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082A - 당뇨병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082A
KR20040091082A KR10-2004-7013560A KR20047013560A KR20040091082A KR 20040091082 A KR20040091082 A KR 20040091082A KR 20047013560 A KR20047013560 A KR 20047013560A KR 20040091082 A KR20040091082 A KR 20040091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nzyme
diabetes
composition
diabetic
glucose tole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045B1 (ko
Inventor
후지이겐지
가와베다이조
호소에가즈노리
히다까다까요시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9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Zo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에 의한 고혈당을 보이는 환자 또는 내당능 이상을 보이는 당뇨병 예비군으로 불리는 사람들에 대해 내당능의 개선효과가 있고, 양호한 혈당 컨트롤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증 예방도 역시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안전성에 의해 장기간의 계속 투여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조효소 Q, 특히 환원형 보조효소 Q10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당뇨병 환자 등에게 악화되고 있는 내당능이 개선됨과 동시에, 혈당 컨트롤이 양호해져 혈중 당화 헤모글로빈량이 저하된다.

Description

당뇨병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DIABETES}
당뇨병은 가장 일반적이고 중대한 생활습관병으로, 전세계에서 100만 이상의 환자가 알려져 있다. 나아가서는 혈당치가 약간 높은 당뇨병 예비군으로 불리는 사람들의 수는 환자의 수를 훨씬 웃돈다. 이와 같이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중대한 질환이다.
당뇨병에는 인슐린의 분비부전에 의한 I형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과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의 저하에 의한 II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이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II형 당뇨병으로, 이 타입의 당뇨병은 과식 등 부적당한 생활습관에 의해 발증되는 경우가 많다.
당뇨병의 문제점은, 고혈당에 의한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혈당 컨트롤이 불량해지기 쉽고, 이에 의해 많은 합병증 (망막증, 신증, 동맥경화 등) 이 발생된다. 예컨대 일본에서는 성인이 된 후의 시력장해원인 질환의 1 위가 당뇨병성 망막증이고, 만성신부전에 의한 인공투석에 이르는 원인질환의 2 위가 당뇨병성 신증이다. 이와 같이 심각한 합병증이 발증되는 점에서, 당뇨병 치료의 제 1 목적은 엄격한 혈당 컨트롤의 유지로 되고 있다.
I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컨트롤에 대해서는 인슐린의 분비부전이 원인인 점에서 인슐린 주사가 절대적인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II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는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는 그다지 유효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II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치료로는, 첫째로 식이제한을 하여 식사성의 과잉한 칼로리 섭취를 제한하는 요법과 체내의 칼로리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운동요법이 선택되는데, 식이제한을 계속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식이제한 및 운동요법으로 눈에 띠는 진전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당뇨병약의 사용 (술포닐우레아제, 비구아나이드제 등) 이 시도되는데, 이들 약제는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술포닐우레아제 (SU제) 는 1970년대부터 제 2 세대의 약제가 사용되고 있는 오랜 사용경험을 갖는 약제이지만, 혈당치가 너무 내려가 저혈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공복감을 증강시키기 때문에 식이제한으로부터 일탈되기 쉬워, 혈당 컨트롤을 실패하게 함과 동시에 비만을 조장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SU제의 사용시에는 의사에 의한 엄격한 컨트롤이 필수로 되어 있다. 한편 비구아나이드제 (BG제) 도 1970년대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약제이지만, 이 약제는 사용 개시후 얼마되지 않아, 부작용으로서 락트산 애시도시스(lactic acid acidosis)의 발생이 다수 예 보고되었다. 최근 그 사용방법과 유효성이 다시 검토되고 있지만, 이 약제도 역시 의사의 엄중한 관리하에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새로운 경구 당뇨병약의 개발이 시도되고,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나 인슐린 작용 증강제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 사용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유용한 약제로 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인슐린 작용 증강제인 트로글리타존은 간장해의 부작용에 의해 개발이 중지되었다.
