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97Y1 - 만능 녹즙기 - Google Patents

만능 녹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797Y1
KR200287797Y1 KR2020020015299U KR20020015299U KR200287797Y1 KR 200287797 Y1 KR200287797 Y1 KR 200287797Y1 KR 2020020015299 U KR2020020015299 U KR 2020020015299U KR 20020015299 U KR20020015299 U KR 20020015299U KR 200287797 Y1 KR200287797 Y1 KR 200287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support plate
screw
ho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김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Priority to KR2020020015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797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 및 야채 등의 음식물을 착즙하거나 분쇄하는 만능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몸체가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수용되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상단부에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형성된 피착즙물 수용부와,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와 연결되어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착즙통 결합부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 일측에 형성된 결착면과, 상기 결착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결착면 원주 외면부에 형성된 결착 돌기부와 ,상기 결착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 상기 결합돌기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중심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착면의 관통공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판 외주면으로 상기 결착돌기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지지판이 본체의 모터 회전축부에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 이면은 걸림턱을 갖고, 상기 걸림턱에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착링에 안내홈이 형성되어지므로 써,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인한 드럼의 진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스크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으며, 결합공에 형성되는 지지턱의 면적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결착면의 돌기부가 안정되게 안치되며, 지지판의 전면부를 평면으로 구성하므로 써, 경도가 향상된 만능 녹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능 녹즙기{juice apparatus}
본 고안은 곡류 및 야채, 과일 등 각종 음식물을 갈거나 즙을 내는 만능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스크류가 본체에 결합되는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에 안착되는 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음식물을 이송시키면서 분쇄하고 압착하여 착즙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장치로써, 이러한 녹즙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0-190676)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녹즙기를 도시한 단면도와 도 2의종래 지지판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여지는 착즙기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00)와 상기 투입부(100)와 연결되어 형성된 드럼(101)과, 상기 드럼(101)에 스크류(102)가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102)가 결합된 드럼(101)은 결착링과 지지판(200)에 결합
되고, 상기 드럼에 결합된 샤프트(103)는 구동모터축(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써, 스크류(102)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102)는 파쇄부(104)와 분쇄부(105)에 착즙망(106)이 결합되어 배출구(107)로 유출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사용중인 녹즙기 및 분쇄기는 결착링과 결합되는 드럼의 결착면과 지지판(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여 모터의 회전시 스크류(102)의 흔들림 현상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녹즙 및 착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드럼(101)의 유입구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누름봉의 과다한 힘에 의해 투입시 모터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가 결합되는 결착면에 형성된 돌출공을 지지판에서 지지해주무로 써, 모터가 작동하여 스크류에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해주고, 스크류와 모터의 결합부를 지지하므로 써, 착즙 및 녹즙의 효과를 최대화 하는 만능 녹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녹즙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지지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녹즙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녹즙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결착링과 지지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결착링과 드럼의 조립 및 분해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작동버튼
12 - 샤프트 결합부 13 - 체결공
20 - 지지판 21 - 지지턱
22 - 나사공 23 - 걸림턱
24 - 결합공 25 - 고정돌기
26 - 안내돌기 30 - 드럼
31 - 피착즙물 수용부 32 - 착즙통 결합부
33 - 결착면 34 - 관통공
35 - 결착돌기부 36 - 돌기부
36' - 제 2돌기부 37 - 가이드 홈
38 - 배출구 39 - 결합홈
40 - 개구부 45 - 결착링
46 - 안내홈 47 - 결합돌기
50 - 유입구 51 - 호파
60 - 스크류 61 - 샤프트
62 - 이송부 63 - 파쇄부
64 - 분쇄부 64' - 분쇄날
65 - 미세분쇄부 65' -미세분쇄날
66 - 몸체 67, 67' - 나사산
68 - 요홈 70 - 착즙통
70' - 분쇄통 71 - 망
80 - 드럼캡 90 - 노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몸체가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수용되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상단부에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형성된 피착즙물 수용부와,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와 연결되어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착즙통 결합부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 일측에 형성된 결착면과, 상기 결착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결착면 원주 외면부에 형성된 결착 돌기부와 ,상기 결착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중심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착면의 관통공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판 외주면으로 상기 결착돌기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지지판이 본체의 모터 회전축부에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 이면은 걸림턱을 갖고, 상기 걸림턱에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착링에 안내홈이 형성되어지므로 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녹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녹즙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결착링과 지지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결착링과 드럼의 조립 및 분해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 도 7은 도 4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녹즙기의 분해 사시도와, 도 4의 본 고안인 녹즙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녹즙기는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장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나사로 결합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에 탁찰되는 결착링(45)과 상기 결착링(45)에 결합되는 드럼(30)과, 상기 드럼(30)에 형성된 결착면(33)과 상기 결착면(33)에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4)에 샤프트(61)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61)와 결합된 스크류(60)와, 상기 스크류(60)에 끼워지는 착즙통(70)과 상기 착즙통(70)과 드럼(30)에 결합되는 드럼캡(80)과 상기 드럼캡(80)에 결합되는 노즐(9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선상으로 연결된 샤프트 결합부(12)와 상기 샤프트결합부(12) 외주면에 체결공(13)이 형성된다.
