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922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922A
KR20040100922A KR1020040034247A KR20040034247A KR20040100922A KR 20040100922 A KR20040100922 A KR 20040100922A KR 1020040034247 A KR1020040034247 A KR 1020040034247A KR 20040034247 A KR20040034247 A KR 20040034247A KR 20040100922 A KR20040100922 A KR 2004010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frame
blade
joining
blade bracke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438B1 (ko
Inventor
요시떼루 쿠보
사치오 시미쯔
시니치 센바
히로유키 다카야마
코헤이 우라쎄
타카하루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고마츠제노아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고마츠제노아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10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hovel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에 대한 차체 위로부터의 제거를 촉진함과 동시에, 블레이드 브래킷으로의 전달 하중을 저감시키며,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의 부착성의 향상 및 공통 부품화를 달성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크롤러식 주행체의 프레임이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 셔블(shovel)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의 주행체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한궤도식 차량」(특허공개 2002-1789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유압 셔블(10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하기 위한 주행체(101)와, 그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선회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102)는 선회 프레임(103)을 가지고 있으며, 선회 프레임(103)에는, 예컨대 원동기 등을 수용한 구조물 커버(104), 운전실을 구획하는 운전대(105) 및 카운터웨이트(10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102)의 전방부에는 작업 장치(107)가 부앙(俯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행체(101)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트랙 프레임(108)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 등을 용접함으로써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프레임(109)과, 센터 프레임(109)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프레임(11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109)은 중앙의 환형 몸통부(110)와, 이 환형 몸통부(110)의 외주측으로부터 전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H형 형상을 이루는 다리부(1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리부(111)는 상판부(111A), 하판부(111B) 및, 이들 판부(111A, 111B)를 상하 방향에서 연결한 측판부(111C) 등에 의해 제관(製罐)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112, 112는 센터 프레임(109)의 다리부(111)의 선단측에 용접하여 설치된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이며, 사이드 프레임(11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역ㄷ자형의 프레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 프레임(108)의 사이드 프레임(112, 112) 위에는 각각 좌, 우의 흙받이 커버(125, 125)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 이외의 문헌 공지 발명으로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특개평9-202261호 공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유압 셔블(100)(도 9 참조)은 각종 상태의 지면 위를 주행체(101)에 설치되는 크롤러(117)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하며, 크롤러(117)에 의해 흙, 진흙 등이 튀어 오르게 된다.
여기서,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117, 117)의 근방에 설치되는 흙받이 커버(125, 12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크롤러(117)에 의해 튀어 오른 흙, 진흙 등은 흙받이 커버(125, 125) 위에 쌓여 모이게 되어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 경우, 작업자는 이들 쌓인 흙, 진흙 등을 청소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흙, 진흙 등이 쌓인 채로 유압 셔블(100)을 주행하면 주행 저항으로 된다.
그런데, 주행체(101)의 전방부에는, 배토판용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블레이드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이 접합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는 배토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브래킷에는 큰 하중 등, 각종 하중이 인가된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에 전달되는 작업 하중을 적절히 처리하여 차체의 내하중 강도를 향상시킬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에 대한 차체 위로부터의 제거를 촉진함과 동시에, 블레이드 브래킷으로의 전달 하중을 저감시키며,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의 부착성의 향상 및 공통 부품화를 달성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의 평면도, 및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유압 셔블의 센터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연결 부재(8r)의 평면도, 및 도 3a에 도시하는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으로부터 본 연결 부재(8r)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의 평면도, 및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 7a, 7b 및 7c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와 블레이드 브래킷과의 접합 상태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센터프레임 및 연결 부재와 블레이드 브래킷과의 접합 상태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a, 10b 및 10c는 종래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 흙받이 커버 등의 평면도, 사시도, 및 도 10a의 I-I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3a: 오퍼레이터 시트
5: 구동륜
6: 유동륜
10: 작업기
10a: 붐
10b: 아암
10c: 버킷
B: 블레이드
r: 크롤러
Br: 블레이드 브래킷
제1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크롤러식 주행체의 프레임이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을 차체 위로부터 양호하게 낙하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이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폭을 넓게 잡을 수 있어 블레이드에 걸리는 작업 하중을 폭이 넓은 블레이드 브래킷으로 받아 낼 수 있으므로, 내하중 강도가 향상된다.
제2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과,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일평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 부재의 접합면이 일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 직선 용접화가 가능하여 용접 작업이 용이하다.
이 경우, 블레이드 브래킷이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확실하게 용접되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을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도, 접합이 용이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의 접합면과 연결 부재의 접합면을 일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걸리는 작업 하중을 차체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고, 차체의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평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삭감된다.