이와 같이 당뇨병에 대해서는 환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경구약제가 거의 없는 상태이고, 실제의 치료 중심은 식이제한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지만, 엄밀하게 식이제한을 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한 경우가 많다. 식이제한을 쉽게 하기 위해, 당뇨병용 저칼로리 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당뇨병의 치료에 대한 공헌은 극히 부분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당뇨병에 특징적으로 일어나는 합병증에 대한 치료제도 없기 때문에, 혈당치를 엄격하게 컨트롤함으로써 합병증의 예방을 겸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당뇨병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높은 유용한 약제, 혹은 식이제한 중에 안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유효한 식품 등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보조효소 Q 는 세균으로부터 포유동물까지 생체에 널리 분포하는 필수성분으로, 생체 내의 세포중에서의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구성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보조효소 Q 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산화와 환원을 반복함으로써 전자전달계에서의 전달성분으로서의 기능을 맡고 있는 것 외에, 환원형 보조효소 Q 는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에게는 보조효소 Q 의 측쇄가 반복 구조를 10 개 갖는 보조효소 Q10이 주성분이다.
보조효소 Q10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그 안전성이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래트에 대한 만성 독성 시험에서는 1200㎎/㎏/일, 52주간의 연일 투여에서도 독성적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K. D. Williams et al., J. Agric. Food Chem.,47, 3756-3763, 1999).
보조효소 Q10은 산화형 보조효소 Q10이 일본에서는 울혈성 심부전약으로서, 구미에서는 건강식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화형 보조효소 Q10과 당뇨병의 관계에서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Shimomura, Y. et al., 1981, 임상과 연구,58, 1349-1352), 실제로 환원형 보조효소 Q10의 사용에 의한 당뇨병 환자에 대한 유효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환원형 보조효소 Q10은 산화형 보조효소 Q10의 활성형으로 생각되는 물질이지만, 공기 중에서 용이하게 산화되어 산화형 보조효소 Q10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사용은 종래 실행되지 않았다. 우리는 이전에 산화형 보조효소 Q10단독과 비교하여, 환원형 보조효소 Q10을 혼합함으로써, 보조효소 Q10전체로서의 경구흡수성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09933호) 하였으나, 당뇨병 등의 질환에 대해, 환원형 보조효소 Q10이 산화형 보조효소 Q10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는 명확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보조효소 Q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보조효소 Q10함유 사료를 4주간 섭취한 GK 래트의 내당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혈당치를 ㎎/㎗ 로 나타내고, 가로축은 글루코오스를 부하한 후의 시간을 나타낸다. 플롯은 4마리의 평균치 ± 표준편차이다. 기호는: 대조군,: 환원형 보조효소 Q10(2% 의 산화형 보조효소 Q10를 함유함) 군,: 산화형 보조효소 Q10군을 나타낸다, *, ** 는 각각 위험률 5 및 10% 미만에서의 대조군에 대한 유의차를 나타낸다 (Dunnet 검정).
도 2 는 보조효소 Q10함유 사료를 6주간 섭취한 GK 래트의 내당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혈당치를 ㎎/㎗ 로 나타내고, 가로축은 글루코오스를 부하한 후의 시간을 나타낸다. 플롯은 4마리의 평균치 ± 표준편차이다. 기호는: 대조군,: 환원형 보조효소 Q10(2% 의 산화형 보조효소 Q10를 함유함) 군,: 산화형 보조효소 Q10군을 나타낸다, *, ** 는 각각 위험률 5 및 10% 미만에서의 대조군에 대한 유의차를 나타낸다 (Dunnet 검정).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컨트롤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경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안전성이 높은 보조효소 Q, 특히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사용함으로써, 당뇨병에 대해 유용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식 1: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및 하기 식 2: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효소 Q 가 보조효소 Q10인 상기 당뇨병용 조성물 ;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를 함께 함유하는 상기 당뇨병용 조성물 ;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가, 술포닐우레아제, 술폰아미드제, 비구아나이드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인슐린 작용 증강제, 또는 인슐린인 상기 당뇨병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당뇨병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 동물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뇨병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혈당 컨트롤 방법, 당뇨병 합병증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보조효소 Q 는 하기 식 1:
[화학식 1]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및 하기 식 2:
[화학식 2]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된다. 식 1 은 환원형 보조효소 Q 이고, 식 2 는 산화형 보조효소 Q 이다.
