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400B1 -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400B1
KR101717400B1 KR1020160057146A KR20160057146A KR101717400B1 KR 101717400 B1 KR101717400 B1 KR 101717400B1 KR 1020160057146 A KR1020160057146 A KR 1020160057146A KR 20160057146 A KR20160057146 A KR 20160057146A KR 101717400 B1 KR101717400 B1 KR 10171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area
region
hous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707A (ko
Inventor
김점두리
Original Assignee
김점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두리 filed Critical 김점두리
Priority to KR1020160057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4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전방으로 이송되는 착즙재료에 의하여 제2 착즙부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A Juicer having enhanced extract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교환 없이 야채, 과일은 물론 참깨, 들깨와 같은 씨앗 등 다양한 재료의 착즙에 이용될 수 있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착즙기는 채소나, 씨앗(예, 참깨, 들깨)과 같은 착즙재료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기기로서, 원심분리방식과 쌍 기어방식이 있다. 원심분리방식은 과일 등의 과즙을 추출하는데는 적합하지만, 섬유소가 많고 수분량이 적은 채소나 참깨, 들깨와 같은 착즙재료의 착즙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쌍 기어방식은 착즙재료를 세절하고 압착하거나 세절과 동시에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즙 추출률이 원심분리방식에 비해 수배 이상 높은 장점이 있어서, 현재 착즙기 시장수요의 대부분을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가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는 헬리컬(Helical) 기어 형태의 한 쌍의 분쇄롤러부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나선형태의 한 쌍의 착즙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롤러부와 착즙롤러부를 착즙망이 형성된 하우징 내에 수납시킨 후 구동부에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부는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재료를 분쇄하고 착즙하면서 착즙롤러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착즙롤러부에서는 분쇄된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하우징과 함께 압착시킴으로써 착즙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즙기는 착즙부(200)에 연결되어 착즙부(200)를 구동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며 구동부(100)에 의하여 구동되어 착즙재료를 분쇄 가압하여 즙을 추출하는 착즙부(200)와, 상기 구동부(100)와 착즙부(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00)는 내측으로 모터(150)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제1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110)과, 제1 연결부(130)를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며 모터(150) 구동되는 회전축(170)과, 상기 회전축(170)과 나란하게 돌출 구비된 고정축(1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부(200)는 구동부(100)에 연결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가 수용되며 상기 구동부(100)의 모터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중공의 하우징(20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는 분쇄롤러부(250)와, 상기 분쇄롤러부(250)의 전방으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착즙롤러부(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가 하우징(200a) 내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착즙재료를 분쇄하고, 가압 착즙하면서 이송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하우징(200a)은 구동부(100)를 향하는 후방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장자리에 구동부(100)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제2 연결부(221)를 가진다.
상기 분쇄롤러부(250)는 외주면에 분쇄날(헤리컬 기어)이 형성되어 회전축(170)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분쇄롤러(251)와, 고정축(1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쇄롤러(2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쇄날은 서로 맞물리게 구비되어, 회전축(170)에 결합된 제1 분쇄롤러(251)의 분쇄날과 고정축(19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이 서로 맞물리면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맞물려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하여 착즙재료는 분쇄되어 착즙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착즙롤러부(260)는 외주면에 나선을 이루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에 결합되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에 결합되며, 결합은 억지 끼워 맞춤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외주면(266)이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주면(266)에는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외주면(266)에는 길이 방향으로 2구역으로 나뉘어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외주면(266)의 후방 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는 제1 이송돌기(267)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나선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다.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상기 외주면(266)의 중간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는 상기 제1 이송돌기(267)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촘촘히 형성되는 제2 이송돌기(268)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나선을 이루어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착즙부재가 지름이 작아져 이송에 큰 힘이 필요하는 착즙하우징부(230)의 전방으로 이송될 시에도 촘촘하게 형성된 제2 이송돌기(268)로 인하여 더 큰 힘으로 착즙할 수 있다.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전방으로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로부터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의 끝단부보다 작은 지름으로 연장된 연장부(264)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0a)은 본체부를 이루는 중공의 분쇄하우징부(220)와 상기 분쇄하우징부(220)로부터 분기되어 길이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는 중공의 착즙하우징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하우징부(230)는 분쇄하우징부(220)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쇄하우징부(220)의 단면은 상기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이 서로 치합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2개의 원호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분쇄하우징부(220)의 상부에는 착즙재료를 분쇄하우징부(220)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호퍼부(21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210)의 전방으로 상기 분쇄하우징부(22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1 착즙공(2201)이 형성된다. 