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12A -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12A
KR20220056612A KR1020200141344A KR20200141344A KR20220056612A KR 20220056612 A KR20220056612 A KR 20220056612A KR 1020200141344 A KR1020200141344 A KR 1020200141344A KR 20200141344 A KR20200141344 A KR 20200141344A KR 20220056612 A KR20220056612 A KR 2022005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arts
group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주
프라카스 판데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612A/ko
Priority to PCT/KR2021/006027 priority patent/WO2022092461A1/ko
Publication of KR2022005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12A/ko
Priority to KR1020240027493A priority patent/KR20240031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지방세포분화 억제, 혈액 중의 혈당, 인슐린 저항성,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DIABETES MELLI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지방세포분화 억제, 체중 감소, 혈당감소, 인슐린 저항성 감소,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과를 달성하여 비만 및/또는 당뇨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에 사용될 수 있다.
현대인의 만성질환 중의 하나인 비만은 산업화와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 변화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건강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1996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여 질병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비만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등의 성인병과 각종 암 유발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 치료제의 작용기전으로는 식욕억제, 열대사촉진, 이뇨제, 소화억제, 호르몬 조절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만 치료제인 리덕틸(ReductilTM, 애보트사, 미국)은 식욕억제제로서 미국에서 한 해 1억불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비만 치료용 식욕억제제는 혈압상승, 의존성 설사, 변비, 불면, 불안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비만을 억제하기 위하여 오랜 세월 동안 안전성과 생리기능이 검증된 여러 식품 소재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현재 비만인을 위한 건강식품으로 식이섬유, 생약제 및 여러 식품 소재를 함유하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식사량을 줄이고 상기 건강식품들을 섭취할 경우 여러 영양소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고, 복용을 중단하면 빠르게 다시 비만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고 장기 복용시에도 안전성이 우수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더욱이, 현대인의 약 30~40% 정도가 가지고 있는 비만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제 2형 당뇨병 및 여러 형태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강한 위험 요소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과 당뇨는 유병 기작에 있어서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지방이 증가하면 인슐린 감수성이 저하되는 증상을 보이며, 특히 복부지방의 축적은 당불내성(glucose intolerance)과 관련이 있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의 여러 원인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도비만에서 제 2형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제 2형 당뇨병이 발생된 환자에서는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비만이 심할수록 인슐린 저항성도 심해진다. 제 2형 당뇨병에서 이상지질 혈증은 혈당이 조절되면 대체적으로 개선이 되는데, 일부 환자는 개선되지 않는다. 이 같은 경우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중심부 비만 증후군(central obesity syndrome)이라고 일컫는다.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중심부 비만 또는 내장 비만(visceral obesity)이다. 중심부 비만과 내장 비만은 이차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하고, 고인슐린혈증, 고혈압,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를 동반한다.
이렇듯 비만에 의한 2차적 당뇨병의 유발은 현재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즉 치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계 약물과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제를 대사증후군이 있는 비만환자에 대해 장기간의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그 치료효과를 발표한 비만치료약제로 제니칼(Xenical, Orlistat)과 리덕틸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지방의 연소 및 분해를 촉진시키기보다는 식욕억제와 지방흡수 억제의 기작에 의한 항비만 효능을 가지고 있어 인슐린 저항성을 해결하기에 필요충분 조건이 되지 못하여 비만과 함께 당뇨병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각한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어, 아직은 안전성에 대한 명확한 보장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물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대해서는 좀 더 안전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1787호는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조절하지 못하고, 조성물 중 로열젤리를 포함하여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항산화 활성, 지방세포분화 억제, 혈액 중의 혈당, 인슐린 저항성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비만뿐만 아니라 당뇨도 효과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현지초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녹차 3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2,2'-아지 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혈액 중의 혈당, 인슐린 저항성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상기 현지초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상기 녹차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상기 레몬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물, 헥산,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판올,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레몬을 더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에 따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고지방식이를 섭취함에도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FER 수치를 낮춘다. 또한 혈중 혈당, 인슐린 농도, 인슐린 저항성, 콜레스테롤 수치, 중성 지질 농도 등을 낮추는 효과를 달성하여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개별 생약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각각의 생약들의 배합에 따라 상기 효과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도토리 및 현지초는 독성을 나타내고, 녹차는 빈혈을 발생할 수 있고, 레몬은 항산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과량 섭취시 자극적인 맛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만 또는 당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지라(비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4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5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의 (a) 내지 (e)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원료들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a) 내지 (e)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원료들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지질 축적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ORO 염색된 사진이다.