산화형 보조효소 Q 및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얻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합성, 발효,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보조효소 Q 를 얻은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출액 중의 산화형 보조효소 Q 분획 혹은 환원형 보조효소 Q 분획을 농축하는 방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얻는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얻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효소 Q 에 대해, 수소화붕소나트륨, 아디티온산나트륨 (나트륨 하이드로술파이트) 등의 일반적인 환원제를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 보조효소 Q 를 환원하여 환원형 보조효소 Q 로 한 후에,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축을 행해도 된다. 또 기존의 고순도 보조효소 Q 에 상기 환원제를 작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조효소 Q 로는 상기 식 1 및 식 2 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측쇄의 반복단위 (식 중 n) 가 1 내지 12 인 것을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측쇄 반복단위가 10 인 것, 즉 보조효소 Q10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은,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또는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및 상기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당해 당뇨병용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또는 당해 환원형 보조효소 Q 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등의 통상 사용되는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원하는 양 함유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고체 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와 상기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고체 상태 그대로 단순히 혼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보조효소 Q 의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산화형 보조효소 Q 및 환원형 보조효소 Q의 혼합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기존의 고순도 보조효소 Q 의 환원반응의 시간이나 환원제의 종류 또는 그 양을 제어함으로써도 직접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에 있어서, 보조효소 Q 의 함유량으로는 효과 및 가격 등의 관점에서,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01 내지 20 중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이다.
환원형 보조효소 Q 의 함유량으로는 보다 우수한 효과의 관점에서, 보조효소 Q 의 전량의 6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추가로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당해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로는, 예컨대 술포닐우레아제, 술폰아미드제, 비구아나이드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인슐린 작용 증강제, 인슐린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의약품, 기능성 식품, 동물용 사료 등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은, 내당능의 개선효과, 혈당 컨트롤의 개선효과 등을 갖고, 이에 의해 당뇨병 발증의 예방, 당뇨병의 치료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등에 유용하다.
또 당해 당뇨병용 조성물은, 혈당 컨트롤 방법, 당뇨병 합병증 예방방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은, 예컨대 당뇨병용 의약품, 당뇨병용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소재, 당뇨병용 동물용 사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능성 식품이란 경구 서플리먼트, 특정 보건용 식품, 건강식품, 영양보조식품 등 의약품 이외의 것으로서, 경구적으로 섭취함으로써 건강의 유지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또 당해 당뇨병용 조성물은 보조효소 Q 의 경구투여가 목적이거나 보조효소 Q 및 약제의 경구투여가 목적인 조성물이면 아무런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을 의약품, 기능성 식품, 동물용 사료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들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분말제이어도 되고,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제로 해도 되며, 분말을 코팅제로 코팅해도 되고, 분말제 또는 과립제 나아가서는 코팅제를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로 해도 된다. 또 천연 오일, 오일 형상의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첨가하고, 오일 형상 그대로 충전하여 소프트 캡슐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는 젤라틴을 주체로 한 것 또는 그 외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주체로 한 것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와 같은 캡슐에는 마이크로 캡슐도 포함된다.
