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882B1 -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 Google Patents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882B1
KR102031882B1 KR1020180092896A KR20180092896A KR102031882B1 KR 102031882 B1 KR102031882 B1 KR 102031882B1 KR 1020180092896 A KR1020180092896 A KR 1020180092896A KR 20180092896 A KR20180092896 A KR 20180092896A KR 102031882 B1 KR102031882 B1 KR 10203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discharge
crushing
screw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환
Original Assignee
신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환 filed Critical 신정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2018/2208Feed or discharge means for web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강도가 약한 야채는 물론이거니와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뼈를 포함하고 있는 육류 및 수산물과 같은 식용물체도 잘게 파쇄되게 하여 파쇄효율을 높이고 식용물체가 착즙되는 과정에 탈수하우징에 걸림되지 않고 이동되면서 착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착즙된 슬러지가 다시 한번 더 착즙되도록 하면서 슬러지가 양호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퍼(2) 하부의 투입통로(3)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파쇄부재(12,12')를 갖는 제1파쇄수단(10) 및 상기 제1파쇄수단(10) 하부에 제2파쇄수단(20)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입통로(3) 하부와 연통되는 파쇄물체이동공(31)을 구비하는 탈수하우징(30)을 구비하되, 탈수하우징(30)의 양측 외주연부에는 다수의 기다란 환봉(32)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환봉(32) 사이에 파쇄물체이동공(31)과 연통되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하거나, 탈수하우징(30) 자체를 뚫어서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탈수하우징(30) 및 상기 파쇄물체이동공(31)에 삽입되어 구동모터(4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스크류(42,42')의 회전축부(43)가 배출공(34)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나선형 스크류편(44)은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 쪽으로 배출스크류(51) 외측에 탈수회전통(53)을 갖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이나 또는 한쌍의 스크류(42,42')와 유이버셜죠인트(510,510')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회전스크류(520,520') 외측에 탈수통(530)을 갖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0)을 선택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Apparatus for crushing materils and separating solid and liquid }
본 발명은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효율 및 착즙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슬러지 배출이 매우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파즙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야채와 같은 식용물체는 양호하게 파쇄되지만 가령 굵은 생선뼈와 같은 물체는 잘게 파쇄되지 못함으로써 양호하게 착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한쌍의 스크류가 내장되는 탈수하우징에는 매우 미세한 다수의 탈수구멍이 뚫려 있어서 식용물체에 함유되어 있는 물기가 탈수구멍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에 의해서 밀려서 이동되는 식용물체가 탈수구멍의 내주면에 걸림되어서 막혀지게 되거나 탈수구멍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탈수가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에도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는데도 그대로 배출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1693205 B1 2017.01.05
본 발명은 비교적 강도가 약한 야채는 물론이거니와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뼈를 포함하고 있는 육류 및 수산물과 같은 식용물체도 잘게 파쇄되게 하여 파쇄효율을 높이고 식용물체가 착즙되는 과정에 탈수하우징에 걸림되지 않고 이동되면서 착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즙된 슬러지가 다시 한번 더 착즙되도록 하면서 슬러지가 양호하게 배출될 수 있는 파즙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호퍼 하부의 투입통로에 설치되어 구동모터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파쇄부재가 횡방향으로 다수의 날삽입홈 및 파쇄날을 갖는 제1파쇄수단과, 상기 투입통로 하부와 연통되는 파쇄물체이동공을 구비하는 탈수하우징을 구비하되, 탈수하우징의 양측 외주연부에는 다수의 기다란 환봉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환봉 사이에 파쇄물체이동공과 연통되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가 다수 구비되도록 하거나, 탈수하우징 자체를 뚫어서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가 다수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탈수하우징 및 상기 파쇄물체이동공에 삽입되어 구동모터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스크류의 회전축부가 배출공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나선형 스크류편은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파쇄수단 하부쪽 투입통로에서 구동모터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고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되는 다수의 커터날을 가진 한쌍의 파쇄부재를 갖는 