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550B1 -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550B1
KR102203550B1 KR1020180146508A KR20180146508A KR102203550B1 KR 102203550 B1 KR102203550 B1 KR 102203550B1 KR 1020180146508 A KR1020180146508 A KR 1020180146508A KR 20180146508 A KR20180146508 A KR 20180146508A KR 102203550 B1 KR102203550 B1 KR 10220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group
wasong
at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465A (ko
Inventor
이병욱
김선용
박상민
목지예
이선희
정현주
프라카시 레이 판데야
이형규
Original Assignee
(주)헬스코치생명공학
(주)팜스빌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코치생명공학, (주)팜스빌,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헬스코치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8014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5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과 약학적 조성물은 ATDIET-801을 포함하고, ATDIET-801은 와송, 옻나무, 현지초 및 로열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comprising the ATDIET-801}
본 발명은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지초, 옻나무, 와송 및 로열젤리를 포함하여 조제된 ATDIET-801을 포함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와 동시에 항비만의 효능을 갖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고혈당으로 특징 지워지는 만성대사장애로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에 대한 내성 때문에 발생한다. 당뇨병은 크게 제1 형 당뇨와 제2 형 당뇨로 나뉘는데, 췌장에서 인슐린 생성의 문제로 인슐린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소아기부터 발병하는 질환을 제1 형 당뇨(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라하고, 비만, 동맥경화 등이 원인이 되어 혈중 인슐린 농도 변화를 나타나 주로 성인에서 발병하는 것이 제2 형 당뇨(NIDDM,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로 알려져 있다.
제2 형 당뇨는 비만과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사 인자중 하나인 PPAR (peroxisome proliferation activated receptor)는 지질과 포도당의 항상성에 관련된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 조직 생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PPAR의 기증변화가 비만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PARγ는 지방세포에서 발현되어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바꾸는 주요한 전사인자로, 이러한 기전에 의해 비만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현재 영국에서 승인받은 당뇨병치료제 중, 싸이아졸아디네디온(thiazoladinediones) 계열의 트리글리타존(triglitazone) 같은 약물은 PPARγ를 활성화 시키는 기전을 갖는 제2 형 당뇨 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비만과 많은 연관성을 가지는 제2 형 당뇨의 치료제가 PPARγ를 활성화 시켜 환자에게 비만을 일으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항 당뇨 치료제 개발에 사용되는 일부 세포실험에서, 3T3-L1 세포로부터 PPARγ를 유도하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고, 항 비만 치료제 개발에는 3T3-L1 세포로부터 PPARγ를 억제하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만과 당뇨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당뇨에 효능이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항비만 효능을 가진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와송 200 내지 500 중량부, 옻나무 100 내지 500 중량부, 현지초 10 내지 300 중량부 및 로열젤리 0.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레몬즙 및 레몬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송, 상기 옻나무, 상기 현지초 및 상기 로열젤리는 각각 와송 추출물, 옻나무 심재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레몬즙 및 레몬분말은 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혈중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와송 200 내지 500 중량부, 옻나무 100 내지 500 중량부, 현지초 10 내지 300 중량부 및 로열젤리 0.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레몬즙 및 레몬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송, 상기 옻나무, 상기 현지초 및 상기 로열젤리는 각각 와송 추출물, 옻나무 심재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레몬즙 및 레몬분말은 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혈중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또는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은 ATDIET-80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ATDIET-801은 와송, 옻나무, 현지초 및 로열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ATDIET-801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실험에서 측정된 ORO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ORO가 염색된 세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ATDIET-801의 각 성분별 지방세포 분화 실험에서 측정된 ORO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상기 동물 실험의 구체적인 스케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8주간 각 군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 개체별로 체중 증가분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측정된 장기별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의 복부 지방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의 간 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동물 실험의 구체적인 