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206A -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206A
KR20040085206A KR10-2004-7012924A KR20047012924A KR20040085206A KR 20040085206 A KR20040085206 A KR 20040085206A KR 20047012924 A KR20047012924 A KR 20047012924A KR 20040085206 A KR20040085206 A KR 2004008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de
subroutine
information terminal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241B1 (ko
Inventor
미야타카즈히코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4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patterns using a display memory without fixed position correspondence between the display memory contents and the display position on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6Software interface details, e.g. interaction of oper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표시부와, 외부로부터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는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와,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격납한 패턴 격납부와,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 화상을 패턴 격납부로부터 취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턴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화상을 표시시키는데 맞추어 호스트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 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 프로그램, 기록 매체{DISPLAY, ELECTRONIC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TERMINAL, HOST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호스트로 될 수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 화면이 터치 패널로 되어 있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원"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접촉함으로써 호스트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의 "전원" 등의 원격 조작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걸쳐 필요 불가결로 되는 패턴에서도, 그 화상 데이터 자체를 전체의 경우에서 호스트로부터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호스트에 큰 부담이 부과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자체를 받아 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의 복수 기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전원" 등의 표시 위치가 호스트에 따라 달라지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4는, 자동 배치 조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배치 조정의 일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전원 버튼을 표시하는 목표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6은, 자동 배치 조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배치 조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7은, 패턴 지시 코드에 따라 표시해야 하는 패턴에 더하여, 표시해야 하는 패턴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의 자동 배치 조정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8a ~ 도8f는, 자동 배치 조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배치 조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9a ~ 도9c는, 자동 배치 조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배치 조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윈도우를 표시하는 목표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1a ~ 도11f는, 자동 배치 조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배치 조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2는,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을 패턴 지시 코드가 상정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게 하여둠과 동시에,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의 전체를 사용하여 배치 조정을 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3a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패턴 화상을 중첩하는 첫번째 수법에 사용하는 표시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3b는, 도13a에 도시한 표시부에서의 신호선의 구동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4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패턴 화상을 중첩하는 두번째 수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5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패턴 화상을 중첩하는 세번째 수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6은, 액정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의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17은, 영상 신호 입력부, 제1 신호선 구동부, 주사선 구동부,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 자동 배치 보정부, 패턴 표시 처리부, 패턴 격납부, 제2 신호선 구동부의 전부를 표시부의 회로와 함께 박막 기판에 형성하는 경우의 각 부의 배치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보 단말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파일 얼로케이터(file allocator) 기동 신호 변환기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0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1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전송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호스트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3은,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의 프로그램의 처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24는,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의 서브 루틴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25는,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의 서브 루틴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26은,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에서의 서브 루틴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27은,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를 텔레비전에,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를 리모콘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8은, 도22에 도시한 호스트 장치를 팩시밀리에,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를 리모콘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9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의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0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의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1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의 흐름도의 전반부분이다.
도32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의 흐름도의 후반부분이다.
도33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4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5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6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의 GUI 패턴의 자동 배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7은, CG 실리콘을 사용한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38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회로의 실장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9는,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40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41은, 도18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의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를 도시하는서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상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호스트에 부과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와,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격납한 패턴 격납부와, 외부로부터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는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와, 패턴 지시 코드에 따라 지시되는 패턴의 화상을 패턴 격납부로부터 취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턴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면 좋고, 화상 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필요는 없게 되기 때문에, 외부의 호스트의 부담이 대폭으로 경감된다. 또한, 호스트로부터 보면, 패턴이 표시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억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행 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정상 종료 상태로의 복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substitution code)를 격납하는 상기 기억 장치를, 호스트에 외부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키는 에뮬레이션(emulation) 처리와, 상기 호스트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중, 서브 루틴의 코드의 판독 리퀘스트(readrequest)의 처리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하는 치환 코드 취득 처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의 프로그램이 호출한 서브 루틴을 동정(同定)하는 서브 루틴 동정 처리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①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장치(自裝置)의 기억 장치를 호스트에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킨다. ② 호스트는, 서브 루틴의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하도록, 판독 리퀘스트한다. ③ 디스플레이 장치는, 호스트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판독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패턴 지시를 동정한다.
이와 같이, 호스트는, 서브 루틴의 코드를 판독한 것만으로, 자장치에서 호출한 서브 루틴을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을 별도로 행하는 일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는, 종래의 시스템이 구비하는 파일 시스템내로부터 서브 루틴의 코드를 판독하는 동작과 완전히 동일한 판독 동작을 행하는 만큼으로, 자장치에서 호출한 서브 루틴을 특정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억 장치를 호스트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에뮬레이트하기 때문에, 호스트는 파일 시스템와의 통신이 가능하면 좋다. 즉,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저기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저기능 기기에있어서도, 프로그램 정보 등을 격납하기 위한 어떤 파일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기능은 통상 구비하고 있다. 물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고기능의 기기와 저기능의 기기 사이, 또는 고기능의 기기 끼리의 데이터 전송에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기기마다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호스트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소프트웨어에는,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 개발 툴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의 데이터 전송을 중간에서 사용함으로써, 처리를 기기간에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기능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그대로, 더욱 고기능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호스트에 있어서, 치환 코드는, 예를 들어 묘화(描畵)에 필요한 좌표 데이터만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해버리는 만큼의 동작을 행한다. 이에 대해, 서브 루틴의 본래 예정한 동작은, 상기 서브 루틴의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GUI의 버튼 묘화 패턴을 1 도트씩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표시 디바이스에 직접 1 도트씩 전송하고, 그에 상당하는 패턴의 표시를 행하여, 호출된 묘화 처리를 전부 완료시키는 버튼 묘화 처리 그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도시하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1로부터 도17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1 및 도2의 개념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호스트로 되는 텔레비전 수신기(1020)나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팩시밀리 송수신기(1030) 등의 여러 전자 기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에 따라 전원 버튼(1100), 윈도우(1200), 스크롤 버튼(1300-1, 1300-2) 등을 표시부(1003)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03)의 화면은 터치 패널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전원 버튼(1100)이 표시된 부분을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써, 표시부(1003)로부터 호스트에 대해 전원의 ON/OFF를 지시하는 신호가 송신되고, 이 신호를 수신한 호스트가 전원을 ON/OFF하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영상 신호 입력부(1001)는, 호스트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한다. 제1 신호선 구동부 (1002)는, 영상 신호 입력부(1001)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003)의 신호선을 구동한다. 주사선 구동부(1004)는, 표시부(1003)의 주사선을 구동한다.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1005)는, 호스트로부터 출력되는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한다. 여기서,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1005)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 지시 코드는, 적어도 표시해야 하는 패턴을 지정한다. 자동 배치 조정부(1006)는, 패턴 지시 코드가 표시해야 하는 패턴밖에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표시해야 하는 패턴의 표시 사이즈나 표시 위치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표시 사이즈나 표시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자동 배치 조정부(1006)는, 표시해야 하는 패턴, 및 그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패턴 표시 처리부(1008)에 지정한다.
패턴 격납부(1007)는, 호스트로 되는 기기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패턴이나, 전원 버튼, 스크롤 버튼, 윈도우, 아이콘 등의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패턴 등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패턴 격납부(1007)에 격납되어 있는 패턴에는 캐릭터 폰트(character font)가 포함되어도 좋다.
패턴 표시 처리부(1008)는, 자동 배치 조정부(1006)로부터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이, 지정되는 사이즈로, 또한 지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패턴 격납부(1007)에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신호선 구동부(1009)는, 패턴 표시 처리부(1008)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003)의 신호선을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10)에서는,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패턴 지시 코드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좋고, 화상 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필요는 없게 되기 때문에, 호스트의 부담이 대폭으로 경감된다.
자동 배치 조정부(1006)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전원 버튼(1100), 및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1200)를 표시하도록 지정되어 있고, 이 중의 전원 버튼(1100)이 도5에 도시하는 목표 위치(1500)에 배치해야 하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경우에는, 전원 버튼(1100)을 목표 위치(1500)에 소정의 사이즈로 배치하고, 나머지 공간에 배치가능한 사이즈로 윈도우(1200)를 배치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1200)에 표시되는 프로그램표가 윈도우 (1200)의 상하 방향에 관련하여 윈도우(1200)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자동 배치 조정부 (1006)가 윈도우(1200)에 표시되는 프로그램표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을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사이즈로 자동적으로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전원 버튼(1100),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1200), 및 윈도우(1200)에 표시되는 프로그램표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을 표시하도록 지정됨과 동시에, 윈도우(1200) 및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의 배치 관계가 지정되어 있고, 이 중의 전원 버튼(1100)이 도5에 도시하는 목표 위치(1500)에 배치해야 하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경우에는, 전원 버튼(1100)을 목표 위치(1500)에 소정의 사이즈로 배치하고, 나머지의 공간에 배치가능한 사이즈 및 지정된 배치 관계로 윈도우 (1200), 및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을 배치한다.
여기서, 도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표시해야 하는 패턴에 더하여, 표시해야 하는 패턴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 배치 조정부(1006)가 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패턴 지시 코드가 입력된다(S101). 입력된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이 표시 영역을 점유하는 폭을 현단계에서의 무묘화폭(무묘화부위의 합계)으로부터 감산한다(S102). 스텝(S102)에서의 감산 결과로 무묘화폭으로서의 기억을 갱신한다(S103). 또한, 무묘화폭의 초기치로서는 전화면의 사이즈가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이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에 없으면(S104에서 NO),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사이즈 및 위치를 유지한다 (S105). 한편,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이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에 있으면(S104에서 YES), 패턴을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고(S106), 일정한 비율의 패턴 간격을 유지한 위에 기존의 패턴을 무묘화폭에 따른 양만큼 스텝(S106)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S107), 현단계에서의 무묘화폭으로 무묘화폭으로서의 기억을 갱신하고(S108), 패턴의 사이즈 및 위치를 유지하는(S109) 처리를 각 좌표 방향에 관련하여 행한다.