제2파쇄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하우징의 배출공 일측으로 기대고정브라켓에 내측단부 및 외측단부가 지지되고 외측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 및 스크류편 피치가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출스크류와, 상기 배출스크류 외측에 구동모터 동력으로 회전되고 외측단부 쪽으로 토출구를 구비하고 토출구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다수의 탈수공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회전통을 갖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이나, 한쌍의 스크류의 회전축부 끝단부와 각각 고정되는 유니버셜죠인트와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호 맞물려서 회전되며 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 및 나선형의 스크류편을 갖는 한쌍의 연동스크류와, 상기 연동스크류 외측단부는 기대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연동스크류 외측으로는 토출구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다수의 탈수공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통이 기대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 중에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스크류는, 기대고정브라켓에 내측축부 및 외측축부가 고정되게 구비 되거나, 또는 기대고정브라켓에 내측축부 및 외측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축부가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도가 약한 야채는 물론이거니와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뼈를 포함하고 있는 육류 및 수산물과 같은 식용물체도 잘게 파쇄되게 하여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더욱 양호하게 착즙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쇄물체가 착즙되는 과정에 탈수하우징에 걸림되지 않고 이동되면서 착즙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수로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더욱 착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하우징의 탈수로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탈수하우징을 예전과 같이 막힌 탈수공을 뚫기 위해서 수시로 소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관리가 간편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을 구비하게 되므로 1차 착즙된 슬러지에서 다시 한번 2차적인 착즙작용이 되기 때문에 착즙효울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착즙된 슬러지가 정체현상 없이 양호하게 배출되는 효과와 더불어서 1,2차 착즙작용이 되면서도 착즙시간이 크게 단축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파즙기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S-S'선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U-U'선 단면으로 나타낸 제1파쇄수단 평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V-V'선 단면으로 나타낸 제2파쇄수단 평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의 T-T'선 단면으로 나타낸 전체 평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된 탈수하우징의 일부 단면이 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수하우징의 요부 단면을 보인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W-W'선 단면으로 나타낸 탈수하우징의 일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종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이 실시된 전체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Y-Y'선 단면 상태의 전체 평단면 구성도,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의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크게 구분하면, 기대(1)에 고정되는 호퍼(2) 하부의 투입통로(3)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파쇄수단(10) 및 제2파쇄수단(20)을 구비하고, 상기 제2파쇄수단(20) 하부에는 상기 투입통로(3)와 연통되는 탈수하우징(30) 및 상기 탈수하우징(30)의 파쇄물체이동공(31)에 내장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스크류(42,42')를 갖는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파쇄물체이동수단(40) 일측으로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500)을 갖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즙기에 투입되는 식용물체는, 가령 농수산물시장에서 발생되는 농수산물 쓰레기나 또는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일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2파쇄수단(10,20)에서 파쇄된 상태의 식용물체는 파쇄된 상태이므로 파쇄물체라고 명칭하는 것으로 하고, 탈수하우징(30) 내에서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에 의해서 압축되어 즙액과 슬러지로 분리되는 것이므로 탈수하우징(300)의 배출공(34)으로 배출되는 것은 슬러지라고 명칭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파쇄수단(10)은 호퍼(2) 하부의 투입통로(3)에 구동모터(1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파쇄부재(12,12')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파쇄부재(12,12')는 각각 횡방향으로 다수의 날삽입홈(13) 및 파쇄날(14)을 갖는 파쇄부재(12,12')가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2)로 투입되는 식용물체는 모터(4) 동력으로 회전되는 강제투입부재(5)에 의해서 식용물체가 강제적으로 투입통로(3)의 제1파쇄수단(10)으로 투입되는 상태가 되고, 제1파쇄수단(10)에서는 구동모터(11) 동력이 한쌍의 연동기어(27)에 의해 동력전달되면 한쌍의 파쇄부재(12,12')는 상호 맞물리는 부분쪽으로 각각 회전되므로 식용물체는 상호 맞물리는 다수의 날삽입홈(13)과 파쇄날(14) 사이로 끼어들어가서 1차적으로 파쇄되는 것이다.