스케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12주간 각 군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12주간 각 군 마우스의 체중 증가분의 평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3의 5주 내지 12주 간의 체중 증가분 및 그 평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측정된 장기별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 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예방"이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병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질병인 당뇨(diabetic mellitus)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이전에 '소아 당뇨병'이라고 불렸었으며, 인슐린을 필요한 만큼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외에 특정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생길 수 있으며, 췌장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ATDIET-80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TDIET-801이란, 현지초, 옻나무, 와송초 및 로열젤리를 포함하여 조제된 약학적 조성물을 의미한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다년생 다육질 초본으로서 기와지붕과 해안가 바위틈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의 낙엽활엽교목이며, 도토리는 참나무속(quercus)에 속하는 나무열매의 총칭으로서, 너도밤나무과의 신갈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에서 생긴 많은 변종의 열매를 모두 포함한다. 현지초(Geraniaceae)는 쥐손이풀과의 초본(草本) 또는 아관목(亞灌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은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를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는 각각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및 현지초 추출물일 수 있다.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및 현지초 추출물은 각각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를 환류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환류 추출한 것을 농축한 농축액일 수도 있다. 옻나무는 특히 옻나무 심재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옻나무 추출물은 옻나무 심재를 환류 추출하거나 이를 농축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의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이나 재료를 통해 얻은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열젤리는 로열젤리 원액 또는 분말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이 레몬을 포함할 경우, 레몬즙 또는 레몬 분말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은 와송을 200 내지 600 중량부로 포함하고, 옻나무를 10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며, 현지초를 10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하고, 로열제리 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TDIET-801이 레몬을 더 포함할 경우, 레몬을 0.1~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와송의 함량이 200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체중감량 효과가 감소하거나 분변중 지질 배설량이 감소할 수 있다.
옻나무의 함량이 10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지 않아 체중이 계속 증가될 수 있고, 300 중량부보다 많을 경우 세포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현지초의 함량이 10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항당뇨 효과가 경미할 수 있다.
레몬의 함량이 0.1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유리지방산 대사율이 감소하여 복부비만 감소를 포함한 체중감량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100 중량부보다 많을 경우 레몬에 대한 기호에 따라 개인별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TDIET-80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및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거나 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첨가제,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주사제, 유제, 흡입제, 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 등의 멸균된 수성 용제,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를 포함할 수 있고, 좌제는 기제로서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국소 적용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연고나 크림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당뇨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들 각각이 갖는 활성보다 향상된 작용효과를 갖기 때문에(실험예 1 및 2 참조), 당뇨병 환자에게 처방할 경우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 농도를 낮추는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뇨병 및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에 대한 개선, 예방, 치료 등에 매우 적합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지며(실험예 3 참조),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 억제, 복부지방 감소, 분변을 통한 지질 배출 증가 및 혈당 감소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뇨병과 동시에 비만의 개선, 예방, 치료 등에 직접적인 효능을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이 아닌 환자에게 처방될 경우, 비만을 억제하고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낮춤으로써, 고지방식이 섭취에 따른 비만과 당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환자에게 처방될 경우, 지질 배출을 촉진하고, 혈중 인슐린 농도를 낮추고 2형 당뇨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리셉터(receptor)의 저항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만 환자의 고도비만을 예방함과 동시에 비만 및 당뇨 