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924B1 - 피로 개선제 - Google Patents

피로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924B1
KR100696924B1 KR1020057013471A KR20057013471A KR100696924B1 KR 100696924 B1 KR100696924 B1 KR 100696924B1 KR 1020057013471 A KR1020057013471 A KR 1020057013471A KR 20057013471 A KR20057013471 A KR 20057013471A KR 100696924 B1 KR100696924 B1 KR 10069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igue
coenzyme
improving agent
vitamin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128A (ko
Inventor
겐지 후지이
다이조 가와베
가즈노리 호소에
다카요시 히다카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9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고령화 사회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중노년층의 체력 유지 및 건강의 유지를 목적으로, 장기 복용에도 견딜 수 있는 높은 안전성을 가진 물질을 사용한 조성물에 의한, 피로 예방 및 피로 회복을 신속하게 하는 효과가 높은 피로 개선제를 제공한다. 환원형 보효소 Q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근육의 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예방 및 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조성물에 의한 피로 개선 효과는, 약년 래트 뿐만 아니라, 가령 래트에서 보다 현저하기 때문에, 약년자 뿐만 아니라 특히 중노년층에게 유용성이 높은 피로 개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피로 개선제

Description

피로 개선제{FATIGUE REDUCING AGENT}
본 발명은, 하기식 (1) 로 표시되는 환원형 보효소 Q, 또는, 하기식 (1) 로 나타내는 환원형 보효소 Q 및 하기식 (2) 로 나타내는 산화형 보효소 Q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식 중 n 은 1∼12 의 정수를 나타냄).
Figure 112005039627017-pct00001
여기서 말하는 피로 개선제란, 운동에 의한 육체 피로의 회복 및 예방, 병중 병후의 육체 피로, 가령 (加齡) 에 의해 쉽게 피로해지는 현상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가령에 동반하는 육체의 쇠약은, 쉽게 피로해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쉽게 피로해지는 현상은 운동 부족을 유발하고, 운동 부족에 의해 근력은 저하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근력의 저하는 전도 (轉倒) 등에 의한 골절 혹은 와병 생활 상태를 야기하기 때문에, 풍요롭고 안락한 노후 생활을 즐기기 위해서는 쉽게 피로해지는 현상을 해소하고, 근력의 저하를 가능한 한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종래, 수많은 피로 회복제가 시판되어 왔지만, 이들은 대부분 약년 (若年) 층 혹은 약년의 운동 선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흥분제적인 처방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중노년층들이 안심하고 스스로의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간, 계속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보효소 Q 는, 세균부터 포유 동물까지 널리 생체에 분포하는 필수 성분이다. 사람은, 보효소 Q 의 측쇄가 반복 구조를 10 개 가지는 보효소 Q10 이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보효소 Q10 은, 생체 내의 세포 중에 있어서의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 구성 성분으로서 존재하는 생리학적 성분으로, 생체 내에 있어서 산화와 환원을 되풀이 함으로써 전자 전달계의 전달 성분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보효소 Q 는 생체에 있어서, 에너지 생산, 막 안정화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유용성은 넓다. 보효소 Q10 중, 산화형 보효소 Q10 (유비퀴논 또는 유비데카레논) 은, 울혈성 심부전약으로서 의약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심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효과로는, 심근에서의 산소 이용 효율의 개선, 심근에서의 ATP 의 생산 활성화, 심기능의 개선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의약 용도 이외로는 비타민류와 동일하게, 영양제, 영 양 보조제로서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2-59208 호에는 산화형 보효소 Q10 (유비퀴논) 과 건조 효모 분말의 혼합물에 의한 조직 대사 활성화 조성물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2-99220 호에는 산화형 보효소 Q10 에 의한 중증 근무력증 증상의 개선이,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2-99222 호에서는 산화형 보효소 Q10 에 의한 적혈구 증가 등도 보고되어 있다. 또한, 산화형 보효소 Q10 에 의한, 피로에 대한 회복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7-33058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7-330593,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0-287560 호).
한편, 환원형 보효소 Q10 에 대해서는, 산화형 보효소 Q10 과는 달리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없다. 그 이유는 환원형 보효소 Q10 이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워, 유용성을 평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화형 보효소 Q10 의 투여에 의해서도 생체 내에서 환원을 받아 환원형 보효소 Q10 이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산화형 보효소 Q10 과 환원형 보효소 Q10 의 생체에 대한 효과는 동등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던 것도, 환원형 보효소 Q10 의 유용성 평가가 실시되어 오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이다. 우리들은, 이전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0-109933 호에 있어서 산화형 보효소 Q10 단독에 비교하여, 환원형 보효소 Q10 이 함께 존재함으로써 보효소 Q10 의 경구 흡수성이 높아지는 것을 개시하고, 여러 용 도에 대하여 환원형 보효소 Q10 의 이용이 경구 흡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냈지만, 산화형 보효소 Q10 과 환원형 보효소 Q10 에 항피로 효과면에서 차이가 있다는 정보는 전혀 없었다.
