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12B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12B1
KR102349312B1 KR1020200100973A KR20200100973A KR102349312B1 KR 102349312 B1 KR102349312 B1 KR 102349312B1 KR 1020200100973 A KR1020200100973 A KR 1020200100973A KR 20200100973 A KR20200100973 A KR 20200100973A KR 102349312 B1 KR102349312 B1 KR 10234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pressure
blade
fixe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준
Original Assignee
조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준 filed Critical 조해준
Priority to KR102020010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특히, 야채ㆍ과일)을 압착하여 즙 형태로 가공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 과정에서 압착을 통해 착즙하여 적하(滴下)시키고, 식품 슬러지는 최종 배출단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즙기{A 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식품(특히, 야채ㆍ과일)을 압착하여 즙 형태로 가공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 과정에서 압착을 통해 착즙하여 적하(滴下)시키고, 식품 슬러지는 최종 배출단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搾汁機)는 야채, 과일등을 분쇄하여, 야채즙 또는 과입즙과 섬유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착즙기는 곡물을 분쇄하여 가루로 빻는데도 사용된다. 야채즙 또는 과일즙을 획득하는데 있어서는 착즙기가 일반적인 믹서나 쥬서 등과는 달리 착즙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믹서나 쥬서에서 분쇄될 수 없는 강력한 섬유질을 가진 식물들을 분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신선초와 같은 식물의 즙은 인체에 유용하면서도 희귀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반해, 신선초에 포함된 즙은 상대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섬유질이 매우 질기므로, 일반적인 믹서나 쥬서로 즙을 짜내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착즙기를 사용할 경우 효율적인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착즙기는 상호 맞물려서 회전하는 쌍 기어와, 상기 쌍 기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착즙망을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쌍 기어는 상호 맞물린 헬리컬 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부 사이에 착즙 재료가 투입됨으로써 분쇄가 이루어진다.
또한, 분쇄된 착즙 재료의 즙은 착즙망을 통해서 즙 배출구로 배출되며, 섬유질은 착즙망의 일측에 마련된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착즙기에서는 쌍 기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 모터를 사용하게 된다. 쌍기어에는 헬리컬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헬리컬 기어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착즙 재료가 통과하기 때문에 모터에 매우 커다란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모터를 사용하게 되며, 쌍 기어의 크기나 중량도 상대적으로 큰 것이 착즙 효율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쌍 기어가 커지게 되면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착즙기의 작동시에 각 부품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추력이 전달되므로, 부품들 상호 간의 조립 상태가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부품 간 체결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 장치의 작동시에 소음이나 진동이 커질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도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쌍 기어의 외주부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 등이 본체에 대하여 진동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헬리컬 기어부가 맞물린 쌍기어 방식을 포함한 기존의 착즙기는 착즙 수단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고속 회전에의 해 발생된 열이 즙액에 영향을 미쳐 영양가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착즙망으로부터의 찌꺼기 배출 압력이 착즙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착즙이 이루어진 후에 섬유질 찌꺼기는 착즙망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어야 하는데, 찌꺼기 배출 압력이 너무 낮으면 착즙 효율이 떨어지는 반면에, 찌꺼기 배출 압력이 너무 높으면 섬유질이 착즙망 내에 너무 오래 정체하여서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착즙망에 즙액을 내고 난 덩어리진 찌꺼기들이 끼어서, 즙액이 착즙망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을 조금씩 공급하게 되므로, 100% 원액을 얻어내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와 같이 쌍 기어 즉, 헬리컬 기어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착즙 재료인 식품이 통과하면서 압착되므로, 압착된 찌꺼기들이 서로 들러붙어 즙액이 찌꺼기들에 잔류 즉 완벽한 착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와 같이 헬리컬 기어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착즙 재료인 식품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헬리컬 기어부들 간 마찰에 의해 생기는 쇳가루가 즙에 섞인 상태로 적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쇳가루가 섞인 즙을 사람이 음용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착즙기의 선행기술과 관련된 참고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3830호(명칭 : 착즙기 ; 출원일 : 2002년04월23일)
문헌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2954호(명칭 : 착즙기 ; 출원일 : 2004년07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 과정에서 압착을 통해 착즙하여 적하(滴下)시키고, 식품 슬러지는 최종 배출단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고속회전에서도 신속한 착즙과 원활한 슬러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 개선된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호퍼(11a)가 마련된 관형태의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M)에 축설된 상태로 하우징(11) 내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루(12); 상기 이송스크루(12) 선단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날개를 제외한 외경이 점진 확장되는 압송스크루(13); 상기 압송스크루(13)와 이격지게 압송구간을 감싸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는 다수의 림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이송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과 