치료 및 개선의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은 혈중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기전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인체 내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TDIET-801에 포함된 현지초, 옻나무, 와송 등은 혈중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기전을 갖는 탄닌(tann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TDIET-801은 현지초 옻나무, 와송 등을 상술한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탄닌 등에 의한 혈중 활성산소종의 제거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은 혈중 활성산소종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인슐린 리셉터를 보호함으로써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ATDIET-801은 혈중 글루코스 농도와 인슐린 농도를 낮추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IET-801을 조제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고 항당뇨 및 항비만에 대한 직접적인 효능을 확인한 실험(in vivo)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1: ATDIET-801의 제조
와송 추출물 400 mg, 옻나무 추출물 300 mg, 현지초 추출물 100 mg, 로열젤리 원액 1 mg 및 레몬즙 농축물(extract) 1 mg을 혼합하여 본 제조예의 ATDIET-801을 제조하였다.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은 각각 와송, 옻나무 심재 및 현지초를 환류 추출한 후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ATDIET-801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ATDIET-801의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내 지방함량(Cellular lipid content)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고, 이때 지방세포 안에 축적되는 지방양을 ORO 염색법(Oil red O staining)으로 염색하여 세포 내 지방의 함량 및 분화 정도를 예측하는 실험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비만전구세포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48 웰 플레이트 배지(48 well culture plate)에 6x105 cells/well 농도로 각각의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이때, 사용 배지는 10% NCS(Newborn calf serum, 신생우아혈청)를 포함하는 DMED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양온도는 37℃로, 5%의 이산화탄소(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Day -2). 배지는 세포가 바닥 전체에 완전히 깔릴 때까지(100% confluence) 2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초기 비만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웰 플레이트 바닥 전체에 세포가 깔리고 그 2일 후를 Day 0으로 지정하였으며, Day 0부터는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 분화시약(MDI)을 처리하였다. 분화시약은 0.5 mM의 이소뷰틸메틸산틴(3-isobutyl-methylxanthine, IBMX), 1 uM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5ug/mL의 인슐린을 함유하는 DMEM 배지이고, 이때 배지는 NCS 대신 10% FBS(Fetal bovine serum, 우태혈청)을 함유하였다. Day 0에서 분화 시약을 처리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제조예의 ATDIET-801을 처방하였다. ATDIET-801은 각각 20, 40, 60, 80, 100μg/ml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분화시약(MDI) 처리 48 시간 후(Day 2)와 96 시간 후(Day 4)에 각각 5μg/mL 인슐린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지하였다. 인슐린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인 Day 6에서, 배양 배지를 10% FBS를 함유하는 DMEM 배지로 변경하고 2일간 유지하였다(Day 8).
Day 8에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ORO 염색을 수행하였다. 세포가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10% 포르말린(formalin)을 처리하여 6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고, 포르말린을 PBS로 3회, 6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1회 세척하였다. Oil Red O(0.5% oil red-O dye in isopropanol)와 물을 6:4로 섞은 염색시약을 고정된 세포에 천천히 처리하고, 실온에서 25분간 세포 안에 있는 지방을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물로 수회 세척하고 현미경으로 관찰 및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세포 내 지방양은 염색된 ORO의 양을 통해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100% 이소프로판올을 세포에 넣고 15분간 방치하였다. 이를 통해 세포에 함유된 ORO를 이소프로판올로 다시 녹여내고, ORO를 함유하는 이소프로판올을 각각 150μl씩 취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소프로판올은 흡광도 측정을 위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시료에 맞게 옮겼으며, 520nm 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측정 하였다. 흡광도에서 빛 흡수를 많이 할수록 지방 양이 많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ORO 염색실험의 결과를 [표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시료 평균 ORO 양(%) SD
Control 100.00 4.48
20 μg/ml 96.37 6.10
40 μg/ml 86.99 2.29
60 μg/ml 70.87 2.93
상기 [표 1]은 상기 실험을 통해 측정한 ORO 양을 정리한 표이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ATDIET-801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실험에서 측정된 ORO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ORO가 염색된 세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표 1], 도 1 및 도 2에서, Formulation F2는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을 나타내고, Control은 상기 제조예의 ATDIET-801을 처방하지 않은 대조군을 나타내며, ORO의 양은 상기 대조군의 ORO 양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이다.
