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817A -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 Google Patents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817A
KR20030092817A KR1020020030649A KR20020030649A KR20030092817A KR 20030092817 A KR20030092817 A KR 20030092817A KR 1020020030649 A KR1020020030649 A KR 1020020030649A KR 20020030649 A KR20020030649 A KR 20020030649A KR 20030092817 A KR20030092817 A KR 2003009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coupled
protrusion
drum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833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김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Priority to KR10-2002-003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8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및 야채 등의 음식물을 착즙하거나 분쇄하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결합공 전면에 지지턱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에 결합되며, 유입구, 피착즙물 수용부, 착즙통 결합부 및 피착즙물 수용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면으로 이루어진 드럼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어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에 결합되며, 결합부, 몸체부, 노즐결합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드럼캡과, 상기 드럼캡의 노즐결합부에 결합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면에는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ㆍ외측으로 형성되는 제 1, 제 2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돌기부는 지지판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돌기부와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측면부에 요홈이 형성되어지므로 써, 착즙시 상기 측면부와 결착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원활한 착즙 및 분쇄가 이루어지고,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인해 스크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고, 드럼에 발생하는 진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드럼캡을 구성하는 결합부, 몸체부, 노즐결합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초음파 용접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해소하였고, 착즙시 각 부재의 틈새에 끼이는 착즙물이 없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며, 사용 후 보관시에 곰팡이 균이 발생하지 않아매우 위생적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juice apparatus}
본 발명은 곡류 및 야채, 과일 등 각종 음식물을 갈거나 즙을 내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측부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탈착되는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과 지지판에 결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수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수용되는 착즙통과, 상기 착즙통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드럼에 결합되는 드럼캡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음식물을 이송시키면서 분쇄하고, 압착하여 착즙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장치로써, 이러한 착즙기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0-190676)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녹즙기를 도시한 단면도로 써,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1)와 상기 투입부(1)와 연결되어 형성된 드럼(2)과, 상기 드럼(2)에 스크류(3)가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3)가 결합된 드럼(2)은 결착링(4)과 지지판(5)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2)에 결합된 샤프트(6)는 구동모터축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써, 스크류(3)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3)는 파쇄부(7)와 분쇄부(8)에 착즙망(9)이 결합되어 배출구(10)로 유출되어지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기 드럼(2)에 드럼캡(11)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드럼캠(11)에 노즐(12)이 결합되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상기 스크류(3)의 측면부와 드럼(2)의 결착면에 이격공간이발생하여 회전시 스크류(3)의 흔들림 현상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착즙 및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과다한 음식물의 투입시 구동모터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스크류(3)를 역회전 하는 경우, 착즙물이 스크류(3)의 측면부와 결착면 사이에 걸리게 되어 압력과 마찰에 의해 스크류가 파손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스크류(3)가 회전할 때, 음식물의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딱딱한 음식물을 분쇄하고자 할 때, 스크류(3)와 착즙망(9)에 압력이 발생하여 기기의 고장과 함께, 분쇄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즙이 된 즙이 착즙통에서만 유출되어 배출구로 유동되어지고 있으므로, 사크류이 이송부에서 발생되는 즙이 피착즙물에서 착즙통 결합부의 배출구로 유통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투입구(1)로 투입된 음식물이 피착즙물 수용부에 투입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착즙통(9)에서만 착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었으므로, 착즙기에 압력이 발생하고, 장시간 작동시 착즙통의 금속망이 막히게 되어 스크류에 균열이 발생하고, 음식물의 분쇄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도 2의 종래 지지판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결착면(20)과 밀착되는 지지판(5)의 전면이 결합공(15)까지 입설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결착면(20)에 압력이 작용하여 스크류(3)가 결합되는 관통공(13)과 스크류(3)의 중심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균열 및 착즙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3인 종래 드럼캡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도 4의 종래 드럼캡의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또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드럼캡(30)은 일측이 드럼(2)에 결합되는 드럼결합부(31)와, 타측이 노즐(12)에 결합되는 노즐결합부(32)와, 상기 드럼결합부(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33)로 구성되어, 상기한 3개의 부재를 초음파 결합하여 드럼캡(30)이 형성되어진다.