또한 특히 기능성 식품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용의 식품류에 상기 보조효소 Q 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당해 당뇨병용 조성물 중에는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형에 따라서는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산화제로는 예컨대 시트르산, 시트르산 유도체,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리코펜, 비타민 A, 카로테노이드류, 비타민 B, 비타민 B 유도체,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글루타티온, 셀렌, 티오황산나트륨,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OD),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 글루타티온-S-트랜스페라아제, 글루타티온 환원효소, 카탈라아제, 아스코르빈산 퍼옥시다아제 및 이들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산화방지의 관점에서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예컨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그 염, 에틸렌디아민디아세트산 및 그 염, 히드록시이미노디아세트산 및 그 염,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그 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그 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헥사아세트산 및 그 염,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 테트라나트륨염, 디히드록시메틸글리신, 1,3-프로판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그 염, 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테트라아세트산 및 그 염, 글루콘산나트륨염,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 니트릴로트리스, 포스포노부탄트리카르복실산, 및 이들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상의 항산화제와 킬레이트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에는 상기 환원형 보조효소 Q 외에, 추가로 약제학적 및 식품위생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소재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혼합해도 된다. 상기 약제학적 및 식품위생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소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코팅제, 착색제, 응집방지제, 흡수촉진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건강식품 소재, 영양보조식품 소재, 비타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백당, 젖당, 포도당, 콘스타치, 만니톨, 결정 셀룰로오스,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붕괴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분, 한천, 시트르산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덱스트린,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트라가칸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탤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트라간트, 쉘락,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라비아고무, 오파드라이, 프루넬러 스파이크 (prunella spike), 카스터왁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함수 이산화규소, 규산마그네슘, 아세트산비닐수지, 스테아르산, 세탄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롤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의약품 혹은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집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스테아르산, 탤크, 경질 무수 규산, 함수 이산화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촉진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고급 알코올류, 고급 지방산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해 보조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푸마르산, 숙신산, 말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한방약 (예컨대 위령탕, 온경탕, 온청음, 황기건중탕, 황련해독탕, 황련탕, 갈근탕, 가미귀비탕, 가미소요산, 감맥대조탕, 길경탕, 