또한, 대형 기종의 센터 프레임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이 소형 기종의 센터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어, 블레이드 브래킷의 공통 부품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건설 기계의 제조 비용의 삭감에 기여한다.
제3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과,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단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을 차체 위로부터 양호하게 낙하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이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폭을 넓게 잡을 수 있어, 블레이드에 걸리는 작업 하중을 폭이 넓은 블레이드 브래킷으로 받아 낼 수 있으므로, 내하중 강도가 향상된다.
제4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곡면 등의 연속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을 차체 위로부터 양호하게 낙하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이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폭을 넓게 잡을 수 있어, 블레이드에 걸리는 작업 하중을 폭이 넓은 블레이드 브래킷으로 받아 낼 수 있으므로 내하중 강도가 향상된다.
제5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와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센터 프레임과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용접 부위에 대하여 용접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은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 접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과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와의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을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부착 부재를 매개로 행하기 때문에, 접합이 용이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응력이 부착 부재에 전달되어 분산된 다음에 차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의한 작업 하중에 대한 차체의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6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전방에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평면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 및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에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를 합치시켜 용접하여 블레이드 브래킷을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 및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이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직선 용접화가 가능하여 용접이 용이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이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확실하게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의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 및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을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원활하게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내하중의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삭감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 및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이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대형 기종의 센터 프레임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이 소형 기종의 센터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어, 블레이드 브래킷의 공통 부품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건설 기계의 제조 비용의 삭감에 기여한다.
제7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판형의 부착 부재와, 전방에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블레이드 브래킷을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센터 프레임과 연결 부재와의 연결 부위에 대하여 용접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은 평판형의 부착 부재에 용접되기 때문에, 직선 용접이 가능하여 용접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과 센터 프레임, 연결 부재와의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응력이 부착 부재에 전달되어 분산된 다음에 차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의한 작업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과는 일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연결 부재를 전달되는 주행 하중의 전달 방향을 따라서 연결 부재의 전측판과 센터 프레임의 전측판이 배치되게 됨으로써 주행 하중이 연결 부재로부터 센터 프레임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주행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부착 부재는 평판형이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제8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면을 갖는 부착 부재와, 전방에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부와 인접하며, 또한,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센터 프레임과 연결 부재와의 연결 부위에 대하여 용접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은 부착 부재의 평면에 용접되기 때문에 직선 용접이가능하여 용접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과 센터 프레임, 연결 부재와의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응력이 부착 부재에 전달되어 분산된 다음에 차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의한 작업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착 부재의 한쪽 면은 블레이드 브래킷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면이며, 부착 부재의 다른쪽 면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가 용접되는 면이기 때문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부 및 연결 부재의 접합부가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이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유압 셔블(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하기 위한 크롤러(r)가 설치되는 하부 주행체(2)와, 그 상부에 선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업자가 승차하여 작업을 행하기 위한 상부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에는, 그 상부에 작업자가 착석하여 작업을 행하는 오퍼레이터 시트(3a)가 배치되며, 그 전방에는, 유압 구동되는 붐(10a), 아암(10b), 및 아암(10b)의 선단에 장착된 굴삭용 버킷(10c)을 갖는 작업기(10)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에는 트랙 프레임(4l, 4r)의 양단부에 구동륜(5)과 유동륜(idle wheel)(6)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륜(5)과 유동륜(6) 사이에는 크롤러(r)가 감겨져 있다.
또한, 하부 주행체(2)의 전방부에는 버킷(10c)으로 파 뒤집은 흙을 다시 매립할 때에 사용되는 블레이드(B)가, 배토판으로서의 소정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브래킷(Br)(후술)을 매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B)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음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B)는 파 뒤집은 흙을 다시 매립하는 작업에 이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B)가 장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Br)에는 작업 중, 각종 하중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유압 셔블(1)은 동력원의 엔진을 구동시켜, 유압 펌프에 의해 유압으로 변환하여 주행 모터를 구동시키며, 구동륜(5)을 회전시킴으로써 크롤러(r)를 회전 구동시켜 주행이 행해짐과 동시에, 버킷(10c), 블레이드(B)를 이용한 각종 작업이 행해진다.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2F)은 도 2, 평면도인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베어링이 장착되는 부착링(7r)이 형성되는 센터 프레임(7)이 중앙부에 배치되며, 그 양측부에는 트랙 프레임(4r, 4l)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 프레임(4r)은 2개의 발모양 연결 부재(8r, 9r)에 의해 센터 프레임(7)에 각각 연결되며, 또한, 트랙 프레임(4l)은 2개의 발모양 연결 부재(8l, 9l)에 의해 센터 프레임(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부재는 용접이 행하여짐으로써 상호 접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는 블레이드(B)와 블레이드(B)를 가동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가 장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용접되어 접합되어 있다.
