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184B1 -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184B1
KR100857184B1 KR1020080020640A KR20080020640A KR100857184B1 KR 100857184 B1 KR100857184 B1 KR 100857184B1 KR 1020080020640 A KR1020080020640 A KR 1020080020640A KR 20080020640 A KR20080020640 A KR 20080020640A KR 100857184 B1 KR100857184 B1 KR 100857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crew
housing
screw housing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종
이장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2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미, 보리와 같은 점탄성이 떨어지는 곡류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면류를 제조하게 하는 장치로서, 특히,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낮은 곡류를 가루화하여 면류를 제조할 때, 밀가루와는 달리 반죽의 응집력이 떨어져 면류의 제조에 매우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 일부에 가열부와 냉각부를 설치하여, 가열부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이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하우징 일부의 냉각부를 통하여서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반죽이 차게되어 압출 시 면류이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점탄성이 높은 면류가 만들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리면, 가열부, 냉각부

Description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 variety of grain noodles products}
본 발명은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미, 보리와 같은 점탄성이 떨어지는 곡류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면류를 제조하게 하는 장치로서, 특히,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낮은 곡류를 가루화하여 면류를 제조할 때, 밀가루와는 달리 반죽의 응집력이 떨어져 면류의 제조에 매우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 일부에 가열부와 냉각부를 설치하여, 가열부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이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하우징 일부의 냉각부를 통하여서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반죽이 차게되어 압출시 면류이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점탄성이 높은 면류가 만들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류 중 현미나, 보리는 다른 곡류에 비하여 점탄성이 낮다, 그중 보리는 껍질이 밀착하여 잘 분리되지 않는 껍질보리와 껍질이 잘 분리되는 쌀보 리가 있다. 보리의 영양성분으로는 탄수화물은 약 70%로 밀보다 적으나 섬유소가 많으며. 단백질이 10%정도이고, 글루텐이 없으며, 호르데인(hordein)이 중요 단백질이다. 회분 중에는 인과 칼륨, 칼슘, 철이 많으나 비타민 A와 C는 함유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B1, B2의 함량이 높아 각기병을 예방해주며, 설사를 멈추게 하고, 쌀에 부족한 비타민 B1은 탄수화물대사에 큰 도움을 주며, 알칼리성 식품의 장점도 있어 건강유지에 필요하며 권할만한 식품이며, 보리는 쌀에 비해 섬유질이 5배 이상 많기 때문에 소화율은 낮지만,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없애주고, 비만을 예방하며,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방해한다.
보리는 질병에 강해 농약을 적게 사용하여 재배하고 도정하여도 배유내부에 비타민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지속적인 섭취는 비타민 B군의 원활한 공급으로 피로회복이 빠르고 당뇨병, 고혈압, 변비 등 성인병 예방에 좋다. 그러나, 보리의 사용범위를 살펴보면, 감주, 누룩, 막걸리, 고추장, 수제비, 식혜, 엿기름, 맥주, 차, 음료 등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보리 자체를 이용하는 용도는 가열 압편한 압맥이 있으며, 보리를 볶아서 분말로 한 것이 보리미숫가루 등이 있는 등 보리의 다양한 용도의 사용에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리를 더욱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떨어지는 곡류를 이용하여 국수, 수제비 등의 면류로 만들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알맞은 특수한 기계장치가 필요함을 알아 점탄성이 떨어지는 곡류를 이용하는 면류 제조장치에 가열부와 냉각부를 가지는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면류는 밀가루 단백질의 주성분인 글루텐의 점탄성을 이용한 것으로, 소맥분에 물과 소금을 넣고 반죽 후 길고 가늘게 성형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밀가루 가공품의 하나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를 이용하여 면류를 제조하고자한 것으로,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가루는 밀가루와는 달리 점탄성이 없어 물과 함께 가루를 반죽하여 면류로 가공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면류기 또는 반죽기는 교반 스크류가 설치된 반죽통에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이 물과 함께 투입되면 작동한다. 이때, 교반 스크류는 회전하면서 곡분을 물과 함께 반죽하여 페이스트상태의 반죽물을 생성한다. 