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729A -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729A
KR20040110729A KR1020030040170A KR20030040170A KR20040110729A KR 20040110729 A KR20040110729 A KR 20040110729A KR 1020030040170 A KR1020030040170 A KR 1020030040170A KR 20030040170 A KR20030040170 A KR 20030040170A KR 20040110729 A KR20040110729 A KR 2004011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conveyor
article
information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819B1 (ko
Inventor
이성열
선용균
이상훈
박노신
이재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819B1/ko
Priority to US10/769,883 priority patent/US20040260423A1/en
Priority to JP2004153106A priority patent/JP2005008411A/ja
Publication of KR2004011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입된 물품의 정보와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내 입출고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의 여부를 그 반입과 더불어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the warehousing and delivery system for articles)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의하면 물품의 반입과 더불어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해지고 아울러 일단 저장에 의한 저장 장소의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물품 이송부와 같은 각 부분의 동작 메카니즘(mechanism)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등 물품 입출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The warehousing and delivery system for article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입된 물품의 정보와 관리 서버 내 입출고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의 여부를 그 반입과 더불어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와 같은 저장 장소에 대해 물품의 입고, 저장 및 출고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물품 입출고 시스템이라 한다.
물품 입출고 시스템은 그 작업 대상인 물품의 입출고량과 입출고 작업의 빈도 등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컴퓨터(computer) 등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물품 입출고 시스템에서는 그 입출고 과정에 있어서, 반입된 물품을 저장 장소에 저장시켰다가 출고 소요가 발생할 경우 그 저장 장소로부터 반출시켜 출고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입고를 위해 반입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출고 소요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인 출고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일률적으로 저장 장소에 저장되었다가 반출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출고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물품 입출고 시스템에서의 물품 입출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물품 입출고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물품 입출고 시스템에서는 입고부에 물품이 반입되면(10)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이 운반된다(11). 그 과정에서 바코드 인식기(bar code scanner)와 같은 물품 식별부를 통해 물품의 정보가 식별되는데(12), 이렇게 식별된 물품의 정보는,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며 그 입출고 정보에 대응한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13) 입출고 정보에 편입된다(14).
정보가 식별되어지고, 또한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되어진 물품들은 적재 크레인을 통해 이송되어(15) 저장부에 저장된다(16).
물품의 출고는 관리 서버로부터 시스템의 각 부분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 제어부로 출고 신호가 전송됨(17)으로써 시작된다. 출고 신호를 전송받은 장치 제어부는 적재 크레인을 비롯한 각 부분들에 대해 출고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을 지시하게 된다. 장치 제어부로부터 출고 관련 동작을 지시받은 적재 크레인은 해당 물품을 찾아 출고 컨베이어로 이송하고(18), 물품을 이송받은 출고 컨베이어는 그 물품을 출고부로 운반시킴(19)으로써 물품의 출고를 완료한다(20).
이러한 시스템 전반의 운용은 ADS(Auto Dispatching System), CBS(Carrier Buffer System), ECS(Equipment Control System) 등과 같은 시스템 운용 소프트 웨어(system operating software)를 통해 이루어지며, 앞서 기술된 입고 컨베이어,출고 컨베이어, 적재 크레인 등과 같은 물품 이송부들은 전체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그 종류와 구성이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물품 입출고 시스템에 의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서는 관리 서버로 전송된 물품 정보가 입출고 정보에 새롭게 편입될 뿐, 입출고 과정에서 즉시 사용되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반입된 물품은 기존의 입출고 정보에 따라 일단 저장부에 저장된 후 출고가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입고를 위해 반입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출고 소요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인 물품의 출고가 어렵고, 또한 곧 출고될 물품을 일단 저장함에 따른 저장 장소의 공간 낭비가 발생하는 등 입출고 작업에 있어서의 비효율적인 문제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의 반입과 더불어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출고 시간 지연과 저장 공간 낭비 등과 같은 비효율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물품 입출고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물품(article)