또,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4r) 및 한 쌍의 연결 부재(8r, 9r)와, 트랙 프레임(4l) 및 한 쌍의 연결 부재(8l, 9l)는 센터 프레임(7)의 폭방향 중심면{도 3a에 있어서의 센터 프레임(7)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면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 부재(8r)와 연결 부재(8l)는 센터 프레임(7)의 폭방향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고, 또한, 연결 부재(9r)와 연결 부재(9l)는 센터 프레임(7)의 폭방향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Br)은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Br)을 가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피봇 지지되는 중앙부의 한 쌍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와, 블레이드(B)를 피봇 지지하는 양측부의 한 쌍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 및 한 쌍의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에 추가하여,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상면,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상면, 및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상면에 접합되는 보강 플레이트(Br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플레이트는 상호 용접하여 결합되며, 블레이드 브래킷(Br)으로서 서브어셈블리된 후에,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용접하여 접합된다.
블레이드 브래킷(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후측면(Br1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 (Br41)은 연직면인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용접되는 접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후측면(Br1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은 일평면을 형성하고 있다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센터 프레임(7)은 주강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조되며,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판(7sm)과, 후측판(7su)과, 연결 부재(8r, 9r)가 접합되는 우측판(7sr)과, 연결 부재(8l, 9l)가 접합되는 좌측판(7sl)과, 개구를 갖은 부착링(7r)이 형성되는 상판(7u) 등을 갖는 중공의 상자형 형상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7)에 있어서의 전측면(7m)은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후측면(Br1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에 대응한 연직면인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도 2, 도 3 참조)
이와 같이,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후측면(Br1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과, 이들 피접합면인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이 연직면으로 구성됨으로써, 블레이드 브래킷(Br) 및 센터 프레임(7)의 형상이 단순화됨과 동시에,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센터 프레임(7)에 대한 용접시에 있어서의 직선 용접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불어, 설계, 조립 등의 각 공정에 있어서도 각 작업이 간략화됨으로써 유리함은 물론이다.
또, 센터 프레임(7)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접합되는 피접합면인 전측면(7m)은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가 합치되는 구성의 평면이라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연결 부재(8r)는 주강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조되며, 평면도인 도 4b, 도 4c{도 3a에 도시하는 센터 프레임(7)측에서 본 연결 부재(8r) 단체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면의 길이 방향으로 능선이 형성된 상부에 각부(角部)를 갖는 몸통부(8r1)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구(8r0)가 형성된 센터 접합부(8r2)와, 개구가 형성된 트랙 접합부(8r3)로 이루어지고,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8r)의 센터 접합부(8r2)는 센터 프레임(7)에 있어서의 우측판(7sr)과 접합되는 접합면(8rb)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접합면(8rb)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8r)가 연장되는 방향을 추종하는 축선에 대하여 비수직면으로서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이 될 것 같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합면(8rb)을 갖는 센터 접합부(8r2)의 상하면 사이의 높이 치수는 센터 프레임(7)의 상하면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 2 참조)
또한, 연결 부재(8r)에 있어서의 전측면의 일부에는, 블레이드 브래킷 (Br)과의 접합부가 되는 접합면(8rm)이,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에 대응한 연직면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여기서, 연결 부재(8r)에 있어서의 접합면(8rm)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의 우측판(7sr)에 연결 부재(8r)의 센터 접합부(8r2)가 용접되어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가 접합되었을 때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연결 부재(8l)는 주강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의 폭방향 중심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8r)와 면대칭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 부재(81)는 연결 부재(8r)와 마찬가지로 폐쇄된 횡단면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형의 중공 부재로서 형성되며, 연결 부재(8r)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연결 부재(8l)에 있어서의 전측면의 일부에는,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가 되는 접합면(8lm)이,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에 대응한 연직면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8l)에 있어서의 접합면(8lm)은 센터 프레임(7)의 좌측판(7sl)에 연결 부재(8l)의 센터 접합부(8l2)가 용접되어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가 접합되었을 때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 부재(8r, 8l)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접합되는 피접합면인 접합면(8rm, 8lm)은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가 합치되는 구성의 평면이라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9r)는 주강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조되며, 대략 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면의 길이 방향으로 능선이 형성된 상부에 각부(角部)를 가짐과 동시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구성된 몸통부(9r1)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구가 형성된 센터 접합부(9r2)와, 개구가 형성된 트랙 접합부(9r3)로 이루어지며,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9l)는 주강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의 폭방향 중심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9r)와 면대칭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8r, 8l, 9r, 9l)은 상면에 각부(角部)를 갖는 능선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주행시에 크롤러(r)에 의해 튀어 오른 흙 등은 연결 부재(8r, 8l, 9r, 9l)의 상면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지면 위에낙하함으로써 연결 부재(8r, 8l, 9r, 9l) 상에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 부재(8r, 9r) 사이, 연결 부재(8l, 9l) 사이에는 각각 공간(k, k)이 형성되기 때문에, 크롤러(r, r)에 의해 튀어 오른 흙 등은 공간(k, k)을 통과하여 지면 위에 낙하함으로써 흙 제거가 양호하게 촉진된다.