도 10은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기 전의 체중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은 후의 체중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a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기 전의 먹이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은 후의 먹이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FER(Food Efficiency Rati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시간에 따른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a 및 16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인슐린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a 및 17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인슐린 저항성(HOMA-I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간의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의 (a) 내지 (e)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0a 및 20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의 (a) 내지 (e)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2 a 및 22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a 및 23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a 및 24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중성지질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혈액 중 빌리부빈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및/또는 당뇨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고,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및/또는 당뇨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및/또는 당뇨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개선', '예방', 및 '치료'의 의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그 의미의 확장, 변경 등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유발하는 모든 질환과 이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모든 합병증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유발하는 모든 질환과 이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모든 합병증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현지초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녹차 3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토리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체중감량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도토리가 15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세포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현지초가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콜레스테롤 수치 감량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현지초가 25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세포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녹차가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체중 감량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녹차가 6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레몬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리지방산 대사율이 감소하여 복부비만 감소를 포함한 체중감량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15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레몬에 대한 기호에 따라 개인별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2,2'-아지 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하여 향상된 작용효과를 갖기 때문에, 비만 및/또는 당뇨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되는 고농도의 활성 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만성염증 상태로 보고되는 비만에 대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어, 비만 및/또는 당뇨와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에 대한 개선, 예방, 치료 등에 매우 적합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들 각각이 갖는 활성보다 향상된 작용효과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각 개별 성분들을 따로 섭취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더욱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혈액 중의 혈당, 인슐린 저항성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체중 감소, 체중 증가 억제, 복부 지방 감소, 간 지방 감소 등을 나타내어 비만에 효과적인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혈당, 인슐린 저항성, 콜레스테롤, 중성지질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당뇨에 효과적인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약효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비강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은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S100).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상기 현지초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상기 녹차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의 각각의 추출률을 상이하다. 이에 따라, 본원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혼합물 각각의 재료들의 중량부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에서의 각 재료 성분들의 중량부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녹차의 추출률은 38% 이상으로, 혼합물 에서 23 중량부로 포함되었을 때 조성물에서 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토리의 추출률은 5% 정도로, 혼합물에서 38 중량부로 포함되었을 때 조성물에서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추출률을 고려하여 중량부를 조절하여 혼합해야 한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물, 헥산,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판올,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할 때 10% 내지 4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탄올의 농도가 40% 초과일 경우 상기 에탄올의 인화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환류 추출한다(S200).