압착을 통해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액은 다수의 림들 사이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타측 단으로 밀려 배출되도록 하는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접하도록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회전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 및 교반에 의한 식품 내지 슬러지의 잔류(끼임)를 방지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5);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는 반원 플레이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림을 형성하되, 상기 림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즙액배출수단(14a); 상기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직선 바(Bar)에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된 일직선 바(Bar)로서, 상기 블레이드(15)의 양측 면에 면접하여 가압 고정시키는 블레이드고정체(14c); 중앙이 관통되어 압송스크루(13)의 양단이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원형플레이트로서, 마주하는 외경 상하방과 좌우측방에 각각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가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슬릿(14d')이 형성된 양단고정수단(14d); 상기 플레이트고정체(14b) 및 블레이드고정체(14c)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양단고정수단(14d)을 황단하여 관통 고정시키는 양단고정체(14e);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식품이 상기 압송스크루(13)의 몸통과 미세 간격을 두고 연속 마련되는 즙액배출수단(14a)의 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착즙됨과 동시에,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즙액배출수단(14a)의 내경 모서리의 상호 마찰 및 충격에 의해 식품이 쉽게 파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모터(M)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도 완벽하면서 신속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착즙 효율(수율)을 증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가 일직선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되어, 상기 즙액배출수단(14a)을 구성하는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원 플레이트가 정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직선 바인 블레이드고정체(14c)의 일측 단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반원 플레이트의 양단이 정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고정체(14c)는 상하방에서 상기 블레이드(15)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합 기능 제공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이 상기 압송스크루(13)의 몸통과 미세 간격을 두고 연속 마련되는 즙액배출수단(14a)의 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착즙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즙액배출수단(14a)의 내경 모서리의 상호 마찰 및 충격에 의해 식품이 쉽게 파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식품이 블레이드(15)를 타고 넘으면서 해당 부분에서 부딪히고 밀리는 것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즙액배출수단(14a)인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사이에 식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식품의 잔류를 방지하는 위생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특히,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중 블레이드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중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 및 블레이드의 고정 상태를 포함한 블레이드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플레이트고정체 및 블레이드고정체의 양단고정수단에 대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착즙기(10)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호퍼(11a)가 마련된 관형태의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M)에 축설된 상태로 하우징(11) 내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루(12); 상기 이송스크루(12) 선단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날개를 제외한 외경이 점진 확장되는 압송스크루(13); 상기 압송스크루(13)와 이격지게 압송구간을 감싸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는 다수의 림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이송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과 압착을 통해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액은 다수의 림들 사이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타측 단으로 밀려 배출되도록 하는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접하도록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회전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 및 교반에 의한 식품 내지 슬러지의 잔류(끼임)를 방지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5);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는 반원 플레이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림을 형성하되, 상기 림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즙액배출수단(14a); 상기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직선 바에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된 일직선 바로서, 상기 블레이드(15)의 양측 면에 면접하여 가압 고정시키는 블레이드고정체(14c); 중앙이 관통되어 압송스크루(13)의 양단이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원형플레이트로서, 마주하는 외경 상하방과 좌우측방에 각각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가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슬릿(14d')이 형성된 양단고정수단(14d); 상기 플레이트고정체(14b) 및 블레이드고정체(14c)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양단고정수단(14d)을 황단하여 관통 고정시키는 양단고정체(14e); 상기 양단고정체(14e) 각각을 양측에서 가압 고정시키는 한 쌍의 원형 플레이트로서, 일측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고정되고, 타측 플레이트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는 배출부고정수단(14f);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호퍼(11a)가 