제2파쇄수단(20)은, 도 1 및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파쇄수단(10) 하부쪽 투입통로(3)에서 구동모터(2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고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되는 다수의 커터날(23)을 가진 한쌍의 파쇄부재(22,22')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1차적으로 파쇄된 식용물체는 구동모터(21) 동력이 한쌍의 연동기어(15)에 의해 동력전달되면 한쌍의 파쇄부재(22,22')는 상호 맞물리는 부분쪽으로 각각 회전되므로 식용물체는 상호 맞물리게 회전되는 다수의 커터날(23)에 의해서 분쇄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령 농산물시장에서 다수 발생되는 야채 쓰레기나 또는 음식점에서 야채음식물쓰레기가 주로 발생되는 것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제1파쇄수단(10)만 채용되게 하여 실시될 수 있고, 가령 수산물시장이나 농수산시장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단단한 수산물뼈가 포함된 농수산물 쓰레기나 음식점에서 수산물쓰레기가 주로 나오는 것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제1파쇄수단(10) 하부에 제2파쇄수단(20)이 채용되게 하여 식용물체를 더욱 확실하게 파쇄되도록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2파쇄수단(10,20)은 필요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2파쇄수단(10,20)에 의해서 식용물체는 투입통로(3)에서 잘게 파쇄된 파쇄물체가 되어 탈수하우징(30)으로 낙하되어서 도 5에 나타낸 한쌍의 스크류(42,42')에 의해 구성되는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에 의해서 탈수하우징(30)의 파쇄물체이동공(3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서 슬러지와 액체가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탈수하우징(30)에서 파쇄물체가 이동되는 과정에 파쇄물체가 탈수하우징(30) 내주면에 걸림되지 않고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탈수하우징(30)은 양측 외주연부에 다수의 기다란 환봉(32)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환봉(32) 사이에 파쇄물체이동공(31)과 연통되는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탈수로(33)와 인접하는 다른 탈수로(33)와의 간격(P)은 약 0.5~1mm 정도의 미세한 간격(P)을 갖도록 함으로써 탈수로(33)를 통해서 파쇄물체이동공(31)을 이동하는 파쇄물체가 탈수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액체만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탈수로(33) 중간에 아무런 걸림되는 부분이 없고 그대로 일자상태로 뚫려 있기 때문에 스크류(42,42')에 의해서 배출공(34)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파쇄물체가 탈수로(33) 중간에 걸림되지 않고 밀려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에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서 액체가 흘러 나오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멍 내주연부가 턱이 됨에 따라 파쇄물체가 밀려서 이동되는 과정에 구멍 내주연부 턱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어서 구멍 일부 또는 구멍 전체가 파쇄물체에 의해 막혀 버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그로 인해 수시로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물세척 작업이 필요로 되었으나 탈수하우징을 소제하기에는 구조상 난이하고 어려움이 따르므로 거의 물세척을 하지 못하고 가동됨으로써 착즙효율이 저조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크류(42,42')에 의해서 배출공(34)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파쇄물체가 탈수로(33) 중간에 걸림되지 않고 밀려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탈수로(33)가 전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착즙효율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탈수하우징(30)의 탈수로(33)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탈수하우징(30)을 예전과 같이 막힌 탈수공을 뚫기 위해서 수시로 소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용이한 유지관리가 도모된다.