또한, 스텝(S107)에서의 기존 패턴의 이동에 관해서는, 최저 패턴 간격을 규정하여 두고, 상기 최저 패턴 간격을 남겨서 어쨌든 좁혀버리도록 해도 좋고, 이동하는 방향으로 비어있는 간격을 동일한 비율로 압축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다음 코드의 입력이 있으면(S110에서 YES), 전술한 스텝(S101)에되돌아간다. 한편, 다음 코드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S110에서 NO),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에 다른 패턴과 중복하는 부분이 있다면(S111에서 YES), 중복하는 변의 직교 방향으로 사이즈를 축소하고(S112), 현단계에서의 무묘화폭으로 무묘화폭으로서의 기억을 갱신하고(S113), 패턴의 사이즈 및 위치를 유지하는(S114) 처리를 각 좌표 방향에 관련하여 행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턴 지시 코드가 도8a에 도시하는 내용으로 표시를 행하도록 지정되어 있고, 이 중의 전원 버튼(1100)이 도5에 도시하는 목표 위치 (1500)에 배치해야 하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경우에는, 도8b 및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이 종방향에 관하여 목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종방향에 관하여 일정한 비율의 패턴 간격을 보유해야 하는 기존 패턴인 윈도우(1200) 및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이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8d 및 도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이 횡방향에 관하여 목표 위치에 배치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횡방향에 관해서는 일정한 비율의 패턴 간격이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패턴인 윈도우(1200) 및 스크롤 버튼(1300-1, 1300-2)의 이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도8f에 도시하는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패턴 지시 코드가 도9a에 도시하는 내용으로 표시를 행하도록 지정하여 두고, 이 중의 전원 버튼(1100)이 도5에 도시하는 목표 위치(1500)에, 현재의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1400)가 도10에 도시하는 목표위치(1600)에 각각 배치해야 하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경우에는, 도9b에 도시하는 가치(假置) 상태를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도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 윈도우(1400)가 각각의 목표 위치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도9b의 상태에서는, 전원 버튼(100)과 스크롤 버튼(1300-1)에 겹치는 것이 보이지만, 전원 버튼(1100)의 자동 배치가 종료한 시점에서는, 일단, 이 상태를 가기억하고, 최종적으로 윈도우(1400)의 자동 배치가 종료한 시점에서 겹침을 평가하고, 겹치지 않으면, 자동 배치가 적절히 완료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패턴 지시 코드가 도11a에 도시하는 내용으로 표시를 행하도록 지정하여 두고, 이 중의 전원 버튼(1100)이 도5에 도시하는 목표 위치(1500)에 배치해야하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경우에는, 도11b 및 도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이 종방향에 관하여 목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종방향에 관해 일정한 비율의 패턴 간격을 보유해야 하는 기존 패턴인 윈도우 (1200), 스크롤 버튼(1300-1, 1300-2) 및 윈도우(14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1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이 횡방향에 관해 목표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횡방향에 관해서는 일정한 비율의 패턴 간격이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패턴인 윈도우(1200), 스크롤 버튼(1300-1, 1300-2) 및, 윈도우(1400)의 이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11d의 상태에서 이동은 전부 종료하고, 또한, 배치 조정의 무묘화부위에조정 여유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도11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1100)이 종방향으로 사이즈가 축소되어 자동 배치 조정이 완료한다.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도11f에 도시하는 표시가 행해짐으로써,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통일감이 유지된 패턴 배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003)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 (1700)을 패턴 지시 코드(바꿔 말하면, 호스트)가 상정하는 표시 영역(1800)보다 크게 하여 둠과 동시에, 표시부(1003)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1700)의 전체를 사용하여 배치 조정을 행하도록 하면,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패턴(도12에서는 전원 버튼(1100))을 사이즈를 작게 하지 않게 완료하고,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을 목표 위치에 이상적인 사이즈로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영역(1700)과 영역(1800) 사이는 자동 배치를 위한 예비 영역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서는 지정할 수 없고, 또한, 자동 배치 조정에서도 조정 여유가 부족한 경우에 사용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배치 조정의 대상인 패턴에 대해서는, 그 패턴에 대해 설정된 목표 위치에 표시되도록 자동적으로 배치 조정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패턴이 표시되는 위치를, 호스트에 의하지 않고, 항상 화면의 오른쪽상에 두는 것과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종래는, 각 패턴의 이미지 데이터 자체를 호스트로부터 받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수신기가 호스트인 경우와 팩시밀리 송수신 장치가 호스트인 경우에서, 설계자가 다르거나 제조원이 다르고, 그래서 구비하는 기능군이 달라서,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패턴이 표시되는 위치가 다르게 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전원 버튼의 패턴을 찾을 필요가 있고,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종, 기능, 제조원이 달라도 기본적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 패턴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표시됨으로써, 시각적 직감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신호 입력부(1001)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로부터 재현되는 화상과, 패턴 표시 처리부(1008)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로부터 재현되는 화상(이하, 단순하게 "패턴 화상"으로 칭함)을 중첩시켜 표시부(1003)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첩을 행하는 수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하나의 예를 도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1003)가 TFT(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표시부 (1003)에 대해 도13a를 사용하여 설명해간다. 복수의 주사선(게이트 라인)(G)이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신호선(소스 라인)(S)이 주사선(G)과 직교하는 형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G)과 신호선(S)이 교차하는 위치의 근처에는 TFT(1031) 및 액정층(1032)이 설치되어 있다. TFT(1031)의 게이트는, 대응하는 주사선(G)에 접속되어 있다. TFT (1031)의 소스는, 대응하는 신호선(S)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층(1032)의 일단은, 대응하는 TFT(1031)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액정층(1032)의 타단은, 대향 전극(1033)에 접속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부(1004)는, 각 주사선(G)을 대응하는 수평 주사 기간 및 수평 귀선 기간에 구동하여, 그 주사선(G)에 접속된 TFT(1031)를 ON시킨다. 제1 신호선 구동부 (1002)는 영상 신호 입력부(1001)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S)을 구동하지만, 도13b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수평 주사 기간에만 신호선(S)을 구동하고, 도13b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수평 귀선 기간에는 신호선(S)을 구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신호선 구동부(1009)는, 패턴 표시 처리부(1008)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예를 들어, 전원 버튼 등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S)을 구동하지만, 도13b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수평 주사 기간에는 신호선(S)을 구동하지 않고, 도13b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수평 귀선 기간에만 신호선(S)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외부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된 패턴이 다른 신호 입력으로서 형성된 후에 표시부(1003)내에서 중첩되게 된다.
두번째의 예를 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주사선 구동부(1004)는, 복수의 주사선(G)을 순차로 하나씩 구동하여, 그 주사선(G)에 접속되어 있는 TFT(1031)를 ON시킨다. 제1 신호선 구동부(1002)는 영상 신호 입력부(1001)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S)을 구동한다. 제2 신호선 구동부(1009)는, 패턴 표시 처리부(1008)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예를 들어, 전원 버튼 등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 (S)을 구동한다.
각 신호선(S)과 제1 신호선 구동부(1002), 제2 신호선 구동부(1009)의 사이에는 각각 스위치(1034, 1035)가 설치되어 있고, 동일한 신호선(S)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스위치(1034, 1035)가 이하와 같이 연동한다. 패턴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도트에서는, 스위치(1034)가 열리고, 스위치(1035)가 닫힌다. 한편, 패턴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도트에서는, 스위치(1034)가 닫히고, 스위치(1035)가 열린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외부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된 패턴이 다른 신호 입력으로서 형성된 후에 표시부내에서 중첩되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정된 패턴이 외부로부터의 영상에 상서(上書)한 형태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스위치(1034) 및 스위치(1035)의 절환은, 패턴 표시 처리부(1008)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세번째의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첫번째의 예와 동일하게,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제1 신호선 구동부(1002)가 구동하고, 수평 귀선 기간에서는 제2 신호선 구동부(1009)가 구동하지만,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신호선 구동부(1009)가 N개의 구동 회로 (1091-1, 1091-2, ..., 1091-N)와 선택 회로(9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개의 구동 회로가 담당하는 신호선(S)의 수는, 예를 들어, 패턴이 점유하는 최소폭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여두면 좋다.
N개의 구동 회로(1091-1, 1091-2, ..., 1091-N)는, 각각 패턴 표시 처리부 (1008)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표시부(1003)의 신호선(S)을 구동하지만, 선택 회로(1092)는, 각 수평 귀선 기간에 있어서, N개의 구동 회로(1091-1, 1091-2, ..., 1091-N) 중에, 패턴 화상의 표시에 필요한 구동 회로만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15에 사선으로 도시하는 표시 영역(1003A)에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1003A)에 대응하는 각 수평 귀선 기간에 있어서, 제2 신호선 구동부(1009)에서는, N개의 구동 회로(1091-1, 1091-2, ..., 1091-N) 중에, 표시 영역(1003A)에 대응하는 구동 회로(1091-2)만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외부로부터의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된 패턴이 다른 신호 입력으로서 형성된 후에 표시부내에서 중첩되게 된다.
또한, 표시하는 패턴의 수가 작은 경우 등에서는, 제2 신호선 구동부(1009)를 구성하는 N개의 구동 회로(1091-1, 1091-2, ..., 1091-N) 중의 패턴 화상의 표시에 필요한 구동 회로만을 수직 귀선 기간에 구동시킴으로써 패턴 화상을 상서 묘화(描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 신호선 구동부(1002)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가 정지화 등인 경우, 제1 신호선 구동부(1002)에 의한 구동을 정지가능한 경우는, 제2 신호선 구동부(1009)를 구성하는 N개의 구동 회로(1091-1, 1091-2, ..., 1091-N) 중의, 패턴 화상의 표시에 필요한 구동 회로만을, 수평 귀선 기간이 아닌 수평 주사 기간에 구동시킴으로써, 패턴 화상의 묘화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선 구동부(1004)를 M개의 구동 회로 (1041-1, 1041-2, ..., 1041-M)와 선택 회로(1042)로 구성하여 두고, 선택 회로(1042)가 M개의 구동 회로(1041-1, 1041-2, ..., 1041-M) 중 표시에 필요한 것만큼을 동작 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어, 도15에 사선으로 도시하는 표시 영역(1003A)에만큼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3)에 부분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고, 다채로운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신호선 구동부(1009)와 동일하게, 제1 신호선 구동부(1002)를, N개의 구동 회로와, 이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선택 회로로 구성하여 두고, 각 수평 주사 기간에 있어서, 패턴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제1 신호선 구동부(1002)의 구동 회로로 구동하고, 패턴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에서는 제2 신호선 구동부(1009)의 구동 회로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표시부(1003)는, 예를 들어, 액정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그 단면도를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판(1301), 글래스판(1302), 대향 전극막(1303), 액정층(1304), 도체 또는 반도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박막 기판(1305) 및 글래스 기판(1306)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박막 기판(305)에는 TFT(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표시부(1003)의 회로가 형성된다.
