분쇄되면서 즙을 생성시킨다. 계속되는 분쇄와 찌꺼기 배출로 인해 망(131)의 구멍이 막히게 되면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 사이의 공간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망(131)을 통과하지 못한 즙은 앞으로 전진하려는 분쇄물의 성질 때문에 뒤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역류되는 즙은 피착즙물 유입부(145) 아래쪽의 하우징(140)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홈(136)을 통해 바로 배출되게 된다. 게다가, 후술된 피착즙물 유입부(140a)내에서 1차로 분쇄되어 생성된 즙도 홈(136)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플랜지(132a)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로드(120)와 함께 착즙통(1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우징(140)의 안내홈(147)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137)가 형성되어 피착즙물의 분쇄력을 증가시켜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랜지(132b)는 후술된 캡(150)의 안착홈(152)에 안착되며, 그 선단에는 캡(150)에 형성된 보강돌출턱(154)에 걸리는 보강돌출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돌출부(138)는 플랜지(132b) 근처에 작용하는 과대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착즙통(130)의 파손 또는 캡(15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캡(150)의 내부를 이중 밀착하여 찌꺼기 등의 분쇄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쇄날(133)의 두께는 플랜지(132b)를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140)은 피착즙물 유입부(140a)와 즙 유출부(140b)로 구획되어 있다. 피착즙물 유입부(140a)의 외주면에는 위쪽을 향하는 투입구(143)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날(141), 즉 1차 분쇄날(1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1차 분쇄날(141)은 피착즙물 유입부(140a)와 즙 유출부(140b)의 경계에 형성된 걸림테(142)의 내주면에 2개의 날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43)의 상부에는 피착즙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호퍼(14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즙 유출부(140b)의 외주면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유출구(146)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수용된 스크루 로드(120)와 착즙통(130)간 상호 작용하는 분쇄부(140c)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40)의 일면은 스크루 로드(120)의 모터축(122)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관통공(148)이 형성되며, 하우징(140)의 일면 외주에는 본체(110)의 결착링(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착돌기(145)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48)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1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50)은 하우징(140)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즙통(130)을 하우징(1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루 로드(120)의 선단에 형성된 압착날(126)과 접하는 캡(150)의 내면에는 압착율을 높이기 위해 압착날(126)과 교차하는 압착날(156)이 형성되어, 압착날(126)과 압착날(156)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착즙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에서 한번 더 압착하도록 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이고 최종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62)가 설치된 배출캡(160)이 캡(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구(162)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탄성체(164)가 끼워져 있다. 탄성체(164)는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수축되면서 배출구(162)를 앞쪽으로 약간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와 배출구(162)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면서, 찌꺼기의 배출을 원활히 하게 한다.
또한, 피착즙물이 즙이 많은 것(예컨대, 토마토, 딸기 등의 과일이나 야채)과 즙이 적은 것(예컨대, 칡, 솔잎 등)에 따라 착즙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배출구(162)의 내면과 스크루 로드(120)의 최선단부간의 밀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계단식 걸림턱(15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착즙기(100)의 걸림턱(158)은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배출구(162)가 3단계에서 1단계로 갈수록 밀착 정도가 작아진다. 예를 들면, 즙이 많은 피착즙물인 경우 배출구(162)를 1단계 또는 2단계 걸림턱에 정지시키고, 즙이 적은 피착즙물인 경우 배출구(162)를 2단계 또는 3단계 걸림턱에 정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만을 목적으로 하는 분쇄기에서는 착즙통 대신 도 6에 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막힌 분쇄통(170)을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착즙기(100)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착즙기에 의하면, 피착즙물 유입부(140a)의 내주면에 1차 분쇄날(141)이 형성됨으로써 피착즙물이 분쇄부(140c)로 이송하기 전에 미리 분쇄됨으로 착즙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져 착즙효율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피착즙물이 미리 분쇄되고 이송하게 됨으로 분쇄부(140c)에서의 분쇄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원활한 이송으로 본체(110)의 모터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되어 착즙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크루 로드; 상기 스크루 로드에 끼워지는 착즙통; 상기 스크루 로드와 상기 착즙통을 수용하고 피착즙물 유입부와 즙 유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피착즙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루 로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피착즙물을 분쇄시키는 날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010000336U 2001-01-06 2001-01-06 착즙기 KR200225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6U KR200225712Y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36U KR200225712Y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736A Division KR100390033B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와 착즙기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712Y1 true KR200225712Y1 (ko) 2001-06-01

Family

ID=7306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36U KR200225712Y1 (ko) 2001-01-06 2001-01-06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46B1 (ko) * 2002-05-09 2004-09-13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분쇄겸용 녹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46B1 (ko) * 2002-05-09 2004-09-13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분쇄겸용 녹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286Y1 (ko) 착즙기
KR100388643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착즙통
KR100390033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하우징
KR200225712Y1 (ko) 착즙기
CN216675434U (zh) 榨汁机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200225698Y1 (ko) 착즙기
KR200494287Y1 (ko) 착즙기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200225713Y1 (ko) 착즙기
KR100433168B1 (ko) 맷돌형 녹즙기
KR200497316Y1 (ko) 착즙기
CN111109992B (zh) 泄压组件及食物处理机
CN212853220U (zh) 榨汁筒
KR100447746B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CN218922358U (zh) 排浆结构及破壁机
CN217937867U (zh) 榨汁机
KR100441832B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87456Y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200288605Y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200287453Y1 (ko) 착즙기, 분쇄기 및 빙설기에 사용되는 다용도 다짐봉
KR200287798Y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