상기 표 1,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은 40 μg/ml 이상 처방되었을 때,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의 처방이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에서는, 각각의 개별 생약들이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이 나타내지 않는 매우 낮은 농도이므로, 처방이 지방세포분화 억제 활성에 대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에 포함되는 성분인 현지초, 옻나무, 와송 및 로열젤리 각각이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지방세포분화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1 60 μg/ml에는 현지초 7.481 μg/ml, 옻나부 22.44 μg/ml, 와송 29.93 μg/ml 및 로열젤리 0.074 μg/ml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의 함량으로 처리하여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였다. 이에 따른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시료 함량 평균 ORO 양(%) SD
현지초 7.481 μg/ml 94.59 6.59
옻나무 22.44 μg/ml 85.99 2.36
와송 29.93 μg/ml 107.57 5.96
로열젤리 0.074 μg/ml 104.27 4.58
제조예 1
(ATDIET-801)
60 μg/ml 73.69 4.7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ATDIET-801의 각 성분별 지방세포 분화 실험에서 측정된 ORO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조예 1의 ATDIET-801을 60 μg/ml 처방한 경우, 약 28 %의 지방축적을 억제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현지초, 와송 및 로얄젤리의 경우, 유의적인 억제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옻나무의 경우, 약 15%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고, ATDIET-801의 처방에 의하여 그 작용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ATDIET-801의 동물에 대한 항당뇨 및 항비만 효능 실험(1)
본 발명의 조성물인 ATDIET-801의 항당뇨 및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확인한 지방세포분화 억제 활성을 동물실험 모델(마우스 C57BL/6)에서 확인하기 위해, 상기 모델을 고지방식이로 유도하고, 제조예 1의 ATDIET-801 조성물을 복용시켜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간 1개 군의 마우스는 정상식을 먹이는 정상군(normal group, 이하 '정상군(normal)')으로 설정하고, 4개 군의 마우스는 8주간 고지방식이를 먹이며 비만을 유도하는 동시에, 그 중 2개 군은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을 각각 23 mg/kg(이하, 'F2-23')과 46 mg/kg(이하, 'F2-46')으로 하루 2회 경구 투여하고, 1개 군은 가르시니아(Garcinia combogia)를 200 mg/kg으로 하루 2회 경구 투여(이하, 'GC')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1개의 군은 아무 처방을 하지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이하, '비만군(HFD)')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표 3]은 본 실험예의 Normal군의 정상식과 고지방식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식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지방식은 지방의 조성이 정상식에 비해 약 60 % 높았다.
Figure 112018117270618-pat00001
Figure 112018117270618-pat0000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상기 동물 실험의 구체적인 스케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8주 동안 마우스의 혈당 측정은 총 3회로, 0주차, 4주차 및 8주차에 측정하였고, 마우스의 체중은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8주 마지막 날에는 분변을 모아 지방양 배설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같은 날 동물을 희생시키고 장기무게 및 복부지방양을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지질양을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8주간 각 군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 개체별로 체중 증가분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4]는 각 군 마우스의 최종적인 체중 변화, 먹이 섭취량 및 이에 따른 FER(Food efficiency ratio)을 정리한 것이다. FER은 증가한 체중을 먹이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써, 먹이가 체중 증량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군(Groups) 혈중 글루코스 농도
(Blood glucose level, mg/dL)
Weight gain
(g)
Weight gain
(%
Food
Intake
(g/Day)
FER
Week 0 Week 4
정상군(Normal) 20.32±1.10 24.26±1.06 3.94±0.71 0.00 19.65 0.201
비만군(HFC) 18.96±0.94 28.35±0.82 9.39±0.76 100.00 14.42 0.651
F2-46 19.31±0.88 28.99±2.65 9.68±2.00 105.30 12.86 0.753
F2-92 19.17±0.86 27.63±1.46 8.46±1.09 82.77 13.12 0.645
GC 18.42±0.84 26.62±1.70 8.20±1.66 78.06 12.02 0.682
상기 표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8주간의 각 군 마우스의 평균 체중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 마우스는 최대 4g 정도의 비만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FER 수치를 참고하면, 정상군 마우스에 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 마우스는 음식 섭취가 체중 증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군 마우스의 체중 증가분만을 나타내면, F2-23군과 F2-46군의 경우, 평균적으로 체중 증가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예 1의 ATDIET-801을 고농도로 처방한 F2-46군의 경우, 체중 증가분이 평균적으로 약 18%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5]는 각 군 마우스의 3회 혈당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군(Groups) 혈중 글루코스 농도