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여 수득함으로써 각각의 재료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에 비해 공정과정이 간단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 유효 성분은 각각의 재료의 추출물을 혼합했을 때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하는 온도가 50℃ 미만일 경우, 환류(reflux)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추출하는 온도가 100℃ 초과일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용매도 모두 증발 및 냉각되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개시한 온도 범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혼합물 각각의 중량부, 용매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50분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시간이 50분 미만일 경우,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추출 시간이 120분 초과일 경우, 상기 용매가 역류하여 추출물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시간은 개시한 시간 범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혼합물 각각의 중량부, 용매, 반응 온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은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레몬을 더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본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은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반적인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으로 성형 조립, 유동층 조립, 교반 조립, 압출 조립, 전동 조립, 기류 조립, 압축 성형 조립, 파쇄 조립, 분무 조립, 분사 조립, 조립 방법, 팬 코팅, 유동층 코팅, 건식 코팅, 코팅 방법, 퍼프드라이, 과잉 수증기법, 폼 매트 방법, 마이크로파 가열 방법, 팽화 방법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식품, 건강 음료, 쥬스류, 청량 음료수, 스프류, 차류, 유산균 음료, 발효유, 빙과, 버터, 치즈, 요구르트, 가공유, 탈지 분유 등의 유제품, 햄, 소세지, 햄버거 등의 축육 제품, 어육 혼합 제품, 계란말이, 달걀 두부 등의 알제품, 쿠키, 젤리, 스낵 과자, 츄잉껌 등의 과자류, 빵류, 국수류, 김치류, 훈제품, 건물, 해산물 조림, 조미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식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분말 식품, 시트상 식품, 병조림 식품, 통조림 식품, 레토르트 식품, 캡슐 식품, 정제상 식품, 유동 식품, 드링크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태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감미료, 착색료, 보존료, 증점 안정제, 산화 방지제, 발색제, 표백제, 곰팡이 방지제, 껌베이스, 고미료, 효소, 광택제, 산미료, 조미료, 유화제, 강화제, 제조용 제제, 향료, 향신료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탐, 감초, 스테비아, 크실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료는 카로티노이드나 쿠르쿠민 색소, 후라보노이드, 카라멜 색소, 시콘 색소, 스피룰리나 색소, 엽록소, 퍼플스윗 감자(purple sweet potato) 색소, 퍼플 스윗 산감자 색소, 들깨(perilla) 색소, 블루베리 색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존료는 아황산나트륨, 벤조산류, 독활(aralia cordata) 추출물, 에고노기 추출물, 사철쑥 추출물, 소르빈산류, 프로피온산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점 안정제는 아라비아 검이나 크산탄 검 등의 검류, 알긴산류, 키틴, 키토산, 알로에 추출물, 구아 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제인나트륨, 옥수수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류, 젤라틴, 한천, 덱스트린,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미소 섬유상 셀룰로오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해초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소다, 폴리인산나트륨,카라기난, 효모 세포벽, 곤약 감자 추출물, 나타드코코(Nata de coco), 만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비타민 C, 에틸렌디아민 사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 사아세트산칼슘, 에리소르빈산, 오리자놀, 카테친(catechin), 퀘르세틴(quercetin), 클로브 추출물, 효소 처리 루틴, 사과 추출물, 참기름 추출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회향 추출물, 서양고추냉이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차 추출물, 템페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토코트리에놀, 토코페롤류, 평지 기름 추출물, 원두 커피 추출물, 해바라기 종자, 페룰산,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블루베리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고사리은행나무 추출물, 헤스페리틴, 후추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갈산, 소귀나무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색제는 아질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오르토페닐페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껌베이스는 아세틸리시놀산메틸, 옻 왁스, 에스테르 검, 엘레미(elemi) 수지, 오우리큐우릴로우,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오포파낙스(opopanax) 수지, 카우리 검, 카르나우바 왁스, 구아이악(guaiac) 수지, 구타카츄, 구타한칸, 구타페르카(guttapercha),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고래 왁스, 코파오바 발삼, 코팔(copal) 수지, 고무, 라이스 왁스, 사탕수수 왁스, 쉘락, 젤톤, 슈크로오스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바, 소르비탄산지방산 에스테르, 탈크, 탄산칼슘, 담마(dammar) 검, 치클(chicle), 치르테, 쯔누(tunu), 저분자 고무, 파라핀 오일, 퍼발삼,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분말 펄프, 분말 벼겨, 호호바 오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 왁스, 유향수(mastic), 맛사란드쵸콜 레이트, 황랍, 인산칼슘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미료는 이소 알파 고미산, 카페인, 구름버섯 추출물, 키나(kina) 추출물, 황다랑어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향신료 추출물, 효소 처리 나린진, 쟈마이카 카시아 추출물, 데오브로민, 나린진, 비가끼 추출물, 약쑥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아가리쿠스 버섯, 버섯 추출물, 보라페트, 메틸티오아데노신, 영지 추출물, 올리브차, 광귤 추출물, 홉 추출물, 머그워트(mugwort)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소는 아밀라아제, 트립신, 린넷, 유산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택제는 옻 왁스, 목랍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미료는 아디프산, 이타콘산, 시트르산류, 숙신산류, 아세트산나트륨, 타르타르산류, 이산화탄소, 락트산, 피린산, 푸마르산, 말산, 인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미료는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류, 글루탐산, 글루타민, 알라닌, 이소류신, 글리신, 세린, 시스틴, 티로신, 류신, 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이노신산나트륨, 우리딜산나트륨, 구아닐산나트륨, 시티딜산나트륨, 리보뉴 클레오티드 칼슘, 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 등의 핵산,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유기 산, 염화칼륨, 염수 호수 저염 나트륨액, 조제(粗製) 해수 염화칼륨, 유청 미네랄, 인산삼칼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클로렐라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화제는 아연 염류, 비타민 C, 각종 아미노산, 5-아데닐산, 염화철, 헤스페리딘, 각종 소성 칼슘, 각종 미소성 칼슘, 디벤조일티아민,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티아민염산염, 듀나리에라 카로틴, 토코페롤, 니코틴산, 당근 카로틴, 팜유카로틴, 판토텐산칼슘, 비타민 A, 히드록시프롤린, 피롤린산이수소칼슘, 피롤린산 제1철, 피롤린산 제2철, 페리틴, 햄철, 메나퀴논, 엽산, 리보플라빈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용 제제는 아세톤, 이온 교환 수지 등의 가공 조제, 무화과 나뭇잎 추출물, 볏짚 재 추출물, 카올린,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뽕나무 추출물, 골회, 들깨 추출물, 생강 추출물, 각종 탄닌, 파파야 추출물, 포도종자 추출물,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향신료 추출물은 고추 추출물, 마늘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5회로 나누어 섭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토리 8.94 g, 현지초 3.74 g, 녹차 5.63 g, 레몬 5.59 g 및 40% 에탄올 237 ml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5℃의 온도에서 90분간 환류 추출하여 약학적 조성물(18-KHT-01)을 수득하였다.
레몬을 혼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학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평가]
1. 조성물의 성분 함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로서 나타내었다.