마련된 관형태의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M)에 축설된 상태로 하우징(11) 내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루(12); 상기 이송스크루(12) 선단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날개를 제외한 외경이 점진 확장되는 압송스크루(13); 상기 압송스크루(13)와 이격지게 압송구간을 감싸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는 다수의 림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이송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과 압착을 통해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액은 다수의 림들 사이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타측 단으로 밀려 배출되도록 하는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접하도록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회전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 및 교반에 의한 식품 내지 슬러지의 잔류(끼임)를 방지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5); 를 포함하여서 된 착즙기(10)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 단에 마련된 호퍼(11a)를 통해 식품이 투입되면,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12)가 압송스크루(13)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 1의 부분 발췌 확대도(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식품이 상기 압송스크루(13)의 몸통과 미세 간격을 두고 연속 마련되는 즙액배출수단(14a)의 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착즙됨과 동시에,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즙액배출수단(14a)의 내경 모서리의 상호 마찰 및 충격에 의해 식품이 쉽게 파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도 1의 부분 발췌 확대도(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즙액은 상기 즙액배출단(14a) 사이로 빠져나와 하방으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압송스크루(13)의 최후단인 배출단으로 통해 외부로 분리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품이 상기 압송스크루(13)의 몸통과 미세 간격을 두고 연속 마련되는 즙액배출수단(14a)의 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착즙됨과 동시에,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즙액배출수단(14a)의 내경 모서리의 상호 마착 및 충격에 의해 식품이 쉽게 파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모터(M)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도 완벽하면서 신속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착즙 효율(수율)을 증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1)은 일측에 모터(M)가 마련되고, 일측 상방에 호퍼(11a)가 마련된 원통체로서, 상기 이송스크루(12)의 날개가 내경에 면접 또는 미세 간격을 갖도록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이송스크루(12)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모터(M)와 연결된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루 몸체에 스크루 날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루(12)의 스크루 날개는 간격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송되는 식품의 이송밀도를 점진적으로 높여 압착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스크루(12)의 스크루 날개가 상기 압송스크루(13)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압송스크루(13)는 식품 슬러지 배출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스크루 몸체에 스크루 날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스크루 날개는 간격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송되는 식품의 압착응집력을 점진적으로 높여 착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타측 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는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플레이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림을 형성하되, 상기 림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즙액배출수단(14a); 상기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직선 바에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된 일직선 바로서, 상기 블레이드(15)의 양측 면에 면접하여 가압 고정시키는 블레이드고정체(14c); 중앙이 관통되어 압송스크루(13)의 양단이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원형플레이트로서, 마주하는 외경 상하방과 좌우측방에 각각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가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슬릿(14d')이 형성된 양단고정수단(14d); 상기 플레이트고정체(14b) 및 블레이드고정체(14c)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양단고정수단(14d)을 황단하여 관통 고정시키는 양단고정체(14e); 상기 양단고정체(14e) 각각을 양측에서 가압 고정시키는 한 쌍의 원형 플레이트로서, 일측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고정되고, 타측 플레이트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는 배출부고정수단(14f);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양단고정체(14e) 외경은 타공이 형성된 관체가 고정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착즙액이 적하되어 타공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가 일직선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되어, 상기 즙액배출수단(14a)을 구성하는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원 플레이트가 정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직선 바인 블레이드고정체(14c)의 일측 단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반원 플레이트의 양단이 정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고정체(14c)는 상하방에서 상기 블레이드(15)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합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블레이드(15)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이 상기 압송스크루(13)의 몸통과 미세 간격을 두고 연속 마련되는 즙액배출수단(14a)의 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착즙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즙액배출수단(14a)의 내경 모서리의 상호 마찰 및 충격에 의해 식품이 쉽게 파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터(M)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도 