이어서,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9r)에 접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연결 부재(8r)를 센터 프레임(7)의 우측판(7sr)에 대하여 높이 방향의 중앙부이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이 일평면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하고, 센터 프레임(7)의 우측판(7sr)에 연결 부재(8r)의 센터 접합부(8r2)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용접하여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8l)를 센터 프레임(7)의 좌측판(7sl)에 대하여 높이 방향의 중앙부이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이 일평면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하고, 센터 프레임(7)의 좌측판(7sl)에 연결 부재(8l)의 센터 접합부(8l2)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용접하여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이 일평면을 이루며,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이 일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 8l)가 일체적으로 어셈블리된다.
이어서, 블레이드 브래킷(Br)에 있어서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의 일부를 일평면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에 합치시켜 접촉시키며,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Br)에 있어서의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의 일부를 일평면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합치시켜 접촉시켜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에 용접하며, 또한,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용접하고, 또한,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용접한다.
동시에,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의 후측면(Br11)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용접함으로써,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접합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우측 블레이드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이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을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인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 및 보강 플레이트(Br4)의 후측면(Br41)이,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을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용접할 때에 직선 용접화가 가능하여 용접이 용이하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확실하게 용접되어 접합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B)의 작업에 의해 블레이드 브래킷(Br)에 발생하는 하중의 응력이 일평면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의 접합 부위로 전달되어 분산되기 때문에, 피접합면이 평면임으로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고 하중의 응력이 원활히 전달되어 분산된다.
따라서, 블레이드(B)의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용접되어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의 각각의 접합 부위가 일평면을 이루며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부가 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 브래킷(Br)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이 저하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용접되는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의 접합 부위가 일평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폭을 갖는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도, 큰 폭을 갖는 센터 프레임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 치수의 블레이드 브래킷이 사용 가능함으로써, 대형, 소형 기종에 관계없어 소정의 치수를 갖는 공통 부품의 블레이드 브래킷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 셔블의 제조 비용 삭감에 공헌한다.
또한, 큰 폭을 갖는 블레이드 브래킷(Br)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Br)에 있어서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와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 사이 치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와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 사이 치수, 및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와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 사이 치수가 넓어진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B)에 의한 작업 하중을 폭이 넓은 블레이드 브래킷(Br)으로 받아 낼 수 있고, 작업 하중에 의한 모멘트의 팔 길이가 길어지며, 작업 하중에 의한 모멘트의 하중이 작고,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 및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에 가해지는 모멘트의 하중이 작아진다.
따라서, 블레이드(B)에 의한 작업 하중의 블레이드 브래킷(Br)으로의 전달 하중이 저감되고, 차체의 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블레이드(B)의 작업 능력의 향상에도 유효하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이 평면을 이루는 예를 예시하였지만, 적어도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접합 부위가 일평면을 형성하고 있으면,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 모두를 평면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용접하여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접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용접하지 않고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여도 좋다.
그런데, 소형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구조에 따라서는,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가 필렛 용접되는 부위와,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센터 프레임(7) 등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부위인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2)의 후측면(Br21)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겹쳐지거나,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가 필렛 용접되는 부위와, 블레이드 브래킷(Br)을 센터 프레임(7) 등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부위인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Br3)의 후측면(Br31)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즉,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 8l)와의 용접 부위와, 블레이드 브래킷(Br)의 용접 부위가 합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3개의 부재가 동일 부위에서 필렛 용접되게 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에 지장이 생기며, 또한, 용접의 접합 강도의 신뢰성도 문제이다.