육체 피로의 회복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중노년층가 계속적으로 장기간 복용하기 위해 안전성이 높은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원형 보효소 Q 를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 혹은 피로 예방제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고, 산화형 보효소 Q10 에만 비교하여, 피로 회복 효과가 높은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환원형 보효소 Q, 또는 환원형 보효소 Q 및 산화형 보효소 Q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에 따른 피로 회복 효과는, 가령에 상관하여 보다 현저해지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피로를 느끼기 쉬워 건전한 육체의 유지가 곤란한 중노년층에 대하여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보효소 Q 는, 생체 내에 있어서는 통상 40∼90% 정도가 환원형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환원형 보효소 Q 를 얻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합성, 발효,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보효소 Q 를 얻은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출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구분을 농축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보효소 Q 에 대하여, 수소화붕소나트륨, 아디티온산나트륨 (하이드로술파이트나트륨) 등의 일반적인 환원제를 첨가하고, 상법 (常法) 에 의해 상기 보효소 Q 중에 함유되는 산화형 보효소 Q 를 환원하여 환원형 보효소 Q 로 한 후에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축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기존의 고순도 보효소 Q 에 상기 환원제를 작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혹은, 환원형 보효소 Q 를 함유하는 균체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효소 Q 중의 환원형의 비율은, 통상 UV 검출기를 사용한 HPLC 시스템에 의해, 시료 중의 산화형 보효소 Q 와 환원형 보효소 Q 를 정량하여 그 양비를 가지고 산출하는 방법과, HPLC 에 전기 화학적 검출기를 내장한 시스템에 의해 산화형 보효소 Q 와 환원형 보효소 Q 의 비율을 피크 면적으로부터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전기 화학적 검출기를 내장한 시스템에서는, 산화 환원 물질을 특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감도가 높기 때문에, 생체 혹은 시료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환원형의 비율을 측정하는 경우는 유용성이 높다. 본 발명에서 나타내는 환원형 보효소 Q 의 비율은 모두, 전기 화학적 검출기를 내장한 HPLC 시스템에 의해 정량한 것이다.
보효소 Q 는 에너지의 생산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생체 내의 보효소 Q 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피로 개선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환원형 보효소 Q 는 산화형 보효소 Q 와는 달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조직을 산화 스트레스, 산화 스트레스에 기인하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형 보효소 Q 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피로 개선, 특히 근육에 의한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또한 에너지 생산에 동반하는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기 쉬운 부위의 피로 개선에 매우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환원형 보효소 Q 를 경구 투여함으로써, 혈장 중의 보효소 Q 량을 산화형 보효소 Q10 의 투여와 비교하여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우리들은 발견했지만, 생체 중의 환원형 보효소 Q10 의 증가량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았다. 종래, 산화형 보효소 Q 와 환원형 보효소 Q 에서는, 산화형 보효소 Q 를 생체에 투여해도 생체 내에서 환원을 받아 환원형 보효소 Q 로 변환되기 때문에, 산화형과 환원형 사이에는 생체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차이는 없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금번에 우리들은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의 양을 측정한 바, 환원형 보효소 Q 를 투여한 경우에는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량이 증가한 것에 반해, 산화형 보효소 Q 를 투여한 경우에는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가 역으로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근육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방호 작용이, 환원형 보효소 Q 와 산화형 보효소 Q 에서는 크게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운동 등에 의한 근육의 손상 방호, 피로 개선에 대하여 환원형 보효소 Q 의 투여가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놀랍게도, 환원형 보효소 Q 의 투여에 의해 내인성 보효소 Q 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도 발견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내인성 보효소 Q 란, 외부로부터의 투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생합성에 의해 합성된 보효소 Q 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들은, 환원형 보효소 Q10 을 투여함에 따른 내인성 보효소 Q 의 증가를 확인했지만, 이것은 보효소 Q 의 생합성의 활성화 혹은 대사의 보호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를 사용함으로써 동물, 척추 동물, 포유 동물 및 사람의 근육 중 보효소 Q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를 사용함으로써 동물, 척추 동물, 포유 동물 및 사람의 근육 중 환원형 보효소 Q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2 개의 보효소 Q 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동물, 척추 동물, 포유 동물 및 사람의 피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는 육체 피로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약년령자 뿐만 아니라, 중노년층, 또는 그 이상의 고령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로 개선제는, 특히 중노년층에게 유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에 있어서는, 환원형 보효소 Q 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제품 컨셉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환원형 보효소 Q 의 비율을 극단적으로 높이는 것은, 그 안정화 대책 등으로 비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에 있어서는, 환원형 보효소 Q 의 보효소 Q 전량에 대한 비율은 그 제품 컨셉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환원형 보효소 Q 의 비율을 극단적으로 높이는 것은, 그 안정화 대책 등으로 비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에 있어서는, 환원형 보효소 Q 와 산화형 보효소 Q 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해도 된다. 