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445A -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 Google Patents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445A
KR20120111445A KR1020110029910A KR20110029910A KR20120111445A KR 20120111445 A KR20120111445 A KR 20120111445A KR 1020110029910 A KR1020110029910 A KR 1020110029910A KR 20110029910 A KR20110029910 A KR 20110029910A KR 20120111445 A KR20120111445 A KR 2012011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crew assembly
housing
juic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845B1 (ko
Inventor
정의성
정대중
성연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2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45B1/ko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21913.6A priority patent/CN102933123B/zh
Priority to SG2013030481A priority patent/SG189503A1/en
Priority to US13/881,495 priority patent/US9788676B2/en
Priority to JP2013536500A priority patent/JP5816290B2/ja
Priority to DK11836575.8T priority patent/DK2632304T3/en
Priority to PL11836575T priority patent/PL2632304T3/pl
Priority to EP11836575.8A priority patent/EP2632304B1/en
Priority to AU2011321202A priority patent/AU2011321202B2/en
Priority to CN201410471583.6A priority patent/CN104223928B/zh
Priority to MYPI2013001420A priority patent/MY163299A/en
Priority to PCT/KR2011/007943 priority patent/WO2012057483A2/en
Publication of KR2012011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45A/ko
Priority to US15/710,167 priority patent/US109052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스크류가 장착되는 하우징 내부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착즙물과 찌꺼기를 손쉽게 유로를 통해 분리수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An extracting juice screw assembly comprising an extracting mesh}
본 발명은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스크류가 장착되는 하우징 내부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착즙물과 찌꺼기를 손쉽게 유로를 통해 분리수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서기는 분쇄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내에 과일이나 야채를 수용한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분쇄스크류를 회전함으로써 과일이나 야채를 압착 분쇄하여 과즙과 같은 착즙물을 추출하여 음용하게 된다. 기존의 주서기들은 고속으로 구동하는 분쇄스크류에 의하여 과육 등이 잘게 부서지기 때문에 분쇄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과일 등이 분쇄스크류에 의하여 고속분쇄되기 때문에 과일의 고유한 향과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하여 최근 감속장치를 통하여 회전속도를 저감하고 회전토크를 증가시킨 주서기가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주서기에서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분쇄스크류가 수용되는 망하우징을 안내하기 위한 망하우징 안내턱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망하우징 안내턱은 하우징 내에서 추출되는 착즙물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착즙물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있어서 망하우징 안내턱의 높이로 인하여 착즙물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주서기는 구동모터가 장착된 본체에 하우징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본체와 하우징의 결합부가 "ㄴ"자로 이루어진 언더컷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을 본체 상에 결합하는 경우에 단순하게 안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회전동작을 가해서 체결을 완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너무 많은 부품으로 주서기를 구성할 경우, 각각을 분리하여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착즙 후 세척하여야 하는 부품이 4개라면, 사용자는 주서기를 분리하여 4개의 부품을 모두 별도로 떼어낸 후 이를 각각 세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즙물 및 찌꺼기를 분리 수용하는 주서기에 사용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척시 착탈이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착탈하여 세척하여야 하는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전후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주서기에 비하여 착즙률을 높임으로써 동일 재료를 투입한 경우에도 보다 많은 착즙물을 획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출성형되는 부품들의 내구성을 높여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이 없는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착즙날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서, 상기 몸체는 원뿔형의 상부와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형의 하부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착즙된 착즙물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 내측으로 유동하게 하는 착즙망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서 구동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하우징에 투입된 내용물을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외부면을 기준으로 착즙물 및 찌꺼기로 원활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착즙물 배출홀 및 찌꺼기 배출홀이 본체의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착즙물 유동홀 및 찌꺼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별도의 회전동작 없이 손쉽게 착탈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체화된 구조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하우징을 통해서 착즙 과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전체적인 제작비용의 절감하고 사용자의 유지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부품들의 내구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다 높은 착즙률을 이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4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분상세도로서, 도 5의 F에서의 덮개, 착즙 스크류 및 본체로 이어지는 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하우징만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 1 실시예의 도 6에 대응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와 하우징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착즙'의 용어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주입된 재료를 절단, 분쇄, 압착 및/또는 착즙물 추출의 모든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재료가 착즙되면 '착즙물'이 '찌꺼기'가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착즙물'은 사용자가 재료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찌꺼기'는 착즙물이 착즙되고 남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착즙률'은 재료 대비한 착즙물의 비율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주서기(100)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주서기(10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는 주입구(2)가 형성되는 덮개(1), 덮개(1)와 체결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및 하우징(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0)으로부터 배출되는 착즙물 및 찌꺼기를 분리수용할 수 있는 본체(30)를 포함한다.