하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제2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브래킷(2Br)이 부착판(Tr, Tl)을 매개로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에 '를 붙여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의 전방에는, 블레이드(B')와 블레이드(B') 가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2Br)이 부착 부재인 평판형의 부착판(Tr, Tl)을 매개로 용접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2Br)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B')를 가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피봇 지지되는 중앙부의 한 쌍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2Br1)와, 블레이드(B')를 피봇 지지하는 양측부의 한 쌍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 및 한 쌍의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와,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2Br1)의 상면,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의 상면, 및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의 상면에 접합되는 보강 플레이트(2Br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있어서의 보강 플레이트(2Br4)의 후측면(2Br42)에는, 부착판(Tr, Tl)을 각각 접합하기 위한 노치부(2Br41, 2Br41)가 접합부로서 형성되며, 또한,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의 후측면에는, 부착판(Tr)을 접합하기 위한 노치부(2Br21)가 접합부로서 형성되고, 또한,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의 후측면에는, 부착판(Tl)을 접합하기 위한 노치부(2Br31)가 접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판(Tr, Tl)은 소정의 크기 및 두께를 갖는 강판이다.
상기 구성의 블레이드 브래킷(2Br) 및 부착판(Tr, Tl)은,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2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 및 보강 플레이트(2Br4)가 상호 용접되어 접합되며, 또한, 부착판(Tr)이 보강 플레이트(2Br4)의 노치부(2Br41) 및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의 노치부(2Br21)에 용접되고, 또한, 부착판(Tl)이 보강 플레이트(2Br4)의 노치부(2Br41) 및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의 노치부(2Br31)에 용접되어 접합되어, 일체로서 서브어셈블리된다.
상기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의 후측면은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에 용접되는 접합 부위이며, 연직면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부착판(Tl)의 후측면은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용접되는 접합 부위이며, 연직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 Tl)의 후측면은 일평면을 형성하고 있다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센터 프레임(7')에 있어서의 피접합면인 전측면(7m')은 블레이드 브래킷 등의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 Tl) 후측면이 합치되는 평면이라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은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 Tl) 후측면이 연직면 이외의 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평면과 합치되는 연직면 이외의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연결 부재(8r')에 있어서의 전측면의 일부에는, 블레이드 브래킷(Br')에 대한 접합부인 접합면(8rm')이,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 등의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 후측면에 대응한 연직면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연결 부재(8r')에 있어서의 접합면(8rm')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센터 프레임(7')의 우측판(7sr')에 연결 부재(8r')의 센터 접합부(8r2')가 용접되어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가 접합되었을 때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8l')에 있어서의 전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 등의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l) 후측면에 대한 접합부인 접합면(8lm')이, 상기 후측면에 대응한 연직면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8l')에 있어서의 접합면(8lm')은 센터 프레임(7')의 좌측판(7sl')에 연결 부재(8l')의 센터 접합부(8l2')가 용접되어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가 접합되었을 때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 부재(8r', 8l')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2Br)이 접합되는 피접합면인 접합면(8rm', 8lm')은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 등의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 Tl) 후측면이 합치되는 평면이라면,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접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레이드 브래킷(2Br) 등의 서브어셈블리에 있어서의 부착판(Tr, Tl)의 후측면을, 각각 일평면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일평면을 이루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합치시켜 접촉시켜서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2Br) 등의 서브어셈블리에 있어서의 부착판(Tr)의 후측면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에 용접하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 등의 서브어셈블리에 있어서의 부착판(Tl)의 후측면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용접한다.
동시에, 블레이드 브래킷(2Br) 등의 서브어셈블리에 있어서의 보강 플레이트(2Br4)의 후측면(2Br42) 및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2Br1)의 후측면(2Br11)을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용접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있어서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를 부착판(Tr)에 용접하고,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를 부착판(Tl)에 용접하여 블레이드 브래킷(2Br) 및 부착판(Tr, Tl)의 서브어셈블리를 제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어셈블리의 부착판(Tr)을 센터 프레임(7'), 연결 부재(8r')에 용접하고, 또한, 부착판(Tl)을 센터 프레임(7'), 연결 부재(8l')에 용접함으로써,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부착판(Tr, Tl)을 매개로 센터 프레임(7'), 연결 부재(8r', 8l')에 접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와의 용접 부위인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 사이에 부착판(Tr)이 개재되기 때문에,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r')와의 용접 부위와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의 용접 부위가 직접 겹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와의 용접 부위와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 사이에 부착판(Tl)이 개재되기 때문에, 센터 프레임(7')과 연결 부재(8l')와의 용접 부위와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의 용접 부위가 직접 겹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용접하여 접합할 때,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가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의 용접 부위에 서로 겹쳐져 용접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가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l')의 용접 부위와 서로 겹쳐져 용접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가 평판형의 부착판(Tr)에 용접되기 때문에, 직선 용접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가 평판형의 부착판(Tl)에 용접되기 때문에, 직선 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부착판(Tr, Tl)은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직선용접이 가능하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 2Br3)의 용접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부착판(Tr, Tl)의 용접성이 높고,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2Br)은 부착판(Tr, Tl)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연결되기 때문에, 블레이드(B')로부터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전달되는 작업 하중의 응력은 부착판(Tr, Tl)에 전달함으로써 분산되며, 원활하게 차체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B')의 작업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고, 차체의 마모가 방지되어 장기 수명화를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연결 부재(8r', 8l')로부터 센터 프레임(7')으로 전달되는 크롤러(r')의 주행에 의한 하중이 하중의 전달 방향을 추종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8r', 8l')의 전측면판으로부터 센터 프레임(7')의 전측판(7sm')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연결 부재(8r', 8l')로부터 전달되는 주행 하중이 원활하게 센터 프레임(7')에 전달된다.