헌데, 초음파 용접시 이격공간이 발생하고, 불량률도 많았으며, 착즙 후 세척이 매우 불편하고, 각 부재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므로 장시간의 보관시 곰팡이 균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이였다.
또한, 종래의 드럼캡(30)이 장착되는 착즙기에서 초기 착즙시 1단과 2단에서는, 압력조절부(35)에서 노즐(12)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노즐(12)이 후방에 있는 경우, 초기 착즙시 배출 압력이 부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5인 종래 노즐의 측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캡(30)에 결합되는 노즐(12)의 압출구(40) 외주면에 형성된 원주단부(41)가 표시돌기부(42)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써, 상기 압출구(40)의 원주단부(41)가 마모되고,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와 피착즙물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최소화 하고, 피착즙물수용부의 내부에 안내면을 갖는 피착즙물절삭날을 형성하고, 유입구의 하단에도 절삭이 되도록 절삭날을 갖도록 하고, 드럼내부와 착즙통에 유로부를 형성하므로 써, 착즙된 착즙물이 착즙통 수용부의 배출구로 원활히 유통되도록 하며, 지지판의 전면을 평면으로 구성하여 결합공 전면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결착면의 내ㆍ외측면으로 돌기부를 형성
하며, 스크류의 측면에 요홈을 갖도록 하고, 드럼결합부와 몸체와 노즐결합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하고, 위생적이며 진동과 소음을 억제하고, 찌꺼기 및 분쇄물이 유동저항 없이 배출 되어지며, 노즐의 압출구에 원주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착즙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지지판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드럼캡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드럼캡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노즐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를 결합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과 결착링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드럼의 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측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드럼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스크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스크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와 결착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착즙통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인 착즙통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인 착즙통에 결합되어지는 미세압착날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인 분쇄통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인 분쇄통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인 분쇄통의 후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인 드럼캡의 후방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인 드럼캡의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인 드럼캡의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인 드럼캡과 노즐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인 노즐의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샤프트 결합부 120 - 체결공
130 - 작동버튼 200 - 지지판 210 - 결합공
220 - 지지턱 230 - 고정돌기 240 - 걸림턱
250 - 안내돌기 300 - 결착링 310 - 안내홈
320 - 손잡이부 330 - 결합돌기 400 - 드럼
410 - 유입구 412 - 안내절삭날 414, 414' - 제 2안내절삭날
420 - 호파 430 - 피착즙물수용부 431 - 결착면
432 - 결착돌기부 433 - 제 1돌기부 433' - 제 2돌기부
434 - 관통공 435 - 피착즙물절삭날 436 - 안내면
440 - 착즙통결합부 441 - 즙배출구 442 - 개구부
443 - 안착면 444 - 즙유로부 445 - 가이드 홈
446 - 결합홈 500 - 스크류 510 - 이송부
520 - 파쇄부 512, 522 - 나사산 530 - 분쇄부
531 - 제 1분쇄날 532 - 제 2분쇄날 533 - 제 3분쇄날
534 - 제 1미세절삭날 535 - 제 2미세절삭날 536 - 반구형 돌기부
540 - 미세절삭부 550 - 몸체 551 - 요홈
560 - 샤프트 600 - 착즙통 610, 710 - 전방플랜지
620, 720 - 후방플랜지 621, 621' - 유로홈 630, 730 - 회전방지돌기
640 - 제 1리브 650 - 제 2리브 660 - 금속망
670, 770 - 압착절삭날 671 - 1차압착절삭날 672 - 2차압착절삭날
673 - 날면부 680 - 미세압착날 681 - 결합부
682 - 고정부 700 - 분쇄통 740 - 몸통
750 - 파쇄절삭날 760 - 미세파쇄절삭날 800 - 드럼캡
810 -결합부 812 - 밀착면 812 - 결합턱
820 - 몸체 821 - 리브 822 - 배출유로경사면
823 - 미세돌출날 824 - 보강돌출턱 825 - 안착면
830 - 노즐결합부 831 - 노즐결합공 832 - 압력조절부
833 - 전면계단부 834 - 후면계단부 840 - 조절홈
900 - 노즐 910 - 노즐캡 911 - 결합면
912 - 압출결합공 913 - 압력조절돌기 914 - 표시돌기부
920 - 압출구 921 - 압출구결합부 922 - 고무패킹