재료 생약 혼합물에서의 함량 추출된 조성물에서의 함량 추출률(%)
(g) (%) (g) (%)
도토리 8.94 37.41 0.46 11.79 5.16
현지초 3.74 15.65 0.83 21.28 22.23
녹차 5.63 23.56 2.14 54.87 38.03
레몬 5.59 23.39 0.47 12.05 8.34
표 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의 추출률은 각각 5.16%, 22.23%, 38.03% 및 8.34%로서 상기 추출률에 따라 상기 혼합물에서의 함량과 상기 조성물에서의 함량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2. 독성 실험
안전한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급성 독성 실험 및 아급성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급성 독성 실험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g)/쥐의 몸무게(kg)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각각 2 g/kg, 2.5 g/kg 및 3 g/kg을 1회 투여 후 14일간 독성을 관찰하였다(체중, 행동 양상, 장기별 무게, 장기의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독성을 관찰함). 관찰 결과, 2.5 g/kg 및 3 g/kg 투여한 쥐에서는 독성이 관찰되었으나, 2 g/kg을 투여한 쥐에서는 어떠한 이상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최대 허용 농도(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는 2.0g/kg으로 판단되었다.
아급성 독성 실험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mg)/쥐의 몸무게(kg)의 투여량을 각각 50 mg/kg(하루에 총 100 mg/kg)(1 그룹) 및 250 mg/kg(하루에 총 500 mg/kg)(2 그룹)을 하루 2회 20일간 투여하며 독성을 관찰하였다(체중, 행동 양상, 장기별 무게, 장기의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독성을 관찰함). 관찰 결과, 1 그룹 및 2 그룹 모두 유의적인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를 도 2 내지 5로서 나타내었다.
도 2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수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의 (b)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암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의 (c)는 상기 1 그룹의 수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의 (d)는 상기 1 그룹의 암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의 (e)는 상기 2 그룹의 수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의 (f)는 상기 2 그룹의 암컷 쥐의 신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지라(비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수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b)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암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c)는 상기 1 그룹의 수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d)는 상기 1 그룹의 암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e)는 상기 2 그룹의 수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f)는 상기 2 그룹의 암컷 쥐의 지라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4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수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b)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암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c)는 상기 1 그룹의 수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d)는 상기 1 그룹의 암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e)는 상기 2 그룹의 수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4의 (f)는 상기 2 그룹의 암컷 쥐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5의 (a) 내지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수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의 (b)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암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의 (c)는 상기 1 그룹의 수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의 (d)는 상기 1 그룹의 암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의 (e)는 상기 2 그룹의 수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의 (f)는 상기 2 그룹의 암컷 쥐의 심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신장, 지라, 간 및 심장의 조직에 어떠한 이상소견도 발생하지 않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을 각각 150 mg/kg씩 하루 2회(총 300 mg/kg) 30일동안 투여하며 독성을 관찰할 때, 도토리 및 현지초를 투여한 쥐가 2마리 이상 사망하는 등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도토리 및 현지초는 다량 투여될 경우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약학적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3.1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확인
생체 내의 물질대사에 의하여 활성산소가 발생하지만 이는 체내의 항산화 시스템에 의하여 제거된다. 하지만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과다하게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세포막에 있는 불포화지방산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야기하여 세포 내 구조적, 기능적 피해를 준다. 이러한 지질과 산화를 일으키는 자유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인 DPPH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DPPH는 짙은 자색을 띄는 화학적으로 유도되는 비교적 안정한 radical로서,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전자를 공여 받으면 환원되어 고유의 자색이 엷어지면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일종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PPH의 환원 정도를 기준으로 측정물질의 환원력과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 각각 20 μl에 용매(시료 농도에 따라 양 조절) 및 0.1 mM 농도의 DPPH 180 μl를 가하여 혼합하고 30분동안 반응시킨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만을 첨가한 대조군에 대한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수학식 1로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6의 (a) 내지 (e)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원료들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b)는 도토리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c)는 현지초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d)는 녹차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e)는 레몬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3.2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 확인
96well plate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00 μl, 시료(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 각각 20 μl 및 1mM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5분간 방치 후, 1.25 mM 농도의 ABTS 30 μl 및 과산화효소(peroxidase) 30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반응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수학식 2로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7의 (a) 내지 (e)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원료들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b)는 도토리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c)는 현지초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d)는 녹차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e)는 레몬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2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원료의 라디칼이 50% 저해되는 데에 필요한 농도(IC50)를 나타낸 것이다.
