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301A -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301A
KR20040088301A KR1020030022439A KR20030022439A KR20040088301A KR 20040088301 A KR20040088301 A KR 20040088301A KR 1020030022439 A KR1020030022439 A KR 1020030022439A KR 20030022439 A KR20030022439 A KR 20030022439A KR 20040088301 A KR20040088301 A KR 2004008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forming
line contact
region
cel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철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2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301A/ko
Publication of KR2004008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5Bit lin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비트라인 컨택플러그(bit line contact plug)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시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대해 종래 2단계에 걸쳐 진행해 오던 것을 랜딩플러그 콘택 형성 시의 마스크 배열을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을 동시에 오픈할 수 있도록 변경함으로써 단 한번의 공정만으로도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동시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Bit Line Contact Plug}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 비트라인 콘택플러그(bit line contact plug) 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예컨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는 다수의 콘택플러그들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콘택플러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수행한다. 즉, 통상적인 리소그래피법에 의한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여 마스크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마스크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면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콘택홀이 형성되면 하부막표면이 노출되며, 이 후 상기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도전체를 증착함으로써 콘택플러그가 형성된다.
그런데, 반도체 장치에서 종래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은 셀영역과 페리/코어 영역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시 디바이스 구조의 단차를 해소하지 못하여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을 두 번에 나누어 실시하게 되므로 공정의 복잡화와 공정 마진의 감소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의 문제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의 구조 및 용도적 특성에 따라 형성된 하부 적층구조 위에 게이트(1)를 형성하고, 셀과 페리/코어 영역 전체에 대해 게이트(1)를 실링하기 위해 제 1 나이트라이드(2)를 적층한 후,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 전면에 LDD층(3)을 적층한다.
이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영역에 대하여 셀 클로즈마스크(cell close mask, 4)를 통해 상기 셀영역 이외의 부분만 노출시킨 후 LDD층(3)을 식각하여 상기 페리/코어 영역의 게이트(1) 부분에 LDD 식각에 의한 사이드월(5)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셀영역의 LDD층(3)을 제거한 후 상기 셀과 상기 페리/코어영역 전체에 대해 제 2 나이트라이드(6)를 증착한다.
그리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 7)를 증착하고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킹을 하여 상기 셀영역을 식각한 후 화학기계적 평탄화(CMP, chemical mechenical polishing)에 의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 후, 상기 셀영역에 랜딩플러그 콘택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BPSG를 식각함으로써 상기 셀영역 내 플러그 영역을 오픈한 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게이트(1)를 둘러 싸고 있던 상기 제 2 나이트라이드(6)를 식각하여 상기 셀영역에 게이트스페이서(8)를 형성하고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한다.
또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의 상기 랜딩플러그 콘택홀이 형성된 부위 내에 폴리실리콘(9)을 증착하고, 상기 셀영역의 고밀도성에 따른 단차극복 및 효과적인 평탄화를 위해 상기 폴리실리콘 영역을 에치백 및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해 평탄화하며, 층간절연막(10)을 HDP(high density plasma)에 의해 증착한 후 상기 형성된 상기 층간절연막(10)에 대해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한 평탄화작업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의 비트라인 콘택이 형성되어야 될 부위에 대해 마스킹 및 식각을 한 후, 폴리실리콘 등으로 비트라인 콘택플러그(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페리/코어영역의 비트라인 콘택이 형성되어야 될 부위에 대한 마스킹 및 식각작업을 실시한 후, 폴리실리콘 등으로 비트라인 콘택플러그(12)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bit line contact plug) 형성방법은, 셀영역과 페리/코어 영역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시 디바이스 구조의 단차를 해소하지 못하여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대해 각각 별개의 공정을 통해 콘택플러그를 형성함으로써 콘택플러그 형성공정을 두 번에 나누어 실시하여 공정의 복잡화와 공정 마진의 감소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시 종래의 2단계에 걸쳐 진행해 오던 것을 랜딩플러그 콘택 형성 시의 마스크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단 한번의 공정만으로도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동시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도록 하여 공정단순화와 공정마진 증대 및 공정안정화를 이루려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종래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게이트 2, 102 : 제 1 나이트라이드
3, 103 : LDD
4, 104 : 셀클로스 마스크(cell close mask)
5, 105 : 사이드월(side wall) 6, 106 : 제 2 나이트라이드
7, 107 :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
8, 108 : 게이트스페이서 9, 109 : 폴리실리콘
10, 110 : 층간절연막 11, 12, 111 :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셀영역 및 페리/코어영역의 게이트 위에 제 1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나) 상기 평탄화 작업의 결과물에 대하여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 영역의 랜딩플러그 콘택영역에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다)상기 랜딩플러그 콘택홀에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평탄화하는 단계와, (라) 상기 단계 (다)의 결과물 상에 제 2 층간절연막을 증착 및 평탄화하고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가)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으로 BPSG층을 증착하고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킹 및 식각을 한 후, 화학기계적 평탄화작업에 의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나)에 있어서, 상기 셀영역의 게이트부위에는 나이트라이드 식각에 의한 게이트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랜딩플러그 콘택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라)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간절연막으로는 HDP(high density plasma)를 적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동시에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하고,이에 따라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서, 공정 마진을 증대시키고 공정안정화와 원가절감 및 공정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비트라인 콘택플러그가 한 번에 형성됨으로써 비트라인 배열시 하나의 하부층에 대해서 고려하여 공정마진을 증가시키고 콘택사이즈의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트라인 콘택콘택그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의 구조 및 용도적 특성에 따라 형성된 하부 적층구조 위에 게이트(101)를 형성하고, 셀과 페리/코어 영역 전체에 대해 게이트(101)를 실링하기 위해 제 1 나이트라이드(102)를 적층한 후,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 전면에 LDD층(103)을 적층한다.
이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에 대하여 셀 클로즈 마스크(104)를 하여 상기 셀영역 이외의 부분만 노출시킨 후 LDD층(103)을 식각하여 상기 페리/코어 영역의 상기 게이트(101) 부분에 LDD층(103) 식각에 의한 사이드월(105)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고 식각에 의해 상기 셀영역의 LDD층(103)을 제거한 후, 상기 셀과 상기 페리/코어영역 전체에 대해 제 2 나이트라이드(106)를 증착한다
그리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SG(107)를 증착하고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킹 및 식각을 하고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 후,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에 랜딩플러그 콘택형성을 위한 마스킹 및 식각을 하여 랜딩플러그 콘택형성 영역을 오픈한 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킹 및 식각에 의해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에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셀영역의 게이트(101)부위에 있는 상기 랜딩플러그 콘택홀은, 층간 절연막으로 증착되어 있던 상기 제 2 나이트라이드(106)를 식각하여 게이트스페이서(108)를 형성하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 후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 공정을 동시에 한번의 공정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랜딩플러그 콘택홀이 형성된 부위에 폴리실리콘(109)을 증착한 후, 상기 셀영역의 고밀도성에 따른 단차극복 및 효과적인 평탄화를 위해 상기 폴리실리콘 영역을 에치백 및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해 평탄화하며, 층간절연막(110)을 HDP에 의해 증착한 후 상기 형성된 층간절연막(110)에 대해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내의 비트라인 콘택이 형성되어야 될 부위에 대해 동시에 마스킹 및 식각을 한 후,폴리실리콘 등으로 비트라인 콘택플러그(111)를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레이아웃(layout) 변경으로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공정마진의 증대와 공정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비트라인 콘택형성공정을 한 공정으로 줄임으로써 공정단순화 및 비트라인 콘택 마스크의 셀영역과 페리/코어영역에의 동시 사용에 의한 비트라인 콘택 마스크 사용을 줄임에 따른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비트라인 콘택이 한 번에 진행됨으로써 비트라인 배열시 하나의 하부층에 대해 고려하여 공정 마진을 증가시키고 콘택사이즈의 조절도 용이하다.