따라서, 주행 하중에 대한 내하중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착판(Tr, Tl)은 평판형의 강판이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큰 폭을 갖는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B')의 작업 하중에 의한 모멘트의 팔 길이가 길어지며, 따라서 작업 하중의 모멘트에 의한 하중이 작아지고,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2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2), 및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2Br3)에 가해지는 모멘트 하중이 작아진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매개로 차체에 전달되는 블레이드(B')에 의한 작업 부하가 저감되기 때문에, 차체의 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블레이드(B')에의한 작업 능력의 향상에 유효하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센터 프레임(7'), 연결 부재(8r', 8l')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평판형의 부착판(Tr, Tl)으로 구성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부착 부재를 반드시 평판형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센터 프레임의 전측면에 대하여 연결 부재의 접합면을 후방에 배치하여 단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부착 부재를 센터 프레임의 전측면과 연결 부재의 접합면과의 단부를 추종하는 면과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면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블레이드 브래킷(2Br)과 센터 프레임, 연결 부재사이에 부착 부재가 개재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2Br)이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연결 부재에 용접되므로,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용접 부위가 센터 프레임과 연결 부재와의 용접 부위에 겹쳐지지 않는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접합부가 부착 부재의 평면에 용접되기 때문에, 직선 용접화가 가능하여 용접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브래킷(2Br)과 센터 프레임, 연결 부재와의 접합 강도가 증대되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레이드(B')로부터 블레이드 브래킷(2Br)에 전달되는 하중의 응력은 부착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분산되고, 부착 부재를 매개로 원활하게 차체에 전달할 수 있어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부착 부재의 한쪽 면은 블레이드 브래킷(2Br)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면이고, 부착 부재의 다른쪽 면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가 용접되는 면이기 때문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부와 연결 부재의 접합부가 임의의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브래킷(2Br)을 부착판(Tr, Tl) 등의 부착 부재를 매개로 용접하여 센터 프레임(7') 및 연결 부재(8r', 8l')에 접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용접하지 않고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여도 좋다.
이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7,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블레이드 브래킷(3br, 4br, 5Br)을 부착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에 각각 접합한 각종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대하여 연결 부재(8r', 8l')의 블레이드 브래킷(3br)과의 접합부인 접합면(8rm', 8lm')이 후방에 위치한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과의 단차부, 및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과의 단차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블레이드 브래킷(3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3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3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3br3), 및 보강 플레이트(3br4)가 형성되어 있다.
도 7b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대하여 연결 부재(8r', 8l')의 블레이드 브래킷(4br)과의 접합부인 접합면(8rm', 8lm')이 전방에 위치한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과의 단차부, 및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과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과의 단차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블레이드 브래킷(4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4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4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4br3), 및 보강 플레이트(4br4)가 형성되어 있다.
도 7c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대하여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을 포함하는 전측면(8rz', 8lz')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곡면을 형성한 제3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을 따르는 형상으로, 블레이드 브래킷(5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5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5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5Br3), 및 보강 플레이트(5Br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블레이드 브래킷(6br, 7br, 8br)을 각각 부착판(Tra, Tla), 부착판(Trb, Tlb), 및 부착판(Trc, Tlc)을 매개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및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에 각각 접합한 각종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블레이드 브래킷(6br)의 후측면(6bru)이 일평면을 형성하고, 이 블레이드 브래킷(6br)이 평판형의 부착판(Tra, Tla)을 매개로 이들 부착판(Tra, Tla)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용접 접합된 제4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은 블레이드 브래킷(6br)의 후측면(6bru)이 일평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6br)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 브래킷(6br)이 각종 기종의 건설 기계에 적용하는 공통 부품화에 적합하다.