상기 호퍼부(210)로 착즙재료가 투입되면 착즙재료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되며, 착즙재료가 분쇄되면서 착즙재료로부터 유출되는 즙의 일부는 상기 제1 착즙공(2201)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23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2 착즙공(2301)이 형성되고, 착즙하우징부(230)의 하부로 판상의 받침부(231)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230)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부(240)가 구비되는데, 이탈방지부(240)의 일단부는 착즙하우징부(230)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수용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1)는 착즙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이탈방지부(240)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착즙하우징부(230)에 수용된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1)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부(264)는 착즙하우징부(23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착즙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이탈방지부(240)의 일단부를 지나 이격되어 구비된 수용부(24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수용부(241)에는 2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각 통공에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1)의 연장부(26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이탈방지부(240)에는 착즙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일단부와 수용부(241) 사이에 하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착즙된 후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231)는 착즙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이탈방지부(240)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그리고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즙하우징부(230)의 하부로 위치한다. 따라서 착즙롤러부(260)에서 착즙되어 제2 착즙공(2301)을 통하여 배출된 즙의 일부는 받침부(231)로 낙하하여 받침부(231)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230)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와 마주하는 제1 환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환형부의 개구된 부분으로 연장부(264)가 관통 연장된다. 상기 단차와 제1 환형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며, 제1 환형부(237)의 개구된 부분의 내경과 연장부(264)의 외경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하우징부(220) 및 착즙하우징부(230)의 상부로 분쇄하우징부(220)의 제1 착즙공(2201)과 착즙하우징부(230)의 제2 착즙공(2301)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커버(270)가 구비된다. 커버(270)의 단면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방향으로 분쇄하우징부(220) 및 착즙하우징부(230)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27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착즙공(2201) 및 제2 착즙공(2301)를 통해 배출되는 즙이 상방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분쇄하우징부(220) 및 착즙하우징부(2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쇄롤러(251) 및 제2 분쇄롤러(255)는 하우징(200a)의 분쇄하우징부(220) 내측에 위치하고,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는 하우징(200a)의 각 착즙하우징부(230)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부(264)는 착즙하우징부(230)의 단부에 구비된 제1 환형부를 지나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2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착즙기는 전방으로 착즙재료가 이송되면서 착즙하우징부가 변형되어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54388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내측에 모터가 구비되어 몸체가 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측방으로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모터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고정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분쇄롤러부와 상기 분쇄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롤러부와 일체로 구동되는 착즙롤러부와 상기 분쇄롤러부와 착즙롤러부가 내측으로 수용되며 일측으로 착즙재료가 투입되는 중공의 호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착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중공체로 이루어져 상기 분쇄롤러부가 내측으로 수용되고 몸체가 되는 분쇄하우징부와, 상기 분쇄하우징부로부터 분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착즙롤러부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중공체의 착즙하우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하우징부에는 상기 분쇄롤러부에서 착즙재료가 분쇄되어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 착즙공으로 이루어진 제1 착즙부가 구비되며, 상기 착즙하우징부에는 상기 착즙롤러부에 의하여 이송 가압되어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착즙공으로 이루어진 제2 착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부는 호퍼부의 전방으로 분쇄롤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부는 착즙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착즙하우징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부는 복수의 제1 영역 착즙공이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제2 영역 착즙공이 형성된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565)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제3 영역 착즙공이 형성된 제3 영역으로 구역이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의 내측 면적을 각 영역의 전체 면적이라 하고, 상기 각 영역 내에 형성된 착즙공의 면적을 합한 총면적을 각 영역의 공 면적이라 하며, 상기 전체 면적에서 공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이라 하여, 상기 잔류 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비라 할 때;
상기 제2 영역의 잔류 면적비는 제1 영역의 잔류 면적비보다 크거나 같고 제3 영역의 잔류 면적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영역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상부 일부에 제1 영역 착즙공이 형성되지 않은 흡수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사이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압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부는 외향 돌출되고, 상기 외향 돌출된 지지부의 내측에 압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부는 반경 방향 내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 외측에 압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영역(565)을 이루는 제2 영역 착즙공(565a)의 지름(D1)과 상기 제3 영역(567)을 이루는 제3 영역 착즙공(567a)의 지름(D2)은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 착즙공(567a) 사이의 거리(d2)는 제2 영역 착즙공 사이의 거리(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가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비보다 작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따르면, 전방으로 이송되는 착즙재료에 의하여 제2 착즙부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며,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착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착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착즙기에 구비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A”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제2 착즙부의 제2 영역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9는 제2 착즙부의 제3 영역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제1 영역 착즙공의 단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제2 