환원형 보효소 Q 와 산화형 보효소 Q 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효소 Q 전체에 대하여 환원형 보효소 Q 의 비율이 6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 99.5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환원형 보효소 Q 는, 상기 식 (1) 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측쇄의 반복 단위 (식 중 n) 가 1∼12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측쇄 반복 단위가 10 인 것, 즉 환원형 보효소 Q10 을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구제이어도 되고, 혹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것이어도 된다. 경구제로는, 예를 들어 분말제이어도 되고,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제로 해도 되며, 분말제 혹은 과립제를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로 해도 된다. 또한 천연유, 유상 (油狀) 의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계면 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첨가하고, 유상인 채로 충전하여 소프트 캡슐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젤라틴을 주체로 한 것 또는 그 밖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주체로 한 것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캡슐에는 마이크로 캡슐도 포함된다. 혹은, 액상으로 하여 드링크제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에는, 또한 상기 환원형 보효소 Q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제제 소재를 상법에 따라 적절하게 첨가 혼합해도 된다. 이러한 것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응집 방지제, 흡수 촉진제, 용해 보조제, 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백당, 유당, 포도당, 콘스타치 (옥수수 전분), 만니톨, 결정 셀룰로오스,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붕괴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분, 한천, 시트르산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덱스트린,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트라간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활석,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트라간트, 셸락,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비타민 A, β-카로틴,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활석, 경질 무수규산, 함수이산화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 촉진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류, 고급 지방산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의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해 보조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푸마르산, 숙신산, 말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는,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적당한 기제 중에 상기 약물을 용해 또는 혼합 분산시켜 크림상, 페이스트상, 젤리상, 겔상, 유액상, 액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 (연고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크림제, 스프레이제 등), 기제 중에 상기 약물을 용해 또는 혼합 분산시킨 것을 지지체 위에 전연 (展延) 한 것 (습포제 등), 점착제 중에 상기 약물을 용해 또는 혼합 분산시킨 것을 지지체 위에 전연한 것 (플라스터제, 테이프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基材), 점착제로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의약품, 화장품 등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에는, 항산화 물질 혹은 항산화 효소를 함께 함유할 수 있다. 항산화 물질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프로부콜, 리코펜, 비타민 A, 카로테노이드류, 비타민 B, 비타민 B 유도체,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글루타티온, 피롤로퀴놀린퀴논, 피크노제놀, 플라바제놀, 또는 셀렌 등이 적합하다. 상기는 단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또한 항산화 효소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슈퍼옥시드디스무타제 (SOD), 글루타티온퍼옥시다아제, 글루타티온-S-트란스페라제, 글루타티온 환원 효소, 카탈라제, 또는 아스코르브산퍼옥시다아제 등이 적합하다. 상기는 단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는, 그 밖의 자양 강장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자양 강장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크레아틴, 타우린, 비타민 B1, 비타민 B 유도체, 또는 아미노산 등이 적합하다. 상기는 단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효소 Q 와 이들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상가적 혹은 상승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는, 영양 보조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영양 보조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아미노산, 금속 이온, 당류, 단백질류, 지방산류, 비타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를 일반 식품으로 하는 경우의 형태는 특별하게는 한정되지 않지만, 식용 유지 조성물, 조리유류, 스프레이유류, 버터류, 마가린류, 쇼트닝류, 휘프크림류, 농축 유류 (乳類), 화이트너류, 드레싱류, 피클액류, 빵류, 케이크류, 파이류, 쿠키류, 일본식 과자류, 스낵 과자류, 유과자류, 초콜렛 및 초콜렛 과자류, 미과류, 루우류, 소스류, 장국류, 토핑류, 빙과류, 면류, 베이커리 믹스류, 후라이 식품류, 가공육 제품류, 수산 연제품류, 냉동 앙트레류, 축산 냉동 식품, 농산 냉동 식품 등의 냉동 식품류, 미반류, 잼류, 치즈, 치즈 푸드, 치즈 형태 식품, 검류, 캔디류, 발효유류, 통조림류, 음료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는,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근육 피로를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께 함유할 수 있다.