925 - 원주단부 930 - 압출결합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결합공 전면에 지지턱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에 결합되며, 유입구, 피착즙물 수용부, 착즙통 결합부 및 피착즙물 수용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면으로 이루어진 드럼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어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에 결합되며, 결합부, 몸체부, 노즐결합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드럼캡과, 상기 드럼캡의 노즐결합부에 결합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면에는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ㆍ외측으로 형성되는 제 1, 제 2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돌기부는 지지판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돌기부와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측면부에 요홈이 형성되어지므로 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본 발명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를 결합한 측단면도와, 도 7의 본 발명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는 크게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내장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나사로 결합하는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판(200)에 탈착되는 결착링(300)과 상기 결착링(300)에 결합되는 드럼(400)과, 상기 드럼(400)에 형성된 결착면(431)과, 상기 결착면(431)에 관통공(434)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34)에 샤프트(560)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560)와 결합된 스크류(500)와, 상기 드럼(400) 내부에 끼워지는 착즙통(600)과, 상기 착즙통(600)과 드럼(400)에 결합되는 드럼캡(800)과, 상기 드럼캡(800)에 결합되는 노즐(90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1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선상으로 연결된 샤프트 결합부(110)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110) 외주면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체결공(120)에 나사가 체결되어지도록 지지판(200)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200)은,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과 결착링의 분해 사시도와 같이, 지지판(200)의 전면을 평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200)의 중심에 결합공(210)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210) 전면에 지지턱(220)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230)가 형성되며, 지지판(200)의 이면은 걸림턱(240)을 갖고, 상기 걸림턱(240)에 안내돌기(250)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200)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드럼(400)과 결합되어지는 결착링(300)은 상기 안내돌기(250)에 상기 결착링(300)이 회동되도록 안내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결착링(300)의 외주면은 손잡이부(320)를 갖도록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결합돌기(330)를 갖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200)의 안내돌기(250)가 상기 결착링(300)의 안내홈(310)에 결합되고, 지지판(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30)와 결착링(300)의 내주면에형성된 결합돌기(330)가 같은 위치에 오도록 하고, 상기 드럼(400)의 결착면(431)을 결합한다.
도 9의 본 발명인 드럼의 절개 사시도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측면 사시도와, 도 11의 드럼에 측면도를 참조하여 드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400)의 상단부에는 유입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10)에 피착즙물이 투입되는 호파(420)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유입구(410)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원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400)은 피착즙물 수용부(430)와 착즙통 결합부(440)로 구성되며,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상단부는 유입구(410)와 연통되어 형성되어진다.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와 연통되는 유입구(410)의 하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안내절삭날(412)이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유입구(410)의 내면에 삼각뿔의 형태를 갖는 제 2안내절삭날
(4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안내절삭날(414)은 피착즙물 수용부(430)와 유입구(410)의 하단부가 연통되는 안내절삭날(412)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410)의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날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안내절삭날(414)은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이동 방향인 유입구(410)의 전방에 형성 되어진다.