드럼(30)의 상단부에 유입구(5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50)에 피착즙물이 투입되는 호파(51)가 결합 되어진다.
상기 유입구(50)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원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작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30)은 피착즙물 수용부(31)와, 착즙통 결합부(32)로 구성되며,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31)의 상단부는 유입구(50)와 연통되어 형성 되어진다.
상기 착즙통 결합부(32)는 그 하단부에 즙 배출구(38)를 갖으며, 일측에 개구부(40)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31)는 일측에 결착면(33)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면(33) 중심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결착면(33) 원주 외면부에는 결착돌기부(3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결착돌기부(35)는 본체(10)에 결합된 지지판(20)의 고정돌기(25)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34)에는 착즙물의 밀폐를 위하여, 패킹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34)은 외주면에 상기 결착면(33)의 외측을 따라 돌기부(36)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결착면(33)의 내측으로 관통공(34)의 외주면에 제 2돌기부(36')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착즙통 결합부(32) 내부 원주면에 가이드 홈(37)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37)은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통(70') 및 착즙통(7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착즙통(70)은 피착즙물에서 생성된 즙이 배출구(38)로 유동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망(71)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7)과 연결되고, 상기 착즙통 결합부(32)의 개구부(40)에 결합홈(39)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드럼(30)의 결착면(33)에 형성된 관통공(34)에 샤프트(61)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샤프트(61)의 일측은 스크류(66)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61)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지지판(20)의 결합공(24)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스크류(66)를 회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66)는 이송부(62), 파쇄부(63), 분쇄부(64) 및 미세분쇄부(65)를 갖는 몸체(66)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이송부(62)는, 상기 몸체(66) 외주면에 한 줄의 나사산(67)을 갖고, 상기 파쇄부(63)는 다수의 나사산(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쇄부(64)는 이송부(62)와 파쇄부(63)의 나사산(67)과 연결되어 다수의 분쇄날(64')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날(64')과 연결되어 미세분쇄날(65')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분쇄날(65')은 분쇄날(64')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66)의 측면부에는 상기 결착면(33)의 제 2돌기부(36')와 대향되도록 요홈(60)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5인 본 고안인 결착링과 지지판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결합되어지는 지지판(20)은 그 중심에 결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에 상기 결착면(33)의 관통공(34)이 결합되고, 지지되도록 지지턱(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의 외주면으로 고정돌기(25)가 형성되며, 지지판(20)의 이면은 걸림턱(23)을 갖고, 상기 걸림턱(23)에 안내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26)에 접촉하여 상기 결착링(45)이 회동되도록 안내홈(46)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20)은, 본체(10)의 샤프트 결합부(12)에 형성된 체결공(13)에 결합되도록 나사공(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링(45)은 내 원주면에 결합돌기(47)를 갖는다.
상기 결합돌기(47)는 드럼(30)의 결착면(33)에 형성된 결착돌기부(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만능 녹즙기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결착링(45)의 안내홈(46)에 지지판(20)의 안내돌기(26)가 안착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지지판(20)의 나사공(22)을 본체(10)의 회전축과 연결된 체결공(13)에 결합한다.
상기 결착링(45)의 결합돌기(47)에 드럼(30)의 결착면(33) 외주면에 형성된결착돌기부(35)를 결합하여 결착링(4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지지판(20)의 안내돌기(46)에 결착링(45)의 안내홈(26)이 안내되어 드럼(30)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드럼(30)의 관통공(34)에 스크류(60)의 샤프트(61)를 삽입하면, 지지판(20)의 결합공(24)을 지나 구동모터가 내장된 본체(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피착즙물 수용부(31) 상단에 형성된 유입구(50)에 음식물을 투입하도록 한 호파(51)를 결합하고, 착즙통 결하부(31)에 착즙통(70) 및 분쇄통(7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의 결합홈(39)에 드럼캡(8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드럼캡(80)에 노즐(9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어진 본 고안인 만능 녹즙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에 설치된 작동버튼(11)을 누르고, 호파(51)에 음식물을 투입하면 유입구(50)를 통해 피착즙물 수용부(31)에 수용되어진다.