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스테로이드, 살리실산 및 그 유도체, 아릴아세트산 및 그 유도체, 프로피온산 및 그 유도체, 페남산 및 그 유도체, 피라졸론 및 그 유도체, 옥시캄 및 그 유도체, 및 비산성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스테로이드로는, 예를 들어 발레르산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암시노나이드, 발레르산디플루코토론, 발레르산덱사메타존, 프로피온산클로베타졸, 아세트산디플로라존, 프로피온산덱사메타존,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존, 디플루프로드네이트, 플루오시노나이드, 할시노나이드, 부데소나이드, 부티르산프로피온산히드로코르티존, 발레르산베타메타존, 프로피온산베클로메타존, 플루오시놀론아세토니드,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피발산플루메타존, 부티르산히드로코르티존, 부티르산클로베타존, 프로피온산알클로메타존, 덱사메타존, 아세트산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아세트산히드로코르티존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아스피린 및 그 유도체, 디플루사닐을 들 수 있다. 아릴아세트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슬린닥, 나프메톤, 프로글루메타신, 인도메타신화르네실, 에토돌락을 들 수 있다. 프로피온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르비프로펜, 페노프로펜, 티아프로펜, 프라노프로펜, 록소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등을 들 수 있다. 페남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메페남산, 톨페남산 등을 들 수 있다. 피라졸론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페닐부타존, 옥시펜부타존 등을 들 수 있다. 옥시캄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피록시캄, 테녹시캄, 암피록시캄 등을 들 수 있다. 비산성 항염증제로는, 예를 들어 에피리졸, 티아라미드, 에몰파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 를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와 이들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상가적 혹은 상승적인 피로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 를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를 제작할 때의 환원형 보효소 Q 의 함유량, 제품 형태, 제품의 보존 방법 및 보존 형태는, 그 피로 개선제의 상품 설계 및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 및 제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제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1000g 의 에탄올 중에, 100g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순도 99.4%), 60g 의 L-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78℃ 에서 교반하여 환원 반응을 실시하였다. 30 시간 후, 50℃ 까지 냉각하고 동온도를 유지하면서 에탄올 330g 과 물 70g 을 첨가하였다. 이 에탄올 용액 (환원형 보효소 Q10 을 100g 함유함) 을 교반하면서 10℃/시간의 냉각 속도로 2℃ 까지 냉각하고, 백색의 슬러리를 얻었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젖은 결정을 냉에탄올, 냉수, 냉에탄올로 차례로 세정 (세정에 사용한 냉용매의 온도는 2℃) 하고, 또한 젖은 결정을 감압 건조 (20∼40℃, 1∼30mmHg) 시킴으로써, 백색의 건조 결정 97g 을 얻었다. 감압 건조 를 제외한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참고예 2) 100g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25℃ 에서 1000g 의 헵탄 용액에 용해시켰다. 교반하면서, 환원제로서 차아황산나트륨 (순도 75% 이상) 100g 에 1000ml 의 물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25℃, pH4∼6 으로 환원 반응을 실시하였다. 2 시간 후, 반응액에서 수상 (水相) 을 제거하고, 탈기한 포화 식염수 1000g 으로 헵탄상을 6 회 세정하였다. 이상,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이 헵탄상을 감압 하에서 용매 치환하고, 50℃ 의 환원형 보효소 Q10 의 7% (w/w) 에탄올 용액을 조제하였다 (환원형 보효소 Q10 을 100g 함유함). 이 에탄올 용액에 물 50g 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10℃/시간의 냉각 속도로 2℃ 까지 냉각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젖은 결정을 냉에탄올, 냉수, 냉에탄올로 차례로 세정 (세정에 사용한 냉용매의 온도는 2℃) 하고, 또한 젖은 결정을 감압 건조 (20∼40℃, 1∼30mmHg) 시킴으로써, 백색의 건조 결정 97g 을 얻었다.
(실시예 1) 보효소 Q 는, 그 ATP 생산계에 대한 효과에 의해 근육에 대한 에너지 공급이 증가하고, 그 결과로서 항피로 효과가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근육 중의 보효소 Q 에 대한 환원형 보효소 Q10 투여의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보효소 Q 에 의한 항피로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SD 계 수컷 래트 (생후 6 주) 에게 참고예 1 에서 얻은 환원형 보효소 Q10 ( 단,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 의 대두유 용액 (환원형 보효소 Q10/대두유 용액 = 20mg/ml) 을 환원형 보효소 Q10 (단,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 으로서 100mg/kg 의 투여량으로 1 일 1 회 5 일간 경구 투여하고, 5 일 후에 대퇴부의 근육을 채취, 근육 중의 보효소 Q 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근육 중 보효소 Q 의 정량은, HPLC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즉, 채취한 래트의 근육 (0.2g) 에 대하여, 보효소 Q7 (0.003mg), 에탄올 (1ml), 증류수 (1ml) 및 염화제이철 (0.01%) 을 첨가하고 호모지네이트한 후, 헥산 (3ml) 을 첨가, 진탕하여 보효소 Q10 을 추출하였다. 이 추출 조작을 2 회 반복한 후, 헥산을 증발 건고하고, 0.25ml 의 에탄올에 재용해하여 HPLC 에 주입하였다. HPLC 의 조건은, 칼럼 : YMC-Pack (ODS-A303), 검출 파장 : 275nm, 이동상 : 메탄올 (88%), 헥산 (12%), 유속 : 1ml/min 이다.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10 과 산화형 보효소 Q10 의 비율 측정은, 채취한 래트의 근육 (0.2g) 에 대하여, 증류수 (0.2ml) 및 에탄올 (0.8ml) 을 첨가한 후, 호모지네이트하고, 헥산 (1.2ml) 을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헥산을 질소 기류 하에서 증발시킨 후, 에탄올 (0.2ml) 을 첨가하고 재용해하여, HPLC 에 주입하였다. HPLC 조건은 위와 동일하지만, 검출기로서 전기 화학적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대두유를 투여하였다.
(비교예 1) 동일하게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투여하여 근육 중 보효소 Q 량을 정량하였다.