귀비탕, 구미빈랑탕, 형개연교탕, 계피가작약대황탕, 계피가작약탕, 계피가용골모려탕, 계피탕, 계피인삼탕, 계피복령환, 계비탕, 향소산, 오호탕, 오적산, 우차신기환, 오림산, 시함탕, 시호가용골모려탕, 시호계피건강탕, 시호계피탕, 시호청간탕, 시박탕, 시령탕, 산조인탕, 자음강화탕, 사역산, 사군자탕, 사물탕, 자감초탕, 작약감초탕, 십전대보탕, 십미패독탕, 소건중탕, 소시호탕, 소청용탕, 소풍산, 신이청폐탕, 신비탕, 진무탕, 청상방풍탕, 청서익기탕, 청심연자음, 청폐탕, 소경활혈탕, 대황감초탕, 대황모란피탕, 대건중탕, 대시호탕, 대시호탕거대황, 대승기탕, 대방풍탕, 치타박일방, 조위승기탕, 조등산, 장옹탕, 저령탕, 저령탕합사물탕, 통도산, 도핵승기탕, 당귀음자, 당귀건중탕, 당귀작약산, 당귀탕, 이진탕, 여신산, 인삼탕, 인삼양영탕, 배농산급탕, 맥문동탕, 팔미지황환, 반하후박탕, 반하사심탕, 백호가인삼탕, 복령음, 복령음합반하후박탕, 평위산, 방이황기탕, 방풍통성산, 보중익기탕, 마황탕, 마황부자세신탕, 마행감석탕, 마자인환, 목방이탕, 억간산, 억간간가진피반하, 육군자탕, 입효산, 용담사간탕, 영감강미신하인탕, 육미환 등, 차잎 (예컨대 녹차, 현미차, 말차, 전차, 볶은차, 배차, 자스민차, 우롱차, 홍차, 흑차, 화차, 청차, 백차 등), 허브 (예컨대 이탈리안파슬리, 목향, 올리브, 오레가노, 카르둔, 카모밀라, 커리플랜트, 캣닙, 캐러웨이, 크리스마스로즈, 크림슨클로버, 콘플라워, 커몬말로우, 샐러드버네트, 산톨리나, 시내먼, 자스민, 스테비아, 세이지, 린덴, 센티드제라늄, 세인트 죤스 워트, 소프워트, 솔로몬즈실, 타임, 텐지, 차빌, 차이브, 내스타츔, 대추, 바질, 허니서클, 히솝, 플랙스, 패널, 폭스글로브, 블랙 홀리혹, 프렌치메리골드, 베토니, 헬리오토로프, 베르가모트, 햄프 애그리모니, 루타, 포트 메리골드, 보리지, 화이트 호어하운드, 머틀, 멀레인, 마요라나, 민트, 얘로우, 라벤더, 레이디스 베드스트로우, 레몬 그라스, 레몬버베나, 레몬 발삼, 로즈, 로즈마리, 로켓, 와일드 스트로베리, 와일드 팬지, 물망초 등), 밀랍, 은행나무잎, 청즙 및 이들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영양 보조식품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미노산류, 금속이온류, 단백질류, 당류, 지방산류, 효모추출물, 야채추출물, 어육추출물, 과실, 과실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비타민 A류, 비타민 B 류, 비타민 C, 비타민 D류, 비타민 E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함유하는 당뇨병용 조성물을 제조할 때의, 환원형 보조효소 Q 의 함유량, 제형, 보존방법 및 보존형태는 의약품, 건강식품, 식품, 동물용 의약품, 동물용 사료 등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II형 당뇨병 모델 래트에 대한 효과
II형 당뇨병의 모델 래트인 GK 래트 (생후 5주, 수컷) 를 이용하여, 환원형 보조효소 Q10및 산화형 보조효소 Q10의 내당능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환원형 보조효소 Q10(2 중량% 의 산화형 보조효소 Q10을 함유함) 및 산화형 보조효소 Q10은 각각 0.1 중량% 로 분말 사료에 혼합하여 동물에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단, 혼합 사료 중에서의 환원형 보조효소 Q10의 산화에 의한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2 일에 1 회의 빈도로 사료를 새로운 것으로 전량 교환하였다. 대조군에는 보조효소 Q10을 함유하지 않은 분말 사료를 섭취시켰다. 혼합 사료의 섭취를 개시한 후, 4주간 후 및 6주간 후에 내당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군 n=4). 내당능 시험에서는, 50% 글루코오스 용액을 4㎖/㎏ 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투여 전, 투여 후 30분, 60분, 90분 및 120분의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혈당치는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간이형 혈당측정기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었다.
도 1 은 투여 4주간 후의 내당능 시험의 결과이다.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당을 부하하고 30 분 후의 혈당치의 상승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내당능의 개선효과가 보였다. 또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당을 부하하고 30 분 후를 처음으로 하여, 전체 측정시간에서 혈당치가 산화형 보조효소 Q10에 비하여 보다 강하게 감소되어, 보다 양호한 내당능의 개선이 보였다.
또한 투여 6주간 후의 결과를 도 2 에 나타내었다.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의 내당능은, 4주간 후와 비교하여 더욱 개선되고, 당을 부하한 후의 혈당치 상승을 산화형 보조효소 Q10과 비교하여 더욱 억제되었다. 또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도, 전체 측정시간에서 혈당치 상승의 보다 강한 억제가 보이고, 모든 측정점에서 혈당치가 200㎎/㎗ 이하가 되는 등, 투여 4주간 후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강하게 내당능이 개선되었다.