착즙부의 제2 영역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9는 제2 착즙부의 제3 영역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제1 영역 착즙공의 단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도 5의 가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고, “제2 연결부”에서 “이탈 방지부”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탈 방지부”에서“제2 연결부”로 향하는 방향을“후방”이라고 하며, 세로 방향을“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내측에 모터(150)가 구비되는 모터하우징(110)과, 상기 모터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돌출된 모터 구동되는 회전축(170)과 상기 회전축(170)과 나란하게 모터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고정축(190)으로 이루어진 구동부(100)와, 상기 고정축(190)과 회전축(170)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하우징(500)에 수용되는 롤러부와, 상기 모터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가 수용되는 중공의 본체부(510)와 본체부(51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재료가 투입되는 중공의 호퍼부(520)를 가지는 하우징(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부호 530은 제1 연결부(130)에 연결되도록 하우징(500)의 후방으로 구비되는 제2 연결부(530)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540은 하우징(500)의 전방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롤러부는 하우징(500)에 수용되어 착즙재료를 분쇄 이송하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진 분쇄롤러부(250)와, 상기 분쇄롤러부(250)로부터 이송된 착즙재료를 이송 가압하여 착즙하는 나선형의 이송돌기가 형성된 착즙롤러부(260)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분쇄롤러부(250)가 수용되는 분쇄하우징부(510)의 상부로 착즙재료가 투입되는 상기 호퍼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부(520)는 중공체로서 본체부(510)에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500)의 분쇄하우징부(510)에는 분쇄롤러부(250)에서 분쇄되는 착즙재료에서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 착즙공(551)으로 이루어진 제1 착즙부(550)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하우징부(510)의 전방 일단에는 상기 분쇄하우징부(510)로부터 분지되어 구비되는 착즙하우징부(560)가 위치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560)에는 착즙롤러부(260)에서 이송 가압되면서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착즙공으로 이루어진 제2 착즙부(5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부(570)의 하부에는 후방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부(580)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하우징부(510)는 롤러부의 분쇄롤러부(250)가 수용된다. 상기 분쇄하우징부(510)에 구비된 상기 제1 착즙부(550)는 호퍼부(520)의 전방으로 분쇄롤러부(2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에서 분쇄된 착즙재료는 롤러부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500)과 분쇄롤러부(2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의 외경면과 분쇄하우징부(510) 내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에서 분쇄되면서 착즙재료로부터 추출된 즙의 일부는 제1 착즙부(550)를 통하여 하우징(500)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분쇄하우징부(510)에서 착즙된후 분쇄롤러부(250)에 의해서 나머지 착즙 재료는 착즙하우징부(560)로 이송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560)는 착즙롤러부(260)가 수용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하우징부(560)는 상기 분쇄하우징부(510)로부터 분지되어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각 착즙하우징부(560)에는 제2 착즙부(5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착즙부(570)는 착즙롤러부(26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에서 분쇄되어 착즙롤러부(260)로 이송된 착즙재료는 착즙롤러부(26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상기 착즙하우징부(560)에 가압되어 착즙이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하우징부(570)에서 추출된 즙은 제2 착즙부(570)를 통하여 하우징(500)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와 분쇄하우징부(5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착즙롤러부(260)와 착즙하우징부(56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보다 낮도록, 상기 분쇄롤러부(250)와 분쇄하우징부(510) 사이의 틈새가 상기 착즙롤러부(260)와 착즙하우징부(560) 사이의 틈새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분쇄롤러부(250)와 분쇄하우징부(5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커지는 경우 분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는 착즙롤러부(260)에서 착즙 또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즙하우징부(560)는 전방을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부(570)는 길이 방향으로 구역이 나뉘어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착즙부(570)는 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영역(561)과, 상기 제1 영역(561)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제2 영역(565)과, 상기 제2 영역(565)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제3 영역(567)으로 구역이 나누어진다.
상기 제2 영역(565)과 제3 영역(567)을 합친 길이 방향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영역(565)의 길이 방향 길이는 60%∼70%의 비율을, 상기 제3 영역(567)의 길이 방향 길이는 30%∼40%의 비율을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길이 방향 비율은 제2 영역(565)이 64%, 제3 영역(567)이 36%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영역(561)과 제2 영역(565)의 사이에는 제1 영역(561)과 제2 영역(565)이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56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563)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563)에는 압전소자(563a)가 구비된다. 상기 압전소자(563a)는 상기 지지부(563)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압전소자(563a)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63)는 원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향 돌출된 지지부(563)의 내측에 압전소자(563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563)는 반경 방향 내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563) 외측에 압전소자(563a)가 삽입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563)로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압전소자(563)를 진동 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563a)가 지지부(563)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 일측에 제1 영역(561)이 위치하고 타측에 제2 영역과 제3 영역이 위치하여 양쪽으로 진동이 전달되어 착즙공의 막힘이 방지되고 발생진동의 진폭은 최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2 영역(565)과 제3 영역(567)은 상기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와 상기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비의 차이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3구역으로 나누어진 각 영역은 외측에 외각 테두리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영역(561)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는 제1 영역(561)에 형성된 제1 영역 착즙공(561a) 중 외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영역 착즙공(561a)들이 내접하는 폐곡선이다.