210 : 입고부
220 : 출고부
230 : 저장부
240 : 물품 이송부
242 : 입고 컨베이어(conveyor for warehousing)
243 : 출고 컨베이어(conveyor for delivery)
244 : 적재 크레인(stacker crane)
250 : 장치 제어부
260 :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270 : 물품 식별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이 반입되는 입고부와,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물품이 반출되는 출고부와, 입고부에 반입된 물품을 운반하는 입고 컨베이어와, 출고부로 반출될 물품을 운반하되 그 일부분은 입고 컨베이어의 일부분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입고 컨베이어로부터 물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출고 컨베이어와, 입고부에 반입된 물품의 정보를 식별하는 물품 식별부와,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물품을 저장부로 이송시키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물품을 출고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적재 크레인과, 각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 및,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고 그 입출고 정보에 대응한 상기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장치 제어부에 전달하되 물품 식별부로부터 전달된 물품의 정보와 관리 중인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 여부를 그 반입과 더불어 판단하고 이를 통한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 식별부는 바코드 인식기(bar code scanner)이며, 상기 물품 식별부는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상기 입고부측 일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 입출고 시스템은 물품의 정보와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입고부로부터 입고 중인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를 결정하게 될 경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 중인 물품을 출고 컨베이어로 전달하여 즉각적인 출고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입고부에 물품이 반입되는 단계와, (b)반입된 물품을 식별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c)관리 서버로 전달된 물품의 정보를 입출고 정보와 비교하여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관리 서버로부터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장치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e)장치 제어부에 의한 물품 이송부의 조작을통해 입고부로 반입된 물품을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출고부로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바코드 인식기를 통해 물품에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e)단계는 입고부에 반입된 물품을 운반하는 입고 컨베이어와, 출고부로 반출될 물품을 운반하되 그 일부분은 입고 컨베이어의 일부분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입고 컨베이어로부터 물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출고 컨베이어 및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물품을 저장부로 이송시키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물품을 출고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적재 크레인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부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물품의 정보와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입고부로부터 입고 중인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를 결정하게 될 경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 중인 물품을 출고 컨베이어로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출고가 진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에서는 입고부(210)에 물품(100)이 반입되면(30) 입고 컨베이어(243)에 의해물품(100)이 운반된다(31). 그 과정에서 바코드 인식기와 같은 물품 식별부(270)를 통해 물품(100)의 정보가 식별되는데(32), 이렇게 식별된 물품(100)의 정보는, 물품(100)의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며 그 입출고 정보에 대응한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관리 서버(260)로 전송된다(33). 관리 서버(260)로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전용의 독립된 서버를 사용하거나, 다른 관리 부분까지 포함하는 대형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에 연결된 중간급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60)로 전송된 물품(100)의 정보는 관리 서버(260)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입출고 정보와 비교되며(34), 그 비교를 통해 물품(100)의 저장 및 출고 여부가 판단된다(35).
비교 결과, 관리 서버(260)는 당장의 즉각적인 출고 진행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면 장치 제어부(250)로 저장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39), 반대로 즉각적인 출고 진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출고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36).
만일, 물품(100)의 저장이 결정되었다면, 입고 컨베이어(243)를 통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되어진 물품(100)들은 적재 크레인(244)을 통해 이송되어(40) 저장부(230)에 저장된다(41).
이와는 반대로, 물품(100)의 즉각적인 출고가 결정되었다면, 입고 컨베이어(243)를 통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되어진 물품(100)들은 그곳에서 입고 컨베이어(243)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출고 컨베이어(242)로 즉시 운반되고(37), 이어서 출고 컨베이어(242)를 통해 출고부(220)로 출고된다(38).