(Blood glucose level, mg/dL)
Week 0 Week 4 Week 8
정상군(Normal) 208.83±18.14 216.33±13.13 164.00±17.44
비만군(HFC) 209.43±16.58 218.14±28.81 171.71±9.50
F2-46 203.33±14.65 182.83±28.74 141.67±13.11
F2-92 207.83±6.01 204.00±16.27 152.17±19.04
GC 195.50±17.91 215.50±45.96 156.83±17.29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각 군마다 개별차가 존재하나, 최초 0주차에 측정된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4주차 및 8주차 마지막날에 측정된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F2-23군과 F2-46군에서 혈중 글루코스 농도의 감소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정상군(normal)의 8주차 혈중 글루코스 수치는 약 164 mg/dl이고, 비만군(HFC)의 8주차 혈중 글루코스 수치는 약 171 mg/dl인 반면,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과 F2-46군의 경우, 8주차에 혈당 수치가 141 내지 152 mg/dl로 매우 낮은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측정된 장기별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희생시킨 각 군 마우스의 장기별 무게를 측정하고, 장기별 무게가 개별차가 존재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도 7에서는 체중에 대한 장기 무게를 비율(%)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장기별 무게 측정과 동시에 활성 및 독성 여부도 측정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간(도 7의 (b)), 신장(도 7의 (c)) 및 비장(도 7의 (d))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각 군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본 실험에 있어서 상기 제조예 1에 의한 장기 독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과 F2-46군의 경우, 비만군(HFC)에 비해 복부 지방양(WAT)의 비율(%)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과 F2-46군의 복부 지방무게가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복부 지방을 염색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고, 간조직을 염색한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의 복부 지방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의 간 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비만 환자의 경우, 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됨에 따라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비만군(HFC, 도 8의 (b))의 경우, 세포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도 8의 (c))과 F2-46군(도 8의 (d))의 경우, 복부 지방세포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고, 세포 내의 지방양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군의 간 조직을 염색한 결과, 비만군(HFC, 도 9의 (b))에서 간 조직 내에 지방에 의한 흰색 점(drop)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도 9의 (c))과 F2-46군(도 9의 (d))의 경우, 비만군(HFC)과 달리 흰색 점(drop)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상기 제조예 1이 간 조직 내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6]은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것이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은 8주차 마지막 1회만 측정하였다.
군(Groups) Fecal fat content (㎎/g)
정상군(Normal) 21.588
비만군(HFC) 29.785
F2-23 33.048
F2-46 39.056
GC 38.652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23군과 F2-46군의 경우, 마우스의 분변에서 지질 함량이 농도에 의존하여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을 통해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이 지질 배설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예를 참조하면, 고지방식이를 유도함과 동시에 ATDIET-801을 처방하는 경우, 각 군 마우스의 지방 및 혈당 감소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뇨병은 비교적 발병확률이 높은 성인병으로 당뇨를 함께 수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인 ATDIET-801은 당뇨병과 비만의 예방에 효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ATDIET-801의 동물에 대한 항당뇨 및 항비만 효능 실험(2)
상기 실험예 2와 ATDIET-801의 처방시기를 달리하여 유사한 실험을 통해 ATDIET-801의 동물에 대한 항당뇨 및 항비만 효능을 확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동물 실험의 구체적인 스케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물실험 모델(마우스 C57BL/6)을 5주간 고지방식이로 유도하고(0주차 내지 5주차), 그 이후 7주간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 조성물을 복용시켜 활성을 측정하였다(5주차 내지 12주차).