상기 박막 기판(1305)에 영상 신호 입력부(1001), 제1 신호선 구동부(1002), 주사선 구동부(1004),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1005), 자동 배치 조정부(1006), 패턴 격납부(1007), 패턴 표시 처리부(1008), 제2 신호선 구동부(1009)의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薄型化) 및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입력부(1001), 제1 신호선 구동부(1002), 주사선 구동부 (1004),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1005), 자동 배치 조정부(1006), 패턴 격납부(1007), 패턴 표시 처리부(1008), 제2 신호선구동부(1009)의 전부를 표시부(1003)의 회로 (1307)와 함께 박막 기판(1305)에 형성하는 경우의 각 부의 배치예를 도17에 도시해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호스트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지만, 호스트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호스트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패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여도 좋다. 또한, 자동 배치 조정부(1006)가 없고, 호스트로부터 지정된 전체의 패턴을 호스트로부터 지정된대로 배치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호스트가 패턴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없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텔레비젼 수신기, 팩시밀리 송수신기, 휴대전화기, 포토스탠드, 문자 인식을 행하여 발음하는 기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둠으로써, 패턴 지시 코드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이 가벼워지고, 다른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와,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격납한 패턴 격납부와, 외부로부터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는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와,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패턴 격납부로부터 취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턴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데 맞추어,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면 좋고, 화상 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필요는 없게 되기 때문에, 호스트(외부)의 부담이 대폭으로 경감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호스트로부터 보면, 패턴이 표시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패턴 격납부에는 캐릭터 폰트가 격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패턴 격납부에는 호스트로 되는 기기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패턴, 및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패턴이 격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패턴 표시 처리부가,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패턴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패턴 중에,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려는 때에는, 그 표시 위치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정하는 자동 배치 조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때, 예를 들어, 상기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각 패턴마다 목표 위치를 설정해두고,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가, 상기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의 화상이 목표 위치에 표시되도록 배치 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에 대해서는, 그 패턴에 대해 설정된 목표 위치에 표시되도록 자동적으로 배치 조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종의 패턴이 호스트에 의하지 않고 항상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게 되고, 사용자에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 쪽이 상기 패턴 지시 코드가 상정하는 표시 영역보다 크고,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가 상기 자동 조정 대상인 패턴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상기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의 전체를사용하여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하는 영상 신호 입력부를 구비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 신호로 각각 상기 표시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 입력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화상과,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중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에,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영역만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중첩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외부로부터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패턴 격납부, 패턴 표시 처리부, 자동 배치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도체 또는 반도체의 박막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표시부 이외의 회로를, 표시부를 구성하는 도체 또는 반도체의 박막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박형화 및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도시한 호스트와 리모콘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본 실시형태는, 통신 기능이한정된 기기간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련하고, 더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행하는 정보 단말 장치 및 호스트 장치,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에, 텔레비젼이나 오디오 기기에서는, 복수대의 기기를 1대의 리모콘으로 조작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리고 최근, 기기 본체만이 아니고, 리모콘에도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싶어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기기의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리모콘 조작을 위한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위해서도, 리모콘 조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기에서 설계/제어의 측으로 제어하려 하는 요구도 있다.
또한, 종래에, GUI의 설계, 실행에는, 반복 이용되는 묘화부품의 묘화를 각각의 서브 루틴으로 하여, 미리 준비해두고, 이것을 묶은 라이브러리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개발 기간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 및 실행 사이즈를 단축하는 수법이 이용된다. 이들의 라이브러리는, 컴파일러 등과 함께 소프트 개발 툴로서 제공되지만, 소프트웨어 및 GUI 개발 환경상에 제공되는 전형적인 표시 디바이스를 의도한 소프트웨어로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신규한 디바이스와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텔레비젼을 조작가능한 복수의 리모콘을 준비하는데는, 리모콘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경우, 텔레비전의 제어 프로그램도, 리모콘마다 각각 개발할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텔레비전 등의 기기와 리모콘과의 통신의 사양을 규격화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에 의해, 텔레비전 등의 기기 및 리모콘에서 통일된 규격에 따라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각각 개발하는 만큼, 복수의 기기에 대해 하나의 리모콘을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평 11-41363호 공보(공개일: 1999년 2월 12일)"에는, 기기(공조 기기, 급탕 기기, 가스 미터, 전자 렌지)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의 통일된 양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보 시스템에서는, 각 기기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는, 정보 단말에 있어서, 각각의 기기에 대응한 프로그램에서 처리되고, 그것에 기초하여 통일된 양식의 리포트가 작성된다.
상기 공보에서는, 각 기기와 정보 단말과의 통신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홈 버스 시스템(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 규격, 전파 기술 협회 규격, ET-2101 "홈 버스 시스템", 1988년 9월)등의 유선 통신 수단이나, 또는 무선 통신 수단 등의 기존의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평 6-290091호 공보(공개일: 1994년 10월 18일)"에는, 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 2000-207261호 공보(공개일: 2000년 7월 28일)"에는, 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평 7-29010호 공보(공개일: 1995년 1월 31일)"에는, 뉴럴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에 의한 미국 공개 특허 공보 "US2002/0075249 (공개일: 2002년 6월 20일)"에는, 멀티드라이버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기 및 리모콘의 데이터 전송에 관련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사양을 규격화했어도, 그 규격에 합치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규격의 사양이 기기나 리모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제약으로 되어, 유연한 설계가 방해될 우려도 있다. 또한, 고도의 GUI는 고도의 화상 처리를 필요로 하지만, TV 등의 기기 및 그 리모콘은, 제어 장치로서는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저기능이다. 그리고, 해마다 고도화하는 제어나 화상 처리를 TV나 리모콘의 일방의 장치내에서 행하기 때문에, 부하가 증대한다. 그러나, 이들의 기기에는, 소비 전력의 기타 비용 면때문에 고기능의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한, OS가 다르면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 개발 툴도 각각 전용의 것을 이용해야 한다. 즉,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갖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기기 본체에 탑재된 표시 디바이스를 의도하여 설계된 소프트웨어를, 리모콘에 탑재된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하는데는,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정보 단말 장치(1) 및 호스트 장치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단말 장치(1)(실시형태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10)에 상당)는, I/O 에뮬레이션부(11)가 파일 정보 격납부(4)를 호스트장치에 대해 외부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킨다. 파일 정보 격납부(4)에는,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을 정상 종료시키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4a)가 격납되어 있다. 호스트 장치로부터 치환 코드(4a)의 판독 리퀘스트를 받은 때, 정보 단말 장치(1)에서는,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가,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치환 코드(4a)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서브 루틴을 동정(同定)하고, 정보 단말 장치(1) 내부에서 병렬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전의 기기마다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그와 같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행하는 정보 단말 장치 및 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현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및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18로부터 도41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텔레비전(도27)이나 FAX(도28)인 호스트 장치(100)와, 호스트 장치(100)를 유저가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리모콘인 정보 단말 장치(1)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정보 단말 장치(1)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는, 적어도 외부에 파일 시스템을 추가할 수 있는I/O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이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1) 및 호스트 장치(100)는, 동시에 OS(operating system)가 컴퓨터용 OS여도 좋고, 조입형 OS여도 좋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1)는, 와이어드 로직 회로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브 루틴"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동작을 컴퓨터에 지시하는 부분적 프로그램이다. "서브 루틴의 코드"라는 것은, 파일 시스템(기억 장치)으로부터 독출되는 코드군이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100)에서 처리를 행하는 때에 사용되는 서브 루틴과 동일한 서브 루틴명을 갖고, 또한, 정보 단말 장치(1)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동등한 처리를 달성하는 동명의 서브 루틴의 코드를,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독출하는 명령(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엔트리의 지정이 포함되어도 좋다.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보 단말 장치(1)는, 데이터 입출력부(2),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 파일 정보 격납부(기억 장치)(4), GUI 처리 유닛(5), 영상 신호 입력부(6), 표시부(표시 수단)(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의 외부 입출력부(104)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입출력부(2)는, 파일 정보 격납부(4)의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통상의 저장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나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를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은, I/O 에뮬레이션부(에뮬레이션 수단)(11),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서브 루틴 동정 수단)(12),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 입력 수단)(13), 타이밍 조정부(14), 데이터 출력부(위치 정보 기억 수단)(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I/O 에뮬레이션부(11)는, 호스트 장치(100)에 대해 파일 정보 격납부(4)를 외부에 접속된 파일 시스템(기억 장치)으로서 인식시키도록, 신호를 발생 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I/O 에뮬레이션(11)은, 사용되는 저장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부(2)로부터 얻은 신호선의 어싸인(assign)을 절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라이브러리)의 독출이나,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 중의 특정의 위치에 격납 기록되어 있는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100)의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서브 루틴을 동정한다(서브 루틴 동정 처리). 구체적으로는,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으로서 송신된 액세스 코드열을 I/O 에뮬레이션부(11)로부터 취득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서브 루틴을 동정한다.
상기 액세스 코드열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서의 서브 루틴의 물리적인 격납 장소를 지정한 위치 정보, 가상적인 격납 장치를 도시하는 가상 위치 정보, 또는, 서브 루틴을 지정하는 문자열(라이브러리 파일명과 서브루틴명)이어도 좋다. 또한, 물리적인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절대적 위치 정보여도 좋고, 라이브러리 파일의 선두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위치 정보여도 좋다. 또한, 서브 루틴의 위치 정보는, 한번으로 지정해도 좋고, 라이브러리 파일의 선두 위치를 지정한 후, 서브 루틴의 코드가 격납되어 있는 어드레스 또는 섹터에의 체인 정보를 기초로 지정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액세스 코드열을 입력으로 하여, 서브 루틴으로서 지정된 GUI의 묘화 부품을 동정하고, 적당한 묘화 회로에 구동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gui.lib", "Draw_Widget_Power_Button")의 액세스 코드열을 입력으로 하여, Power_Button을 묘화하는 회로에만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예를 들어, 미리 학습시킨 다층 퍼셉트론(perceptron)에 의해 이루어지는 뉴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다.
데이터 입력부(13)는, 호스트 장치(100)가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기입한 입력 데이터(4b)를 독출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데이터 출력부(15)는, 정보 단말 장치(1)에서 생성한 데이터,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위치 검출부(54)가 검출한 유저의 포인팅 위치 정보를,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출력 데이터(4c)로서 기입한다.
타이밍 조정부(14)는,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가 호스트 장치 (100)에서 호출된 서브 루틴을 동정한 정보와, 데이터 입력부(13)가 파일 정보 격납부 (4)로부터 독출한 입력 데이터(4b)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출력한다. 도18에서는, GUI 처리 유닛(5)의 자동 배치 조정부(51)에 입력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타이밍 조정부(14)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판독 리퀘스트의 타이밍에 따라, 치환 코드(4a)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조정부(14)는,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 정보를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독출하는 서브 루틴(치환 코드(4a))을 이용하는 경우에,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판독 리퀘스트의 타이밍에 따라 그 시점에서 위치 검출부(15)로부터 출력 데이터 (4c)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포함시킨 치환 코드(4a)를 작성하는 타이밍을 지시한다.