이와 같이 산화형 보조효소 Q10의 투여에 의해, GK 래트의 내당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환원형 보조효소 Q10의 투여에 의해, 산화형의 투여와 비교하여 보다 강하게 GK 래트의 내당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본 시험 결과 밝혀졌다. 흥미 깊은 것은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내당능의 개선 패턴은 투여 4 주간 및 6 주간 후에 동일하고, 당 부하 30 분 후의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데, 1 주간 후까지 혈당치는 계속 상승된 후 거의 보합세를 보이며 대조군과 별로 차이가 보이지 않게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환원형 보조효소 Q10의 내당능 개선 패턴은, 투여 4 주간 후 및 6 주간 후에도 모두 30 분 후의 혈당치가 피크이고, 경시적으로 혈당치가 내려간다는 것이었다. 피크시의 30 분 후에도 혈당치는 대조군보다는 유의하게 낮아, 명확한 내당능의 개선이 확인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원형 보조효소 Q10에 의한 내당능의 개선은, 산화형보조효소 Q10에 의한 개선과 상이한 패턴이었던 것은 놀랄만한 것이다. 우리는 이전의 연구에서 산화형 보조효소 Q10과 환원형 보조효소 Q10에서는 경구흡수성에 차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09933호). 그러나 금회의 시험에서 얻어진 GK 래트에 대한 내당능의 개선효과는 산화형과 환원형에서 그 효과의 패턴이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는 흡수성의 차이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환원형 보조효소 Q10를 사용함으로써, 산화형 보조효소 Q10와는 상이한 효과가 생체 내에서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 혈중 당화 헤모글로빈량에 대한 영향)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12 주간 사육한 GK 래트의 혈중 당화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 A1c) 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는데, 대조군의 혈중 헤모글로빈 A1c 치에 대해,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78% 까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92% 로 저하경향은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저하가 아니고, 또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의 저하율보다도 나쁜 것이었다. 당화 헤모글로빈은 혈당 컨트롤의 중요한 지표로서 임상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파라미터이다.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값이 얻어진 것은, 본 물질의 투여에 의해 GK 래트의 혈당 컨트롤이 개선된 것을 나타낸다.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에서는, 약간의 저하에 그치고, 개선효과는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보다도 낮았다. 이것은 실시예 1 에서 나타낸 내당능 개선의 불량이 당화 헤모글로빈량에 반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GK 래트의 혈중 헤모글로빈 A1c 치
헤모글로빈 A1c 치 (%)
대조군 5.33±0.48(100)
환원형 보조효소 Q10투여군 4.17±0.15(78**)
산화형 보조효소 Q10투여군 4.93±0.42(92)
**p〈0.01 Student t-test 대조군에 대해 유의차 있음
본 발명에 의해 당뇨병 환자 및 그 예비군인 내당능 이상자에 대해, 양호한 혈당 컨트롤을 유지하기 위해 유익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보조효소 Q 를 주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당뇨병용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 복용에도 견딜 수 있는 유용성이 높은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인간뿐만 아니라 페트 등의 에완동물의 당뇨병에 대한 유용한 조성물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식 1:
    [화학식 1]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환원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조성물.
  2. 환원형 보조효소 Q, 및 하기 식 2:
    [화학식 2]
    (식 중, n 은 1 내지 12 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산화형 보조효소 Q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효소 Q 가 보조효소 Q10인 당뇨병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를 함께 함유하는 당뇨병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당뇨병용 치료용 약제가, 술포닐우레아제, 술폰아미드제, 비구아나이드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인슐린 작용 증강제, 또는 인슐린인 당뇨병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의약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기능성 식품.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당뇨병용 동물용 사료.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혈당 컨트롤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당뇨병 합병증 예방방법.