상기 유입구(410)의 내면에 스크류(500)와의 역방향인 후방에는, 또 다른 제 2안내절삭날(41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는 일측에 결착면(431)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면(431)의 원주 외면부에는 결착돌기부(4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결착돌기부
(432)는 본체(100)에 결합된 지지판(200)의 고정돌기(230)와 결착링(300)의 결합돌기(3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착면(431)의 중심에는 외측으로 제 1돌기부(433)를 형성하고, 결착면(431)내측으로 제 2돌기부(433')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돌기부(433)와 상기 제 2돌기부(433')의 중심에 관통공(434)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434)에는 착즙물의 밀폐를 위하여, 패킹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돌기부(433)는 지지판(200)의 지지턱(22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 2돌기부(433')는 스크류(500)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551)과 밀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내부 원주면에는 피착즙물절삭날(435)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피착즙물절삭날(435)은,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구(410)의 하단부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착즙물절삭날(435)은,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내부에 동일반경으로 안내면(436)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와 연결되어 착즙통(600)이 탈착되도록 드럼(400) 내부에 형성된 착즙통 결합부(440)는, 하단에 즙 배출구(441)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개구부(442)를 갖는다.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430)와 착즙통 결합부(440)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안착면(4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면(443)의 하단에는 즙유로부(44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착즙통 결합부(440) 내부 원주면에 가이드 홈(445)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착즙통 결합부(440)에 형성된 개구부(442)의 내주면에는 결합홈(446)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드럼의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되어지며, 도 12의 본 발명인 스크류의 사시도와, 도 13의 스크류의 측면도를 참조하여 스크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크류(500)는 이송부(510), 파쇄부(520), 분쇄부(530) 및 미세절삭부(540)를 갖는 몸체(550)로 형성되어지며, 스크류(500)의 중심축에 샤프트(560)가 결합 되어진다.
상기 몸체(550)의 측면부에는 상기 결착면(431)의 제 2돌기부(433')와 대향되도록 요홈(551)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부(510)는 상기 몸체(550) 외주면에 한 줄의 나사산(512)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파쇄부(520)는 다수의 나사산(5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분쇄부(530)는 이송부(510)와 파쇄부(520)의 나사산(512, 522)과 연결되어 다수의 제 1분쇄날(53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분쇄날(531) 사이에 제 2분쇄날(532)과 제 3분쇄날(5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분쇄날(531)과 연결되어 제 1미세절삭날(53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 2분쇄날(532)과 제 3분쇄날(533)의 끝단 사이에는 제 2미세절삭날
(53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 1미세절삭날(534)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500)의 끝단부에는 반구형의 돌기부(536)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분쇄날(532)과 제 3분쇄날(533) 사이에 형성된 제 2미세절삭날(535)은, 미세물이 유동저항 없이 배출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500)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551)의 형태는, 본 발명인 도 14의 스크류와 결착면의 부분 확대 단면도와 같이 구성하며, 스크류(500)의 몸체(550) 측면부에 형성된 요홈(551)의 가장자리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착즙통 결합부(440)에 탈착되는 착즙통(600)은, 본 발명인 도 15인 착즙통의 사시도와, 도 16인 착즙통의 정면도와, 도 17인 미세압착날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착즙통 결합부(4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45)에 슬라이드 되어 탈착되는 착즙통(600)은, 일단에 즙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전방플랜지(610)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플랜지(610)의 타단은 회전방지돌기(630)를 갖는 후방 플랜지(620)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630)는, 착즙통(600)에 형성된 가이드 홈(445)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630)에 유로홈(621)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유로홈(621)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절단하여 성형하여도 되며,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여도 무관하고, 다수의 빗살 형태로 성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후방플랜저(620)가 착즙통결합부(440)의 안착면(443)에 밀착되는 후방플랜저(620)의 측면에 또 다른 유로홈(621')을 형성한다.
상기 유로홈(621')은 등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플랜지(610)와 상기 후방플랜지(630) 사이를 연결하는 제 1리브(6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리브(640)는 착즙통(60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리브(640) 사이를 연결하는 제 2리브(650)가 구성되어지되, 원주면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리브(640)와 상기 제 2리브(650)에 금속망(66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금속망(660)은, 내주면에 등간격을 갖는 압착절삭날(670)을 내설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절삭날(67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하고, 착즙통(60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도록 하며,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착절삭날(670)은 1차압착절삭날(671)과 2차압착절삭날(672)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2차압착절삭날(672)이 1차압착절삭날(671) 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1차압착절삭날(671)과 2차압착절삭날(672)을 연결하는 날 면부(673)를 소정 깊이의 호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착절삭날(670)과 연결되어 착즙통(600) 내부에 미세압착날
(68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미세압착날(680)의 일단은 금속망(660)의 장공과 상기 제 1리브(640)에 삽입되는 결합부(68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미세압착날(680)의 타단은 금속망(660)의 단부를 감싸는 고정부(682)를 갖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681)는 'ㄴ'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682)는 'ㄷ'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착즙통 결합부(440)에 분쇄통(700)이 결합되어질 경우, 본 발명인 도 18의 분쇄통 사시도와, 도 19인 분쇄통의 정면도와, 도 20인 분쇄통의 후방 사시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의 분쇄통(700)은 전방플랜지(710)와 후방플랜지(720) 및 몸통(71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도록 한다.