상기 제2 영역(565)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는 제2 영역(565)에 형성된 제2 영역 착즙공(565a) 중 외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영역 착즙공(565a)들이 내접하는 폐곡선이다.
상기 제3 영역(567)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는 제3 영역(567)에 형성된 제3 영역 착즙공(567a) 중 외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 영역 착즙공(561a)들이 내접하는 폐곡선이다.
상기의 제1 영역(561)과 제2 영역(565)과 제3 영역(567)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의 내측 면적을 각 영역의 전체 면적이라 하고, 상기 각 영역 내에 형성된 착즙공의 면적을 합한 총면적을 각 영역의 공 면적이라 하며, 상기 전체 면적에서 공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이라 하여, 상기 잔류 면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비라 하면
Figure 112016044568615-pat00001
이 되고
Figure 112016044568615-pat00002
가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제2 착즙부(570)가 변형됨으로써 착츱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영역 착즙공(567a)의 지름(D2)에 대한 중심 사이의 거리(d2) 비는 제2 영역 착즙공(565a)의 지름(D1)에 대한 중심 사이의 거리(d1) 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을 제2 영역(565)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 값인 상기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는 제1 영역(561)의 잔류 면적비보다 크거나 같다. 또한 상기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는 상기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을 제3 영역(567)의 전체면적으로 나눈 값인 상기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비 보다 작게된다. 이는 상기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이 다른 두 영역의 잔류면적보다 더 넓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착즙부(570)의 제3 영역(567)의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착즙부재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착즙될 수록 이송착즙부(560)와 착즙롤러부(260) 사이에 발생하는 내압의 증가에 대응하여 제3 영역의 부풀어 오르는 현상과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착즙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영역(561)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영역 착즙공(561a)은 대략 0.13㎜∼0.17㎜ 범위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착즙공(561a)의 지름이 0.1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영역 착즙공(561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대략 0.6㎜∼1.1㎜ 범위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착즙공(561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0.9㎜이다.
상기 제1 영역(561)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상부 일부에 제1 영역 착즙공(561a)이 형성되지 않은 흡수방지부(56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하우징부(510)의 제1 착즙부(550)로부터 추출된 즙이 다시 착즙하우징부(5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 영역(565)은 상기 제1 영역(561)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제2 영역 착즙공(565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 착즙공(565a)은 대략 0.13㎜∼0.17㎜ 범위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 착즙공(565a)의 지름이 0.1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영역 착즙공(565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대략 0.6㎜∼1.1㎜ 범위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 착즙공(565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0.9㎜이다.
상기 제3 영역(567)은 상기 제2 영역(565)의 전방에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3 영역(567)은 복수의 제3 영역 착즙공(567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영역 착즙공(567a)은 대략 0.13㎜∼0.17㎜ 범위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3 영역 착즙공(567a)의 지름이 0.1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3 영역 착즙공(567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대략 1.4㎜∼1.8㎜ 범위로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3 영역 착즙공(567a) 중심의 이격된 거리는 1.4㎜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561)에 형성된 제1 영역 착즙공(561a)은 반경 방향 외측의 지름(w)과 내측의 지름(n)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영역 착즙공(561a)은 반경 방향 외측의 지름(w)은 내측의 지름(n)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반경 방향 외측의 지름(w)은 0.27㎜∼0.33㎜범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 방향 외측의 지름(w)은 0.3㎜로 형성되는것이 좋다. 상기 반경 방향 내측의 지름(n)은 0.12㎜∼0.18㎜범위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의 지름(n)은 0.15㎜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착즙공의 특징은 제1 영역(561)뿐 만 아니라 제2 영역(565) 및 제3 영역(56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착즙재료의 찌꺼기가 착즙공에 끼어 있을 시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물세척이 용이하여 쉽게 찌꺼기를 세척하여 착즙기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하우징 510: 분쇄하우징부
520: 호퍼부 530: 제2 연결부
540: 이탈방지부 550: 제1 착즙부
560: 제2 착즙부 561: 제1 영역
565: 제2 영역 567: 제3 영역
570 : 제2 착즙부

Claims (5)

  1. 내측에 모터(150)가 구비되어 몸체가 되는 모터하우징(110)과 상기 모터(15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터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된 회전축(170)과 상기 회전축(170)과 측방으로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모터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축(190)으로 이루어진 구동부(100)와,