덮개(1), 하우징(10),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및 본체(30)의 순서대로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1)는 주입구(2), 결착돌기(3) 및 회전축공(4)을 포함한다.
덮개(1)의 상부면에는 재료를 넣을 수 있는 주입구(2)가 하부면까지 관통형성된다. 상기 주입구(2)에는 가압봉(미도시)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주입구(2)에 투입된 음식물을 편리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덮개(1) 하부면의 중심에는 후술되는 착즙 스크류(21)의 상부회전축(22a)이 삽입고정되는 회전축공(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공(4)은 덮개(1) 하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2)는 회전축공(4)이 위치한 중심에서 일정 거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착즙 스크류(21)의 회전과 재료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덮개(1)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다수의 결착돌기(3)가 돌출형성된다.
하우징(10)은 중공 원통형의 용기 구조로서, 하우징(10) 내부 바닥면에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과 제 2 가이드 홈(12), 제 1 가이드 홈(11)에 형성되는 착즙물 배출홀(13), 제 2 가이드 홈(12)에 형성되는 찌꺼기 배출홀(14) 및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방수원통(15)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홈(11)은 하우징(10) 내부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 1 반경(R1)을 유지하는 원 형상이며, 제 1 가이드 홈(11) 상에는 하우징(1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시키는 착즙물 배출홀(13)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2)은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 상에서 제 1 가이드 홈(11)과 동심원을 유지하되 제 1 가이드 홈(11)보다 큰 제 2 반경(R2)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가이드 홈(12) 상에는 하우징(1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시키는 찌꺼기 배출홀(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착즙물 배출홀(13) 및 찌꺼기 배출홀(14)은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착즙물 배출홀(13)이 형성되는 원형의 제 1 가이드 홈(11) 및 찌꺼기 배출홀(14)이 형성되는 원형의 제 2 가이드 홈(12)이 하우징(10)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원통(15)은 중공 형상의 하우징(10) 내부 중앙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수원통(15)의 중심은 원형으로 관통형성된다.
결착턱(16)은 하우징(10)의 상단 외부면에 다수로 형성되며, 상술한 결착돌기(3)과 대응되고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착턱(16)은 덮개(1)에 형성된 결착돌기(3)가 삽입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및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덮개(1)와 하우징(10)이 체결된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회전축(21), 착즙 스크류(22), 착즙망(23), 착즙망 홀더(24) 및 브러쉬(25)로 구성된다.
회전축(21)은 원통형의 회전체로 상부회전축(21a), 하부회전축(21b) 및 각형축공(21c)을 포함한다.
상부회전축(21a)은 회전축(21)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축(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돌출형성된다. 상부회전축(21a)은 덮개(1)에 형성되는 회전축공(4)에 삽입되어 회전 방향을 제외한 모든 좌표(x축, y축, z축)에서 구속된다.
회전축(21)의 재질은 하우징(10) 내부에서 착즙된 착즙물을 사람이 음용하기 때문에 철의 900?1400℃에서 안정된 결정형인 면심입방결정을 다량의 니켈?크로뮴을 첨가하여 부식성의 부족을 개선한 스테인리스강(KS: STS, JIS: SU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회전축(21b)은 회전축(2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회전축과 동일축선 상에 위치하는 각형축공(21c)을 포함한다.
착즙 스크류(22)는 회전축(2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22a) 및 착즙날(22b)로 구성된다.
착즙날(22b)은 몸체(22a)의 하측 일면으로부터 외부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착즙 스크류(22)는 하우징(10) 내부의 방수원통(15)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착즙하게 된다.
착즙망(23)은 착즙 스크류(22)의 하부에 결합되고, 소정 높이를 가진 중공 형상의 원형 판재로 형성되며, 착즙홀(23a)을 포함한다.