상기 분쇄통(700)의 후방플랜지(720)에도 상기 착즙통(600)의 후방플랜지
(62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730)를 형성한다.
또한, 몸통(740)의 내주면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의 압착절삭날(770)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절삭날(770)과 타 압착절삭날(770) 사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파쇄절삭날(7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절삭날(77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하고, 분쇄통(70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한다.
상기 압착절삭날(770)과 상기 파쇄절삭날(750)에 연결되어 미세파쇄절삭날
(760)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파쇄절삭날(760)을 금속으로 구성한다.
상기 미세파쇄절삭날(760)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에 상기 미세파쇄절삭날
(760)을 제외한 금속면을 화공약품으로 부식하여 날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드럼(400)의 개구부(442)에 형성된 결합홈(446)에 결합되는 드럼캡(800)은, 본 발명인 도 21의 드럼캡의 후방사시도와, 도 22인 드럼캡의 측단면도와, 도 23인 드럼캡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캡(800)은, 드럼(400)에 결합되는 결합부(810)와, 몸체(820)와, 노즐이 결합되는 노즐결합부(8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810)는 원주 외면부가 상기 드럼(400)에 밀착되도록 밀착면(81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밀착면(811)에서 돌출되어 개구부(442)의 결합홈(446)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턱(812)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820)의 원주 외면부는 리브(821)를 형성한다.
상기 리브(821)는 드럼캡(800)에 결합하고, 분리하도록 하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820)의 내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배출유로경사면(822)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유로경사면(822)에는, 다수의 미세돌출날(82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경사면(822)과 연결되도록 보강돌출턱(82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돌출턱(824)과 연결되어 안착면(825)을 갖도록 하고, 상기 안착면(825)에는 착즙통(600)의 전방플랜지(610)가 안치되도록 한다.
한편, 노즐결합부(830)의 중심은 관통되어 형성된 노즐결합공(831)을 갖도록 하고, 상기 노즐결합부(830)의 외주면에 압력조절부(832)를 형성한다.
상기 압력조절부(832)는, 전면계단부(833)와 후면계단부(834)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면계단부(833)와 후면계단부(834)는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832)는 노즐(900)의 압력조절돌기(913)가 수용되는 조절홈(840)을 마련하고, 상기 조절홈(840)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조절돌기(913)가 회동되도록 압력조절부(832)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처럼 구성된 결합부(810)와 몸체(820)와, 노즐결합부(830)를 일체로 사출하여 성형하도록 하여 드럼캡(80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노즐결합공(831)에 결합되는 노즐(900)은, 본 발명인 도 24의 드럼캡과 노즐의 분해사시도와, 도 25인 노즐의 측단면도와, 도 26인 노즐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캡(800)에 결합되는 노즐(900)은, 노즐캡(910)과 압출구(920)와 압출구결합부(921)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캡(910)의 후방 내부에 드럼캡(800)의 압력조절부(832)와 결합되어밀착되는 결합면(911)을 갖도록 하고, 상기 결합면(911) 중심에 관통되어진 압출결합공(912)을 형성하다.
상기 결합면(911)을 사이로 상기 압출결합공(912) 후방에는 압출구(920)를 결합하고, 압출구(920)가 압출결합공(912)을 관통하여 결합면(911)의 전면에는 압출구결합부(921)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압출구(920)와 상기 결합면(911)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갖는 고무패킹(922)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압출구(920)는,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하고, 끝단부는 원주단부(925)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캡(910)의 내 원주면에는 드럼캡(800)의 압력조절부(832)에 형성된 조절홈(840)에 삽입되고, 분쇄물의 분쇄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돌기
(913)를 형성한다.
상기 압력조절돌기(913)부에는 표시돌기부(914)를 형성하고, 상기 원주단부
(925)가 상기 표시돌기부(914)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한다.
