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20B1 - 쌀국수제조기 - Google Patents

쌀국수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20B1
KR100829120B1 KR1020060100853A KR20060100853A KR100829120B1 KR 100829120 B1 KR100829120 B1 KR 100829120B1 KR 1020060100853 A KR1020060100853 A KR 1020060100853A KR 20060100853 A KR20060100853 A KR 20060100853A KR 100829120 B1 KR100829120 B1 KR 10082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dough
rice
screw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635A (ko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에스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에스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에스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이 유입되는 재반죽 및 압축기(20)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후면에 나사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국수인출판(43,43-1)이 구비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으로 구성된 쌀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는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100%의 쌀가루로 반죽된 쌀반죽이 투입되는 호퍼(21)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원통형상의 이송스크류안치부(22)와,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국수인출기연결부(24)와, 상기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내측에는 칸막이(27`)의 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송스크류(13)는 이송스크류축(14)에 내삽관통되어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중앙부에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 직경이 좁아지며 외측에 형성된 4개의 날개부분이 끝단으로 갈수록 넓고 날카롭게 형성된 압축 및 추진날개(30)와, 상기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국수를 인출하는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로 구성된 쌀국수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쌀국수제조기. 국수인출기.

Description

쌀국수제조기{The Manufacture of ricenoodle}
도1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전체도
도3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조립 및 분해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의 다른 예 조립 및 분해상세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모터(1,10, 110), 기아(2,2-1), 체인 또는 벨트(3), 반죽주입스크류(4), 교반날개(4-1), 반죽투입구(6), 커플링(8), 반죽공급부(9),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 이송스크류(13), 이송스크류축(14), 이송스크류절삭부(15), 재반죽 및 압축기(20), 호퍼(21), 이송스크류안치부(22), 모터연결부(23), 국수인출기연결부(24), 재반죽 및 압축기지지대(25), 이송스크류안치부돌기(26), 칸막이(27,27`), 칸막이통공(28),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 압축 및 추진날개(30),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 국수인출판고정대(35),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부(41),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42), 국수인출판(43,43-1), 국수인출통공(50), 콘베아벨트(100)
본 발명은 다용도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반죽을 2차, 3차 분쇄 및 반죽한 것을 국수인출기로 국수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국수인출기 대신 분쇄기로 교체하여 재료를 분쇄하는 다용도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 또는 기타 곡물로 반죽된 반죽상태의 재료를 조리하여 하는 국수가공장치 또는 수작업으로 용도(칼국수, 쌀국수, 가락국수, 메밀국수,자장면등)에 맞도록 가늘고 긴 국수형태로 제조하여 시식하는 것으로서,
밀가루를 좋아 하지 않거나, 밀가루를 섭취하면 안되는 사람을 위하여 쌀국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국수류는 밀가루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밀가루에 함유된 글루테닌이 물과 혼합하였을 때 끈기 있는 반죽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국수류를 잘 형성하는 반면, 쌀가루는 경질이어서 흡습성 점착성이 적고 복원성이 약하고, 딱딱하고 거칠은 특성에 의해 국수류의 제조시 밀가루를 첨가하거나, 베트남에서는 카피오(열매나무분말)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높혀 쌀국수를 제조하여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445258호에는 쌀을 수세, 수침후 분쇄하는 단계, 반죽하는 단계, 반죽을 1회연출 혼합후, 압연하여 면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면대를 필름과 함께 말아서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면대를 절출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면 형태로 하는 단계로 구성된 쌀국수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80718호에는 쌀가루, 소맥분, 전분을 혼합반죽하여 숙면기로 제면하고, 밀폐실에서 건조시킨 후, 냉동실에서 냉동된 국수를 해동시켜 일광건조시켜 제조된 즉석 