이렇게, 반죽물이 생성되면, 작업자는 반죽통에서 반죽물을 꺼내고, 꺼낸 반죽을 다시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으로 국수 이외의 면류를 제조할 경우에는, 반죽을 이에 적합하게 가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반죽기는 곡분이 물에 의해서만 결합되고, 숙성 과정은 거치지 않으므로, 점탄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반죽기를 이용하는 전술한 면류 제조장치는, 반죽기에 의하여 숙성되지 않고 전혀 익혀지지 않은 생반죽으로 생면으로 제조하므로, 조리자는 생면을 완전하게 익히기 위하여 보다 많은 조리시간을 소요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리된 생면의 점성이 미흡하여 졸깃졸깃한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전술한 면류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생면은, 반죽이 건조 과정을 거치지 못하므로, 점성이 더욱 미흡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점탄성이 낮은 곡류를 이용한 즉석 국수, 우동이나 자장면과 같은 즉석 생면제품에 적용될 경우, 면의 조리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졸깃졸깃한 맛도 즐길 수 없으므로,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미나 보리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면류를 제조하게 하는 장치로서, 특히, 현미나 보리 등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가루를 이용하여 면류를 제조할 때, 밀가루와는 달리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가루는 반죽의 응집력이 떨어져 면류의 제조에 매우 어려움 점이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 일부 즉, 선단부에 가열부와 유출부에 냉각부를 설치하여, 가열부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이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 가루의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하우징의 유출부에 냉각부를 통하여서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반죽이 차게되어 압출시 면류의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점탄성이 높은 면류가 만들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를 제공하자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하우징의 가열부에 의하여 반죽의 숙성수단이 반죽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므로, 점성이 강화된 반죽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숙성수단이 스팀공급유닛 일 경우, 반죽물을 반숙 상태로 공급하므로, 생면의 조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반죽기를 갖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는, 반죽기의 반죽물이 국수 형태로 세단되며, 냉각부에 의해 반죽물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알맞은 상태로 건조시키므로, 생면의 점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미, 보리와 같은 점탄성이 떨어지는 곡류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면류를 제조하게 하는 장치로서,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낮은 곡류를 가루화하여 면류를 제조할 때, 밀가루와는 달리 반죽의 응집력이 떨어져 면류의 제조에 매우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 일부에 가열부(D)와 냉각부(E)를 설치하여, 가열부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이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하우징 일부의 냉각부를 통하여서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반죽이 차게 되어 압출시 면류이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점탄성이 높은 면류가 만들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를 제공하자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만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면류 제조장치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탱크(A)에서 물을 공급받아, 배합 반죽기(B)에서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배합하는 1차 반죽단계가 이루어지며, 반죽된 곡류의 반죽물을 반죽가압기(4)에 넣어 반죽 가압기모터(M2)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스크류 하우징(1)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현미나 보리와 같이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가루인 경우 반죽의 응집력이 떨어져 점탄성이 없기 때문에 스크류 하우징(1) 내부로 투입이 용이하지 않아, 반죽된 반죽물을 스크류형의 반죽가압기(4)에 넣어 반죽 가압기모터(M2)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스크류 하우징(1)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의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샤프트지지케이스(2)와 체결된 메인 스크 류(3)에 의하여 내부로 들어온 반죽물을 반죽 이송 스크류(3-1)를 통하여 면유출구(8)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시키며, 반죽을 더욱 탄력성 있게 하고, 반죽 이송 스크류(3-1)를 통하여 이송된 반죽물을 다시 반죽 이송 수평 스크류(3-2)를 통하여 면유출구(8)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시킨다. 이때 반죽물이 반죽 압출스크류(3-3)의 회전력의 의하여 반죽이 더욱 단단하게 압착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되어 유출되면, 면 컨베어(9)의 의하여 이송되고 면 컷팅기(10)에 의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양한 곡류를 이용한 면을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면류 제조 장치에는 각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가온 온도, 냉각온도, 스크류 회전수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콘트롤박스(C)를 가지고 있으며, 콘트롤박스(C)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메인모터(M1)의 동력에 의하여 샤프트지지케이스(2)와 연결된 메인스크류(3)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과 비교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있는 가열부(D)에는 파라핀을 충진시켜 밀폐시킨 파라핀케이스(5)가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파라핀케이스(5)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밴드히터(6)를 