상기 파일 정보 격납부(4)는, 정보 단말 장치(1)가 호스트 장치(100)를 제어하는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정보 기억 장치이다. 파일 정보 격납부(4)에는, 치환 코드(4a), 입력 데이터(4b), 출력 데이터(4c), OS 시스템 정보(4d)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입력 데이터(4b), 출력 데이터(4c), OS 시스템 정보(4d)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은, 호스트 장치(100) 및 그 프로그램 등의 사양에 따라 편의상 생략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4b)는, 호스트 장치(100)에 의해 기입되고, 데이터 입력부(13)에 의해 기입되고, 호스트 장치(100)에 의해 독출된다. 또한, 출력 데이터(4c)는, 데이터 출력부(15)에 의해 기입되고, 호스트 장치(100)에 의해 독출된다.
치환 코드(4a)는, 호스트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을 정상 종료시키는 프로그램의 코드이다. 상기 치환 코드(4a)는, 미리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치환 코드(4a)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에의 데이터 전송
호스트 장치(100)가,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서브 루틴(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가 무언가 GUI 부품을 표시 디바이스에 송출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인 서브 루틴)을 호출한 경우,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독취하는 치환 코드(4a)는, 호스트 장치(100)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호스트 장치(100)(도22)의 메모리(102) 또는 파일 시스템(103)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의 입력 데이터(4b)에 기입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100)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파일 정보 격납부 (4)로부터 읽어들인 치환 코드(4a)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입력 데이터(4b)로서 기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호출한 서브 루틴에서 표시되는 GUI 부품을 표시하는 좌표 위치데이터를 이것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부(13)가 입력 데이터 (4b)를 독출함으로써, 호스트 장치(100)의 데이터가 정보 단말 장치(1)에 전송된다(데이터 입력 처리).
(2)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에의 데이터 전송
호스트 장치(100)가,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서브 루틴(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현재의 포인트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인 서브 루틴)을 호출한 경우,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독취하는 치환 코드(4a)는, 호스트 장치(100)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는 출력 데이터(4c)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100)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읽어들인 치환 코드(4a)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출력 데이터(4c)를 독출함으로써, 정보 단말 장치(1)의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된다(데이터 출력 처리). 또한, 출력 데이터(4c)는, 데이터 출력부 (15)에 의해 수시 기입되어 있고,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독출 리퀘스트의 타이밍에 따라 타이밍 조정부(14)가 결정한 시점의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은, 호스트 장치(100)가,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서브 루틴을 호출한 경우에,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독취하는 치환 코드(4a)로서, 출력 데이터(4c)와, 이것을 호스트 장치(100)가 독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치환 코드 작성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치환 코드 (4a)에 따라, 상기 치환 코드(4a)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제2 데이터 출력 처리). 즉, 호스트 장치(100)는, 출력 데이터(4c)가 치환 코드(4a)에 이미 채워져 있기 때문에, 서브 루틴을 처리하는 때에 정보 단말 장치(1)에 다시 액세스하여, 출력 데이터(4c)를 독출할 필요가 없다.
또한,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는 치환 코드(4a)는, 서브 루틴마다 다른 내용의 코드여도 좋고, 복수의 서브 루틴에 대해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코드여도 좋다.
여기서, I/O 에뮬레이션부(11)에는, 파일 정보 격납부(4)에서의 치환 코드(4a)의 위치 정보가, 개개의 서브 루틴명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다만, 상기 위치 정보는 의사적인 것이기 때문에,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실제로 독출되는 치환 코드(4a)를 I/O 에뮬레이션부(11)에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실체로서 독출되는 코드가 데이터의 기입이나 독입을 행하는 처리 루틴인 경우, 코드를 공통화하여, 복수의 서브 루틴에 대해 동일한 치환 코드를 독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격납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예를 들어, GUI의 라이브러리)의 기억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다.
OS 시스템 정보(4d)에는, 호스트 장치(100)의 OS 종류별, 및/또는, 이용하는저장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규격의 종류별에 따라, I/O 에뮬레이션부(11)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복수의 OS 파일 시스템의 정의 정보 등의 데이터가 미리 선택가능하게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의 프로그램이나 OS, 호스트 장치(100)의 프로그램의 설계시에 상정한 저장 디바이스의 종별 등을 변경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기존의 다양한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의 제어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타이밍 조정부(14)도, I/O 에뮬레이션부(11)와 동일하게, 구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커넥터의 형상을 변환하는 변환기나, 입력 신호 레벨과 맞추는 레벨 컨버터 등을, 데이터 입출력부(2)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파일 정보 격납부(4)에는,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에서 사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도 격납된다.
상기 GUI 처리 유닛(5)은, I/O 에뮬레이션부(11)가 호스트 장치(100)에서 호출된 서브 루틴을 동정한 정보(즉, 패턴 지시)와, 데이터 입력부(13)가 파일 정보 격납부 (4)로부터 독출한 입력 데이터(4b)(즉, 패턴 지시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100)를 제어하는 GUI의 부품의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7)에 표시한다. 또한, GUI 처리 유닛(5)은, 유저의 포인팅한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영상 신호 입력부(6)는, 호스트 장치(100)의 영상 신호 출력부(105)(도22)에 접속되고, 통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GUI 처리 유닛(5), 영상 신호 입력부(6), 표시부(7)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와 영상 신호로는, 단일의 전송로를 사용하여 정보 단말 장치(1)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정보 단말 장치(1)의 입력 단자의 바로 앞에 무선 또는 유선의 신호 처리부(61)를 설치하고, 그에 계속하여, 데이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62)를 설치하여, 분리한 데이터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데이터 입출력부(2) 및 영상 신호 입력부 (6)에 각각 입력하면 좋다.
다음으로, 도22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100)의 구성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는, 프로세서(프로그램 실행 수단, 치환 코드 취득 수단, 링크 설정 수단)(101), 메모리(102), 파일 시스템(103), 외부 입출력부 (104), 영상 신호 출력부(105)가 버스 라인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된다.
호스트 장치(100) 및 상기 정보 단말 장치(1)는, I/O 포트 등의 외부 입출력부 (104)가 데이터 입출력부(2)에, 영상 신호 출력부(105)가 영상 신호 입력부(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는, 정보 단말 장치(1)를 외부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전송 선로를 통해, 호스트 장치(100)의 메모리(102)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에, 메모리(102)의 스와프 데이터나 비트 이미지 데이터 등도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에서는, OS 커널이 동작하고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는,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메모리(102)로 읽어들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01)가 실행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메인 루틴으로부터 서브 루틴을 호출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는, 서브 루틴의 실체인 코드를 실행시에 동적으로 읽어들이도록, 코드의 격납 장소, 즉 파일 시스템 및 파일명이 링크 정보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100)의 프로그램은, 링크 정보 내부에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가, 서브 루틴을 담은 라이브러리가 격납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트 장치(100)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은, 호스트 장치(100)를 제어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프로그램이고, 화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묘화를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한다.
또한, 링크 정보는, 변경가능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즉, 호스트 장치(100)는, 정보 단말 장치(1)를 서브 루틴을 담은 라이브러리의 격납 파일 시스템으로서 링크 정보에 설정하는 링크 정보 설정부(링크 설정 수단)(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것은, 프로그램 처리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시점에서의 파일 시스템에 격납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를 링크할지를 선택하여 설정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링크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하는 상대의 장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정보 설정부는,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의 조작 개시의 통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링크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설정해도 좋다.
계속해서, 도23으로부터 도26을 참조하면서, 호스트 장치(100)와 정보 단말 장치(1)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23으로부터 도26에서는, 프로그램이 메인 루틴으로부터 패턴 묘화 서브 루틴을 호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임의의 서브 루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메인 루틴의 코드는, 설명을 위한 모의 코드이고, 실제로는 프로세서, OS,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 따라 달라진다.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호스트 장치(100)가,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메모리(102)에 메인 프로그램과 링크 정보를 로드하고, 순차 실행한다(프로그램 실행 처리). 상기 프로그램은, 정보 단말 장치(1)에 GUI를 제시시켜, 이것을 사용하여 유저에 호스트 장치(100)를 조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는, GUI의 패턴의 묘화 지시를 서브 루틴을 호출함으로써 실행한다. 상기 서브 루틴은, 실행시에 그 실체인 코드(소프트웨어 모듈 파일(라이브러리)내에 담겨져 파일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음)를 링크 정보로 지정된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동적으로 읽어들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1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서브 루틴 처리를 호출하는 처리를 실행하면, 서브 루틴의 처리로 분기한다(S10). 또한, 상기 처리의 상세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서브 루틴의 처리가 종료하면, 메인 루틴에 되돌아가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도24를 참조하면서, 호스트 장치(100)에 있어서 메인 루틴에서 호출된 서브 루틴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및 OS 커널이 행한다. 스텝(S12 ~ S21)이 치환 코드 취득 처리에 상당한다.
call 명령 처리에서는, 우선, 서브 루틴을 위한 메모리 확보 등의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S11). 다음으로, 서브 루틴명 "Draw_Widget_Power_Button"을 취득한다(S12). 또한, 메모리(102)로부터 프로그램(메인 루틴)과 함께 로딩된 링크 정보를 취득한다 (S13). 다음으로, 서브 루틴의 격납된 파일명 "gui.lib"로 탐색(seek) 포인터 정보를 취득한다(S14). 그 후, 애플리케이션이 OS 커널에 라이브러리 파일 "gui.lib"의 오픈 리퀘스트를 발행한다.
이어서, OS 커널이 라이브러리 파일 "gui.lib"의 오픈 리퀘스트를 처리한다 (S15). 구체적으로는, 파일 오픈 리퀘스트를 받은 OS 커널은, 링크 정보에서 지정된 파일 시스템에 파일 위치 정보의 독출을 지시하고, 파일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OS 커널은, 목적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파일이 존재하는 위치의 파일 위치 정보와, 그 위치 정보를 대수적으로 취급하는 파일 디스크립터와의 대응 관계를 메모리(102)에 유지한다(S16).
여기서, 스텝(S15)에 있어서, 링크 정보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OS 커널이 파일의 오픈을 행하는 때에,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의 I/O 에뮬레이션부(11)에 파일 위치 정보의 독출이 요구된다. I/O 에뮬레이션부(11)는, 상기 요구에 대해, 파일 정보 격납부(4)가 호스트 장치 (100)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도록 에뮬레이트하여,파일 위치 정보를 되돌린다(에뮬레이션 처리).