쌀가루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번호 공개번호 제10-2003-31078호에는 원료교반 혼합기에서 배아미가루와, 고분자 키토산, 뽕잎가루, 미강, 검정콩가루, 밤가루, 소맥분, 전분을 교반혼합기에서 혼합 후, 물을 넣어 반죽한 후,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면을 얻은 다음, 성형된 면을 상온 진공숙성장치와 냉동 숙성고에서 숙성시킨 후에, 면발을 분리시켜 건조기 또는 자연건조장에서 건조시켜 절단하여 제조되는 건강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1997-61089호에는 쌀가루, 밀가루, 탄산칼륨, 회분, 프로필글리콜액, 분유, 물을 혼합하여 면대를 성형 제조하는 방법과, 쌀가루, 밀가루, 탄산칼륨, 우유를 반죽하여 면대를 성형하는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4-10494호에는 원료쌀을 세미한 후, 1차 조파쇄후에 2당류로서 트레할로스를 첨가하여 숙성후 2차 미분쇄하여 제조된 살생면 프리믹스분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6-78559호에는 쌀가루와 콩가루를 혼합한 다음, 소금물로 반죽한 후에 쌀국수 제조장치에 투입시켜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4-709호에는 쌀가루, 콩가루, 버섯가루, 다시마가루, 옥수수가루, 홍화씨가루를 분홰한 후, 반죽하여 제면기로 면발을 성형하여 건조하 여 제조된 쌀국수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특1992-19264호에는 밀가루, 팽화쌀가루, 과실 및 채소분말과 소듐알기네이트와, 칼슘이온을 함유한 물로 반죽하여 제면기로 면발을 성형하여 제조된 쌀을 이용한 풍미된 면류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9788호에는 바디 위에 기어박스가 설치되며 그 입력회전축엔 구동모터의 출력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회전축엔 실린더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회전축의 한쪽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한쪽부분에 호퍼가 다른 한쪽부분에 국수출구가 형성된 국수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땅콩단면형상의 중공부분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회전축은 실린더의 중공부분에서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스크루날개 사이에 다른 스크루회전축의 스크루날개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게 마련되며 이는 실린더의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을 효과적으로 압송하면서 한 쌍의 스크루날개가 가압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되도록 선, 후단 및 중간부분이 각기 다른 피치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엔 역방향 스크루날개가 장착된 국수제조기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77324호에는 동일회전축선상에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주재 압착이송스크류와 소 이송스크류의 작동에 의해 반죽된 밀가루 등의 주재와 다양한 재료의 소가 압착판과 소 공급판을 통해 동시에 압출되는 국수제조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42212호에는 1차 호퍼에 투입되는 반죽상태의 재료 를 스크류에 의해 압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가해 반숙상태로 만들고 이를 다시 2차 호퍼에 투입 재차 가열함으로서 완전하게 익혀진 국수를 뽑아낼 수 있는 제조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0172933호에는 밀가루공급부와 반죽부, 로울러부, 캇타부, 이송부를 하나의 기계로 구성된 국수제조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56131호에는 단일 색상으로 제조되는 면류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실린더와 피스톤이 다량 구비되고 각각의 실린더로부터 압출되는 면을 하나의 출구를 통해 압출되는 국수제조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54512호에는 착즙,제면, 다지기기능을 하도록 모터와 제어부를 구비한 본체와 그 본체에 녹즙케이스조합이 결합되어 착즙, 제면, 다지기 기능을 수행하는 알팍썰기, 채썰기, 등의 식품가공기로 구비된 다기능 칼날이 부가된 전기녹즙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쌀가루를 팽화처리 등의 가공을 하여 쌀국수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쌀 100%를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03-34851호 및 제10-2005-36814호, 발명의 명칭; 다용도 국수제조기 및 꽈베기 제조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쌀가루로 반죽된 쌀반 죽을 재반죽 및 압축기의 이송스크류로 분쇄 및 재반죽을 한 다음, 전면에 설치된 압축 및 추진날개를 통과하면서 2차 쇄절 및 반죽하여 점성을 극대화 시킨 후에, 국수인출판의 국수인출통공을 통해 국수를 인출 제조하여 100%의 쌀가루로 조성된 국수를 제조하는 쌀국수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0% 쌀가루를 찜통에 찌거나, 쌀을 찜통에 찐 원료로 반죽한 쌀 반죽기에서 쌀반죽을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호퍼(21)에 공급되면,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이송스크류(13)로 2차 분쇄 및 반죽한 다음, 재반죽 및 압축기(20) 전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13)와 압축 및 추진날개(30)를 통과하면서 2차 쇄절 및 반죽한 다음, 국수인출판(43,43-1)의 국수인출통공(50)을 통해 쌀국수를 인출하여 제조하는 쌀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가루는 밀가루와 달리 경질이어서 흡습성과 점착성이 적고 복원성이 약하여 100%의 쌀가루로는 국수를 제면하지 못하거나, 제조하였다 하더라도, 딱딱하고 거칠며 쉽게 부서져 사용하지 못하여 왔으나,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스크류(13)와, 압축 및 추진날개(30)의 회전에 의해 교반과 분쇄를 강하게 하여 쌀가루나 쌀을 찐 다음 반죽된 쌀반죽에 점착성 및 복원성을 부여하여 쌀국수를 제조하였다.