설치하므로서, 기본적인 열원은 스크류의 압출에 의하여 발생되나, 보조열원으로 밴드히터(6)의 가열로 인하여 파라핀케이스(5) 내부의 파라핀이 용해되고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로 가온되어 균일한 온도가 전달 되어짐으로, 상기 반죽가압기(4)를 통하여 스크류 하우징(1) 내부의 메인스크류(3) 내부로 들어온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반죽물에 열이 전달되어지며, 이로 인하여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반죽물에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잘 결집된 반죽물은 반죽 이송 스크류(3-1)를 통하여 면유출구(8)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시키며, 반죽을 더욱 탄력성 있게 하고, 반죽이송 스크류(3-1)를 통하여 이송된 반죽물을 다시 반죽 이송 수평 스크류(3-2)를 통하여 면유출구(8)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시킨다. 상기 가열부(D)의 파라핀통(5) 설치는, 스크류 하우징(1)에 내제된 반죽 이송 스크류(3-1)와 반죽 이송 수평 스크류(3-2)가 위치하는 영역까지로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있는 냉각부(E)에는 냉수가 내제되어 순환하도록 냉각자켓(7)이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으로 설치되며, 이는 스크류 하우징(1) 내제된 압출 스크류(3-3)가 위치하는 일정한 영역으로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냉각자켓(7)를 통하여서 냉수로 냉각시킴으로써 압출열을 감소시켜 스크류 하우징(1) 내부의 반죽 압출 스크류(3-3)에 반죽되는 반죽물이 차게 되며, 반죽 압출 스크류(3-3)의 회전력의 의하여 반죽이 더욱 단단하게 압착되어 면류의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되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샤프트지지케이스(2)와 체결된 메인스크류(3)는 1개의 환봉에 나선을 3단계로 나누어 구성된 것으 로, 1차 나선은 스크류하우징(1)과의 간극을 크게 하여 그 길이가 약 350mm 정도의 반죽 이송 스크류(3-1)와, 2차 나선은 축방향으로 약 20도 경사를 가진 수평(가로)형태로 그 길이가 약 50mm정도의 반죽 이송 수평스크류(3-2)와, 3차 나선은 하우징과의 간극을 조밀하게 하여 강한 압출형태로 구성되며 그 길이가 약 150mm 정도의 반죽 압출 스크류(3-3)를 두어 회전력의 의하여 반죽이 더욱 단단하게 압착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되어 유출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D)의 파라핀통(5) 설치는, 스크류 하우징(1)에 내제된 반죽이송스크류(3-1)와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가 위치하는 영역까지로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하며, 밴드히터(6)의 설치는 파라핀케이스(5)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밴드히터(6)를 설치 하므로서, 스크류의 압출에 의하여 기본열원이 발생되나, 보조열원으로 밴드히터(6)의 가열로 인하여 파라핀케이스(5) 내부의 파라핀이 용해되고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로 가온되어 균일한 온도가 전달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 냉각부(E)에는 냉수가 내제되어 순환하도록 냉수주입구(7-1)와 배출구(7-2)를 가진 냉각자켓(7)이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으로 설치되며, 이는 스크류 하우징(1) 내제된 압출스크류(3-3)가 위치하는 일정한 영역으로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냉각자켓(7)를 통하여서 냉수로 냉각시킴으로써 압출열을 감소시켜 스크류 하우징(1) 내부의 반죽압출스크류(3-3)에 반죽되는 반죽물이 차게되며, 반죽압출스크류(3-3)의 회전력의 의하여 반죽이 더욱 단단하게 압착되어 면류의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되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반죽피드백홈(1-1)은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 벽면에 6개 정도의 홈을 형성하여, 메인스크류(3)에 의하여 내부로 들어온 반죽물을 반죽이송스크류(3-1)를 통하여 반죽을 더욱 탄력성 있게 하여, 다시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를 통하여 면유출구(8)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시킨다. 이때 반죽물이 반죽압출스크류(3-3)의 회전력의 의하여 반죽이 더욱 단단하게 압착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되어 유출되어지나,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와 반죽압출스크류(3-3)의 영역사이에 모여진 반죽물이 면유출구(8)를 통하여 배출이 지연될 때, 반죽피드백홈(1-1)을 통하여 반죽가압기(4)에서 반죽물이 공급되는 반죽이송스크류(3-1)의 영역으로 피드백되어 반복해서 반죽되어짐으로서, 면유출구(8)를 통한 반죽물의 배출 지연방지와 반죽물의 재반죽으로 인한 점탄성의 증가로 더욱 질 좋은 면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같은 반죽피드백홈(1-1)은 스크류 하우징(1)에 내제된 반죽이송스크류(3-1)와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가 위치하는 영역까지로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에 6개 정도의 홈을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스크류 하우징 내부의 반죽 피드백 홈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죽피드백홈(1-1)을 점선으로 투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면류 제조 장치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 우징 일부에 가열부와 냉각부를 설치하여, 가열부를 통하여 전달된 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이 가온되어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반죽물의 결집력을 향상시켜 반죽이 잘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하우징의 유출부에 냉각부를 통하여서 스크류 하우징 내부에 반죽되는 반죽이 차게 되어 압출시 면류의 형태가 일정하게 잘 결집되어 면류가 만들어지는 면류 제조 장치를 통하여 점탄성이 낮은 곡류의 반죽물를 이용한 면류 산업에 크게 기여하며 산업적으로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면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면류 제조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면류 제조장치의 스크류 하우징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몸스크류 하우징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스크류 하우징 내부의 반죽 피드백 홈의 구성도