Claims (4)

  1. (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셀영역 및 페리/코어영역의 게이트 위에 제 1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와,
    (나) 상기 평탄화 작업의 결과물에 대하여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 영역의 랜딩플러그 콘택영역에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다) 상기 랜딩플러그 콘택홀에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평탄화하는 단계와,
    (라) 상기 단계 (다)의 결과물 상에 제 2 층간절연막을 증착 및 평탄화하고 상기 셀영역과 상기 페리/코어영역에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가)는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으로 BPSG층을 증착하고 상기 셀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킹 및 식각을 한 후, 화학기계적 평탄화에 의한 평탄화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나)는 상기 셀영역의 게이트부위에 나이트라이드 식각에 의한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랜딩플러그 콘택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라)는 상기 제 2 층간절연막을 HDP를 적용하여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1020030022439A 2003-04-09 2003-04-09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20040088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39A KR20040088301A (ko) 2003-04-09 2003-04-09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39A KR20040088301A (ko) 2003-04-09 2003-04-09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301A true KR20040088301A (ko) 2004-10-16

Family

ID=3737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39A KR20040088301A (ko) 2003-04-09 2003-04-09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30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56A (ko) * 1996-08-30 1998-06-05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0059546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KR20020060837A (ko) * 2001-01-12 200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변회로부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컨택패드를 갖는반도체 장치의 형성방법
JP2003007817A (ja) * 2001-06-18 2003-01-10 Promos Technologies Inc 記憶装置コンタクトホールの形成方法
KR100461335B1 (ko) * 1997-12-31 2005-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56A (ko) * 1996-08-30 1998-06-05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1335B1 (ko) * 1997-12-31 2005-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20010059546A (ko)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KR20020060837A (ko) * 2001-01-12 200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변회로부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컨택패드를 갖는반도체 장치의 형성방법
JP2003007817A (ja) * 2001-06-18 2003-01-10 Promos Technologies Inc 記憶装置コンタクトホールの形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4840A (ko) 다마신 배선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48719B1 (ko) 다마신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EP1415338B1 (en) Dual layer hard mask for edram gate etch process
KR20020066586A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20040088301A (ko) 비트라인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100859831B1 (ko) 매립형 비트라인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31708B1 (ko) 반도체장치제조방법
KR100537187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405936B1 (ko)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랜딩플러그 제조방법
KR100780659B1 (ko) 스토리지노드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20040059484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전극 형성 방법
KR10072118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31856B1 (ko)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형성방법
KR10030181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59718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80060364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30003425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20070098341A (ko) 반도체 소자의 고종횡비 콘택홀 제조방법
KR20030003306A (ko) 반도체 장치의 랜딩 플러그 제조 방법
KR20010064969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40102397A (ko) 반도체 소자의 랜딩 플러그 콘택 제조 방법
KR20030077366A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 라인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0001866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38242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40058762A (ko) 랜딩플러그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