이동스크류(13) 및 압축 및 추진날개(30)는 하나의 축에 연결하여, 모터(10)의 회 전력 250 RPM/분으로 3분간 회전시켜 이송스크류와 압축 및 추진날개에 의해 쌀반죽에 점착성 및 복원성이 나타나는 것을 창안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쌀국수인출판의 전면하부에는 콘베어벨트(100)가 설치되어 성형된 쌀국수를 인출할 수 있도록 개량한 쌀국수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100% 쌀가루를 찜통에 찐 다음, 반죽공급부(9)의 반죽투입구(6)를 통하여 투입함과 동시에 모터(1)를 구동시키면, 모터(1)에 연결된 기어(2)와 체인 또는 밸트(3)에 의해 연결된 다른 기어(2-1)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다른기어(2-1)의 하부에 연결되어 반죽공급부(9) 내에 설치된 반죽주입스크류(4)가 회전되어 반죽주입스크류(4)에 구비된 다수개의 교반날개(4-1)를 250 RPM/분으로 3분간 회전시켜 이송스크류(13)와 압축 및 추진날개(30)에 의해 찜통에서 찐 쌀가루를 반죽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호퍼(21)로 밀어 넣으면, 호퍼(21)에 반죽이 투입되면, 모터(10)가 작동되어 모터(10)와 재반죽 및 압축기풀리(12)에 의해 연결된 이송스크류축(14)이 회전되면서, 이송스크류(13)가 회전되어 반죽을 분쇄하여 재반죽하면서 전면으로 밀어내면, 이송스크류(13)의 전면에 설치된 압축 및 추 진날개(30)에 의해 전면으로 이송되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전면에 설치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의 일측에 설치된
국수인출판고정대(35)의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에 삽입된 국수인출판(43)의 국수인출통공(50)으로 쌀국수가 성형되면, 상기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콘베아벨트(110)가 작동되어 성형된 쌀국수 제조하였다.
실시예2
통쌀을 찜통에 찐 다음, 반죽공급부(9)의 반죽투입구(6)를 통하여 투입함과 동시에 모터(1)를 구동시키면, 모터(1)에 연결된 기어(2)와 체인 또는 밸트(3)에 의해 연결된 다른 기어(2-1)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다른기어(2-1)의 하부에 연결되어 반죽공급부(9) 내에 설치된 반죽주입스크류(4)가 회전되어 반죽주입스크류(4)에 구비된 다수개의 교반날개(4-1)를 250 RPM/분으로 3분간 회전시켜 이송스크류(13)와 압축 및 추진날개(30)에 의해 찜통에서 찐 쌀가루를 반죽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호퍼(21)로 밀어 넣으면, 호퍼(21)에 반죽이 투입되면, 모터(10)가 작동되어 모터(10)와 재반죽 및 압축기풀리(12)에 의해 연결된 이송스크류축(14)이 회전되면서, 이송스크류(13)가 회전되어 반죽을 분쇄하여 재반죽하면서 전면으로 밀어내면, 상기 이송스크류(13)의 전면에 설치된 압축 및 추진날개(30)에 의해 전면으로 이송되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전면에 설치된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의 일측에 설치된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미닫이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와,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에 삽입되는 국수인출판(43-1)의 국수인출통공(50)으로 쌀국수가 성형되면, 상기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콘베아벨트(110)가 작동되어 성형된 쌀국수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 조립 및 분해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의 다른 예 조립 및 분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모터(1,10, 110), 기아(2,2-1), 체인 또는 벨트(3), 반죽주입스크류(4), 교반날개(4-1), 반죽투입구(6), 반죽공급부(9),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 이송스크류(13), 이송스크류축(14), 이송스크류절삭부(15), 재반죽 및 압축기(20), 호퍼(21), 이송스크류안치부(22), 모터연결부(23), 국수인출기연결부(24), 재반죽 및 압축기지지대(25), 이송스크류안치부돌기(26), 칸막이(27,27`), 칸막이통공(28),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 압축 및 추진날개(30),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 국수인출판고정대(35),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부(41),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42), 국수인출판(43,43-1), 국수인출통공(50), 콘베아벨트(1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쌀국수제조기는
100% 쌀가루를 찜통에 찌거나, 쌀을 찜통에 찐 원료로 된 쌀반죽이 유입되는 호퍼(21)가 구비된 재반죽 및 압축기(20)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에 내장된 이송스크류축(14)에 연결되는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에 체인 또는 벨트(3)로 연결된 모터(10)와,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후면에 나사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국수인출판(43,43-1)이 구비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으로 구성된 쌀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는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100%의 쌀가루로 반죽된 쌀반죽이 투입되는 호퍼(21)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원통형상의 이송스크류안치부(22)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후면부이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후면에 설치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27)로 구분되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 모터연결부(23)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전면부이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전면에 설치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27')로 구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국수인출기연결부(24)와,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송스크류안치부돌기(26)와,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에 안치되는 이송스크류(13)와, 상기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외측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국수연결부외부 테두리(29)와,