Samples DPPH-IC50 (μg/mL) ABTS-IC50 (μg/mL)
실시예 1 2.00 1.96
도토리 10.17 10.37
현지초 4.30 3.92
녹차 1.84 1.63
레몬 NA NA
도 6, 7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저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갖기 때문에 본원의 조성물은 비만 및 당뇨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되는 고농도의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비만, 당뇨 및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에 대한 개선, 예방 치료 등에 적합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조성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에서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약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매우 낮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본원의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 향상이라는 상승작용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더욱이, 레몬은 낮은 농도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약학적 조성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안의 지방 함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고 이 때 지방세포 안에 축적되는 지방양을 ORO 염색법(ORO staining)으로 염색하여 지방양 및 분화정도를 예측하는 실험으로서,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실험예 1]
비만전구세포(3T3-L1, preadipocyte)를 10cm 디쉬(dish)에 10%~20% 컨플루언스(confluence)로 시딩(seeding)하며 10% BCS(bovine calf serum)를 포함하는 DMEM배지를 사용하고 37℃의 온도와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기 위해 분화 시작점에 분화시약(1 μM 덱사메타손, 0.115 mg/ml IBMX 및 2.5 μg/ml 인슐린)을 넣은 10% FBS 배지로 갈아주었다. 이 때 시료로서 상기 실시예1의 약학적 조성물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각 성분(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레몬)을 각각 동일 농도인 80㎍/㎖로 처리하고 지방축적량을 비교하였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약학적 조성물 80 ㎍/㎖에 함유되어 있는 개별 생약의 함량에 해당하는 양을 각각 처리하였다(표 3 참조). 이 때, 상기 각 성분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함량에 해당하는 양을 넣어주었다. 분화 시작일로부터 2일 후에는 2.5 μg/ml 인슐린이 포함된 10% FBS 배지로 갈아주었고, 4일 후와 6일 후에는 10% FBS 배지로 갈아주었다.
분화시작일로부터 10일째 되는 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ORO 염색을 실시하였다. 상기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10% 포르말린으로 세포를 고정하고, ORO(0.5% Oil Red-O dyein isopropanol)로 상기 고정된 세포에 처리하여 염색하였다. 상기 염색된 세포는 물로 수회 세척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 및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세포 내 지방양은 염색된 ORO의 양을 통해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이소프로판올에 상기 세포를 넣고 15분간 방치한 후 상기 ORO를 함유하는 이소프로판올의 흡광도를 490 nm에서 측정하여 분화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 및 개별 약제의 지질 축적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control을 100%로 봤을 때의 지질 축적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약학적 조성물, 녹차, 도토리, 현지초 및 레몬이 80 μg/ml의 동일한 농도일 때의 지질 축적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의 약학적 조성물이 80 μg/ml의 농도일 때의 녹차, 도토리, 현지초 및 레몬의 함량에 따른 지질축적도, 지방세포분화 억제율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3으로서 나타내었다.
시료 함량(μg/ml) 지질 축적도(%) 지방세포분화 억제율(%) 표준편차
Control - 100.00 0.00 4.28
실시예 1 80 70.91 29.09 2.89
녹차 43.92 92.28 7.72 4.60
도토리 9.46 98.60 1.40 4.07
현지초 17.06 110.77 -10.77 6.51
레몬 9.57 99.83 0.17 5.64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ORO 염색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negative control은 지방세포로 분화하지 않은 세포를 의미하고, control은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9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ORO 염색약의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8, 9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농도 유의적으로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원의 조성물은 비만, 당뇨 및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에 대한 예방, 치료, 개선 등에 적합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생약이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하는 양은 상기 조성물에 비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본원의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지방분화세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5. 약학적 조성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 분석
5.1 약학적 조성물의 체중 감량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
동물실험 모델(마우스 C57BL/6J)에서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약학적 조성물을 복용시켜 그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7주간 1개 군의 마우스는 정상식을 먹이는 정상군(normal group)으로 설정하고, 7개 군의 마우스는 17주간 고지방식이를 먹이며 비만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6주 때에 2개 군은 조성물을 각각 75 mg/kg(하루에 총 150 mg/kg) 및 150 mg/kg(하루에 총 300 mg/kg)씩 하루 2회 투여하고, 1개 군은 문헌을 참조하여 일반 다이어트 약을 10 mg/kg(하루에 총 20 mg/kg)씩 하루에 2회 투여하였다.
나아가, 개별 생약 투여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개 군은 녹차를 150 mg/kg(하루에 총 300 mg/kg)씩 하루에 2회 투여하고, 1개 군은 도토리를 150 mg/kg(하루에 총 300 mg/kg)씩 하루에 2회 투여하고, 1개 군은 현지초를 150 mg/kg(하루에 총 300 mg/kg)씩 하루에 2회 투여하고, 1개 군은 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HFD)으로 설정하였다. 레몬은 항산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상기 정상식과 고지방식의 조성을 하기 표 4로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식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은 반면, 고지방식은 지방의 조성이 정상식에 비해 약 6배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제 1군(150 mg/kg/day), 실시예 제 2군(300 mg/kg/day), 비교군(다이어트 약, Orlistat)의 평균 체중을 주마다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동물실험 처음 6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들의 무게가 정상식이를 먹인 쥐에 비하여 체중 평균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 비만유도가 성공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만 유도된 쥐들의 각 실험군을 살펴보면, 대조군의 체중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증가폭은 대조군에 비하여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용량을 투여한 상기 실시예 제 2군은 고지방식이를 계속 섭취하는 데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17주에서는 대조군의 체중과 40% 가량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트약을 투여한 비교군 보다 더 좋은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대조군에서는 6주 이후에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상기 실시예 제 2군은 체중 증가가 정상군보다 오히려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a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기 전의 체중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은 후의 체중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대조군(HFD), 실시예 제 1군(150 mg/kg/day), 실시예 제 2군(300 mg/kg/day) 및 비교군(다이어트 약, Orlistat)은 정상군에 비하여 더 많은 체중 증가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약물을 투여한 이후의 결과인 도 11b를 참고하면,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 모두 체중 증가량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제 2군은 비교군뿐만 아니라 정상군 보다 더 낮은 체중 증가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a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기 전의 먹이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가 약물을 투여 받은 후의 먹이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FER(Food Efficiency Rati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ER(Food Efficiency Ratio)은 증가한 체중을 먹이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서, 먹이가 체중 증량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 13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FER이 모두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제 2군은 비교군뿐만 아니라 정상군 보다 더 낮은 FER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 제 2군이 같은 양의 먹이를 섭취했을 때 가장 낮은 체중 증가율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비만에 예방, 개선, 치료에 효과적인 것을 의미한다.