도 8b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연속하여 연결 부재(8r')의 전측면(8rz')을 곡면을 형성하여 접합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연속하여 연결 부재(8l')의 전측면(8lz')을 곡면을 형성하여 접합하고 있는 경우에,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 8l')의 전측면(8rz', 8lz')에 있어서의 접합면(8rm', 8lm')에 블레이드 브래킷(7br)을 평판형의 부착판(Trb, Tlb)을 매개로 용접 접합한 제5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브래킷(7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7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7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7br3), 및 보강 플레이트(7br4)의 각각의 후측면은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부착판(Trb, Tlb)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8c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대하여 연결 부재(8r')의 전측면(8rz')을 경사를 갖는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합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에 대하여 연결 부재(8l')의 전측면(8lz')을 경사를 갖는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합하고 있는 경우,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의 전측면(8rz')에 있어서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전측면(8lz')에 있어서의 접합면(8lm')에 블레이드 브래킷(8br)을 평판형의 부착판(Trc, Tlc)을 매개로 용접 접합한 제6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브래킷(8br)에 있어서의 실린더 지지점 플레이트(8br1), 우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8br2), 좌측 블레이드 지지점 플레이트(8br3), 및 보강 플레이트(8br4)의 각각의 후측면은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의 접합면(8rm'), 및 연결 부재(8l')의 접합면(8lm')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부착판(Trc, Tlc)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이 연직면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경사면 등의 연직면 이외의 면이어도 좋고, 반드시 연직면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을 볼트를 이용하여 센터 프레임(7')의 전측면(7m'), 연결 부재(8r', 8l')의 접합면(8rm', 8lm')에 접합하여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시했지만, 유사한 구성을 갖는 유압 셔블 이외의 다른 기계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를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유압 셔블 이외에 크롤러 덤프 트럭, 불도저, 농업 기계 등의 발 둘레의 구성에 본 발명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위에 튀어 오른 흙에 대한 차체 위로부터의 제거를 촉진함과 동시에, 블레이드 브래킷으로의 전달 하중을 저감시키며, 또한, 블레이드 브래킷의 부착성의 향상 및 공통 부품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크롤러식 주행체의 프레임은 센터 프레임과, 이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과 상기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과,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일평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과,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단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에 대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면을 곡면 등의 연속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전방에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의 접합평면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평면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 및 연결 부재의 접합 평면에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를 합치시켜 용접하여, 블레이드 브래킷을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7.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판형의 부착 부재와,
    전방에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 평면을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인접하며, 또한, 센터 프레임의 접합 평면과 함께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평면을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블레이드 브래킷을 평판형의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8.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와,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접합되는 블레이드 브래킷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로서,
    블레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접합부가 용접되는 평면을 갖는 부착 부재와, 전방에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센터 프레임과,
    전방에 센터 프레임의 접합부와 인접하며, 또한, 부착 부재를 용접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블레이드 브래킷을 부착 부재를 매개로 센터 프레임 및 연결 부재에 용접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040034247A 2003-05-20 2004-05-14 건설 기계 KR100627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2569 2003-05-20
JPJP-P-2003-00142568 2003-05-20
JP2003142568 2003-05-20
JP2003142569 2003-05-20
JPJP-P-2004-00113294 2004-04-07
JP2004113294A JP4617096B2 (ja) 2003-05-20 2004-04-07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922A true KR20040100922A (ko) 2004-12-02
KR100627438B1 KR100627438B1 (ko) 2006-09-25

Family

ID=3310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247A KR100627438B1 (ko) 2003-05-20 2004-05-1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0647B2 (ko)
EP (1) EP1479831B1 (ko)
JP (1) JP4617096B2 (ko)
KR (1) KR100627438B1 (ko)
CN (1) CN100365215C (ko)
AT (1) ATE444409T1 (ko)
DE (1) DE6020040233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141A (ja) * 2004-02-10 2005-09-22 Komatsu Ltd クローラフレーム
CN100548772C (zh) 2004-09-14 2009-10-14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建筑机械的履带构架装配结构
GB2434344B (en) 2006-01-20 2009-09-30 Jcb Compact Products Ltd Working machine
JP5041747B2 (ja) * 2006-07-11 2012-10-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WO2008038549A1 (fr) * 2006-09-28 2008-04-03 Kubota Corporation Structure de chenille pour engin de chantier
JP4823005B2 (ja) * 2006-09-28 2011-11-2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ックフレーム