또한, 링크 정보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OS 커널은 라이브러리 파일을 외부의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대해, 링크 정보가 호스트 장치(100)의 파일 시스템(103)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OS 커널은 라이브러리 파일을 내부의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취득한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파일 디스크립터를 사용하여, OS 커널에 모듈 "Draw_Widget_Power_Button"에의 파일 탐색 리퀘스트를 발행한다(S17). OS 커널은, 상기 파일 탐색 리퀘스트를 수신하여, 탐색 처리를 행하고(S18), 메모리(102)에 탐색 위치를 기억한다(S19).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탐색 위치를 사용하여, OS 커널에 서브 루틴의 모듈 "Draw_Widget_Power_Button"의 실체를 판독하도록 파일 판독 리퀘스트를 발행한다 (S20).
계속해서, OS 커널이 서브 루틴의 모듈 "Draw_Widget_Power_Button"의 파일 판독 리퀘스트를 처리한다(S21). 구체적으로는, 파일 판독 리퀘스트를 수신한 OS 커널은, 탐색 위치에서 지정된 파일 정보 격납부(4)의 격납 장소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그것을 메모리(102)의 서브 루틴의 영역에 로딩한다.
여기서, 스텝(S21)에 있어서, OS 커널이 파일의 판독을 행하는 때에,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의 I/O 에뮬레이션부(11)에 파일의 독출이 요구된다. I/O 에뮬레이션부(11)는, 상기 요구에 대해, 파일 정보 격납부(4)가 호스트장치(100)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도록 에뮬레이트하여, 파일의 내용을 되돌린다(에뮬레이션 처리).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102)의 서브 루틴 "Draw_Widget_Power_ Button"의 코드를 실행하고(S22), 코드의 실행이 종료하면, 메모리 해방 등의 종료 처리를 행하여, 메인 루틴에 복귀한다(S23).
상기 스텝(S21)에 있어서 OS 커널이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취득하는 코드는, 도18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파일명 "gui.lib"와 서브 루틴명 "Draw_Widget_Power_Button"을 지정하면 독출할 수 있도록, 치환 코드(4a)로서 미리 격납되어 있다.
또한, 코드의 내용은, 서브 루틴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1)에의 데이터 전송을 수반하는 것인 경우, 호스트 장치(100)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입력 데이터(4b)를 기입하는 프로그램이고, 서브 루틴이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에의 데이터 전송을 수반하는 것인 경우, 호스트 장치(100)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의 출력 데이터(4c)를 독출하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도25는, GUI의 프로그램에서 호출된 패턴 묘화의 서브 루틴 "Draw_Widget_Power_Button"을,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독출한 코드에 따라 처리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이 경우, 서브 루틴은, 우선, 패턴 묘화의 파라미터인 패턴의 묘화 위치나 크기 등의 정보 (x, y)를 메모리(102)로부터 취득한다(S31). 다음으로, 정보 (x,y)를,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의 특별한 예약 파일(입력 데이터(4b))에 기록하기 시작한다(S32A). 그리고, 정보 (x, y)의 기록 종료후, 묘화에 관하여는 정상 종료의 복귀값에서 메인 루틴에 복귀한다.
또한, 전송하는 정보(파라미터)는, 서브 루틴 "Draw_Widget_Power_Button"의 인수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메모리(102)나 파일 시스템(103)의 참조 가능한 영역에 격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체로서 독출하는 코드(치환 코드(4a))에는, 묘화를 실제로 행하는 코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 장치(1)가, 라이브러리명 및 서브 루틴명으로부터 동정된 패턴 지시 코드에 기초하여 패턴 묘화를 행하는 GUI 처리 유닛(5)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처리는 "Draw_Widget_Power_Button" 만은 아니고, GUI 프로그램의 모든 패턴 묘화 서브 루틴에서 통일하여 행해져도 좋다. 즉, 외부의 파일 시스템인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코드를 취득하는 경우, 전체의 서브 루틴에서 코드열이 동일해도 좋다. 그 결과, 호스트 장치(100)에 있어서, 호출한 서브 루틴이 달라도, 코드의 실체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처리(예를 들어, 인수의 전송)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보 단말 장치(1)의 경우, 서브 루틴의 코드가 호스트 장치(100)에 의해 독출된 시점에서 패턴 묘화 처리가 기동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100)가 서브 루틴의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인수를 입력 데이터(4b)에 써낸 만큼, 패턴을 묘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26은, GUI의 프로그램에서 호출된 패턴 묘화의 서브 루틴 "Draw_Widget_Power_Button"을, 호스트 장치(100)의 내부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독출한 코드에 따라 처리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우선, 패턴 묘화의 파라미터인 패턴의 묘화 위치나 크기 등의 정보 (x, y)를 메모리(102)로부터 취득한다(S31). 다음으로, 정보 (x, y)를 사용하여, 예정된 패턴 묘화를 호스트 장치(100)의 시스템 내부의 비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해 행한다(S32B). 그리고, 패턴 묘화 종료후, 묘화에 관해서는 비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묘화의 처리를 정상으로 접수했는지 아닌지에 따라 정상 종료 또는 이상 종료의 각각의 복귀 값을 갖고 메인 루틴에 복귀한다.
여기서, 도25에 도시한 정보 단말 장치(1)에서의 GUI 묘화 처리는, 정보 단말 장치(1)내에서 GUI의 묘화가 완전히 정상으로 종료하는 동작을 미리 검증하고 보증되기 때문에, 도26과 같이 호스트 장치(100)내에서 GUI 묘화를 도입하는 때의 소프트웨어의 설계 에러나 시스템 트러블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전송하는 정보(파라미터)는, 서브 루틴 "Draw_Widget_Power_Button"의 인수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메모리(102)나 파일 시스템(103)의 참조 가능한 영역에 격납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은 도25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체로서 독출하는 코드에는, 묘화를 실제로 행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게다가, 내부의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코드를 취득하는 경우, 서브 루틴마다 코드열이 다르고, 처리 내용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링크 정보가 정보 단말 장치(1)의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OS 커널은 라이브러리 파일을 외부의 파일 정보 격납부(4)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대해, 링크 정보가 호스트 장치(100)의 파일 시스템(103)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OS 커널은 라이브러리 파일을 내부의 파일 시스템(103)으로부터 취득한다. 따라서, 링크 정보에 따라, 자장치내의 파일 시스템을 판독할지, 외부의 예를 들어 정보 단말 장치(1)의 기억 장치를 판독할지가 절환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의 프로그램에서 호출된 서브 루틴이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호스트 장치(100)에의 데이터 전송을 수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정보 격납부(4)의 출력 데이터(4c)를 독출하여, 서브 루틴의 복귀 값으로 하든지, 또는 메모리(102)나 파일 시스템(103)의 참조 가능한 영역에 격납한다.
또한, 외부의 파일 시스템인 정보 단말 장치(1)로부터 코드를 취득하는 경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전체의 서브 루틴에서 코드열이 동일해도 좋다. 그 결과, 호스트 장치(100)에 있어서, 호출한 서브 루틴이 달라도, 코드의 실체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예에 대해 도18, 도27 ~ 도4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 장치(1)의 GUI 처리 유닛(5)은, 자동 배치 조정부(패턴 조정 수단, 역변환 수단)(51), 패턴 표시 처리부(패턴 표시 처리 수단) (52), 패턴 격납부(패턴 격납 수단)(53), 위치 검출부(위치 검출 수단)(5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GUI 처리 유닛(5)의 각 처리부는, 회로로서, 정보 단말 장치(1)에 실장되어 있어도 좋다.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GUI의 부품의 패턴의 위치나 크기 등을, 제어하는 기기(호스트 장치(100))의 기능이나 통지 정보에 따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유저가 직감적으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 화면이 달라도, 유사한 정보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소정의 기준에 따라 패턴을 배치 조정한다. 단, 정보 단말 장치(1)에서는, 자동 배치 조정부(51)의 동작을, 부품의 위치나 크기에 전혀 변경을 가하지 않고, 호스트 장치(100)의 지정대로 부품을 배치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배치 조정부(51)의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패턴 표시 처리부(52)는, 자동 배치 조정부(51)로부터 입력된 신호(지시 코드)에 기초하여 부품의 화상 데이터를 패턴 격납부(53)로부터 추출하고, 표시 패널(71)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하는 패턴을 지정하는 지시 코드는, 패턴의 묘화 데이터에 비해 충분히 짧은 데이터 길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패턴 표시 처리부(52)는, 패턴을 표시 패널(71)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패턴 격납부(53)는, GUI의 부품인 패턴의 묘화 데이터를 격납한다. 예를 들어, 패턴 격납부(53)에는, 호스트 장치(100)의 상황 통지나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콘 등의 묘화 부품(오브젝트)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패턴 격납부 (53)에는, 문자 형상(폰트)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54)는, 정보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가 검출한 유저에 의한 위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1)의 표시부(7)는, 표시 패널(71), 패턴 표시 구동 회로 (72), 주사 신호 입력 회로(73), 묘화 표시 구동 회로(7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71)은, 데이터 입출력부(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GUI의 패턴이나, 영상 신호 입력부(6)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표시 패널(71)로서는, 통상의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특히 CG 실리콘(연속립계 결정 실리콘)을 사용한 박형의 표시 패널이 적합하다. 또한, 표시 패널 (71)의 표시면에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터치 패널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패턴 표시 구동 회로(72)는, 패턴 표시 처리부(52)가 생성한 표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71)의 신호 전극을 구동한다. 또한, 묘화 표시 구동 회로(74)는, 영상 신호 입력부(6)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71)의 주사 전극을 구동한다. 한편, 주사 신호 입력 회로(73)는, 표시 패널(71)의 주사 전극을 구동한다. 그리고, 주사 신호 입력 회로(73)는, 패턴 표시 구동 회로(72)에 의한 표시에도, 묘화 표시 구동 회로(74)에 의한 표시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 단말 장치(1)에서는, 데이터 입력부(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GUI의 패턴과, 영상 신호 입력부(6)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영상 신호가, 독립으로 처리되어, 표시 패널(71)에 중첩하여 표시된다.
계속해서, 자동 배치 조정부(51)에 의한 패턴의 배치 조정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9는, 호스트 장치(100)가 패턴의 위치도 사이즈도 지정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부품(전원, 프로그램표)의 묘화 지시를 부품마다의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실행한다. 정보 단말 장치(1)에서는, I/O 에뮬레이션부 (11)가 호스트 장치(100)로부터의 코드의 독출 요구로부터 액세스 코드열을 생성하여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에 입력한다.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 (12)는, 액세스 코드열로부터 묘화 지시되어 있는 부품을 동정하여, GUI 처리 유닛(5)의 상기 부품의 묘화 회로에 출력한다(도19, 도20).