상기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내측에는 칸막이(27`)의 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송스크류(13)는 이송스크류축(14)에 내삽관통되어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중앙부에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 직경이 좁아지며 외측에 형성된 4개의 날개부분이 끝단으로 갈수록 넓고 날카롭게 형성된 압축 및 추진날개(30)와,
상기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국수를 인출하는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스크류(13)는 호퍼(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공형상의 원통형 형상이며 외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13)의 끝단부에는 일측의 스크류 일부가 절개된 스크류절삭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끝단부 외축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14)으로 구성된 구조이며,
상기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원형 테두리 내측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요철을 두어 수동으로 나사식으로 조립분해를 원활하게 한 원형형상이며, 다른 일측은 원형형상으로 막혀져 있으며, 중앙부에는 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국수인출판고정대(35)와, 상기 국수인출판고정대(35)에 일측에서 삽입되는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국수인출판고정대(35)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측에는 통공이 구비되며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이 미닫이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으로 구비된 쌀국수제조기인 것이다.
상기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원형 테두리 내측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요철을 두어 수동으로 나사식으로 조립분해를 원활하게 한 원형형상이며, 다른 일측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테두리의 상하부에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된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와, 상기 상하부로 이격된 두 개의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의 내측에 설치된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과,
상기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미닫이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와,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에 삽입되는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하부 외부 끝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미닫이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부(41)와,
상기 중앙부 통공부 외측 끝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1)이 미닫이식으로 삽입결합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42)으로 구비된 쌀국수제조기인 것이다.
본 발명은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상부에 쌀반죽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된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축에 연결된 기어(2)에 체인 또는 밸트(3)에 의해 연결된 다른 기어(2-1)과, 상기 다른기어(2-1)의 하부에 연결되어 반죽공급부(9) 내에 설치되며, 교반날개(4-1)가 다수개 구비된 반죽주입스크류(4)를 설치하고,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끝단부에 설치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국수를 인출하는 콘베어벨트(100)과, 상기 콘베어벨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콘베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110)가 더 구비된 쌀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중앙부의 이송스크류안치부(22)에 이송스크류(13)가 결합된 이송스크류축(14)를 안치한 후에, 상기 이송스크류축(14)에 모터(10)를 모터연결부(23)에 의해 연결하고, 다른 이송스크류축(14)에 압축 및 추진날개(30)을 삽입시켜 설치한 다음,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에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의 내측을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시킨 후에,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의 외측의 원형형상으로 막혀져 있으며, 중앙부에는 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국수인출판고정대(35)에 설치된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 에 다수개의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을 미닫이식으로 삽입하여 조립하여 완결하는 것이다.