착즙망(23)의 재질은 상술한 회전축(21)과 같이 내식성이 높은 스테인리스강(KS: STS, JIS: SUS)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홀(23a)은 착즙망(23)에 다수로 형성되며 그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하우징(10) 내부에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착즙 스크류(22)가 회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착즙된 착즙물은 착즙홀(23a)을 통과하여 착즙망(23) 내부로 흐르게 하고, 찌꺼기는 착즙망(23)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착즙홀(23a)의 크기는 분리수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즙 스크류(22) 및 착즙망(23)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일체로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착즙하게 된다. 다만,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작함에 있어서 금형온도, 보압 시간 및 압력, 수지 온도, 사출 속도, 사출 압력, 냉각 시간, 수지잔량(Cushion) 등에 의해 제품의 충진율이 결정되고 상기한 조건들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최적화된 조건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화된 조건에서 생산하는 것이 웰드라인(Weld line), 싱크마크(Sink mark), 타버림 줄(Burnt streak), 수분줄(Moisture streak), 색줄(Color streak), 공기줄(Air streak), 제팅(Jetting) 등의 사출성형 불량을 감소 되는데, 이는 제품의 불량율이 감소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착즙망 홀더(24)는 홀더 본체(24a), 외측 리브(24b), 브러싱 돌기(24c), 내측 리브(24d) 및 내측 리브홈(24e)으로 구성된다.
홀더 본체(24a)는 소정 너비를 지닌 원형 띠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 너비의 중심을 따라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착즙망(23)의 하부가 상기 홈(미도시)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외측 리브(24b)는 홀더 본체(24a)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그 하단에는 단차진 형상의 브러싱 돌기(24c)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싱 돌기(24c)는 제 2 가이드 홈(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착즙망(23)을 통과하지 못하는 찌꺼기를 후술되는 찌꺼기 배출홀(14)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내측 리브(24d)는 홀더 본체(24a)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며, 홀더 본체(24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상을 띄고 있다. 내측 리브(24d)의 개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도 및 쓰임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측 리브홈(24e)은 내측 리브(24d)의 중앙부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브러쉬(25)는 내측 리브홈(24e)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는 'T'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측 리브홈(24e)에 장착되는 연성 재질의 브러쉬(25)는 착즙망 홀더(24)를 따라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제 1 가이드 홈(11)을 지나면서 착즙망(23) 내부로 유동되는 착즙물을 착즙물 배출홀(13)로 통과시킨다.
본체(30)는 원통형에 양 측면이 오목하게 내부로 들어간 구조이며, 모터(31), 베이스(32), 착즙물 수용체(35) 및 찌꺼기 수용체(3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30)의 상면에는 착즙물 유동홀(33) 및 착즙물 유동홀(33)의 타측에 찌꺼기 유동홀(34)이 형성된다.
본체(30) 내에 수용되는 모터(31)는 각형축(31a)을 구비하며, 동력을 전달받은 모터(31)는 작동과 함께 각형축(31a)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모터(31)는 각형축(31a)와 각형축공(22c)이 체결되어 각형축공(22c)을 포함하는 회전축(2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축(22)을 둘러싸는 착즙 스크류(21)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를 회전시키게 되고 투입된 대상물을 착즙할 수 있게 된다.
본체(30)의 하부에 장착되는 베이스(32)는 본체(30)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베이스홈(32a)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의 하면과 장착이 용이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착즙물 유동홀(33)은 본체(30) 상단에 착즙물 배출홀(13)과 연통되며 착즙물 배출홀(13)을 통해 흐르는 착즙물이 유입되는 유로이다. 다만, 착즙물 유동홀(33)은 착즙물 배출홀(13)이 착즙물 유동홀(33)에 결합되도록 착즙물 유동홀(33)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찌꺼기 유동홀(34)은 찌꺼기 배출홀(14)에 연통되며, 찌꺼기 배출홀(14)을 통해 이송되는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로이다. 다만, 찌꺼기 유동홀(34)은 찌꺼기 배출홀(14)이 찌꺼기 유동홀(34)에 결합되도록 찌꺼기 유동홀(3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착즙물 유동홀(33) 및 찌꺼기 유동홀(34)은 하우징(10)과 본체(30)를 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종래의 체결돌기와 체결턱의 결합에 의한 방식보다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착즙물 수용체(35)는 중공 형상의 용기 형태로서, 본체(30)의 오목한 측면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본체(30)의 착즙물 유동홀(33)에 연통한다. 이러한 착즙물 수용체(35)는 착즙물 배출홀(13)을 통하여 흐르는 착즙물을 담아 사용자가 마실 수 있게 된다.