한편, 본 구성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결착링(30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310)에 지지판(200)의 안내돌기(250)가 결합되도록 하고, 지지판(200)에 형성된 나사공을 본체(100)의 체결공(120)에 결합한다.
상기 지지판(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30)와 결착링(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30)가 같은 위치에 오도록 결착링(300)을 회동하여 조절하고, 드럼(400)의 결착면(431) 외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부(432)를 삽입한다.
상기 드럼(400)에 형성된 결착돌기부(432)가 상기 지지판(200)의 고정돌기
(23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착링(300)을 회동하면 드럼(400)과 결합되어진다.
다음, 상기 드럼(400)의 관통공(434)에 스크류(500)의 샤프트(560)를 삽입하면, 구동모터가 내장된 본체(100)의 샤프트 결합부(110)에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400)의 피착즙물 수용부(430) 상단에 형성된 유입구(410)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호파(420)를 결합한다.
한편, 개구부(442)에 형성된 가이드 홈(445)에 안내되도록 착즙통(600)의 후방플랜지(62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630)를 체결하여, 착즙통 결합부(440)에 착즙통(600) 및 분쇄통(70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400)의 개구부(442)에 형성된 결합홈(446)에 드럼캡(800)의 결합턱(812)을 결합하고, 상기 드럼캡(800)의 노즐결합부(830)에 노즐(900)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900)에 형성된 압력조절돌기(913)를 드럼캡(800)의 압력조절부(832)에 형성된 조절홈(8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착즙물을 호파(420)를 통해 유입구(410)에 투입하고 본체(100)에 설치된 작동버튼(130)을 누르면 스크류(500)가 회전하여 이송부(510)의 나사산(512)과 유입구(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절삭날(412)에서 1차절삭되고, 상기 안내절삭날(412)에서 절삭이 이루어지지 못한 피착즙물이 이송부(510)의 회전으로 인해, 제 2안내절삭날(414)에서 2차절삭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스크류(500)의 회전시 상기 이송부(510)는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내부에 형성된 피착즙물절삭날(435)에서 3차절삭 되어지고, 이송부(510)로 인해 착즙통(600)으로 이송된 피착즙물이 파쇄부(520)에서 4차 파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520)와 분쇄부(530)에 착즙통(600)이 결합되어 분쇄부(530)에서 5차 착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4차 파쇄 및 5차 착즙은, 착즙통(600)의 내부에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압착절삭날(670)과, 미세압착날(680)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즙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으로 인해, 미세절삭부(540)에 형성된 제 1미세절삭날(534)과 제 2미세절삭날(535)이 드럼캡(800)의 배출유로경사면(822)에 형성된 미세돌출날(823)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미세물을 착즙하고 분쇄한다.
한편, 상기 스크류(500)의 끝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돌기부(536)와 노즐(900)의 압출구(920)에서 찌거기 및 분쇄물을 유동저항 없이 배출 되어지고, 착즙통 결합부(440)의 안착면(443) 하단에 형성된 즙 유로부(444)와, 착즙통(600)의 회전방지돌기(630)에 형성된 유로홈(621)을 통해 착즙물 및 분쇄물이 배출구로 유동저항 없이 배출되어진다.