근육 중의 보효소 Q 량
보효소 Q 량 (㎍/g)
Q10 Q9 총 CoQ
대조군 0.73±0.18 (100) 9.62±2.33 (100) 10.35±2.52 (100)
환원형 보효소 Q10 0.57±0.21 (215**) 15.82±2.89 (164*) 17.39±3.09 (168*)
산화형 보효소 Q10 1.34±0.16 (184**) 12.84±2.03 (133) 14.18±2.18 (137)
*p<0.05, *p<0.01 Student t-test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차 있음
환원형 혹은 산화형 보효소 Q10 투여에 의한 근육 중의 보효소 Q 의 정량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환원형 보효소 Q10 을 투여하고,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량을 정량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투여하고,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량을 정량하였다.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량
환원형 보효소 Q 량 (㎍/g)
Q10 Q9 총 CoQ
대조군 0.32±0.06 (100) 3.28±0.59 (100) 3.60±0.63 (100)
환원형 보효소 Q10 0.39±0.24 (122) 5.32±1.07 (162*) 5.71±1.16 (159*)
산화형 보효소 Q10 0.11±0.10 (34**) 2.34±0.42 (71*) 2.45±0.44 (68*)
*p<0.05, *p<0.01 Student t-test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차 있음
환원형 혹은 산화형 보효소 Q10 투여에 의한 근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 의 정량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환원형 보효소 Q10 의 약년 래트에 의한 트레드밀 시험
SD 계 수컷 래트 (7 주 연령, n=10) 를 사용하여 환원형 보효소 Q10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 의 항피로 효과를 트레드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트레드밀 장치 (형식 NK-73-4, 나쓰메 제작소) 를 사용하여, 래트를 10m/min 의 속도로 주행시켜, 3 분 마다 5m/min 씩 단계적으로 속도를 높여 래트가 주행이 불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 (최대 주행 시간) 을 측정하였다. 피험 물질로서, 참고예 1 로 얻은 환원형 보효소 Q10 의 대두유 용액 (환원형 보효소 Q10/대두유 용액 = 20mg/ml) 을 제작하고, 환원형 보효소 Q10 (단,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으로서, 300mg/kg 의 투여량으로 래트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최대 주행 시간은, 투여 전 및 투여 2 시간 후에 측정하고, 최대 주행 시간의 연장 시간을 산출하였다. 대조군에는 대두유를 투여하였다.
약년 래트에 대한 피로 개선 효과
최대 주행 시간 (초)
투여 전 투여 후 연장 시간
용매 대조 1542±105 (100) 1598±104 (100) 56.1±50.2 (100)
환원형 보효소 Q10 300mg/kg 1523±97 (99) 1719±160 (108*) 196±127 (349**)
산화형 보효소 Q10 300mg/kg 1543±99 (100) 1733±107 (108**) 190±76 (339**)
단, 환원형 보효소 Q10 은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p<0.05, **p<0.01 Student t-test 용매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차 있음
최대 주행 시간의 값을 표 3 에 나타낸다. 환원형 보효소 Q10 의 투여에 의해, 래트의 최대 주행 시간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환원형 보효소 Q10 에 약년 래트에 대한 항피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교예 3) 산화형 보효소 Q10 의 약년 래트에 의한 트레드밀 시험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형 보효소 Q10 의 항피로 효과를 약년 래트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년 래트에서는 산화형 보효소 Q10 의 항피로 효과는 환원형 보효소 Q10 과 거의 같은 정도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시예 4) 가령 래트에 의한 트레드밀 시험
SD 계 수컷 래트 (생후 61∼63 주, n=7) 를 사용하여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환원형 보효소 Q10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 의 항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단, 본 실험은 크로스오버법으로 실시하였다.
가령 래트에 대한 피로 개선 효과
최대 주행 시간 (초)
투여 전 투여 후 연장 시간
용매 대조 861±123 (100) 836±121 (100) -25±24
환원형 보효소 Q10 300mg/kg 861±123 (100) 958±52* (115) 97±28**
산화형 보효소 Q10 300mg/kg 861±123 (100) 875±108 (105) 14±43
단, 환원형 보효소 Q10 은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함유함
*p<0.05, **p<0.01 Student t-test 용매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차 있음
최대 주행 시간의 값을 표 4 에 나타낸다. 환원형 보효소 Q10 의 투여에 의해, 래트의 최대 주행 시간은 투여 1 일 후부터 현저하게 증가하고, 환원형 보효소 Q10 에는 가령 래트에 대해서도 항피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교예 4)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형 보효소 Q10 의 항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지만, 산화형 보효소 Q10 은, 가령 래트에 대해서는 주행 시간의 연장 효과가 인정되지 않고, 항피로 효과가 약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 환원형 보효소 Q10 의 항피로 효과는 약년에서 고령까지 폭넓게 유효성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종래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보효소 Q10 은, 약년에서는 확실히 유효성을 나타내지만, 가령 동물에 대해서는 유효성이 약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제예 1) (산제) 환원형 보효소 Q10 (단,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프로파놀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이것을 미결정 셀룰로오스에 흡착시킨 후, 감압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것을 질소 기류 하에서 옥수수 전분과 혼합하여 산제로 하였다.