구체적으로, 12주간 1개 군의 마우스는 정상식을 먹이는 정상군(normal group, 이하, '정상군(normal)')으로 설정하고, 4개 군의 마우스는 12주간 고지방식이를 먹이며 비만을 유도하였다. 그 중에 2개 군은 5주차 이후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을 각각 46 mg/kg(이하, 'F2-46')과 92 mg/kg(이하, 'F2-92')으로 하루 2회 경구투여하고, 1개 군은 가르시니아(Garcinia combogia)를 200 mg/kg으로 하루 2회 경구 투여(이하, 'GC')하였고, 나머지 1개 군은 아무 처방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이하, '비만군(HFD)')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12주 동안 마우스의 혈당 측정은 총 3회 측정하였고, 마우스의 체중은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12주 마지막 날에는 분면을 모아 지방양 배설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같은 날 동물을 희생시키고 장기무게 및 복부 지방양을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지질양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정상군의 정상식과 비만군의 고지방식의 조성은 상기 실험예 2의 상기 [표 3]과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12주간 각 군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하기 [표 7]은 각 군 마우스의 초기 체중, 5주간의 비만 유도 후 체중, 최종적인 체중, 처방 이후의 체중 변화량, 먹이 섭취량 및 이에 따른 FER 을 정리한 표이다.
Figure 112018117270618-pat00003
상기 [표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46군과 F2-92군 및 GC 군에서 음식 섭취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ER은 정상군(normal)에 비하여 비만군(HFD)은 음식 섭취가 체중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12주간 각 군 마우스의 체중 증가분의 평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에서, 각 군별로 비만을 유도한 5주(week 5)간의 평균 체중 증가분과, 처방을 시작한 5주 내지 12주(week5 ~ week 12)간의 평균 체중 증가분을 측정하여 도 13에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만을 유도한 군에서 상기 제조예 1 또는 가르시니아를 처방한 F2-46군, F2-92군 및 GC군에서 처방 이후의 체중 증가분에서 큰 감소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5주 내지 12주 간의 체중 증가분에서, F2-92군과 GC군은 유사한 정도의 체중 증가분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4는 도 13의 5주 내지 12주 간의 체중 증가분 및 그 평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의 (a)는 각 군 마우스의 5주 내지 12주 간의 평균 체중 증가분을, 도 14의 (b)는 각 군 마우스의 개별적인 체중 증가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만을 유도한 군 중에서, F2-46, F2-92 및 GC 군이 큰 폭의 체중 증가분 감소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측정된 장기별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 장기, 예컨대 간(도 15의 (b)), 신장(도 15의 (c)) 및 비장(도 15의 (d))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각 군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상기 제조예 1에 의한 장기 독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복부 지방양(WAT)의 비율(%)도 상기 실험예 2와 유사한 수준의 감소폭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하기 [표 8] 및 [표 9]에 정리하였다. 분변 중 지질 함량은 상기 제조예 1의 처방을 투여한지 각각 2주차(Week 2)와 6주차(Week 6)에 측정되었다. 즉, 분변 중 지질 함량은 전체 실험 기간을 기준으로 7주차와 11주차에 측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였다.
군(Groups) - Week 2 Lipid content (㎎/g)
정상군(Normal) 23.92
비만군(HFC) 30.72
F2-46 33.90
F2-92 36.90
GC 28.30
군(Groups) - Week 6 Lipid content (㎎/g)
정상군(Normal) 20.81301
비만군(HFC) 41.47686
F2-46 39.83975
F2-92 47.82034
GC 48.03625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분변 중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8], [표 9],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을 고농도로 처방한 F2-92군이 2주(Week 2) 및 6주차(Week 6)에서 큰 분변 중 지질 배선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변에서 지질 배설량은 처방된 제조예 1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각 군 마우스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 중 혈당 측정은 총 3회 수행되었고, 이는 각각 0주차(Week 0), 5주차(Week 5) 및 실험 종료 후인 13주차(Week 13)에서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과 도 18에 도시하였다.