또다른 조립방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중앙부의 이송스크류안치부(22)에 이송스크류(13)가 결합된 이송스크류축(14)를 안치한 후에, 상기 이송스크류축(14)에 모터(10)를 모터연결부(23)에 의해 연결하고, 다른 이송스크류축(14)에 압축 및 추진날개(30)을 삽입시켜 설치한 다음,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에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의 내측을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시킨 후에,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의 외측에 설치된 다른 일측의
중앙부 통공테두리의 상하부에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된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의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의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부(41)을 미닫이식으로 삽입시켜 조립한 다음,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의 외측 상하부 외부 끝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42)에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1)을 미닫이식으로 삽입하여 조립하여 완결하는 것이다,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상부에는 반죽공급부(9)를 설치하되 내부에 교반날개(4-1)가 다수개 구비된 반죽주입스크류(4)가 내장되도록 설치되며, 반죽주입 스크류(4)의 상부에는 다른 기어(2-1)와, 상기 다른 기어(2-1)에 체인 또는 밸트(3)에 의해 일측에 설치된 모터(1)축에 설치된 기어(2)와 연결하였으며,
상기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 31-1)의 하부에는 모터(110)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콘베어벨트(100)를 조립설치하였다.
실험예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100% 쌀가루로 제조된 쌀국수를 조리하여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2
비교 평가항목 졸깃졸깃한 맛 씹는 맛 면발의 정도 기호도
실시예1에 따른 물국수 4.1 4.2 4.2 4.4
실시예2에 따른 물국수 4.0 4.3 4.2 4.3
종래의 일반 밀가루로 제조된 물국수 3.8 3.9 3.6 3.9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
2 : 나쁘다, 약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강하다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장치로 제조한 100% 쌀가루로 제조된 쌀국수를 이용한 물국수의 전체적인 맛이 조화를 이루었으며, 각 재료의 졸깃졸깃한 맛, 씹는맛, 면발의 정도 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면에 설치된 압축 및 추진날개를 통과하면서 2차 쇄절 및 반죽하여 점성을 극대화 시킨 후에, 국수인출판의 국수인출통공을 통해 국수를 인출 제조하여 100%의 쌀로 조성된 쌀국수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생활 문화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쌀국수제조기에 있어서,
    100% 쌀가루 또는 쌀을 찜통에 쪄서 반죽된 쌀반죽이 유입되는 재반죽 및 압축기(20)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재반죽 및 압축기(20)에 내장된 이송스크류축(14)에 연결되는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 풀리(12)에 체인 또는 벨트(3)로 연결된 모터(10)와,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후면에 나사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국수인출판(43,43-1)이 구비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는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100%의 쌀가루로 반죽된 쌀반죽이 투입되는 호퍼(21)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원통형상의 이송스크류안치부(22)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후면부이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후면에 설치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27)로 구분되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 모터연결부(23)와,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전면부이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전면에 설치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27')로 구분되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국수인출기연결부(24)와,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송스크류안치부돌기(26)와, 상기 이송스크류안치부(22)에 안치되는 이송스크류(13)와, 상기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외측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국수연결부외부 테두리(29)와,
    상기 국수인출기연결부(24)의 내측에는 칸막이(27`)의 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송스크류(13)의 이송스크류축(14)에 내삽관통되어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중앙부에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 직경이 좁아지며 외측에 형성된 4개의 날개부분이 끝단으로 갈수록 넓고 날카롭게 형성된 압축 및 추진날개(30)와,
    상기 국수연결부외부테두리(29)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국수를 인출하는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스크류(13)는 호퍼(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공형상의 원통형 형상이며 외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13)의 끝단부에는 일측의 스크류 일부가 절개된 스크류절삭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끝단부 외축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은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원형 테두리 내측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요철을 두어 수동으로 나사식으로 조립분해를 원활하게 한 원형형상이며, 다른 일측은 원형형상으로 막혀져 있으며, 중앙부에는 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국수인출판고정대(35)와, 상기 국수인출판고정대(35)에 일측에서 삽입되는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국수인출판고정대(35)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측에는 통공이 구비되며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이 미닫이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3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제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1)은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원형 테두리 내측에 나사선이 구비되며 외측에는 요철을 두어 수동으로 나사식으로 조립분해를 원활하게 한 원형형상이며, 다른 일측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테두리의 상하부에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된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와, 상기 상하부로 이격된 두 개의 국수인출기삽입고정대(32)의 내측에 설치된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과,
    상기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미닫이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와,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에 삽입되는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40)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하부 외부 끝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국수인출기고정삽입홈(33)에 미닫이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부(41)와,
    상기 중앙부 통공부 외측 끝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국수인출통공(50)이 구비된 국수인출판(43-1)이 미닫이식으로 삽입결합되는 조립식국수인출판고정대삽입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제조기.