환원형 보효소 Q10 9.9 중량부
산화형 보효소 Q10 0.1 중량부
미결정 셀룰로오스 40 중량부
옥수수 전분 55 중량부
(제제예 2) (캡슐제) 제제예 1 과 동일하게 산제를 제작한 후, 상법에 의해 젤라틴 캡슐에 충전시켰다. 충전시킨 캡슐은 봉인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포장하여 냉장 보존하였다.
환원형 보효소 Q10 19.8 중량부
산화형 보효소 Q10 0.2 중량부
미결정 셀룰로오스 40 중량부
옥수수 전분 20 중량부
유당 6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2 중량부
(제제예 3) (소프트 캡슐제) 옥수수유를 50℃ 로 가온하고, 동 온도에서 용융한 환원형 보효소 Q10 (단,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을 상법에 따라 소프트 캡슐화하였다.
환원형 보효소 Q10 49.5 중량부
산화형 보효소 Q10 0.5 중량부
옥수수유 350 중량부
(제제예 4) (정제) 환원형 보효소 Q10 (단,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프로파놀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미결정 셀룰로오스에 흡착시킨 후, 감압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것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옥수수 전분, 유당,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혼합하고, 이어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수용액을 결합제로서 첨가하여 상법에 따라 과립화하였다. 이것에 활택제로서 활석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정제로 타정하였다. 정제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포장하여 냉장 보존하였다.
환원형 보효소 Q10 19.8 중량부
산화형 보효소 Q10 0.2 중량부
옥수수 전분 25 중량부
유당 15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10 중량부
미결정 셀룰로오스 40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 중량부
활석 10 중량부
(제제예 5)
환원형 보효소 Q10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함유하는 친수 연고를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하의 조성으로 제작하였다.
친수 연고 95.000 중량%
환원형 보효소 Q10 0.990 중량%
산화형 보효소 Q10 0.010 중량%
인도메타신 1.000 중량%
아스코르브산스테아린산 3.000 중량%
(제제예 6)
환원형 보효소 Q10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함유하는 W/O 크림을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하의 조성으로 제작하였다.
글리세롤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6.000 중량%
미세 결정성 왁스 1.000 중량%
올리브 오일 3.000 중량%
유동 파라핀 18.00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0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700 중량%
황산마그네슘 (MgSO4·7H2O) 0.700 중량%
환원형 보효소 Q10 0.990 중량%
산화형 보효소 Q10 0.010 중량%
인도메타신 1.000 중량%
탈수화염 100.000 중량%
(제제예 7)
환원형 보효소 Q10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함유하는 W/O 유화물을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하의 조성으로 제작하였다.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롤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3.6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1.400 중량%
스테아릴알코올 2.000 중량%
광유, GP9 20.000 중량%
파라벤 혼합물 적량
황산마그네슘 (MgSO4·7H2O) 0.700 중량%
환원형 보효소 Q10 0.990 중량%
산화형 보효소 Q10 0.010 중량%
염화칼슘 (CaCl2) 0.85 중량%
비타민 E 1.000 중량%
인도메타신 1.000 중량%
탈수화염 100.000 중량%
(제제예 8)
환원형 보효소 Q10 (약 1% 의 산화형 보효소 Q10 을 포함함) 을 함유하는 W/O 로션을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이하의 조성으로 제작하였다.
글리세롤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1.3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3.700 중량%
중성유 6.000 중량%
유동 파라핀, GP9 14.0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800 중량%
황산마그네슘 (MgSO4·7H2O) 0.700 중량%
리폰산 1.500 중량%
환원형 보효소 Q10 0.990 중량%
산화형 보효소 Q10 0.010 중량%
아스코르브산 2.000 중량%
탈염화수 100.000 중량%
본 발명의 피로 개선제는 상기 기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로 예방 및 회복 효과, 나아가 근육의 피로에 대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특히, 중노년층에 대하여 강한 피로 개선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중노년층의 체력 유지 및 건강 유지에 뛰어나다.

Claims (29)

  1. 하기식 (1) 로 나타내는 환원형 보효소 Q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 (식 중 n 은 1∼12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39627017-pct00002
  2. 하기식 (1) 로 나타내는 환원형 보효소 Q 및 하기식 (2) 로 나타내는 산화형 보효소 Q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 (식 중 n 은 1∼12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39627017-pct00003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효소 Q 가 보효소 Q10 인 피로 개선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항산화 물질 또는/및 항산화 효소를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
  5. 제 4 항에 있어서, 항산화 물질이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프로부콜, 리코펜, 비타민 A, 카로테노이드류, 비타민 B, 비타민 B 유도체,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글루타티온, 피롤로퀴놀린퀴논, 피크노제놀, 플라바제놀, 또는 셀렌인 피로 개선제.