KR1020047013560A 2002-03-20 2003-03-20 당뇨병용 조성물 KR100591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7909 2002-03-20
JPJP-P-2002-00077909 2002-03-20
PCT/JP2003/003389 WO2003077895A1 (fr) 2002-03-20 2003-03-20 Compositions contre le diab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082A true KR20040091082A (ko) 2004-10-27
KR100591045B1 KR100591045B1 (ko) 2006-06-19

Family

ID=2803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60A KR100591045B1 (ko) 2002-03-20 2003-03-20 당뇨병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13459A1 (ko)
EP (1) EP1493437A4 (ko)
JP (1) JP4653400B2 (ko)
KR (1) KR100591045B1 (ko)
CN (1) CN100381119C (ko)
AU (1) AU2003221136B2 (ko)
CA (1) CA2476906A1 (ko)
TW (1) TW200304372A (ko)
WO (1) WO2003077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78347A1 (en) * 2004-08-30 2006-03-09 Kaneka Corporation Mitochondria activators
AU2005324603A1 (en) * 2004-12-24 2006-07-20 Kaneka Corporation Solid preparation comprising reduced coenzyme Q10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2007028997A (ja) * 2005-07-27 2007-02-08 Kanebo Seiyaku Kk 生薬エキス配合流動食及びその使用
JPWO2007034852A1 (ja) * 2005-09-22 2009-03-26 株式会社カネカ 延命用組成物及び寿命を延長する方法
WO2007086480A1 (ja) 2006-01-25 2007-08-02 Kaneka Corporation 血圧正常化組成物
US20080075792A1 (en) * 2006-09-21 2008-03-27 Naturalendo Tech Co., Ltd. Method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DPP-IV and lowering blood glucose level
KR100899889B1 (ko) * 2007-07-15 2009-06-01 전현철 레몬 및 레몬밤을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100899890B1 (ko) * 2007-07-16 2009-06-01 전현철 레몬 및 레몬버베나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US20090098228A1 (en) * 2007-10-10 2009-04-16 Tsumura & Co. Agent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impairment of learning and memory
WO2010132486A2 (en) * 2009-05-11 2010-11-18 Cytotech Labs, Llc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oncological disorders using epimetabolic shifters, multidimensional intracellular molecules, or environmental influencers
KR101907411B1 (ko) 2010-03-12 2018-10-12 베르그 엘엘씨 코엔자임 Q10(CoQ10)의 정맥내 제형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33732B1 (ko) 2011-04-04 2018-12-28 버그 엘엘씨 중추 신경 시스템 종양들의 치료 방법
MX351781B (es) 2011-06-17 2017-10-30 Berg Llc Composiciones farmaceuticas inhalables.
NZ704268A (en) * 2012-07-16 2017-11-24 Univ Clemson Res Foundation Food and feed antioxidants and preservatives based on antioxidant enzymes extracted from animal blood
US9897565B1 (en) 2012-09-11 2018-02-20 Aseko,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insulin dosages for diabetic subjects
US9171343B1 (en) 2012-09-11 2015-10-27 Aseko, Inc. Means and method for improved glycemic control for diabetic patients
WO2014138922A1 (en) * 2013-03-15 2014-09-18 Indanio Bioscience Inc. Uses for idebenone and related benzoouinones in ppar-related diseases and conditions
WO2014168993A1 (en) 2013-04-08 2014-10-16 Berg Llc Treatment of cancer using coenzyme q10 combination therapies
ES2825083T3 (es) 2013-09-04 2021-05-14 Berg Llc Métodos de tratamiento contra el cáncer mediante infusión continua de coenzima Q10
US9898585B2 (en) 2014-01-31 2018-02-20 Aseko,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ulin management
US9486580B2 (en) 2014-01-31 2016-11-08 Aseko, Inc. Insulin management
EP3933845A3 (en) 2014-10-27 2022-06-22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JP6858751B2 (ja) 2015-08-20 2021-04-14 アセコ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糖尿病管理療法アドバイザ
CN111938042A (zh) * 2020-08-26 2020-11-17 珠海海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大口黑鲈糖耐受性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665B1 (ko) * 1969-07-24 1974-03-12
US3849344A (en) * 1972-03-31 1974-11-19 Carborundum Co Solid diffusion sources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