이와 함께, 구동모터와 결합된 스크류(60)가 회전하게 되고, 피착즙물 수용부(31)와 이송부(62)에서 음식물이 파쇄부(63)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착즙통(70)과 밀착되게 결합된 스크류(60)의 파쇄부(63), 분쇄부(64) 및 미세분쇄부(65)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상기 착즙통(70)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즙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장시간의 분쇄 및 착즙으로 인해 착즙통(70)의 망(71)이 막히게 되면 스크류(60)와 상기 착즙통(70)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착즙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때문에, 상기 착즙통(70)을 통과하지 못한 착즙물이 뒤로 역류하게 되고 이로인해, 스크류(60)에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스크류(60)가 회전하여 드럼(30)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크류(60)의 측면부에 요홈(68)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68)과 대응 되도록 피착즙물 수용부(31)의 결착면(33)에 제 2돌기부(3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요홈(68)과 상기 제 2돌기부(36')는 도 7과 같이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스크류(60)의 샤프트(61)가 구동모터의 샤프트 결합부(12)에서 1차로 지지되고, 스크류(60)의 끝단부가 드럼캡(80)과 2차 지지되며, 상기 요홈(68)과 제 2돌기부(36')에서 3차로 지지되므로 써, 상기 스크류(60)의 회전시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한편, 드럼(30)의 결착면(33)에 형성된 관통공(34)의 외주면에 돌기(36)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36)가 지지판(20)의 지지턱(21)에 결합되어 드럼(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의 전면을 평면으로 구성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했다.
본 고안에 따른 만능 녹즙기는, 즙을 내고자 할 때는 착즙통(70)을 결합하여사용하고, 얼음 및 곡류의 분쇄를 목적으로 할 때는 드럼(30)의 통 결합부에 분쇄통(7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만능 녹즙기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지지판의 결합공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 결착면의 관통공이 지지되도록 하여,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인한 드럼의 진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드럼의 결착면이 결합되는 지지판의 전면부를 평면으로 구성하여 결합공에 형성되는 지지턱의 면적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결착면의 돌기부가 안정되게 안치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지지판의 전면부를 평면으로 구성하므로 써, 강도가 좋아졌으며, 세척이 용이하다.
넷째, 스크류의 측면부에 요홈이 형성되므로 써, 모터의 구동시 스크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이송부, 파쇄부, 분쇄부 및 미세분쇄부를 갖는 몸체가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수용되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상단부에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형성된 피착즙물 수용부와;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와 연결되어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착즙통 결합부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착즙통 결합부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즙물 수용부 일측에 형성된 결착면과;
    상기 결착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결착면 원주 외면부에 형성된 결착 돌기부와;
    상기 결착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착링과;
    상기 결착링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중심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적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착면의 관통공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판 외주면으로 상기 결착돌기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지지판이 본체의 모터 회전축부에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 이면은 걸림턱을 갖고, 상기 걸림턱에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가 회동되도록 상기 결착링에 안내홈이 형성되어진 만능 녹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나사공과 지지턱을 제외한 지지판의 전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녹즙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면의 관통공에 접촉되는 스크류의 측면부에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녹즙기.
KR2020020015299U 2002-05-20 2002-05-20 만능 녹즙기 KR200287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299U KR200287797Y1 (ko) 2002-05-20 2002-05-20 만능 녹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299U KR200287797Y1 (ko) 2002-05-20 2002-05-20 만능 녹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670A Division KR100433170B1 (ko) 2002-05-20 2002-05-20 만능 녹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797Y1 true KR200287797Y1 (ko) 2002-09-05

Family

ID=7312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299U KR200287797Y1 (ko) 2002-05-20 2002-05-20 만능 녹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7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29Y1 (ko) 2008-05-21 2010-11-26 정형교 조립형 모터 지지판을 갖는 믹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29Y1 (ko) 2008-05-21 2010-11-26 정형교 조립형 모터 지지판을 갖는 믹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KR200208880Y1 (ko) 즙 배출로가 형성된 착즙기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JP2020503952A (ja) 搾汁機用スクリューおよびその搾汁機
KR200287797Y1 (ko) 만능 녹즙기
KR100433170B1 (ko) 만능 녹즙기
KR100441833B1 (ko)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0433168B1 (ko) 맷돌형 녹즙기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KR200288605Y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100447746B1 (ko) 분쇄겸용 녹즙기
KR20170058717A (ko) 세척이 용이한 믹서기
KR100441832B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200440136Y1 (ko) 가정용 음식물 분쇄기의 마쇄판 조립장치
KR200494872Y1 (ko) 착즙 주스기용 구동 본체 및 이를 이용한 착즙 주스기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288606Y1 (ko) 맷돌형 분쇄겸용 만능 착즙기
KR100462908B1 (ko) 재료 분쇄기
KR200384254Y1 (ko) 고추분쇄기
KR100441831B1 (ko) 자동절삭용 만능 착즙기
KR200287798Y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200287796Y1 (ko) 자동절삭용 만능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