군(Groups) 혈중 글루코스 농도
(Blood glucose level, mg/dL)
Week 0 Week 5 Week 13
정상군(Normal) 213.50±11.623 184.5±10.11 140±15.56
비만군(HFC) 184.83±27.96 159.33±21.76 142.83±29.24
F2-46 166.5±22.49 142.66±20.62 171.5±34.46
F2-92 182.666±18.64 133±16.94 164.66±37.98
GC 197±26.70 143±11.15 154.16±23.23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10]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2와 달리, 본 실험의 경우 비만을 유도한 후 상기 제조예 1을 투여하였을 때,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각 군 마우스마다 수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각 군 마우스의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19에 도시하였다.
군(Groups) 혈중 인슐린 농도
(Serum Insulin, ng/mL)
인슐린 저항성
(Resistance insulin, %)
정상군(Normal) 0.143 0.00
비만군(HFC) 0.6918 100.00
F2-46 0.387 44.40
F2-92 0.2616 21.61
GC 0.1628 3.61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군 마우스의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당뇨병 중에서 2형 당뇨의 경우,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며 혈중 인슐린 농도가 증가하고, 고농도로 증가한 인슐린에 대하여 인슐린 리셉터(receptor)가 저항성을 나타내어 인슐린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낮추는 작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표 11] 및 도 19를 참조하면, 비만군(HFD)의 경우, 혈중 인슐린의 농도가 0.6918 ng/ml로, 정상군(normal)의 0.143 ng/ml에 비해 약 4배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지방식이 섭취에 따라 비만과 동시에 비만으로 인한 당뇨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조예 1을 처방한 F2-46군과 F2-92군의 경우, 혈중 인슐린 농도가 각각 0.387 ng/ml 과 0.2616 ng/ml으로, 비만군(HFD)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조예 1은 비만과 비만으로 인한 당뇨를 치료 및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ATDIET-801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실험
상기 제조예 1의 ATDIET-801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DPPH(2,2-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DPPH법) 및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ABTS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메탄올 용매로 표 12의 시료들을 여러 농도로 용해시킨 후 900㎕의 DPPH 용액(150μM)과 각 시료 용액 100㎕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0은 측정한 흡광도를 바탕으로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표 13은 측정한 흡광도를 바탕으로 각 시료가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데 필요한 농도(I50)를 측정한 결과이다.
시료 No. 시료의 성분
1 제조예 1(ATDIET-801)
2 와송
3 현지초
4 로열젤리
5 옻나무 추출물
시료 No. 시료의 성분 I 50 (㎍/㎖)
1 제조예 1(ATDIET-801) 23.97
2 와송 45.47
3 현지초 38.28
4 로열젤리 2.15 x 1026
5 옻나무 추출물 7.38
다음으로 ABTS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증류수에 7mM ABTS와 2.45mM 황산칼륨(potassium persulphate)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6시간 반응시켜 ABTS 양이온을 생성한 후 734nm에서 흡광도의 값이 0.7 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표 12의 시료들을 여러 농도로 제조한 후 900㎕의 ABTS 라디칼 용액과 각 시료 100㎕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30℃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도 21은 측정한 흡광도를 바탕으로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표 14는 측정한 흡광도를 바탕으로 각 시료가 ABTS 라디칼을 50% 소거하는데 필요한 농도(I50)를 측정한 결과이다.