JPS5489036A (en) * 1977-12-27 1979-07-14 Eisai Co Ltd Remedy and preventive for hypersensitivity to light
US4959212A (en) * 1988-06-22 1990-09-25 Alexandra Stancesco Oxidizing-energiz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JPH02249492A (ja) * 1989-03-20 1990-10-05 Lion Corp ユビキノン9の製造方法
ATE271614T1 (de) * 1992-05-28 2004-08-15 Ct For Molecular Biology And M Quinone-derivate zur verbesserung der zellulare bioenergie
IT1284873B1 (it) * 1996-07-26 1998-05-22 Idi Farmaceutici Spa Derivati stabili di ubichinolo procedimenti per la loro produzione e loro impiego farmaceutico
JP3889481B2 (ja) * 1996-08-16 2007-03-07 株式会社カネカ 医薬組成物
WO1998035660A1 (de) * 1997-02-11 1998-08-20 Mse Pharmazeutika Gmbh Transdermale, orale und intravenöse zubereitungen von 2,3-dimethoxy-5-methyl-6-decaprenyl-1,4-benzochinon
IT1291113B1 (it) * 1997-03-20 1998-12-29 Sigma Tau Ind Farmaceuti Composizione nutritiva terapeutica per soggetti affetti da diabete mellito
JP3926888B2 (ja) * 1997-05-27 2007-06-06 株式会社カネカ 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US8753675B1 (en) * 2000-01-20 2014-06-17 Raj K. Chopra Reduced form of Coenzyme Q in high bioavailability stable dosage forms and related applications
US6441050B1 (en) * 2000-08-29 2002-08-27 Raj K. Chopra Palatable oral coenzyme Q liquid
JP3742602B2 (ja) * 2001-05-09 2006-02-08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の安定な溶液
AU2002309038B2 (en) * 2001-05-10 2007-05-17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transmucosal administration containing coenzyme Q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03026567A (ja) * 2001-05-10 2003-01-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補酵素qを有効成分とする粘膜投与用組成物
US6506915B1 (en) * 2001-06-14 2003-01-14 Daniel David West Synthesis of coenzyme Q10 ubiquinone
JP3822479B2 (ja) * 2001-10-10 2006-09-20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水溶液の安定化組成
TWI329513B (en) * 2001-10-12 2010-09-01 Kaneka Corp Use of reduced coenzyme q for lessening oxidative stress
JP2003135022A (ja) * 2001-10-31 2003-05-13 Crescendo Corporation コエンザイムq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76906A1 (en) 2003-09-25
JP4653400B2 (ja) 2011-03-16
AU2003221136A1 (en) 2003-09-29
WO2003077895A1 (fr) 2003-09-25
AU2003221136A2 (en) 2003-09-29
AU2003221136B2 (en) 2008-05-22
JPWO2003077895A1 (ja) 2005-07-14
KR100591045B1 (ko) 2006-06-19
EP1493437A4 (en) 2010-08-11
US20050113459A1 (en) 2005-05-26
TW200304372A (en) 2003-10-01
CN1691939A (zh) 2005-11-02
CN100381119C (zh) 2008-04-16
EP1493437A1 (en)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045B1 (ko) 당뇨병용 조성물
KR100696924B1 (ko) 피로 개선제
JPWO2008093793A1 (ja) 口腔内乾燥症の緩和または予防剤
US7691420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US2009016949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weight loss
KR20140008452A (ko) 진성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병용제
WO2005089740A1 (ja) 血中持続性補酵素q組成物
WO2005107737A1 (ja) 抗疲労組成物
EP1021087A1 (en) Serotonin containing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ethod of use
KR20060107825A (ko) 간 기능 보호 작용 조성물
US20100323031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to enhance blood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TWI776450B (zh) 正丁基苯酞於促進脂肪褐變、以及預防或治療脂肪肝及相關肝病變之應用
JP5103374B2 (ja) 心機能不良改善剤または心機能維持剤
KR20080097437A (ko) 혈압 정상화 조성물
JPWO2006104153A1 (ja) 血液中の抗酸化活性を高める組成物
US2010002831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JP4896531B2 (ja) 血中CoQ10量を増加させる医薬組成物
JPWO2007034852A1 (ja) 延命用組成物及び寿命を延長する方法
CN110897164A (zh) 一种含有植物甾醇的组合物及其改善血糖的用途
KR20240031290A (ko) 항산화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A3192050A1 (en) Effervescent formulation containing apoaequorin
CN117838721A (zh) 一种具有协同长效调节血糖水平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60067988A (ko)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KR20140019074A (ko) 프루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