찌꺼기 수용체(36)는 중공 형상의 용기 형태로서, 착즙물 수용체(35)가 결합된 타측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본체(30)의 찌꺼기 유동홀(34)에 연통한다.
2. 주서기(100)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와 하우징(10) 및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구조가 상이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며, 따라서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10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1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 ⓑ, ⓒ, ⓓ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 부분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몸체(22a)가 원뿔형인 부분으로, 하우징(1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에 재료가 투입되기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주입구(2)를 통하여 투입된 재료가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면, 최상부의 착즙날(22b)에 의해 주로 분쇄가 이루어지며, 일정량의 착즙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 부분의 형상은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 ⓒ 부분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몸체(22a)가 뒤집힌 원뿔대형인 부분으로, 하우징(1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의 공간은 압착을 위해 좁게 이루어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다. 제 1 실시예에서 ⓑ, ⓒ 부분은 원통형이다.
ⓑ 부분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착즙망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 부분에서 일정 크기로 분쇄된 재료에 대한 압착이 주로 이루어진다. 착즙된 착즙물과 찌꺼기는 하우징(1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 공간을 따라 하강한다.
ⓒ 부분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에 착즙망(23)이 존재하는 부분으로, ⓑ 부분에 이어 계속하여 압착이 이루어진다. 착즙물은 착즙망(23)을 통과하여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내측으로 유동하고, 찌꺼기는 착즙망(23)을 통과하지 못하여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외부면을 따라 하강한다.
ⓓ 부분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최하단으로서 찌꺼기 역류 방지 구조체 위치한다. 찌꺼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몸체(22a)에 이어져서 내측으로 테이퍼진 연결부(26); 연결부(26) 하단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방지막(27); 연결부(26)의 하단이자 방지막(27) 측면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찌꺼기밀개(28a, 28b); 그리고 방지막(27)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의 역류방지편(29)으로 이루어진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경우, 찌꺼기 연결 방지 구조체는 하우징(10)에 형성된 찌꺼기밀림홈(18) 내에 삽입된다.
도 8 및 10을 더 참조하여 찌꺼기밀개(28a, 28b)과 역류방지편(29)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의 저면도를 볼 경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찌꺼기밀개(28a, 28b)는, 회전하는 시계 방향을 따라 전단부는 수직한 형상이며 후단부는 상부로 경사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와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찌꺼기밀림홈(18)까지 하강한 찌꺼기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회전에 따라 찌꺼기밀개(28a, 28b)의 수직한 전단부에 의해 밀려져서, 찌꺼기 배출홀(14)에 이르고 배출된다.
찌꺼기밀개(28a, 28b) 중 일부의 찌꺼기밀개(28a)는 착즙날(22b)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이다. 이를 통하여, 착즙날(22b)을 타고 하강하는 찌꺼기가 자연스럽게 찌꺼기밀개(28a)의 앞쪽에 이르러 밀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착즙날(22b)의 개수는 많지 않기에, 착즙날(22b)에 이어지는 찌꺼기밀개(28a)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착즙날(22b)을 타고 하강하지 않은 찌꺼기가 안정적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착즙날(22b)에 이어지지 않은 부분에도 추가의 찌꺼기밀개(28b)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착즙날(22b)과 찌꺼기밀개(28a)는 4개이며, 찌꺼기밀개(28b)는 4개이다.
한편, 하우징(10)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에 위치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만 회전하기에, 하우징(10)의 찌꺼기밀림홀(18)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를 통하여 찌꺼기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편(29)이 위치한다.
역류방지편(29)은, 방지막(27) 하부에 위치하여 아래쪽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며, 회전하는 시계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굽어진 형상이다(도 10 참조). 또한, 역류방지편(29)은 찌꺼기밀개(28b)의 경사진 후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와 같은 형상 및 위치로써, 하우징(10)의 찌꺼기밀림홀(18)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사이의 공간을 통한 찌꺼기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착즙날(22b)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착즙 스크류의 몸체(22a)의 외부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착즙 스크류(22)는 하우징(10) 내부의 방수원통(15)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착즙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착즙날은 ⓐ 부분에서부터 시작되어 하부면에 이를 수도 있으며, 다른 일부의 착즙날은 ⓑ 부분에서부터 시작되어 하부면에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착즙날의 조합이 가능하나, ⓐ 부분에 위치하는 착즙날(22b)은 분쇄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상임에 주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착즙날(22b)이 사용되었다.