도 13b는 실시예 1군과 도토리군, 현지초군, 녹차군에서의 FE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b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의 체중 감소량은 상기 조성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원의 조성물은 각 개별 생약들의 배합에 따른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14c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는 0주, 도 14b는 6주, 도 14c는 9주일 때의 각 군의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14c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험예 2의 조성물 투여로 인한 분변량에는 유의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5.2 약학적 조성물 투여에 따른 혈당 및 인슐린 분석
도 15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시간에 따른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6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들의 혈당이 정상식이를 먹인 쥐에 비하여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만 유도된 쥐들의 각 실험군을 살펴보면, 대조군의 혈당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혈당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용량을 투여한 상기 실시예 제 2군은 17주에서 정상군의 혈당수준까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트약을 투여한 비교군 보다 혈당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혈당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당뇨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인슐린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인슐린이 모두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인슐린 저항성(HOMA-I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인슐린 저항성(HOMA-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은 하기 수학식 3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3에서, 실험군 상수는 실험군에 따라 달라지며, 본 실험에서는 22.5이다. 35세 이하의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은 상기 상수가 405일 수 있다.
도 17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제 1군, 실시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음식을 섭취하면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로 유입시켜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시키도록 하고, 지방조직에서 포도당의 산화 및 지방산으로의 전환을 돕는 데에 사용한다. 인슐린이 결핍되면 많은 조직에서 포도당의 섭취가 저하되고 간에서 포도당 방출량이 증가하여 고혈당, 즉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 대부분은 인슐린의 분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당뇨병 환자들은 대부분 당뇨병으로 진단되기 전에 포도당 과민증(glucose intolerance) 시기가 있다. 내당증이라고 하는 이 시기는 인슐린 저항성과 혈중 인슐린 레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의 상승과 동반하는 인슐린 분비는 결국 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인슐린 분비를 지속하지 못하여 혈당 조절을 실패하면서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것이다.
도 16a 및 도 17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의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뇨병으로 진단되기 전의 포도당 과민증 현상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예 제 1군 및 실험예 제 2군은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뇨를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b 및 도 17b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의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 감소량은 상기 조성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원의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5.3 약학적 조성물 투여에 따른 지방 농도 분석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를 실험 17주 후 마지막 날 8시간 절식한 후 이산화탄소로 희생시켜 복강대동맥으로부터 혈액 채취하고 각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 및 현미경 관찰을 진행하였다.
도 18은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간의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의 (a) 내지 (e)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간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9의 (a)는 정상군의 간 조직 사진, 도 19의 (b)는 대조군의 간 조직 사진, 도 19의 (c)는 비교군의 간 조직 사진, 도 19의 (d)는 실험예 제 1군의 간 조직 사진, 도 19의 (e)는 실험예 제 2군의 간 조직 사진이다.
도 20a 및 20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의 (a) 내지 (e)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 조직의 현미경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의 (a)는 정상군의 복부지방 조직 사진, 도 21의 (b)는 대조군의 복부지방 조직 사진, 도 21의 (c)는 비교군의 복부지방 조직 사진, 도 21의 (d)는 실험예 제 1군의 복부지방 조직 사진, 도 21의 (e)는 실험예 제 2군의 복부지방 조직 사진이다.
도 18 내지 2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의 간 무게 및 복부지방 무게에 비해 실험예 제 1군, 실험예 제2군 및 비교군의 무게가 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간의 무게는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1의 (a) 내지 (e)에 비교군 및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험예 제 1군 및 실험예 제 2군의 복부지방 조직의 크기가 더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할 경우, 복부지방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4 약학적 조성물 투여에 따른 콜레스테롤 수치 분석
도 22 a 및 22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a 및 23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a 및 24b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중성지질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a, 23a 및 24a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의 콜레스테롤 수치, LDL 콜레스테롤 수치 및 중성지질 농도보다 실험예 제 1군, 실험예 제 2군 및 비교군의 수치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교군보다도 더 낮은 수치를 달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2b, 23b 및 24b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의 콜레스테롤 수치, LDL 콜레스테롤 수치 및 중성지질 농도의 감소량은 상기 조성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원의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콜레스테롤 수치, LDL 콜레스테롤 수치 및 중성지질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현지초가 가장 많은 감소량을 나타내었는데, 상기 현지초는 독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5.5 약학적 조성물 투여에 따른 혈액분석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혈액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으로서 나타내었다.