한편, 본 발명은 탈수하우징(30) 양측 외주연부에 다수의 기다란 환봉(32)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환봉(3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한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탈수하우징(30) 양측을 뚫어서 파쇄물체이동공(31)과 연통되는 기다란 탈수로(33)가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쇄물체이동공(31)에 삽입되어 구동모터(41) 동력이 연동기어(45)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고 상호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스크류(42,42')의 회전축부(43)가 배출공(34)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나선형 스크류편(44)은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축부(43)의 일단부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고정브라켓(1a)의 베어링(46)에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부(43)가 배출공(34)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나선형 스크류편(44)은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파쇄물체는 배출공(34)으로 이동될수록 점차 압축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파쇄물체로부터 액체(즙액)이 짜여져서 분리되어 탈수로(33)를 통해 탈수되어서 즙액받이구(35)로 낙하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의 한쌍의 스크류(42,42')에 대한 작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205호의 등록특허공보에 상세히 설명된 것이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12에 나타내 바와 같은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500)을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은 일실시예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을 나타낸 것으로서,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 일측으로 배출스크류(51)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스크류(51) 외측에는 외측축부(51b) 쪽으로 토출구(53a)를 구비하고 토출구(53a)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공(53c)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회전통(53)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스크류(51)는 외측축부(51b)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51c)을 구비하고 그 외주면에는 외측축부(51b) 쪽으로 갈수록 피치가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스크류편(51d)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수회전통(53)은, 구동모터(52) 동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52)의 모터축(부호없음)에 고정되는 타이밍풀리(54)와 탈수회전통(53)에 고정되는 타이밍풀리(54')가 타이밍벨트(5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53b는 가이드부재이고, 부호 55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토출구(53a)쪽의 탈수회전통(53)은 기대고정브라켓(1a)에 지지되는 베어링(55')에 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탈수회전통(53) 내부에 구비되는 배출스크류(51)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스크류(51)의 내측축부(51a) 및 외측축부(51b)가 각각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배출스크류(51)는 회전되지 않고 그 외측에서 탈수회전통(53)만 회동되도록 실시될 수 있고, 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스크류(51)의 내측축부(51a)를 기대고정브라켓(1a)에 지지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측축부(51b)는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는 구동모터(52')의 모터축(부호없음)과 연결되어 배출스크류(51)가 회동 가능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에서 토출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배출스크류(51)의 스크류편(51d)을 따라 잘 밀려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가 배출공(34)에서 계속적으로 토출되어서 발생되는 슬러지 밀림력 의해서 스크류편(51d)을 따라 슬러지가 잘 밀려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배출공(34)에서 토출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스크류(51)가 회동되지 않게 실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에서 토출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이 낮은 경우에는 슬러지가 배출스크류(51)의 스크류편(51d)을 따라 잘 밀리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52') 동력으로 배출스크류(51)를 강제적으로 회동시켜서 원활한 슬러지 배출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은, 탈수하우징(30)에서 1차적으로 착즙되어 배출공(34)으로 밀려 나오게 되는 슬러지가 구동모터(52) 동력으로 고속회전되는 탈수회전통(53)으로 투입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슬러지는 탈수회전통(53)이 회전됨으로써 탈수회전통(53)의 내주면쪽으로 밀려나면서 원심력에 의해서 슬러지에 머금고 있는 액체성분(수분)이 탈수공(53c)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서 즙액받이구(56)로 떨어져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탈수회전통(53)이 회전되므로 원심력에 의해서 탈수회전통(53) 내주면쪽으로 슬러지가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슬러지도 같이 회전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에서 탈수회전통(53)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슬러지가 배출되어 밀려서 이동되거나 또는 구동모터(52') 동력으로 배출스크류(51)가 회동되기 때문에 슬러지가 배출스크류(51)의 스크류편(51d)을 따라 회전되면서 토출구(53a)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어서 토출구(53a)를 통해 슬러지가 