도29의 경우, 호스트 장치(100)가 패턴의 위치도 사이즈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서브 루틴의 코드를 실행해도, 파일 정보 격납부(4)에는 입력 데이터(4b)는 기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부(13)는, 무효치를 출력한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1)에서의 묘화에 파라미터가 지정되지 않는 것이 미리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입력 데이터(4b)에의 기입 처리를 생략한 코드를 호스트 장치(100)에 읽어들여도 좋다.
또한, 위치나 사이즈를 지정하는 서브 루틴과, 위치나 사이즈를 지정하지 않는 서브 루틴을 별명으로 정의한 라이브러리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는, 각각의 서브 루틴에서 입력 데이터(4b)를 참조하는 것과, 참조하지 않는 것에서 다른 회로를 구동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호스트 장치(100)에서 전부의 묘화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라이브러리의 격납 사이즈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서브 루틴을 도입하지 않는 등의 최적화의 수순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정보 단말 장치(1)내의 파일 정보 격납부(4)만에 의하기 때문에, 상기 수순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100) 및 정보 단말 장치(1)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설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타이밍 조정부(14)가,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로부터 출력된 부품의 묘화 신호와, 데이터 입력부(13)로부터 출력된 파라미터(도29에서는 무효치)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자동 배치 조정부(51)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변경한다.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예를 들어, 유저가 잘 사용하는 GUI의 체계에 맞춰 변경해도 좋다. 그리고,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변경한 부품의 위치를 기록한다. 여기서, 도29에서는,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전원"을 화면 우상에, "프로그램표"를 화면 중앙 하부에 배치한다. 또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프로그램표"가 크기 때문에, 우측에 스크롤 버튼을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패턴 표시 처리부(52)는, 자동 배치 조정부(51)가 변경한 배치에 기초하여, 패턴 격납부(5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부(7)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30은, 호스트 장치(100)가, 패턴의 사이즈와 일부의 부품간의 상관관계를 지정하지만, 위치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9의 경우와 동일하게, 호스트 장치(100)는, 부품(전원, 프로그램표)의 묘화 지시를 부품마다의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실행하고, 정보 단말 장치(1)에서는, 호스트 장치(100)에서 묘화 지시된 부품을 동정한다.
도30의 경우, 호스트 장치(100)가 패턴의 사이즈와 일부의 부품간의 상관관계를 지정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100)가 서브 루틴의 코드를 실행하여, 파라미터를 파일 정보 격납부(4)의 입력 데이터(4b)에 기입한다. 그리고, 이것을 데이터 입력부(13)가 독출한다. 또한, 지정되지 않은 파라미터에는 무효치를 출력한다. 그 후, 타이밍 조정부(14)가, 파일 얼로케이터 기동 신호 변환기(12)로부터 출력된 부품의 묘화 신호와, 데이터 입력부(13)로부터 출력된 파라미터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자동 배치 조정부(51)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품의 형상·배치를 변경한다.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예를 들어, 유저가 잘 사용하는 GUI의 체계에 맞춰 변경해도 좋다. 그리고,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변경한 부품의 위치를 기록한다.
여기서, 도30에서는,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전원"을 화면 우상에, "프로그램표"를 화면 중앙 하부에 배치한다. 또한, "프로그램표"와 그 우측의 "스크롤 버튼"과의 위치 관계를 호스트 장치(100)가 지정하기 때문에,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프로그램표"와 "스크롤 버튼"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일괄하여 배치한다. 최후에, 패턴 표시 처리부(52)가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7)에 표시하는 처리는 도29와 동일하다.
도31 및 도32는, 자동 배치 조정부(51)가,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변경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패턴 지시 코드를 취득한다. 여기서, 패턴 지시 코드라는 것은, 액세스 코드열로부터 동정한 부품의 식별자이다(S41). 또한, 전화면 사이즈를 초기치로 하여, 패턴없는 구간을 감산하고(S42), 패턴없는 구간의 기억을 갱신한다(S43). 즉, 전화면 사이즈로부터 패턴의 점유폭을 감산하여 유지한다. 여기서, 패턴이 점유하는 폭은, 미리 설정되어 있든지, 또는 호스트 장치(100)에 의해 지정된다.
다음으로, 처리하는 부품이 자동 조정 대상인 패턴인지 여부를 판정하고(S44), 자동 조정 대상이 없으면(NO), 패턴의 위치 사이즈를 유지한다.
한편, 스텝(S44)에서, 자동 조정 대상이 있으면(YES), ① 1좌표 방향을 선택하고(S46), ② 패턴간의 간격이 결정되어 있는 정률 패턴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기존 패턴을 이동시킨다(S48). 상기 스텝(S46 ~ S48)의 처리를, 전좌표 방향의 조정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한다(S49).
이어서, 다음의 코드 입력이 있으면(YES), 그 코드를 처리하기 위해, 스텝(S41)에 복귀하고, 다음의 코드 입력이 없으면(NO), 스텝(S51)으로 진행한다.
스텝(S51)에서는, 자동 조정 대상 패턴의 중복을 판정하고, 중복이 없으면(NO), 자동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중복이 있으면(YES), ① 1좌표 방향을 선택하고 (S52), ② 중복하는 변의 직교 방향으로 패턴을 축소한다(S53). 상기 스텝(S52·S53)의 처리를, 전좌표 방향의 조정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한다(S54).
또한, 스텝(S42)에 있어서, 패턴이 없는 구간을 감산하는 처리를 하드웨어에서 실현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기준 전압보다 패턴 폭에 상당하는 신호 전압만큼 감압하면 좋다.
계속해서, 도33으로부터 도36을 사용하여, 자동 배치 조정부(51)가,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변경하는 수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33 ~ 도36에 있어서, 자동 배치 조정부(51)에는, "전원"의 패턴의 위치 및 형상만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33 ~ 도36에서는, 유저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전원"을 유저가 잘 이용하는 화면 우상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자동 조정 비대상인 다른 부품을 적당히 조정한다.
도33에 있어서, 배치(f11)가 호스트 장치(100)가 지정한 상태이다. 배치(f11)를 취득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우선, 종방향을 조정 방향으로 선택하여 "전원" 및 "프로그램표"의 패턴 위치를 변경한다(f12, f13). 다음으로, 횡방향을 조정 방향으로 선택하여 "전원"의 패턴 위치를 변경한다(f14, f15). 그 결과, 목표의 배치(f16)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4에 있어서, 배치(f21)가 호스트 장치(100)가 지정한 상태이다. 배치(f21)를 취득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우선, 종방향을 조정 방향으로 선택하여 "전원"의 패턴을 위에, "프로그램표" 및 "현재의 프로그램"의 패턴을 아래에 각각 이동시킨다(f22, f23). 다음으로, 횡방향을 조정 방향으로 선택하여 "전원"의 패턴 위치를 변경한다(f24). 배치(f24)에서는, "현재의 프로그램"의 패턴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표"의 패턴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고, "프로그램표" 및 "전원"의 패턴에 중복이 발생한다. 그래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전원"의 패턴의 종방향 사이즈를 축소하여 (f25), 목표의 배치(f16)에 근접한다(f26).
다음으로, 도35의 배치(f31)는, 도34의 배치(f24)와 동일하다. 그리고,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좌상에 무묘화 부위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 "현재의 프로그램"의 패턴을 이동시킬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전원"의 패턴을 축소하는 일 없이, 목표로 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f32).
또한, 도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71)에는, 물리적으로 표시 가능한 영역내에, 호스트 장치(100)에 묘화를 허가하는 가상적인 표시 허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f41). 그리고, 통상은 표시 허가 영역의 외측에는 패턴의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동 배치 조정부(51)가 패턴을 배치한 결과, 패턴이 표시 허가 영역으로부터 표시 가능 영역에 초과한 경우에는, 표시부(7)는 표시 가능 영역의 패턴의 표시도 행한다. 이에 의해, 패턴을 축소하는 일 없이, 가능한 한 호스트 장치(100)의 요구에 따른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71)에, 배치 조정을 행하기 위해 예약된 영역(예약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유저가 잘 사용하는 GUI의 체계에 맞춰 유사한 정보를 유사한 위치에 배치하는 때에, 상기 예약 영역을 사용하여 패턴의 배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배치 조정부(51)는, 패턴의 배치 조정 전후의 정보를 대응 부착하여 보존해 두어도 좋다. 이에 의해, 위치 검출부(54)가 검출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유저가 입력한 위치 정보를, 자동 배치 조정부(51)에서 역변환하여, 호스트 장치(100)가 지정한 패턴 배치에 맞추어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역변환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 출력부(15)가, 파일 정보 격납부(4)에 출력데이터(4c)로 하여 격납하면, 호스트 장치(100)에 유저의 포인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7은, CG 실리콘(연속립계 결정 실리콘)을 사용한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유리판(201), 회로 형성막(202), 액정층(203), 대항 전극막(204), 글래스판(205), 편광판(20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로 형성층(202)에는, TFT 및 주변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형성층(202)은, CG 실리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회로 형성층(202)에 CG 실리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액정의 화소를 형성하는 기판상에 각 구동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박형의 표시 패널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단말 장치(1)의 표시 패널(71)에 적합하다.
또한, 도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보 단말 장치(1)는, 회로로서 기능 실장된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 GUI 처리 유닛(5), 표시부(7)의 구동 회로군, 데이터 입력부(2) 및 영상 신호 입력부(6) 중 어느 하나의 조합 또는 전부가, 표시 패널(71)의 도체 또는 반도체막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1)를 리모콘 등으로 하는 경우에, 고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면서, 매우 얇은 카드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1)의 표시부(7)에서는, 패턴을 표시하는 표시 신호는, 영상 신호 입력부(6)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독립하여 형성된 후, 표시패널(71)내에서 중첩된다. 또한, 도39 ~ 도41 중의 "드라이버"는, 화소를 구동하는 하드웨어로서, 상술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소프트웨어)는 무관계이다.
예를 들어, 도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표시와 묘화 표시에서 소스 라인을 공용하여, 패턴 표시의 구동 신호를, 영상 신호의 구동 신호의 수평 주사가 종료하고, 다음의 수평 주사로 이동하는 사이의 귀선 기간에 입력해도 좋다.
또한, 도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표시와 묘화 표시에서 소스 라인을 공용함과 동시에, 연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패턴이 존재하는 기간에만 패턴 표시의 구동 신호가 소스 라인에 입력되도록, 패턴 표시부(52)의 제어에 의해 연동 스위치를 절환해도 좋다.