US8070170B2 (en) * 2007-11-12 2011-12-06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5329483B2 (ja) * 2010-06-11 2013-10-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2519522B (en) * 2013-10-22 2017-12-13 Strickland Tracks Ltd A chain guard for an undercarriage track system
IT201900001543A1 (it) * 2019-02-01 2020-08-01 Hpm Hydraulic Performance Machines Srl Macchina per fondazione con sistema di bloccaggio.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8771A (en) * 1929-04-16 1933-07-18 Edward B Meyer Snowplow
US2351799A (en) * 1942-10-03 1944-06-20 Plant Choate Mfg Co Inc Bulldozer
US3316665A (en) * 1964-04-28 1967-05-02 Michael S Rinaldo Snowplow blade for automobile bumper mounting
JPS5430417U (ko) * 1977-08-03 1979-02-28
US4231699A (en) * 1979-01-24 1980-11-04 Dresser Industries, Inc. Lower and crawler frame construction for crawler propelled machines
US4249625A (en) * 1979-03-19 1981-02-10 Dresser Industries, Inc. Drive system for crawler propelled machines
JPS5751171Y2 (ko) * 1979-09-05 1982-11-08
FR2488206B1 (fr) * 1980-08-07 1985-07-12 Poclain Sa Chassis porteur d'un engin mobile a bati central et longerons
JPS59163663A (ja) * 1983-03-09 1984-09-14 Hitachi Ltd 簡易フアイル破壊検知方式
US4650017A (en) * 1985-02-18 1987-03-17 Industries Tanguay, Inc. Crawler-mounted machine for travel over natural terrain
JPH0615426B2 (ja) 1985-09-06 1994-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iC又はSi▲下3▼N▲下4▼基材とMo又はW基材との接合体
DE3813881A1 (de) * 1988-04-25 1989-11-09 Krupp Gmbh Zweiraupen-fahrwerk
US5205612A (en) * 1990-05-17 1993-04-27 Z C Mines Pty. Lt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930793B2 (ja) 1992-01-08 1999-08-03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掘削作業車
US5337847A (en) * 1993-01-15 1994-08-16 Risley Fluidic Power Ltd. Four-way levelling mechanism for off-road vehicle
JPH09111805A (ja) 1995-10-19 1997-04-2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ブレード用油圧シリンダの取付け構造
JPH09202261A (ja) 1996-01-25 1997-08-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378479B2 (ja) * 1997-09-19 2003-02-17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US6105699A (en) * 1998-06-15 2000-08-22 Cameco Industries, Inc. Heavy equipment apparatus that includes undercarriage with mobile tilting upper
US6158539A (en) * 1998-09-24 2000-12-12 Risley Enterprises Ltd. Levelling system and method for off-road vehicles
JP3538053B2 (ja) 1999-02-12 2004-06-14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US6322104B1 (en) 1999-03-02 2001-11-27 Clark Equipment Company Excavator frame and method of assembly
JP3652924B2 (ja) * 1999-06-25 2005-05-25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装置のトラックフレ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2001254387A (ja) * 2000-03-09 2001-09-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ョベルのブレード支持構造
JP3725775B2 (ja) 2000-11-02 2005-12-14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2002178960A (ja) 2000-12-18 2002-06-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
JP2003056005A (ja) * 2001-08-07 2003-02-26 Kubota Corp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3808733B2 (ja) * 2001-08-07 2006-08-16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4060796B2 (ja) * 2001-11-13 2008-03-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3665290B2 (ja) 2001-12-21 2005-06-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クローラ式走行装置のフレーム構造
JP4113184B2 (ja) 2002-10-09 2008-07-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EP1566326B1 (en) * 2002-11-28 2008-03-1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ra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04189003A (ja) * 2002-12-06 2004-07-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JP4394503B2 (ja) * 2003-05-20 2010-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2005255141A (ja) * 2004-02-10 2005-09-22 Komatsu Ltd クローラ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0647B2 (en) 2010-06-08
EP1479831A2 (en) 2004-11-24
KR100627438B1 (ko) 2006-09-25
JP2005001653A (ja) 2005-01-06
JP4617096B2 (ja) 2011-01-19
CN100365215C (zh) 2008-01-30
ATE444409T1 (de) 2009-10-15
EP1479831B1 (en) 2009-09-30
US20040244230A1 (en) 2004-12-09
DE602004023354D1 (de) 2009-11-12
CN1572983A (zh) 2005-02-02
EP1479831A3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4113B1 (en) Crawler frame
JP504174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100627438B1 (ko) 건설 기계
KR100627439B1 (ko) 건설기계
KR100627441B1 (ko) 건설 기계
JP2008240343A (ja) 作業機のアーム
US7338080B2 (en) Tru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JP3378479B2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1171977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3399829B2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3013470A (ja) 旋回式建設機械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3247256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613141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430550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1317084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459027B2 (ja) 旋回作業機
JP4425061B2 (ja) ドーザ装置
JP4999591B2 (ja) トラックフレーム内の配管配置構造
JPS634693Y2 (ko)
JPH0594060U (ja) 油圧配管の通路を設けたトラック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