CBC parameters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제1군 비교군
WBC (x 109/L) 2.72 ±0.58 3.30 ±0.58 2.53 ±0.34 2.88 ±1.14
LYM (%) 76.10 ±4.94 74.80 ±2.73 75.27 ±3.64 77.83 ±4.49
MID (%) 5.40 ±0.52 5.12 ±0.77 6.18 ±0.87 5.55 ±0.62
NEUT (%) 18.50 ±4.58 20.08 ±2.99 18.55 ±3.01 16.62 ±4.75
LYM (x 109/L) 2.04 ±0.43 2.46 ±0.50 1.92 ±0.30 2.27 ±0.97
MID (x 109/L) 0.14 ±0.05 0.16 ±0.09 0.17 ±0.05 0.17 ±0.08
NEUT (x 109/L) 0.54 ±0.18 0.68 ±0.08 0.55 ±0.05 0.45 ±0.10
RBC (x 1012/L) 6.19 ±0.39 6.61 ±0.13 6.46 ±0.50 6.52 ±0.58
HGB (g/dL) 12.96 ±1.20 13.18 ±0.58 12.48 ±1.13 12.43 ±1.31
HCT (%) 29.88 ±2.02 32.76 ±0.62 31.93 ±2.66 33.08 ±3.50
MCV (fL) 48.30 ±0.34 49.66 ±0.42 49.52 ±0.60 50.72 ±0.97
MCH (pg) 20.86 ±0.87 19.90 ±0.59 19.25 ±0.49 19.02 ±0.41
MCHC (g/dL) 43.28 ±1.81 40.16 ±1.39 39.03 ±1.25 37.55 ±0.91
RDW-SD (fL) 20.78 ±0.85 21.92 ±0.85 21.03 ±0.98 23.50 ±0.93
RDW-CV (%) 12.62 ±0.55 12.90 ±0.40 12.45 ±0.48 13.58 ±0.42
PLT (x 109/L) 398.20 ±93.15 422.00 ±24.01 436.83 ±63.51 619.00 ±51.99
MPV (fL) 7.08 ±0.25 7.20 ±0.23 7.18 ±0.17 7.40 ±0.32
PDW (%) 6.46 ±0.47 6.62 ±0.45 6.97 ±0.57 6.98 ±0.50
CBC parameters 실시예 제1군 녹차 도토리 현지초
WBC (x 109/L) 2.53 ±0.34 2.33 ±0.30 2.28 ±1.16 2.80 ±1.70
LYM (%) 75.27 ±3.64 76.83 ±2.75 76.63 ±1.34 80.30 ±0.14
MID (%) 6.18 ±0.87 5.12 ±0.94 6.20 ±0.53 5.70 ±0.14
NEUT (%) 18.55 ±3.01 18.05 ±2.54 17.18 ±0.82 13.85 ±0.21
LYM (x 109/L) 1.92 ±0.30 1.78 ±0.24 1.73 ±0.93 2.25 ±1.34
MID (x 109/L) 0.17 ±0.05 0.12 ±0.04 0.15 ±0.06 0.15 ±0.07
NEUT (x 109/L) 0.55 ±0.05 0.43 ±0.08 0.40 ±0.18 0.40 ±0.28
RBC (x 1012/L) 6.46 ±0.50 5.99 ±0.36 5.78 ±0.66 6.12 ±1.67
HGB (g/dL) 12.48 ±1.13 11.45 ±0.56 11.15 ±1.10 11.40 ±4.53
HCT (%) 31.93 ±2.66 29.85 ±1.63 29.23 ±3.67 31.35 ±7.42
MCV (fL) 49.52 ±0.60 49.95 ±0.70 50.58 ±0.88 51.60 ±1.98
MCH (pg) 19.25 ±0.49 19.00 ±0.38 19.25 ±0.42 18.25 ±2.47
MCHC (g/dL) 39.03 ±1.25 38.33 ±0.64 38.20 ±0.94 35.60 ±5.94
RDW-SD (fL) 21.03 ±0.98 23.20 ±0.99 23.18 ±1.85 26.00 ±5.23
RDW-CV (%) 12.45 ±0.48 13.60 ±0.41 13.43 ±0.89 14.70 ±2.40
PLT (x 109/L) 436.83 ±63.51 489.50 ±35.46 759.50 ±132.22 913.50 ±58.69
MPV (fL) 7.18 ±0.17 7.27 ±0.15 8.05 ±0.51 8.00 ±0.57
PDW (%) 6.97 ±0.57 6.93 ±0.52 8.05 ±0.79 8.55 ±0.21
상기 표 5 및 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입한 실시예 제 1군의 혈액수치는 정상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녹차의 경우, 빈혈과 연관된 NEUT(Neutrophi), HGB(Hemoglobin), MCHMean Corpuscular haemoglobin)의 혈중 수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녹차는 체지방 감소 효과,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빈혈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5는 실험예 2에서 각 군의 마우스의 혈액 중 빌리부빈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간과 관련된 빌리부빈(bilirubin)의 수치가 대조군뿐만 아니라 정상군 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5.6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 약제의 성분 비율에 따른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 약제의 성분 비율에 따른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서 나타냈다.