도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 표시 구동 회로(72) 및 묘화 표시 구동 회로(74)를, 표시 좌표축을 최소 위치 지정 단위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 ~ N)와, 필요한 소스 드라이버(n)를 선택하는 소스 드라이버 선택 스위치 (72a)로 구성해도 좋다. 동일하게, 주사 신호 입력 회로(73a)를, 표시 좌표축을 최소 위치 지정 단위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복수의 주사 신호 입력 드라이버(1 ~ M)와, 필요한 주사 신호 입력 드라이버(m)를 선택하는 주사 신호 입력 선택 스위치(73a)로 구성해도 좋다. 즉, 소스 드라이버(n) 및 주사 신호 입력 드라이버(m)는, 각각 패턴 등을 배치하는 최소 위치 지정폭을 갖는다.
그리고, 패턴 표시부(52)의 제어에 의해, 묘화 또는 패턴의 표시에 있어서 구획된 필요한 부분의 표시만을 구동하여 절환하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묘화 표시 구동 회로(74)와 동등한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소스 드라이버(1 ~ N)및 그 간극의 소스 라인, 및 주사 신호 입력 드라이버(1 ~ M) 및 그 간극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한다.
이에 의해, 패턴 묘화에 필요한 위치만큼 분할 드라이버측에 절환되어 묘화하고, 패턴의 수가 작은 경우는, 프레임 회귀 시간에 한정 구간으로 구획된 소수의 드라이버를 구동하여 상서 묘화하고, 정지화 등의 주묘화의 입력이 정지가능한 상태의 경우는 통상의 프레임 타이밍으로 한정 구간에 구획된 소수의 드라이버를 구동하여 묘화할 수 있기 때문에, 묘화 처리의 간략화, 저소비 전력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각의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정보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패턴의 묘화의 패턴 격납부와, 패턴에 비해 충분히 짧은 지시 코드로 상기 패턴의 표시를 행하는 패턴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패턴 표시 처리부가 패턴의 표시를 임의의 위치로 행할 수 있는 것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패턴 격납부에 얻어진 패턴이 문자 형상(폰트)이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패턴 격납부에 얻어진 패턴이, 호스트로 되는 기기의 상황 통지나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묘화 부품이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구비한 패턴의 표시 위치를 응용하는 기기의 기능이나 통지 정보에 따라 적절히 배치하는 자동 배치 조정부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가 조작자가 직감적으로 통지 정보를 파악할수 있도록 유사한 정보를 유사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표시부에 배치 조정을 행하기 위해 예약된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가 유사한 정보를 유사한 위치에 배치하는 때에, 예약 영역을 사용하여 배치 조정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패턴 지시 코드가 서브 루틴 처리를 호출하는 프로그램 코드 정보로부터 생성되고, 회로로서 기능 실장된 패턴 표시 처리부 또는 자동 배치 조정부, 또는 그 양방의 기능이, 호스트로 되는 기기로부터,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라이브러리)을 호출하는 형태로 실행할 수 있는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이미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하여 실현되어 있는 정보 표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기기를 설계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파일 정보 격납부와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패턴의 표시가, 그 다른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표시 정보는 분리하여 다르게 되는 신호 입력으로서 형성된 후에, 표시부 내에서 중첩되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표시 좌표축을 최소 위치 지정 단위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필요한 드라이버를 선택하는 드라이버 스위치를 구비하고, 묘화 또는 패턴의 표시에 있어서 구획된 필요한 부분의 표시만을 구동하여 절환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회로로서 기능 실장된 패턴 격납부, 패턴 표시 처리부, 또는 자동 배치 조정부, 또는 그 중 어느 하나의 조합, 또는 그 전부가, 표시부를 구성하는 도체 또는 반도체막상에 직접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리모콘 등으로 하는 경우에, 고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면서, 매우 얇은 카드형으로 할 수 있다.
최후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를 컴퓨터로 독취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정보 단말 장치(1) 및 호스트 장치(100)(이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라 총칭함)에 공급하고, 정보 단말 장치(1) 및 호스트 장치(100)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또는 DSP(도시하지 않음))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가능하다. 이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의사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3)은, 정보 단말 장치(1)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격납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가 구비하는 링크 설정부(도시하지 않음)는, 호스트 장치(100)의 메모리(102)에 격납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01)등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저장하는 매체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한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가 직접 독취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장착되는 것이어도, 외부 기억 장치로서 정보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로그램 독취 장치를 통해독취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 디스크/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R-R 등의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 광 카드 등의 카드계, 또는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기록되어 있어도 좋고, 기록 매체로부터 주기억 프로그램 기억 영역에 전송된 후 컴퓨터가 주기억으로부터 독출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기록되어도 좋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1) 및/또는 호스트 장치(100)를 통신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 등을 포함)와 접속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주기억에 격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하게 미리 정보 단말 장치(1) 및/또는 호스트 장치(100)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기능은, 컴퓨터가 독출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것만은 아니고,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 가동하는 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장착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행 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정상 종료 상태에서의 복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를 격납하는 상기 기억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외부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키는 에뮬레이션 처리와, 상기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중, 서브 루틴의 코드의 판독 리퀘스트의 처리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치환 코드 취득 처리와, 상기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이 호출한 서브 루틴을 동정하는 서브 루틴 동정 처리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① 정보 단말 장치는, 자장치의 기억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킨다. ②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의 코드를 정보 단말 장치의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도록, 판독 리퀘스트한다. ③ 정보 단말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판독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패턴 지시를 동정한다.
이와 같이,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의 코드를 읽어들이는 만큼, 자장치에서 호출한 서브 루틴을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을 별도로 행하는 일 없이, 정보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종래의 시스템이 구비한 파일 시스템내로부터 서브 루틴의 코드를 읽어들이는 동작과 완전히 동일한 독출 동작을 행하는 만큼, 자장치에서 호출한 서브 루틴을 특정하는 정보를 정보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의 기억 장치를 호스트 장치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에뮬레이트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는 파일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하면 좋다. 즉,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저기능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저기능의 기기여도, 프로그램 정보 등을 격납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 독출 기능은 통상 구비하고 있다. 물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고기능의 기기와 저기능의 기기와의 사이, 또는 고기능의 기기 끼리의 데이터 전송에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하는 기기마다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호스트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갖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에는,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 개발 툴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중간에 사용함으로써, 처리를 기기간에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기능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그대로, 보다 고기능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치환 코드는, 예를 들어, 묘화에 필요한 좌표 데이터만을 정보 단말 장치에 전송해버리는 만큼의 동작을 행한다. 이에 대해, 서브 루틴의 본래 예정한 동작은, 상기 서브 루틴의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GUI의 버튼 묘화 패턴을 1 도트씩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표시 디바이스에 직접 1 도트씩 전송하고, 그에 적당한 패턴의 표시를 행하여, 호출된 묘화 처리를 전부 완료시키는 버튼 묘화 처리 그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 방법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에,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인수(引數)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치환 코드가,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출력 처리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한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에,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을 동정하여 행한 처리 결과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가 독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치환 코드를 작성하는 치환 코드 작성 처리와,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상기 링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2 데이터 출력 처리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채워진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에,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을 동정하여 행한 처리의 결과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 호출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공통으로 독출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에 대해, 공통의 치환 코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실체로서 독출되는 코드가 데이터의 기입이나 읽어들임만을 행하는 처리 루틴인 경우, 코드를 공통화하여, 복수의 서브 루틴에 대해 동일한 치환 코드를 독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에 격납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예를 들어, GUI 라이브러리)의 기억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은, 상기의 각 처리를 상기 정보 단말 장치 및 호스트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 및 호스트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현함으로써, 상기의 정보 단말 장치와 호스트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효과인, 데이터 전송 기기마다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라는 것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를 취급하기 위해, 정보 단말 장치의 취급 방법을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것을 파일 시스템의 취급 방법으로 통일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 단말 장치와 호스트 장치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호스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행 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정상 종료 상태로의 복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를 격납한 기억 장치와, 호스트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에뮬레이트하는 에뮬레이션 수단과,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이 호출한 서브 루틴을 동정하는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는, 호스트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기기마다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호스트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갖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에는,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 개발 툴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이,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으로서 송신된, 상기 서브 루틴의 상기 기억 장치에서의 위치를 지정한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서브 루틴을 지정하는 문자열에 기초하여 동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정보 단말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으로서, 서브 루틴의 상기 기억 장치에서의 위치를 지정한위치 정보, 또는, 서브 루틴을 지정하는 문자열을 취득한다. 그리고, 이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루틴을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에,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인수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호스트 장치의 상태를 전달하고, 또는,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이용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프로그램이고, 화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묘화를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 정보 단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패턴 격납수단과, 상기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이 동정한 서브 루틴에 대응하는 부품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턴 격납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묘화를 위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패턴 표시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호스트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묘화를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기 때문에, 정보 단말 장치는, 서브 루틴을 동정함으로써, 자장치내에서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묘화는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에서의 처리와는 완전히 독립하여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병렬화하여,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정보 단말 장치에 표시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로부터 정보 단말 장치에 데이터량이 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정보 단말 장치는, 묘화해야하는 패턴을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실제의 묘화를 정보 단말 장치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호스트 장치가 정보 단말 장치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때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조정하는 패턴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정보 단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호스트 장치가 지정한 것으로부터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저의 이용하는 빈도가 높은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정보 단말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위치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의 취득을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위치 정보 기록 수단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된 상기 위치 정보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가 검출되고, 위치 정보로서 기억 장치에 기입된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독출한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에, 정보 단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정보 단말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에 상기 패턴 조정 수단에서의 변경과는 역의 변경을 실시하는 역변환 수단과, 상기 역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위치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의 취득을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위치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된 상기 위치 정보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가 검출되고, 위치 정보로서 기억 장치에 기입된다. 