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스크류(51)는 외측축부(51b)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51c) 및 스크류편(51d) 피치가 점차 좁아지게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배출스크류(51)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슬러지가 토출구(53a)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점차 압축되기 때문에 슬러지로부터 액체가 분리되는 탈수가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탈수회전통(53)도 토출구(53a)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져서 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슬러지가 더욱 압축됨으로써 탈수작용이 매우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0)은, 한쌍의 스크류(42,42')의 회전축부(43) 끝단부와 각각 유니버셜죠인트(510,510')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연동스크류(520,520')를 구비한다. 상기 유니버셜죠인트(510,510')는 이미 알려진 부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연동스크류(520,520')는, 토출구(53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521) 및 나선형의 스크류편(522)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스크류(520,520') 외측단부는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40)에 지지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 부호 541은 지지부재(540)가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축봉이고, 부호 542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연동스크류(520,520')의 외측으로는 토출구(531)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다수의 탈수공(532)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통(530)이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탈수하우징(30)에서 1차적으로 착즙되어 배출공(34)으로 밀려 나오게 되는 슬러지가 고정된 상태의 탈수통(53) 내부로 투입되는 상태가 되고, 탈수통(53)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는 유니버셜죠인트(510,510')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스크류(520,520')에 의해 토출구(53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어 토출구(531)로 토출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탈수통(530)이 토출구(531)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체적 감소에 의해서 탈수통(530) 내부를 이동하게 되는 슬러지가 점차 압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슬러지에 머금고 있는 액체성분(수분)이 탈수공(53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서 즙액받이구(56)로 떨어져서 분리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탈수통(530)의 토출구(531) 외측으로 슬러지가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슬러지 배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출압력조절수단(60)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출압력조절수단(60)은 토출구(531)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조절부재(61)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이동조절부재(61) 중앙 및 양측에 조절나사봉(62,64)이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조절나사봉(62,64)이 기대고정브라켓(1a)을 관통하도록 하고, 관통된 조절나사봉(62.64)에 너트(63)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너트(63)을 풀고 조절나사봉(62,64)을 토출구(531)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수평이동조절부재(61)가 토출구(53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상태에서 다시 너트(63)를 조이게 되는 것으로서, 도 14에서 수평이동조절부재(61)가 실선 도시와 같이 조절된 상태 보다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가 토출구(531)로 토출되는 슬러지의 토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탈수통(530)에서 밀어 내려는 양보다 토출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슬러지의 배출압력이 높아지게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을 구비하게 되므로 1차 착즙된 슬러지에서 다시 한번 2차적인 착즙작용이 되기 때문에 착즙효울이 크게 향상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착즙된 슬러지가 정체현상 없이 양호하게 배출되고 1,2차 착즙작용이 되면서도 착즙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기대 1a:기대고정브라켓
2:호퍼 3:투입통로
4:모터 5:강제투입부재
10:제1파쇄수단 11:구동모터
12,12':파쇄부재 13:날삽입홈
14:파쇄날 15:연동기어
20:제2파쇄수단 21:구동모터
22,22':파쇄부재 23:커터날
27:연동기어 30:탈수하우징
31:파쇄물체이동공 32:환봉
33:탈수로 34:배출공
35:즙액받이구 40: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
41:구동모터 42,42':스크류
43:회전축부 44:나선형 스크류편
45:연동기어 46:베어링
50,500: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 51:배출스크류
51a:내측축부 51b:외측축부
51c:스크류축 51d:스크류편
52,52':구동모터 53:탈수회전통
53a:토출구 53b:가이드부재
53c:탈수공 54,54':타이밍풀리
54":타이밍벨트 55,55':베어링
56:즙액받이구 60:배출압력조절수단
61:수평이동조절부재 62,64:조절나사봉
63:너트 510,510':유니버셜죠인트
520,520':회전스크류 521:스크류축
522:스크류편 530:탈수통
531:토출구 532:탈수공
540:지지부재 541:지지축봉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호퍼(2) 하부의 투입통로(3)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파쇄부재(12,12')가 횡방향으로 다수의 날삽입홈(13) 및 파쇄날(14)을 갖는 제1파쇄수단(10)과;