다만, 제 1 실시예와 달리, 착즙날(22b)은 착즙망(23)이 있는 ⓒ 부분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착즙날(22b)은 착즙망(23)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됨으로써 착즙률이 보다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착즙날(22b)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하부면에 이르러 찌꺼기밀개(28a)에 이어진다.
한편,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 ⓒ 부분에서 수직선과의 각도(α)가 약 4 내지 10°인 경우 착즙 효율이 높으며, 특히 약 5°인 경우가 가장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자의 다수의 실험에 의하여 확인한 수치이다.
2.2 하우징(10)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도 하우징(10)에 다수의 하우징 리브가 존재하여(도 6 참조) 착즙날(22b)과의 상호작용으로 착즙이 이루어진다. 모든 하우징 리브는 하우징(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위치한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도 비교적 높은 효율의 착즙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압착에 따른 하중이 편중되어 사출성형된 하우징(10)에 무리를 가하여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 종류의 하우징 리브를 채택한다.
도 12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리브(17a, 17b)는 하우징의 전체 높이에 걸쳐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 리브(17a)와 하우징의 일부 높이에 걸쳐 위치하는 서브 하우징 리브(17b)로 이루어진다. 서브 하우징 리브(17b)의 경우, 하우징(10)의 하부면에서부터 ⓑ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까지만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가 상이한 하우징 리브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10)에 가해지는 편중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 부분은 하우징(10)과 이격되어 재료가 투입된다.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 ⓒ 부분은 하우징(10)의 하우징 리브(17a, 17b) 사이의 간격이 극히 좁아서 투입된 재료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하강하는 방향으로 그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하우징 리브(17a, 17b)와 수직선과의 각도(β)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수직선과의 각도(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약 5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약 8°인 경우가 가장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자의 다수의 실험에 의하여 확인한 수치이다.
또한, 하우징 리브(17a, 17b)의 두께(d)가 너무 크면 착즙 효율이 감소하며 너무 낮으면 이송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에 의하여 하우징 리브(17a, 17b)의 두께가 약 0.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약 0.7mm인 경우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3. 주서기(100)의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1)의 주입구(2)에 재료가 투입되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착즙날(21b) 상면과 주입구(2)의 하단면이 교차되면서 재료가 절단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B~C).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재료는 아래로 이송되면서 점점 잘게 분쇄되며 압축되는데, 이 과정에서 착즙물은 착즙 스크류(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착즙망(23)의 착즙망홀(23a)을 통하여 착즙망(23) 내부로 유입된다(C). 착즙망(23)의 내부로 유입된 착즙물은 회전하는 브러쉬(25)에 의해 착즙물 배출홀(13)을 따라 흐르고 착즙물 유동홀(33)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착즙물 수용체(35)로 모이게 된다(C~D).