헌데, 장시간의 착즙 및 과다한 분쇄로 인해 착즙통(600)의 금속망(660)이막히게 되어 스크류(500)를 역회전한다. 이 때, 결착면(431)과 스크류(500)의 측면에 찌꺼기가 끼이게 되고, 스크류(500) 및 드럼(400)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드럼(400)의 결착면(431)에 형성된 제 2돌기부(433')가 스크류(500)의 요홈(551)과 밀착하여 지지하므로 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요홈(551)과 상기 제 2돌기부(433')와 제 1돌기부(433)는, 스크류(500)의 샤프트(560)가 구동모터의 샤프트 결합부(110)에서 1차 지지되고, 스크류(500)의 끝단부가 드럼캡(800)과 2차 지지되며, 상기 요홈(551)과 제 2돌기부(433')에서 3차지지되므로 써,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시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요홈(551)과 제 2돌기부(433')가 선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요홈(551)의 형상을 테이퍼를 갖도록 하므로 써, 선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줄이고, 드럼(400) 및 스크류(500)의 파손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스크류(500)의 역회전시, 피착즙물 수용부(430)의 내부의 형성된 또 다른 피착즙물절삭날(435)에서 절삭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유입구(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절삭날(412)에서도 절삭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구(410)의 내면 후방에 형성된 또 다른 제 2안내절삭날
(414')에서도 절삭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는 본 발명의 기술에 국한되지 않고, 기술 사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을 잘게 부순다거나, 빙수를 만들 때에도 사용이 가능하고,드럼캡에 탈착되는 노즐을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써, 양념다짐 및 국수와 같은 면을 만들 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결착면의 관통공에 형성된 제 2돌기부가 스크류의 측면부에 형성된 요홈에 접촉하고 지지하므로 써, 착즙시 상기 측면부와 결착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원활한 착즙 및 분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 관통공에 형성된 제 1돌기부가 지지판의 지지턱에 안착되어 결합되어지므로 써,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인해 스크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고, 드럼에 발생하는 진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세 번째, 드럼의 결착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의 전면부를 평면으로 구성하여 결합공에 형성되는 지지턱의 면적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결착면에 형성된 제 1돌기부가 안정되게 안치되어지고, 상기 지지판의 강도가 좋아졌으며, 세척이 용이해졌다.
네 번째, 드럼캡을 구성하는 결합부, 몸체부, 노즐결합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초음파 용접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해소하였으며, 착즙시 각 부재의 틈새에 끼이는 착즙물이 없으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 후 보관시 곰팡이 균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다.
다섯 번째, 피착즙물 수용부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피착즙물절삭날로 인해,구동모터와 연결된 스크류가 회전하여 피착즙물을 이송할 때, 절삭이 함께 이루어지고, 착즙시 발생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원활한 녹즙이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즙물절삭날을 일측방향이 아닌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시 절삭이 다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 번째, 피착즙물 수용부와 연통되는 유입구의 하단부에 안내절삭날이 형성되므로 써, 스크류의 회전시 음식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절삭이 함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일곱 번째, 피착즙물 수용부의 이동방향인 유입구의 전ㆍ후방 내면에 삼각 형태의 날을 갖는 제 2안내절삭날이 형성되어,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에서 스크류의 정ㆍ역회전시 이송날과 제 2안내절삭날에서도 절삭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여덟 번째, 착즙통 내주면에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압착절삭날이 형성되어, 스크류의 파쇄부 및 분쇄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아홉 번째, 착즙통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플랜지와 후방플랜지를 연결하는 제 1리브와 제 2리브에 금속망이 결합되므로 써, 착즙시 상기 착즙통이 변형되지 않는다.
열 번째, 착즙통에 결합되어 절삭의 효과를 높이는 미세압착날의 형상이 일단은 고정부와 타단은 결합부로 구성되어, 절삭시 ㅂ라생되는 절삭저항을 이겨내고, 리브와 플랜지에 결합되는 망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열 한 번째, 드럼캡에 형성된 보강돌출턱과 안착면으로 인해, 착즙통의 전방플랜지가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써, 착즙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였으며, 착즙통이 유동되지 않아 착즙 효율도 높였다.