    상기 투입통로(3) 하부와 연통되는 파쇄물체이동공(31)을 구비하는 탈수하우징(30)을 구비하되, 탈수하우징(30)의 양측 외주연부에는 다수의 기다란 환봉(32)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환봉(32) 사이에 파쇄물체이동공(31)과 연통되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하거나, 탈수하우징(30) 자체를 뚫어서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탈수로(33)가 다수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탈수하우징(30)과;
    상기 파쇄물체이동공(31)에 삽입되어 구동모터(41) 동력으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쌍의 스크류(42,42')의 회전축부(43)가 배출공(34)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나선형 스크류편(44)은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파쇄물체압축이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하우징(30)의 배출공(34) 일측으로 기대고정브라켓(1a)에 내측축부(51a) 및 외측축부(51b)가 지지되고 외측축부(51b)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51c) 및 스크류편(51d) 피치가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출스크류(51)와, 상기 배출스크류(51) 외측에 구동모터(52) 동력으로 회전되고 외측축부(51b) 쪽으로 토출구(53a)를 구비하고 토출구(53a)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다수의 탈수공(53c)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회전통(53)을 갖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이나,
    한쌍의 스크류(42,42')의 회전축부(43) 끝단부와 각각 고정되는 유니버셜죠인트(510,510')와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호 맞물려서 회전되며 토출구(53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직경을 갖는 스크류축(521) 및 나선형의 스크류편(522)을 갖는 한쌍의 연동스크류(520,520')와, 상기 연동스크류(520,520') 외측단부는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40)에 지지되고, 상기 연동스크류(520,520') 외측으로는 토출구(531) 방향으로 통로가 좁아지고 다수의 탈수공(532)이 있는 원뿔형태의 탈수통(530)이 기대고정브라켓(1a)에 고정되는 탈수겸용 슬러지배출수단(500); 중에 어느 하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4. 삭제
KR1020180092896A 2018-05-14 2018-08-09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KR102031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19 2018-05-14
KR20180055019 2018-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882B1 true KR102031882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896A KR102031882B1 (ko) 2018-05-14 2018-08-09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29A (ko) * 2020-10-02 2022-04-11 주식회사 경은 착즙기의 슬러지배출장치
CN114365855A (zh) * 2022-01-26 2022-04-19 江西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芦笋粉碎榨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24A (ko) * 1997-06-11 1998-04-30 김상주 엽체류 압착기
JP3142322U (ja) * 2008-02-19 2008-06-12 株式会社三貴 果実・野菜類搾汁装置
KR20150114000A (ko) * 2014-03-28 2015-10-12 김은수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1693205B1 (ko) 2016-03-17 2017-01-05 신정환 투입된 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24A (ko) * 1997-06-11 1998-04-30 김상주 엽체류 압착기
KR100215484B1 (ko) * 1997-06-11 1999-08-16 김상주 엽체류 압착기
JP3142322U (ja) * 2008-02-19 2008-06-12 株式会社三貴 果実・野菜類搾汁装置
KR20150114000A (ko) * 2014-03-28 2015-10-12 김은수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1693205B1 (ko) 2016-03-17 2017-01-05 신정환 투입된 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29A (ko) * 2020-10-02 2022-04-11 주식회사 경은 착즙기의 슬러지배출장치
KR102465500B1 (ko) 2020-10-02 2022-11-11 주식회사 경은 착즙기의 슬러지배출장치
CN114365855A (zh) * 2022-01-26 2022-04-19 江西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芦笋粉碎榨汁机
CN114365855B (zh) * 2022-01-26 2024-02-27 江西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芦笋粉碎榨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82B1 (ko) 투입된 식용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EP2510842B1 (en) Combined smoothie maker and juicer
EP2651268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and pulp from fruit or vegetables
JP2016519980A (ja) 網ドラム及びこれを含む搾汁ジューサー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15070709A1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mesh filter of variable distances from helical screw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KR200488915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60102973A (ko) 녹즙 추출기
CN110280357A (zh) 一种调味品原材料粉碎机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1181013B1 (ko) 착즙장치
US3478796A (en) Juice extracting machine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2349312B1 (ko) 착즙기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2299722B1 (ko) 스크류 압착형 탈수기
KR20180085472A (ko) 착즙기
KR20190084626A (ko) 과실의 씨앗 분리장치
KR20120039178A (ko) 착즙기
KR200257533Y1 (ko) 과즙 추출장치
US2088657A (en) Extracting machine
KR960001893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