한편, 착즙망홀(23a)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는 하우징(10)의 내부바닥에 잔류하게 된다(C). 이러한 찌꺼기는 착즙망 홀더(24)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외측 리브(24a)가 회전하면서 찌꺼기 배출홀(14)로 이송되고 찌꺼기 유동홀(34)을 거쳐 최종적으로 찌꺼기 수용체(36)에 모이게 된다(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10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구동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가 하우징(10)에 투입된 내용물을 착즙 스크류 조립체(20)의 외부면을 기준으로 착즙물 및 찌꺼기로 원활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하우징(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착즙물 배출홀(13) 및 찌꺼기 배출홀(14)이 본체의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착즙물 유동홀(33) 및 찌꺼기 유동홀(34)에 삽입되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별도의 회전동작 없이 손쉽게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체화된 구조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20) 및 하우징(10)을 통해서 착즙 과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의 경량화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덮개
2: 주입구
3: 결착돌기
4: 회전축공
10: 하우징
11: 제 1 가이드 홈
12: 제 2 가이드 홈
13: 착즙물 배출홀
14: 찌꺼기 배출홀
15: 방수원통
16: 결착턱
17a, 17b: 하우징 리브
18: 찌꺼기밀림홀
20: 착즙 스크류 조립체
21: 회전축
21a: 상부회전축
21b: 하부회전축
21c: 각형축공
22: 착즙 스크류
22a: 몸체
22b: 착즙날
23: 착즙망
23a: 착즙홀
24: 착즙망 홀더
24a: 홀더 본체
24b: 외측 리브
24c: 브러싱 돌기
24d: 내측 리브
24e: 내측 리브홈
25: 브러쉬
26: 연결부
27: 방지막
28: 찌꺼기밀개
29: 역류방지편
30: 본체
31: 모터
31a: 각형축
32: 베이스
32a: 베이스홈
33: 착즙물 유동홀
34: 찌꺼기 유동홀
35: 착즙물 수용체
36: 찌꺼기 수용체

Claims (9)

  1.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착즙날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서,
    상기 몸체는 원뿔형의 상부와 원통형 또는 뒤집힌 원뿔대형의 하부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착즙된 착즙물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 내측으로 유동하게 하는 착즙망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착즙날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착즙날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착즙망의 외측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착즙날 중 다른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의 하부만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는 뒤집힌 원뿔대형이며,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α)는 4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α)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하단부에 찌꺼기 역류 방지 구조체가 위치하며,
    상기 찌꺼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다수의 찌꺼기밀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다수의 착즙날은 상기 찌꺼기밀개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역류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는 중공의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은 다수의 하우징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상기 착즙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리브와 상기 몸체의 하부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20110029910A 2010-10-25 2011-03-31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180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910A KR101803845B1 (ko) 2011-03-31 2011-03-31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AU2011321202A AU2011321202B2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US13/881,495 US9788676B2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JP2013536500A JP5816290B2 (ja) 2010-10-25 2011-10-24 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を含むジューサー
DK11836575.8T DK2632304T3 (en) 2010-10-25 2011-10-24 Juice presses with juice extraction screw device
PL11836575T PL2632304T3 (pl) 2010-10-25 2011-10-24 Wyciskarka soku wyposażona w zespół śruby do ekstrakcji soku
CN201180021913.6A CN102933123B (zh) 2010-10-25 2011-10-24 具有汁液提取螺杆组件的榨汁机
SG2013030481A SG189503A1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CN201410471583.6A CN104223928B (zh) 2010-10-25 2011-10-24 具有汁液提取螺杆组件的榨汁机
MYPI2013001420A MY163299A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PCT/KR2011/007943 WO2012057483A2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EP11836575.8A EP2632304B1 (en) 2010-10-25 2011-10-24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US15/710,167 US10905275B2 (en) 2010-10-25 2017-09-20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910A KR101803845B1 (ko) 2011-03-31 2011-03-31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45A true KR20120111445A (ko) 2012-10-10
KR101803845B1 KR101803845B1 (ko) 2017-12-04

Family

ID=4728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910A KR101803845B1 (ko) 2010-10-25 2011-03-31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98B1 (ko) * 2014-08-08 2015-03-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US10524495B2 (en) 2014-07-22 2020-01-07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CN111358266A (zh) * 2017-10-31 2020-07-03 株式会社惠人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4495B2 (en) 2014-07-22 2020-01-07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KR101500998B1 (ko) * 2014-08-08 2015-03-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CN111358266A (zh) * 2017-10-31 2020-07-03 株式会社惠人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45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2606A (ko)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JP5816290B2 (ja) 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を含むジューサー
RU2399361C1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TWI505798B (zh) 用於榨汁機的榨汁模組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EP3005911B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101226441B1 (ko) 주스 착즙기
KR200483171Y1 (ko)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압착 유형 주스 추출기
CN104271009B (zh) 包括压榨螺杆的旋转工作部件和烹饪制备家电设备
US9538883B2 (en) Grating disc for a food processor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grating disc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RU2594966C2 (ru) Сепаратор перетирающего действ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отделения фруктового или овощного сока от фруктовой или овощной мякоти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2469886A (zh) 厨房器具
KR101871330B1 (ko)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111445A (ko)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120111465A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KR102115996B1 (ko)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111446A (ko)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1204073B1 (ko) 가공 대상물의 다짐이 가능한 수직형 녹즙기
KR20140033543A (ko) 이중 스크류를 가지는 착즙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101510998B1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CN101877980B (zh) 具有软果附加装置的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