여기서 입고 컨베이어(243)와 출고 컨베이어(242)는 벨트형(belt type), 체인형(chain type), 롤러형(roller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둘 사이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롤러형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반적 시스템의 운용은 ADS, CBS, ECS 등과 같은 시스템 운용 소프트 웨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된 입고 컨베이어, 출고 컨베이어, 적재 크레인 등과 같은 물품 이송부들은 전체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그 종류와 구성이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제시된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다수의 구성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에 의하면, 반입된 물품의 정보와 입출고 정보를 물품의 저장에 앞서 상호 비교하고, 그에 따라 저장 또는 출고의 여부를 판단하여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반입과 더불어 즉각적인 출고가 가능해지고 아울러 일단 저장에 의한 저장 장소의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물품 이송부와 같은 각 부분의 동작 메카니즘(mechanism)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등 물품 입출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물품이 반입되는 입고부;
    상기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물품이 반출되는 출고부;
    상기 입고부에 반입된 상기 물품을 운반하는 입고 컨베이어(conveyor for warehousing);
    상기 출고부로 반출될 상기 물품을 운반하되 그 일부분은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일부분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입고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물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출고 컨베이어(conveyor for delivery);
    상기 입고부에 반입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식별하는 물품 식별부;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상기 물품을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품을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적재 크레인(stacker crane);
    상기 각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 및
    물품의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고 그 입출고 정보에 대응한 상기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상기 장치 제어부에 전달하되 상기 물품 식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물품의 정보와 관리 중인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상기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 여부를 그 반입과 더불어 판단하고 이를 통한 상기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가가능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the warehousing and delivery system for articles).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식별부는 바코드 인식기(bar code scan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식별부는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상기 입고부측 일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입출고 시스템은 상기 물품의 정보와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입고부로부터 입고 중인 상기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를 결정하게 될 경우,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 중인 상기 물품을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 전달하여 즉각적인 출고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5. (a)입고부에 물품이 반입되는 단계;
    (b)반입된 상기 물품을 식별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입출고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물품의 저장 또는 출고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각 부분의 제어 신호를 장치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e)상기 장치 제어부에 의한 물품 이송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입고부로 반입된 상기 물품을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출고부로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바코드 인식기를 통해 상기 물품에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입고부에 반입된 상기 물품을 운반하는 입고 컨베이어와, 상기 출고부로 반출될 상기 물품을 운반하되 그 일부분은 상기 입고 컨베이어의 일부분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입고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물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출고 컨베이어 및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상기 물품을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품을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적재 크레인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부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물품의 정보와 입출고 정보와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입고부로부터 입고 중인 상기 물품의 즉각적인 출고를 결정하게될 경우, 상기 입고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 중인 상기 물품을 상기 출고 컨베이어로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출고가 진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입출고 시스템.
KR10-2003-0040170A 2003-06-20 2003-06-20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KR10051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70A KR100515819B1 (ko) 2003-06-20 2003-06-20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US10/769,883 US20040260423A1 (en) 2003-06-20 2004-02-03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rrangement and method
JP2004153106A JP2005008411A (ja) 2003-06-20 2004-05-24 物品入出庫設備及び物品入出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70A KR100515819B1 (ko) 2003-06-20 2003-06-20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729A true KR20040110729A (ko) 2004-12-31
KR100515819B1 KR100515819B1 (ko) 2005-09-21

Family

ID=3351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170A KR100515819B1 (ko) 2003-06-20 2003-06-20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60423A1 (ko)
JP (1) JP2005008411A (ko)