  4.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상부에 100%쌀가루를 찜통에 찌거나, 쌀을 찜통에 찐 원료를 반죽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된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축에 연결된 기어(2)에 체인 또는 밸트(3)에 의해 연결된 다른 기어(2-1)과, 상기 다른기어(2-1)의 하부에 연결되어 반죽공급부(9) 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교반날개(4-1)이 구비된 반죽주입스크류(4)를 설치하고,
    상기 재반죽 및 압축기(20)의 끝단부에 설치된 국수인출기연결케이싱(31,3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국수를 인출하는 콘베어벨트(100)과, 상기 콘베어벨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콘베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110)가 더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제조기.
  5. 삭제
KR1020060100853A 2006-10-17 2006-10-17 쌀국수제조기 KR10082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53A KR100829120B1 (ko) 2006-10-17 2006-10-17 쌀국수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53A KR100829120B1 (ko) 2006-10-17 2006-10-17 쌀국수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35A KR20080034635A (ko) 2008-04-22
KR100829120B1 true KR100829120B1 (ko) 2008-05-13

Family

ID=3957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53A KR100829120B1 (ko) 2006-10-17 2006-10-17 쌀국수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61B1 (ko) * 2013-07-15 2015-03-0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곡물 퍼핑 장치
CN107279211A (zh) * 2016-04-03 2017-10-24 渤海大学 一种自动、连续制作多层瓤烙饼饼坯的方法
KR102182100B1 (ko) 2020-03-24 2020-11-23 이용재 쌀국수면 생산 장치
KR102188088B1 (ko) 2020-03-24 2020-12-07 이용재 쌀국수면 및 쌀국수면의 생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36Y1 (ko) * 2009-04-03 2010-04-21 최종묵 떡 분리기능을 갖는 주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370A (ko) * 2002-05-27 2003-12-03 씨제이 주식회사 쌀국수의 제조방법
KR20030092817A (ko) * 2002-05-31 2003-12-06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20050034883A (ko) * 2003-10-10 2005-04-15 김영기 착즙 분쇄기
KR20050050330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뉴파워 녹즙기
KR20060078559A (ko) * 2004-12-31 2006-07-05 이청재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370A (ko) * 2002-05-27 2003-12-03 씨제이 주식회사 쌀국수의 제조방법
KR20030092817A (ko) * 2002-05-31 2003-12-06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20050034883A (ko) * 2003-10-10 2005-04-15 김영기 착즙 분쇄기
KR20050050330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뉴파워 녹즙기
KR20060078559A (ko) * 2004-12-31 2006-07-05 이청재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61B1 (ko) * 2013-07-15 2015-03-0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곡물 퍼핑 장치
CN107279211A (zh) * 2016-04-03 2017-10-24 渤海大学 一种自动、连续制作多层瓤烙饼饼坯的方法
KR102182100B1 (ko) 2020-03-24 2020-11-23 이용재 쌀국수면 생산 장치
KR102188088B1 (ko) 2020-03-24 2020-12-07 이용재 쌀국수면 및 쌀국수면의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635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8016C (en) Manufacture of pasta
KR100829120B1 (ko) 쌀국수제조기
KR19990068445A (ko) 찹쌀분말을이용한유과의제조방법및장치
KR100949167B1 (ko) 쌀국수 제조장치
CN110270417B (zh) 一种谷物原料的混合制粉装置
CN102806131A (zh) 一种竹笋全粉机及竹笋粉的生产工艺
CN108208114A (zh) 一种速冻水饺加工用肉馅快速制作装置
KR200441547Y1 (ko) 제면기
KR100857184B1 (ko)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CN108450160A (zh) 一种饲料加工用的多重切割装置
CN111248237A (zh) 一种面条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KR101141748B1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406B1 (ko) 야콘빵, 야콘이 함유된 제과, 제빵 및 제면용 원료제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N211581393U (zh) 一种新型面条机结构
CN210382400U (zh) 一种免煮即食燕麦面条制备装置
CN201230540Y (zh) 灌汤面条机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KR100494260B1 (ko) 다용도 국수제조기
JP2006191927A (ja) 大豆蛋白含有シート状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KR200325754Y1 (ko) 다용도 국수제조기
CN219849895U (zh) 适用于香芋面条制备的原料预处理装置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101409271B1 (ko) 버섯모양의 뻥튀기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