열 두 번째, 착즙통 및 분쇄통의 내부에 형성된 압착절삭날은, 1차압착절삭날과 2차압착절삭날로 형성되고, 스크류의 정회전 방향으로 상기 2차압착절삭날의 높이가 상기 1차압착절삭날보다 크므로, 1차압착절삭날에 의해 절단된 착즙물이 2차압착절삭날에 의해 미세절삭되어 절삭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열 세 번째, 회전방지돌기에 유로홈이 형성되고, 안착면의 하단부에 즙 유로부가 형성되므로 써, 착즙되어진 즙이 유동저항 없이 배출구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열 네 번째, 절삭날과 연결되어 스크류의 나사산을 안내하는 스크류 안내면이 동일 반경으로 형성되므로 써, 상기 스크류의 나사산과의 이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열 다섯 번째, 노즐의 원주단부를 측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표시돌기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므로 써, 찌거기의 원활한 배출이 되도록 하고, 분리하여 보관할 때, 압출구에 형성된 원주단부가 마찰에 의한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결합공 전면에 지지턱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에 결합되며, 유입구, 피착즙물 수용부, 착즙통 결합부 및 피착즙물 수용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착면으로 이루어진 드럼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어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스크류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에 결합되며, 결합부, 몸체부, 노즐결합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드럼캡과;
    상기 드럼캡의 노즐결합부에 결합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면에는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ㆍ외측으로 제 1돌기부와 제 2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돌기부는 지지판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돌기부와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측면부에 요홈이 형성되어진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의 내부 원주면에 피착즙물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피착즙물절삭날은 피착즙물 수용부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구의 하단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통은 내주면에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압착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절삭날은 1차 압착절삭날과 2차 압착절삭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압착절삭날의 높이가 상기 2차 압착절삭날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의 연결부에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 회전방지돌기를 갖는 후방플랜지가 형성된 착즙통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회전방지돌기에 유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하단부에 즙 유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2002-0030649A 2002-05-31 2002-05-31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044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49A KR100441833B1 (ko) 2002-05-31 2002-05-31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49A KR100441833B1 (ko) 2002-05-31 2002-05-31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814U Division KR200288606Y1 (ko) 2002-05-31 2002-05-31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17A true KR20030092817A (ko) 2003-12-06
KR100441833B1 KR100441833B1 (ko) 2004-07-30

Family

ID=3238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649A KR100441833B1 (ko) 2002-05-31 2002-05-31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8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942B1 (ko) * 2008-01-07 2008-04-04 김보영 녹즙제조 시스템의 원료 절단장치
KR100829120B1 (ko) * 2006-10-17 2008-05-13 유한회사 에스지엔지니어링 쌀국수제조기
CN101731933A (zh) * 2010-02-10 2010-06-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防堵转的榨汁机
CN101897551A (zh) * 2010-05-21 2010-12-0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进料可调的多功能食品加工机及进料装置
WO2012173334A1 (en) * 2011-06-14 2012-12-2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WO2013062166A1 (ko) * 2011-10-28 2013-05-02 Kim Young Ki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CN106136824A (zh) * 2015-04-16 2016-11-23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具有过载保护功能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US11564523B2 (en) 2019-10-22 2023-01-31 Hurom Co., Ltd. Juic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20B1 (ko) * 2006-10-17 2008-05-13 유한회사 에스지엔지니어링 쌀국수제조기
KR100818942B1 (ko) * 2008-01-07 2008-04-04 김보영 녹즙제조 시스템의 원료 절단장치
CN101731933A (zh) * 2010-02-10 2010-06-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防堵转的榨汁机
CN101897551A (zh) * 2010-05-21 2010-12-0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进料可调的多功能食品加工机及进料装置
CN101897551B (zh) * 2010-05-21 2012-11-2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进料可调的多功能食品加工机及进料装置
WO2012173334A1 (en) * 2011-06-14 2012-12-2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WO2013062166A1 (ko) * 2011-10-28 2013-05-02 Kim Young Ki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CN106136824A (zh) * 2015-04-16 2016-11-23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具有过载保护功能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US11564523B2 (en) 2019-10-22 2023-01-31 Hurom Co., Ltd. Ju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833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3926A (zh) 榨汁机
KR20120042606A (ko)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0441833B1 (ko)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CN203873521U (zh) 一种榨汁机
KR20130042991A (ko)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4970682A (zh) 一种榨汁机
CN104970678A (zh) 榨汁机
KR200288606Y1 (ko)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TWM515364U (zh) 食物料理機
KR100433168B1 (ko) 맷돌형 녹즙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200288605Y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100441832B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87797Y1 (ko) 만능 녹즙기
KR200287455Y1 (ko) 맷돌형 착즙기
KR200287456Y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20120111445A (ko)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CN108095581B (zh) 食物料理机及其研磨组件
KR20030087663A (ko) 분쇄겸용 녹즙기
KR100433170B1 (ko) 만능 녹즙기
KR200287454Y1 (ko) 맷돌형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