시료 No. 시료의 성분 I 50 (㎍/㎖)
1 제조예 1(ATDIET-801) 38.06
2 와송 72.4
3 현지초 97.39
4 로열젤리 1.01 x 1014
5 옻나무 추출물 31.94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시료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표 12, 표 13,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ATDIET-801은 저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고농도의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고농도의 활성산소종을 제거함에 따라 인슐린 리셉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낮춤으로써, 당뇨 및 이에 따른 각종 합병증에 대한 개선, 예방, 치료 등에 적합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예 1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에서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매우 낮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 향상이라는 상승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및
    로열젤리 원액을 포함하되,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그리고 현지초 추출물은 각각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를 환류 추출한 것이고,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그리고 로열젤리 원액의 중량 혼합비율은 49.88:37.4:12.47:0.12이고,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그리고 로열젤리 원액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농도 60㎍/㎖로 함유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레몬즙 및 레몬 분말을 더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즙 및 레몬분말은 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삭제
  6.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및
    로열젤리 원액을 포함하되,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그리고 현지초 추출물은 각각 와송, 옻나무 및 현지초를 환류 추출한 것이고,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그리고 로열젤리 원액의 중량 혼합비율은 49.88:37.4:12.47:0.12이고,
    와송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현지초 추출물 그리고 로열젤리 원액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농도 60㎍/㎖로 함유되는,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 항에 있어서,
    레몬즙 및 레몬 분말을 더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즙 및 레몬분말은 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KR1020180146508A 2018-11-23 2018-11-23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08A KR102203550B1 (ko) 2018-11-23 2018-11-23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08A KR102203550B1 (ko) 2018-11-23 2018-11-23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65A KR20200061465A (ko) 2020-06-03
KR102203550B1 true KR102203550B1 (ko) 2021-01-18

Family

ID=7108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508A KR102203550B1 (ko) 2018-11-23 2018-11-23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612A (ko) * 2020-10-28 2022-05-0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8553A (ja) * 2012-09-27 2014-04-21 Morikawa Kenkodo Kk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KR101859899B1 (ko) * 2018-02-05 2018-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59B1 (ko) * 2004-05-28 2006-07-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060009975A (ko) * 2004-07-27 2006-02-02 김성주 식욕억제을 이용한 비만증 조절
KR100966719B1 (ko) * 2008-01-11 2010-06-2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및 고지혈증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094320B1 (ko) * 2009-04-20 2011-12-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추출수율이 증대된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복합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8553A (ja) * 2012-09-27 2014-04-21 Morikawa Kenkodo Kk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KR101859899B1 (ko) * 2018-02-05 2018-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65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954B2 (ja) マルチプル・リスク・ファクター症候群を予防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Xue et al. Effect of Trigonella foenum-graecum (fenugreek) extract on blood glucose, blood lipid and hemorheological proper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Yagi et al. Possible hypoglycemic effect of Aloe vera L.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on type 2 diabetic patients
Luo et al.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eaf polyphenols ameliorate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mellitus mice
US9011936B2 (en) Extra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leaves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Rezaeiamiri et al. Plant-derived natural agents as dietary supplements for the regulation of glycosylated hemoglobin: A review of clinical trials
JP2007106718A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並びに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を含有する経口組成物。
Takács et al. Wild strawberry, blackberry, and blueberry leaf extracts alleviate starch-induced hyperglycemia in prediabetic and diabetic mice
US8337911B2 (en) Herbal formula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ype-2 diabetes mellitus and vascula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US2014014839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obesity or for reducing diabetic hypercholesterolemia
KR102203550B1 (ko)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en et al. Beneficial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honey paste on obesity via counteract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n exploration of functional food developed from two independent foods rich in saponins and phenolics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Emiru et al. Evaluation of in vitro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diabetic effect of Myrica salicifol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R102173259B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형성 억제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2143084B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059113A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剤および組成物
KR20150012926A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61786A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61787A (ko)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Ullah et al. Anti-diabetes and anti-obesity: A meta-analysis of different compounds
RU2548731C2 (ru)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терапии больных сахарным диабетом
KR101305553B1 (ko)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2371B1 (ko) 노회, 모과 및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18771B1 (ko)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