    상기 회전축(170)과 고정축(19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분쇄롤러부(250)와 상기 분쇄롤러부(25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롤러부(250)와 일체로 구동되는 착즙롤러부(260)와 상기 분쇄롤러부(250)와 착즙롤러부(260)가 내측으로 수용되며 일측으로 착즙재료가 투입되는 중공의 호퍼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하우징(110)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하우징(500)으로 이루어진 착즙부(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500)은 중공체로 이루어져 상기 분쇄롤러부(250)가 내측으로 수용되고 몸체가 되는 분쇄하우징부(510)와, 상기 분쇄하우징부(510)로부터 분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착즙롤러부(260)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중공체의 착즙하우징부(5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하우징부(510)에는 상기 분쇄롤러부(250)에서 착즙재료가 분쇄되어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 착즙공(551)으로 이루어진 제1 착즙부(550)가 구비되며, 상기 착즙하우징부(560)에는 상기 착즙롤러부(260)에 의하여 이송 가압되어 추출되는 즙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착즙공으로 이루어진 제2 착즙부(57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착즙부(550)는 호퍼부(520)의 전방으로 분쇄롤러부(250)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부(570)는 착즙롤러부(26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착즙하우징부(560)는 전방을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부(570)는 복수의 제1 영역 착즙공(561a)이 형성된 제1 영역(561)과, 상기 제1 영역(561)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제2 영역 착즙공(565a)이 형성된 제2 영역(565)과, 상기 제2 영역(565)의 전방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제3 영역 착즙공(567a)이 형성된 제3 영역(567)으로 구역이 나누어지며;
    상기 제1 영역(561)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후방 단부의 상부 일부에 제1 영역 착즙공(561a)이 형성되지 않은 흡수방지부(56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561)과, 제2 영역(565)과, 제3 영역(567)을 경계 짓는 외각 테두리의 내측 면적을 각 영역의 전체 면적이라 하고, 상기 각 영역 내에 형성된 착즙공의 면적을 합한 총면적을 각 영역의 공 면적이라 하며, 상기 전체 면적에서 공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이라 하여, 상기 잔류 면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을 각 영역의 잔류 면적비라 할 때;
    상기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는 제1 영역(561)의 잔류 면적비보다 크거나 같고,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565)을 이루는 제2 영역 착즙공(565a)의 지름(D1)과 상기 제3 영역(567)을 이루는 제3 영역 착즙공(567a)의 지름(D2)은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 착즙공(567a) 사이의 거리(d2)는 제2 영역 착즙공 사이의 거리(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영역(565)의 잔류 면적비가 제3 영역(567)의 잔류 면적비보다 작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20160057146A 2016-05-10 2016-05-10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71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46A KR101717400B1 (ko) 2016-05-10 2016-05-10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46A KR101717400B1 (ko) 2016-05-10 2016-05-10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56A Division KR101638701B1 (ko) 2014-12-04 2014-12-04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91A Division KR20160124056A (ko) 2016-10-17 2016-10-17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7A KR20160068707A (ko) 2016-06-15
KR101717400B1 true KR101717400B1 (ko) 2017-03-28

Family

ID=5613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146A KR101717400B1 (ko) 2016-05-10 2016-05-10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22B1 (ko) * 2019-10-29 2022-04-05 주식회사 엔젤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33B1 (ko) *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KR101254388B1 (ko) 2010-10-15 2013-04-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218489B1 (ko) * 2010-10-15 2013-01-04 이지혜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7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647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EP2875758B1 (en) Juicer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1254388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RU2555149C2 (ru) Измельчающий диск для кухонного комбайна и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одержащий измельчающий диск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102655794A (zh) 用于食物加工器的磨碎圆盘
US9731467B2 (en) Food processor
WO2020178386A1 (fr)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egumes
WO2018128359A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1319762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717400B1 (ko)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638701B1 (ko)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218489B1 (ko) 착즙기
KR20160124056A (ko)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232461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060102974A (ko) 녹즙 추출기
KR101667451B1 (ko) 유성 및 수성 즙 착즙용 착즙기
KR101500998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180085472A (ko) 착즙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KR101010912B1 (ko) 전기녹즙기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N220274785U (zh) 一种沙棘皮籽粉碎离心分离过滤装置
KR200466655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