  6. 제 4 항에 있어서, 항산화 효소가 슈퍼옥시드디스무타제 (SOD), 글루타티온퍼옥시다아제, 글루타티온-S-트란스페라제, 글루타티온 환원 효소, 카탈라제, 또는 아스코르브산퍼옥시다아제인 피로 개선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양 강장 성분을 함께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자양 강장 성분이 크레아틴, 타우린, 비타민 B1, 비타민 B 유도체, 또는 아미노산인 피로 개선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영양 보조 성분을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영양 보조 성분이 아미노산, 금속 이온, 당류, 단백질류, 지방산류, 또는 비타민인 피로 개선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형태가 드링크제 혹은 식품인 피로 개선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근육 피로를 개선하는 피로 개선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그 형태가 스프레이제, 연고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크림제, 습포제, 플라스터제, 테이프제인 피로 개선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항염증 성분을 함께 함유하는 피로 개선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항염증 성분이 스테로이드, 살리실산 및 그 유도체, 아릴아세트산 및 그 유도체, 프로피온산 및 그 유도체, 페남산 및 그 유도체, 피라졸론 및 그 유도체, 옥시캄 및 그 유도체, 및 비산성 항염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피로 개선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근육 피로 개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
  2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노년층용 피로 개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개선제.
KR1020057013471A 2003-01-31 2004-01-19 피로 개선제 KR100696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4758 2003-01-31
JP2003024758 200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28A KR20050092128A (ko) 2005-09-20
KR100696924B1 true KR100696924B1 (ko) 2007-03-20

Family

ID=3282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471A KR100696924B1 (ko) 2003-01-31 2004-01-19 피로 개선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946303B2 (ko)
EP (1) EP1588703B1 (ko)
JP (1) JP4644121B2 (ko)
KR (1) KR100696924B1 (ko)
CN (1) CN1723015A (ko)
AU (1) AU2004208588B2 (ko)
CA (1) CA2511080C (ko)
NO (1) NO20053051L (ko)
RU (1) RU2304432C2 (ko)
TW (1) TWI322008B (ko)
WO (1) WO2004066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0186A1 (en) * 2004-01-08 2005-07-21 Kaneka Corporation Antiaging composition
US7708990B2 (en) * 2004-03-23 2010-05-04 Kaneka Corporation Coenzyme Q compositions persisting in blood
AU2005224245A1 (en) * 2004-03-23 2005-09-29 Kaneka Corporation Coenzyme Q composition with long-term persistence in blood
TW200603786A (en) * 2004-05-11 2006-02-01 Kaneka Corp Anti-fatigue composition
TW200722076A (en) * 2005-03-29 2007-06-16 Kaneka Corp Composition for increasing anti-oxidation activity in blood
EP1897539B1 (en) * 2005-06-24 2012-10-31 Kaneka Corporation Anti-fatigue composition
JP5023253B2 (ja) * 2005-09-14 2012-09-12 株式会社ノエビア 疲労感、倦怠感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JP5103374B2 (ja) * 2006-03-13 2012-12-19 株式会社カネカ 心機能不良改善剤または心機能維持剤
EP3173068B1 (en) 2006-05-02 2020-09-09 University of Miami Topical co-enzyme q10 formulations and treatment of wounds
WO2008007728A1 (fr) * 2006-07-13 2008-01-17 Kaneka Corporation Préparation orale contenue dans une structure à membrane lipidique, et agent contre la fatigue comprenant une coenzyme comme ingrédient actif
JP2008239528A (ja) * 2007-03-26 2008-10-09 Lion Corp 目及び脳機能改善剤
GB2450117A (en) * 2007-06-13 2008-12-17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A water- and oxygen-occlusive blister tablet pack
JP5283359B2 (ja) * 2007-08-30 2013-09-04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含有組成物
JP5558823B2 (ja) * 2007-10-05 2014-07-23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
IL188681A0 (en) * 2008-01-09 2008-12-29 Amino Acid Solution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a d-amino acid
JPWO2009136587A1 (ja) * 2008-05-08 2011-09-08 株式会社カネカ 抗疲労組成物
CN105815770A (zh) * 2009-01-23 2016-08-03 惠氏有限责任公司 不具有大剂量的营养补充剂的副作用的多种维生素/矿物质制剂
US9040747B2 (en) 2009-10-16 2015-05-26 Kanek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method for stabiliz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8865660B2 (en) 2010-12-10 2014-10-21 Broady Health Sciences, Llc Method of treating neurogenic overactive bladder in a mammal or method of treating non-psychological stress-related bladder dysfunction in a female mammal by administering at least on jasmonate
JP6024942B2 (ja) * 2012-02-29 2016-11-16 株式会社福山こめ酢 テストステロン分泌促進剤、抗疲労剤及びその製造方法と利用
CN103371317A (zh) * 2012-04-25 2013-10-30 山东邦奥创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核糖功能食品
WO2014153285A1 (en) * 2013-03-16 2014-09-25 Sinatra Stephen T Equine supplement
RU2540476C1 (ru) * 2014-03-27 2015-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и технологии элементо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ФГУП "ГНИИХТЭОС") Повышение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RU2018108109A (ru) * 2015-08-11 2019-09-12 Акаал Фарма Пти Лтд Композиции с модуляторами s1p рецептора