Figure 112008016310261-pat00001

Claims (4)

  1.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는 반죽가압기모터(M2)에 의하여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스크류 하우징(1) 내부로 밀어 넣는 반죽가압기(4)와 스크류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샤프트지지케이스(2)와 체결된 메인스크류(3)에 의하여 내부로 들어온 반죽물을 이송하는 반죽이송스크류(3-1),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 반죽압출스크류(3-3)에 의하여 반줄물이 압착되어 면유출구(8)로 면이 성형유출되면, 면컨베어(9)의 의하여 이송되고 면컷팅기(10)에 의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면을 제조하게 되는 면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하우징(1)에 내제된 반죽이송스크류(3-1)와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가 위치하는 영역의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에 설치된 가열부(D))는,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으로 파라핀을 충진시켜 밀폐시킨 파라핀케이스(5)와,
    파라핀케이스(5)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밴드히터(6)를 스크류 하우징(1)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류 하우징(1)은, 반죽이송스크류(3-1)에서 반죽이송수평스크류(3-2)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스크류 하우징(1) 내부 벽면에 6개의 반죽 피드백 홈(1-1)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제조장치.
KR1020080020640A 2008-03-05 2008-03-05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KR100857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40A KR100857184B1 (ko) 2008-03-05 2008-03-05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40A KR100857184B1 (ko) 2008-03-05 2008-03-05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184B1 true KR100857184B1 (ko) 2008-09-05

Family

ID=4002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640A KR100857184B1 (ko) 2008-03-05 2008-03-05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1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30B1 (ko) 2009-11-19 2012-06-15 문윤순 내공(內空)이 형성되는 국수 및 떡 제조장치
KR101581156B1 (ko) 2015-01-07 2015-12-29 배동국 이중창을 가진 쌀국수 제조장치
CN105532786A (zh) * 2014-10-29 2016-05-04 宁夏翔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面条机
CN105851111A (zh) * 2015-12-09 2016-08-17 张浩宇 一种切面机
KR101645523B1 (ko) * 2016-03-29 2016-08-23 정건우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96A (ko) * 2001-06-02 2002-12-11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96A (ko) * 2001-06-02 2002-12-11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30B1 (ko) 2009-11-19 2012-06-15 문윤순 내공(內空)이 형성되는 국수 및 떡 제조장치
CN105532786A (zh) * 2014-10-29 2016-05-04 宁夏翔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面条机
KR101581156B1 (ko) 2015-01-07 2015-12-29 배동국 이중창을 가진 쌀국수 제조장치
CN105851111A (zh) * 2015-12-09 2016-08-17 张浩宇 一种切面机
KR101645523B1 (ko) * 2016-03-29 2016-08-23 정건우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0993B (zh) 无定形蛋白质挤出物
KR100857184B1 (ko)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CN204317467U (zh) 膨化食品自动生产线
CN100506087C (zh) 一种杂粮食品的制作方法
US8322272B1 (en) Method for positive feeding of preconditioned material into a twin screw extruder
JPS63500143A (ja) ふすま製品の押出し製造方法
CN107692189A (zh) 一种香菇粉挤压膨化加工方法及加工设备
CN101692928B (zh) 一种适用于食品、饲料挤压膨化的加工装置
RU2370104C2 (ru) Получение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US5997934A (en) Manufacture of cooked cereals
KR101862703B1 (ko) 현미 스낵 생산 시스템
CN109259090A (zh) 一种酸奶味膨化谷物食品及其制作方法
KR100829120B1 (ko) 쌀국수제조기
KR200441547Y1 (ko) 제면기
CN109287959A (zh) 一种低温免煮即食燕麦面条制备方法及低温燕麦面条机
WO2018078170A1 (en) Biscuit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141748B1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6363431U (zh) 一种用于制备火麻仁杂粮面条的螺杆挤压机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1645523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CN109170479A (zh) 一种酱类杀菌设备及其使用方法
KR200346481Y1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20110090562A (ko) 칼라 뻥튀기의 제조방법
KR101719169B1 (ko)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