시료 개별 약제의 비율 ABTS-IC 50 (μg/mL) DPPH-IC 50 (μg/mL)
녹차 도토리 현지초 레몬
실시예 1 54.87% 11.79% 21.28% 12.05% 3.33 3.15
실시예 1의 개별 약제 비율 4.65 1 1.8 1.02
R1 4.5 1 2 1 3.55 3.01
R2 4.5 1 2 0 3.24 2.79
R3 4 3 2 1 3.99 3.81
R4 4 3 2 0 3.59 3.42
R5 3 1 2 1 4.00 3.76
R6 3 1 2 0 3.82 3.47
R7 1 1 1 1 4.75 4.72
R8 1 1 1 0 4.18 4.26
Gallic acid - - - - 0.59 0.56
상기 표 7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개별 약제의 성분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에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레몬을 포함하지 않은 R2, R4, R6 및 R8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 약제 각각의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레몬은 낮은 농도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 약제의 성분 비율에 따른 지질 축적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하기 표 8로서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μg/mL) 지질 축적도 (%) 지방세포분화 억제율 (%) 표준편차
실시예 1 80 64.19 35.81 8.15
60 86.95 13.05 4.84
R1 80 69.23 30.77 5.33
60 88.15 11.85 3.25
R2 80 72.89 27.11 4.88
60 92.06 7.94 7.67
R3 80 83.17 16.83 3.77
60 98.29 1.71 4.41
R4 80 78.41 21.59 8.18
60 94.39 5.61 3.68
R5 80 89.25 10.75 5.21
60 96.29 3.71 4.28
R7 80 93.45 6.55 2.91
60 98.27 1.73 3.43
상기 표 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개별 약제의 성분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에도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레몬을 포함하지 않은 R2 및 R4에서도 2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고지방식이를 섭취함에도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FER 수치를 낮춘다. 또한 혈중 혈당, 인슐린 농도, 인슐린 저항성, 콜레스테롤 수치, 중성 지질 농도 등을 낮추는 효과를 달성하여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의 각각의 생약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각 생약들의 배합에 따라 상기 효과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도토리 및 현지초는 독성을 나타내고, 녹차는 빈혈을 발생할 수 있고, 레몬은 항산화 활성이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만 또는 당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현지초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녹차 3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2,2'-아지 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하고, 혈액 중의 혈당, 인슐린 저항성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도토리, 현지초, 녹차 및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환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상기 현지초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상기 녹차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및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레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레몬은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도토리, 현지초 및 녹차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41344A 2020-10-28 2020-10-28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6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4A KR20220056612A (ko) 2020-10-28 2020-10-28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1/006027 WO2022092461A1 (ko) 2020-10-28 2021-05-13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0027493A KR20240031290A (ko) 2020-10-28 2024-02-26 항산화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4A KR20220056612A (ko) 2020-10-28 2020-10-28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493A Division KR20240031290A (ko) 2020-10-28 2024-02-26 항산화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12A true KR20220056612A (ko) 2022-05-06

Family

ID=813841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44A KR20220056612A (ko) 2020-10-28 2020-10-28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0027493A KR20240031290A (ko) 2020-10-28 2024-02-26 항산화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493A KR20240031290A (ko) 2020-10-28 2024-02-26 항산화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56612A (ko)
WO (1) WO20220924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519A (ko) * 2009-05-19 2010-11-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23603B1 (ko) * 2017-08-31 2018-11-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61786A (ko) * 2017-11-28 2019-06-05 (주)헬스코치생명공학 도토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61787A (ko) * 2017-11-28 2019-06-05 (주)헬스코치생명공학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03550B1 (ko) * 2018-11-23 2021-01-18 (주)헬스코치생명공학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90A (ko) 2024-03-07
WO2022092461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014028A1 (ja) サツマイモ茎葉抽出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42548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29057B1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1766274A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02621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190131817A (ko) 난용성 물질인 커큐민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KR20220056612A (ko)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0234B1 (ko)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1679079A1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30103989A (ko) 꾸지뽕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37479B1 (ko) 홍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0233B1 (ko)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0174A (ko)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1809B1 (ko)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98715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