CN107007606B (zh) * 2016-02-04 2021-10-26 南京舒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干燥综合症预防及治疗的药物及其组合
CN106177925A (zh) * 2016-08-25 2016-12-07 明光市昊昊蜂业有限公司 一种蜂王浆美容保健品
JP6252922B2 (ja) * 2016-09-27 2017-12-27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テストステロン分泌促進剤、抗疲労剤及びその製造方法と利用
CN106617030A (zh) * 2016-12-12 2017-05-10 钦州学院 一种体力恢复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15549A (ko) 2017-05-17 2020-02-12 버그 엘엘씨 수포성 표피박리증의 치료 및 예방에서 조효소 q10 제형의 용도
US11471426B2 (en) 2019-10-16 2022-10-18 American River Nutrition, Llc Compositions comprising quinone and/or quinol and methods of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CN110801018A (zh) * 2019-11-08 2020-02-18 广东医科大学 辅酶q10维生素c运动含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649B2 (ja) * 1976-02-14 1984-10-16 エーザイ株式会社 重症筋無力症治療剤
JPS5938204B2 (ja) * 1976-02-14 1984-09-14 エーザイ株式会社 再生不良性貧血治療剤
US6444221B1 (en) * 1992-06-30 2002-09-03 Howard K. Shapiro Methods of treating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using carbonyl trapping agents
JPH07330584A (ja) 1994-06-08 1995-12-19 Taisho Pharmaceut Co Ltd 疲労改善剤
JPH07330593A (ja) * 1994-06-09 1995-12-19 Taisho Pharmaceut Co Ltd 疲労改善剤
JPH1053520A (ja) * 1996-06-03 1998-02-24 Takeda Chem Ind Ltd 抗疲労剤
JP3889481B2 (ja) * 1996-08-16 2007-03-07 株式会社カネカ 医薬組成物
DK0969744T3 (da) * 1997-03-27 2003-06-23 Khursheed N Jeejeebhoy Kosttilskud til forbedringer af celleenergetik
JPH10287560A (ja) * 1997-04-11 1998-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医薬組成物
DE19806947A1 (de) 1998-02-19 1999-08-26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en aus mindestens einer Substanz gewählt aus der Gruppe, bestehend aus Carnitin und den Acylcarnitinen, und mindestens einem Chinon und oder mindestens einem Hydrochinon sowi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solchen Wirkstoffkombinationen
AU3930600A (en) * 1999-03-30 2000-10-16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identifying agents that inhibit serum aging factors and uses and compositions thereof
WO2001001962A1 (en) * 1999-07-05 2001-01-11 Idea Ag. A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ransport across adaptable semi-permeable barriers
WO2001032040A1 (en) * 1999-11-01 2001-05-1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thod for selective delivery of lipid-soluble antioxidants into the polar lipid fraction of a food product
KR20030016202A (ko) 1999-11-24 2003-02-26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국소성 피부 조성물
US8753675B1 (en) 2000-01-20 2014-06-17 Raj K. Chopra Reduced form of Coenzyme Q in high bioavailability stable dosage forms and related applications
JP4421801B2 (ja) * 2000-05-09 2010-02-24 株式会社カネカ 補酵素q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用組成物
ZA200109677B (en) * 2000-09-06 2002-06-25 Technikon Pretoria A nutritiona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02363073A (ja) * 2001-05-09 2002-12-18 Crescendo Corporation スポーツパフォーマンス
AU2002309038B2 (en) * 2001-05-10 2007-05-17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transmucosal administration containing coenzyme Q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03119127A (ja) 2001-10-10 2003-04-2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安定な還元型補酵素q製剤
TWI329513B (en) * 2001-10-12 2010-09-01 Kaneka Corp Use of reduced coenzyme q for lessening oxidative st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3015A (zh) 2006-01-18
AU2004208588B2 (en) 2009-05-07
JP4644121B2 (ja) 2011-03-02
EP1588703B1 (en) 2016-04-20
JPWO2004066988A1 (ja) 2006-05-18
EP1588703A4 (en) 2008-06-11
CA2511080A1 (en) 2004-08-12
TWI322008B (en) 2010-03-21
US8946303B2 (en) 2015-02-03
US20060165672A1 (en) 2006-07-27
RU2005122409A (ru) 2006-01-20
WO2004066988A1 (ja) 2004-08-12
NO20053051L (no) 2005-08-31
EP1588703A1 (en) 2005-10-26
RU2304432C2 (ru) 2007-08-20
NO20053051D0 (no) 2005-06-21
AU2004208588A2 (en) 2004-08-12
TW200501936A (en) 2005-01-16
CA2511080C (en) 2015-10-13
KR20050092128A (ko) 2005-09-20
AU2004208588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924B1 (ko) 피로 개선제
US20070259908A1 (en) Mitochondria Activators
EP1897539B1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7708990B2 (en) Coenzyme Q compositions persisting in blood
EP1747778B1 (en) Anti-fatigue composition
EP1728506A1 (en) Coenzyme q composition with long-term persistence in blood
WO2009136587A1 (ja) 抗疲労組成物
KR20080097437A (ko) 혈압 정상화 조성물
JP5103374B2 (ja) 心機能不良改善剤または心機能維持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