KR (1) KR1005158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69B1 (ko) * 2006-11-16 2007-09-14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두부의 심온 냉각 자동창고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936655B1 (ko) * 2007-09-28 2010-01-14 제관석 독립 이동식 전자저울을 이용한 입출고관리 시스템
WO2012112010A3 (ko) * 2011-02-18 2012-12-20 (주)제이브이엠 약품 자동 입출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약품 자동 입출고 방법
CN104444017A (zh) * 2014-10-29 2015-03-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控制堆垛机的方法和装置以及堆垛机控制系统
CN107408285A (zh) * 2015-02-20 2017-11-28 株式会社日立物流 仓库管理系统、仓库和仓库管理方法
KR102212589B1 (ko) * 2020-10-19 2021-02-04 김국현 물류 창고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3809A1 (de) * 2009-06-03 2010-12-09 Walter Wink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ortieren von unterschiedlichen Gütern
DE102009042472A1 (de) * 2009-09-24 2011-03-31 Kht Kommissionier- Und Handhabungstechnik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ommissioniervorrichtung
KR101332525B1 (ko) * 2011-12-15 2013-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시트고무의 이송장치
US9908701B2 (en) * 2012-08-31 2018-03-06 Voodoo Robotics, Inc. Robo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and methods
JP7018456B2 (ja) * 2018-01-12 2022-02-10 株式会社Fuji 保管装置および保管方法
CN109353736A (zh) * 2018-10-29 2019-02-19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立体库入库方法及装置、立体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785A (en) * 1973-01-26 1974-02-19 Fmc Corp Automated storage and freight terminal apparatus
US4669047A (en) * 1984-03-20 1987-05-26 Clark Equipment Company Automated parts supply system
US4722653A (en) * 1985-04-30 1988-02-02 Ibm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for automated assembly facility
JPH0676140B2 (ja) * 1987-12-26 1994-09-28 花王株式会社 物品の荷揃え方法
JPH06179511A (ja) * 1992-12-14 1994-06-28 Hitachi Ltd 自動配送センタシステム
US5501571A (en) * 1993-01-21 1996-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palletizing system
US5712789A (en) * 1995-08-28 1998-01-27 K&T Ltd. Contain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H0986615A (ja) * 1995-09-29 1997-03-31 Mazda Motor Corp 自動倉庫における物品の管理装置
JPH1131182A (ja) * 1997-07-11 1999-02-02 Toshiba Corp 製品引当装置、製品引当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061607A (en) * 1997-07-18 2000-05-09 St. Onge Company Order pick system
US6148291A (en) * 1998-01-26 2000-11-14 K & T Of Lorain, Ltd. Container and inventory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JP2002068424A (ja) * 2000-08-31 2002-03-08 Teijin Ltd 配送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物流センター
US6560508B1 (en) * 2000-10-31 2003-05-06 Joseph E. Radican Standard parts metering system
US6560509B2 (en) * 2001-03-05 2003-05-0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a distribution facility
US6529797B2 (en) * 2001-03-05 2003-03-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leasing collections of goods for shipment
US6505094B2 (en) * 2001-03-05 2003-01-07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items from a distribution facilit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69B1 (ko) * 2006-11-16 2007-09-14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두부의 심온 냉각 자동창고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936655B1 (ko) * 2007-09-28 2010-01-14 제관석 독립 이동식 전자저울을 이용한 입출고관리 시스템
WO2012112010A3 (ko) * 2011-02-18 2012-12-20 (주)제이브이엠 약품 자동 입출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약품 자동 입출고 방법
US9070177B2 (en) 2011-02-18 2015-06-30 Jvm Co., Ltd. Automatic medicine warehousing and releas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warehousing and releasing medicines thereof
CN104444017A (zh) * 2014-10-29 2015-03-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控制堆垛机的方法和装置以及堆垛机控制系统
CN107408285A (zh) * 2015-02-20 2017-11-28 株式会社日立物流 仓库管理系统、仓库和仓库管理方法
KR102212589B1 (ko) * 2020-10-19 2021-02-04 김국현 물류 창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819B1 (ko) 2005-09-21
US20040260423A1 (en) 2004-12-23
JP2005008411A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22529B (zh) 一种货物自动运输的实现方法和系统
KR101783586B1 (ko) 오픈 마켓의 통합 물류/배송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3198B1 (ko) 자동 창고
KR100515819B1 (ko) 물품 입출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물품 입출고 방법
US863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JP5811040B2 (ja) 物品仕分け設備の運用方法及び物品仕分け設備
CN110125010B (zh) 一种智能仓储物流系统及其物品输送方法
CN113651009B (zh) 物品盘点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027881B (zh) 物品重新排列装置
KR20200102577A (ko)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JP4924028B2 (ja) ピッキング設備
US11257030B1 (en) Aggregating RFID events to determine a location
JP3612609B2 (ja) 入荷管理仕分システム
JP3768369B2 (ja) 物流倉庫の在庫管理システム
JP2010222082A (ja) 荷の入出庫方法
JP6270243B2 (ja) 物流システム
JP4352965B2 (ja) 物品の取扱施設
JPH0954807A (ja) 搬送ルート自動決定システム
JPH0717245B2 (ja) 集品装置
JP2736010B2 (ja) 仕分け装置
JP2019048691A (ja) 倉庫管理システム
JP2008105827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23072190A (ja) 入出庫システム
JP2001338033A (ja) 入出庫作業の管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3658181B2 (ja) 自動倉庫の自動再入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