완벽하면서 신속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착즙 효율(수율)을 증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식품이 블레이드(15)를 타고 넘으면서 해당 부분에서 부딪히고 밀리는 것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즙액배출수단(14a)인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사이에 식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식품의 잔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되어 압송스크루(13)의 양단이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원형 플레이트인 한 쌍의 양단고정수단(14d) 중 상호 마주하는 외경 상하방과 좌우측방에 각각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가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슬릿(14d')이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 일정한 각도와 위치에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양단고정수단(14d)은 일측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별도의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원형 플레이트인 배출부고정수단(14f)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용 장볼트 또는 연결용 보스(양단에 나사홈이 형성된)의 관통 조임에 의해 배출부고정수단(14f)에 고정되어, 온전한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를 이루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착즙기 11 : 하우징
12 : 이송스크루 13 : 압송스크루
14 :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 14a : 즙액배출수단
14b : 플레이트고정체 14b': 슬릿
14c : 블레이드고정체 14c': 걸림홈
14d : 양단고정수단 14d': 슬릿
14e : 양단고정체 15 : 블레이드

Claims (2)

  1. 일측에 호퍼(11a)가 마련된 관형태의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M)에 축설된 상태로 하우징(11) 내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루(12);
    상기 이송스크루(12) 선단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날개를 제외한 외경이 점진 확장되는 압송스크루(13);
    상기 압송스크루(13)와 이격지게 압송구간을 감싸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는 다수의 림 조립체로서, 반원 플레이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림을 형성하되, 상기 림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즙액배출수단(14a)와, 상기 다수의 반원 플레이트 외경이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직선 바에 다수의 슬릿(14b')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플레이트고정체(14b)와, 상기 반원 플레이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홈(14c')이 형성된 일직선 바로서, 상기 블레이드(15)의 양측 면에 면접하여 가압 고정시키는 블레이드고정체(14c)와, 중앙이 관통되어 압송스크루(13)의 양단이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원형플레이트로서, 마주하는 외경 상하방과 좌우측방에 각각 플레이트고정체(14b)와 블레이드고정체(14c)가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슬릿(14d')이 형성된 양단고정수단(14d)과, 상기 플레이트고정체(14b) 및 블레이드고정체(14c)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양단고정수단(14d)을 황단하여 관통 고정시키는 양단고정체(14e)로 이루어진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
    상기 압송스크루(13)의 압송날개와 접하도록 즙액/슬러지분리배출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압송스크루(13)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의 회전 방향에 대한 걸림 마찰 및 교반에 의한 식품 내지 슬러지의 잔류를 방지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5);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삭제
KR1020200100973A 2020-08-12 2020-08-12 착즙기 KR10234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73A KR102349312B1 (ko) 2020-08-12 2020-08-12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73A KR102349312B1 (ko) 2020-08-12 2020-08-12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12B1 true KR102349312B1 (ko) 2022-01-07

Family

ID=7935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73A KR102349312B1 (ko) 2020-08-12 2020-08-12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107A (zh) * 2022-09-02 2022-11-25 贵州成有王记善沅食品有限公司 一种杨梅汁制备方法及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554U (ko) * 2009-10-30 2011-05-09 조해준 착즙기
KR20180085472A (ko) * 2017-01-19 2018-07-27 조해준 착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554U (ko) * 2009-10-30 2011-05-09 조해준 착즙기
KR20180085472A (ko) * 2017-01-19 2018-07-27 조해준 착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107A (zh) * 2022-09-02 2022-11-25 贵州成有王记善沅食品有限公司 一种杨梅汁制备方法及其装置
CN115381107B (zh) * 2022-09-02 2024-01-23 贵州成有王记善沅食品有限公司 一种杨梅汁制备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894B2 (en) Device for preparing olive paste for oil extraction
KR200429957Y1 (ko) 녹즙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CN105473032B (zh) 榨汁机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DE202006019868U1 (de) Raspelscheibe für Küchenmaschine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49312B1 (ko) 착즙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Nnamdi et al. Review of orange juice extractor machines
KR101181013B1 (ko) 착즙장치
US3376910A (en) Food processor
US3478796A (en) Juice extracting machine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180085472A (ko) 착즙기
CN113002045A (zh) 一种间断式螺旋压榨装置及果蔬冷压榨设备
KR102339701B1 (ko) 착즙기
CN202665186U (zh) 一种易切削榨汁机
KR102031882B1 (ko)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JP7373098B1 (ja) 食品原料の裏ごし機
JPS6222607B2 (ko)
US2088657A (en) Extracting machine
CN220554455U (zh) 用于榨汁机的螺杆和榨汁机
KR200257533Y1 (ko) 과즙 추출장치
KR20200001641U (ko) 착즙 주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