이 때, 위치 정보를, 정보 단말 장치에서 변경한 패턴 배치에서의 표시로부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지정된 표시로 역변환한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읽어들인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독출한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패턴 배치를 변경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에, 정보 단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에뮬레이션 수단이, 호스트 장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종별, 및/또는, 호스트 장치와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즉, 채용하는 저장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의 규격)의 종별에 따라 처리를 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정보 단말 장치는 OS가 다른, 또는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 다른 복수의 호스트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가,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공통으로 독출되도록 치환 코드를 격납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에 대해, 공통의 치환 코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실체로서 독출되는 코드가 데이터의 기입이나 읽어들임만을 행하는 처리 루틴인 경우, 코드를 공통화하여, 복수의 서브 루틴에 대해 동일한 치환 코드를 독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에 격납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파일(예를 들어, GUI 라이브러리)의 기억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는, 상기의 정보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중, 서브 루틴의 코드의 판독 리퀘스트의 처리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치환 코드 취득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호스트 장치는, 정보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하는 기기마다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일 없이,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호스트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에는, 컴파일러 등의 소프트 개발 툴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를 정보 단말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설정하는 링크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설정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하는 상대의 기기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로서, 자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파일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절환 가능하게 설정하는 링크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링크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서브 루틴의 코드를 독출하는 장소를 절환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장소를 절환함으로써 서브 루틴의 코드를 독출하는 장소를 절환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상대의 장치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복수의 장치로부터 적정 선택한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는, 상기 링크 설정 수단이, 호스트 장치의 내부 파일 시스템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와의 사이에서,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를 절환할 수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또한, 호스트 장치는, 자장치 내부의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서브 루틴의 코드를 독출하여, 자장치만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링크 장소를 정보 단말 장치로 절환하는 것만으로, 단말 장치와 협동하면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브 루틴의 실행을 호스트 장치에 격납된 소프트웨어적 수단만으로 GUI의 묘화를 행하는 것과, 정보 단말 장치의 치환 코드 및 정보 단말 장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묘화 수단을 사용하여 GUI의 묘화를 행하는 것을, 링크 장소에 의해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 단말 장치에서 제시하는 GUI 프로그램을, 호스트 장치 단일체에서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정보 설정부는,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의 조작 개시의 통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링크 장소를 정보 단말 장치의 기억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각각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정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정신과 특허 청구 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지정된 패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기기마다 GUI를 절환하면서 유저가 조작하는 리모콘, 특히, 텔레비전이나 FAX 등의 리모콘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1)

  1. 표시부와,
    미리 결정된 패턴의 화상을 격납한 패턴 격납부와,
    외부로부터 패턴 지시 코드를 입력하는 패턴 지시 코드 입력부와,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상기 패턴 격납부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턴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격납부에는, 캐릭터 폰트가 격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격납부에는, 호스트로 되는 기기의 상황을 사용자에 통지하기 위한 패턴, 및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패턴이 격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표시 처리부는,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패턴 중에,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 때에는, 그 표시 위치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정하는 자동 배치 조정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각 패턴마다 목표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는, 상기 자동 배치 조정 대상인 패턴의 화상이 목표 위치에 표시되도록 배치 조정을 행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 쪽이 상기 패턴 지시 코드가 상정하는 표시 영역보다도 크고,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가, 상기 자동 조정 대상인 패턴 화상의 표시 위치를 상기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표시가능한 영역의 전체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하는 영상 신호 입력부를 구비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 신호로 각각 상기 표시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 입력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화상과,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에, 상기 패턴 지시 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패턴의 화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영역만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중첩을 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격납부, 상기 패턴 표시 처리부, 상기 자동 배치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도체 또는 반도체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12.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행 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정상 종료 상태로의 복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를 격납하는 상기 기억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외부의 파일 시스템으로서 인식시키는 에뮬레이션 처리와,
    상기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중, 서브 루틴의 코드의 판독 리퀘스트의 처리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치환 코드 취득 처리와,
    상기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이 호출한 서브 루틴을 동정(同定)하는 서브 루틴 동정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코드가,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출력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가 독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치환 코드를 작성하는 치환 코드 작성 처리와,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상기 링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2 데이터 출력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2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치환 코드는,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공통으로 독출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단말 장치 및 호스트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로 상기 각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18. 제17 항에 기재된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 매체.
  19. 호스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독출되고, 또한, 상기 서브 루틴의 실행 후에 상기 프로그램에 정상 종료 상태로의 복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치환 코드를 격납한 기억 장치와,
    호스트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에뮬레이트하는 에뮬레이션 수단과,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의 독출 명령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이 호출한 서브 루틴을 동정하는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은,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서브 루틴의 코드 독출 명령으로서 송신된, 상기 서브 루틴의 상기 기억 장치에서의 위치를 지정한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서브 루틴을 지정하는 문자열에 기초하여 동정하는 것인 정보 단말 장치.
  21. 제19 항 또는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호스트 장치의 데이터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치환 코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
  22. 제19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호스트 장치의 상태를 전달하고, 또는,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이용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프로그램이고, 화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묘화를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서,
    정보 단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패턴 격납 수단과,
    상기 서브 루틴 동정 수단이 동정한 서브 루틴에 대응하는 부품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패턴 격납 수단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묘화를 위한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패턴 표시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부품의 형상 및 배치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조정하는 패턴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
  24. 제22 항 또는 제23 항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위치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의 취득을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위치 정보 기록 수단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된 상기 위치 정보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인 정보 단말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로 상기 패턴 조정 수단에서의 변경과는 역의 변경을 실시하는 역변환 수단과,
    상기 역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위치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호스트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이, 유저가 포인트한 위치의 취득을 서브 루틴의 호출에 의해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치환 코드가, 호스트 장치가 서브 루틴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위치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격납된 상기 위치 정보를 독출하는 처리를 호스트 장치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인 정보 단말 장치.
  26. 제19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션 수단은, 호스트 장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종별, 및/또는, 호스트 장치와 정보 단말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의 종별에 따라 처리를 변경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정보 단말 장치.
  27. 제19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가, 호스트 장치의 프로그램 중에서 호출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루틴의 코드로서 공통으로 독출되도록 치환 코드를 격납하는 정보 단말 장치.
  28. 제19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정보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실행 중, 서브 루틴의 코드의 판독 리퀘스트의 처리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치환 코드 취득 수단을 구비하는 호스트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에 설정하는 링크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호스트 장치.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로서, 자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파일 시스템 중에 어느 하나를 절환가능하게 설정하는 링크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호스트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설정 수단은, 호스트 장치의 내부 파일 시스템과, 정보 단말 장치의 상기 기억 장치와의 사이에서, 서브 루틴의 코드의 격납 장소를 절환할 수 있는호스트 장치.
KR1020047012924A 2002-02-19 2003-01-28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KR100794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2328 2002-02-19
JP2002042328 2002-02-19
JPJP-P-2002-00042064 2002-02-19
JP2002042064 2002-02-19
PCT/JP2003/000809 WO2003071785A1 (en) 2002-02-19 2003-01-28 Display, electronic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terminal, host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718A Division KR100831628B1 (ko) 2002-02-19 2003-01-28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 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프로그램,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206A true KR20040085206A (ko) 2004-10-07
KR100794241B1 KR100794241B1 (ko) 2008-01-11

Family

ID=277596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718A KR100831628B1 (ko) 2002-02-19 2003-01-28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 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20047012924A KR100794241B1 (ko) 2002-02-19 2003-01-28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718A KR100831628B1 (ko) 2002-02-19 2003-01-28 데이터 전송 방법, 정보 단말 장치, 호스트 장치,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1196B2 (ko)
JP (2) JP4034269B2 (ko)
KR (2) KR100831628B1 (ko)
CN (2) CN101247458B (ko)
AU (1) AU2003211901A1 (ko)
TW (1) TWI276333B (ko)
WO (1) WO2003071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11901A1 (en) * 2002-02-19 2003-09-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electronic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terminal, host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5250584A (ja)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入力装置
US7814498B2 (en) * 2006-05-01 2010-10-12 Microsoft Corporation Loading application resources
US7941741B1 (en) * 2006-07-11 2011-05-10 Juniper Networks, Inc. Dynamically manipulating content to force web browsers to open more connections
US8421747B2 (en) 2008-09-24 2013-04-16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detection and user settings
EP2435898A4 (en) * 2009-05-27 2015-08-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US20110060923A1 (en) * 2009-09-05 2011-03-10 Hoffer Cary J Port Power Control
CN102339031B (zh) * 2010-07-27 2013-12-25 深圳市合信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子程序调用的方法、装置及plc控制系统
KR101773190B1 (ko) 2010-12-13 2017-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5038649A (ja) * 2010-12-24 2015-02-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US8723934B2 (en) * 2011-06-27 2014-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Projected user interface onto the surface of an appliance
CN102902303A (zh) * 2011-07-28 2013-0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计算机
WO2013038605A1 (ja) * 2011-09-13 2013-03-2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gui配置シミュレータ、およびgui配置設定支援方法
CN103248931B (zh) * 2012-02-14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遥控器及生成控制信号的方法
JP5422723B1 (ja) * 2012-10-26 2014-0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89223B2 (ja) 2013-02-21 2016-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
JP2015102596A (ja) * 2013-11-21 2015-06-0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の駆動装置
US10366376B2 (en) * 2015-09-02 2019-07-30 Kenneth L. Sherma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y-as-you-go pre-paid professional services
CN105426151A (zh) * 2015-12-17 2016-03-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图案更换装置及方法
US11435888B1 (en) * 2016-09-21 2022-09-06 Apple Inc. System with position-sensitive electronic device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948A (en) * 1987-09-15 1991-09-03 Donald A. Streck Television local wireless transmission and control
MY104831A (en) * 1989-01-27 1994-06-30 Sharp Kk Memory remote control device.
US5282028A (en) * 1990-11-27 1994-01-25 Scientific-Atlanta, Inc. Remote control for digital music terminal with synchronized communications
KR100318330B1 (ko) * 1991-04-08 2002-04-22 가나이 쓰도무 감시장치
USRE38600E1 (en) * 1992-06-22 2004-09-28 Mankovitz Ro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formation relating to radio television programs
JP2751773B2 (ja) 1992-12-28 1998-05-1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の管理装置
JPH06290091A (ja) 1993-04-06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造化ファイルシステムのディレクトリ操作システム
JP3022706B2 (ja) 1993-07-13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形状分類装置
US5883680A (en) * 1995-10-02 1999-03-16 Innoventions, Inc.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receiver with locator feature or the like
US6141688A (en) * 1995-10-16 2000-10-31 Nec Corporation Broadcast search for available host
CN2264449Y (zh) * 1995-10-29 1997-10-08 史耀华 一种显示装置
US6011546A (en) * 1995-11-01 2000-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ing structure for user interfaces
JP3359236B2 (ja) * 1996-09-25 2002-12-24 株式会社アクセス インターネットユニット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
JPH10207671A (ja) * 1997-01-27 1998-08-07 Canon Inc 外字データ登録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6323864B1 (en) 1997-06-30 2001-11-27 Sun Microsystems, Inc. Using and accessing information from fonts in multiple formats
JPH1141363A (ja) 1997-07-22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システム
JP4328997B2 (ja) * 1998-06-23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
US20010011953A1 (en) * 1998-08-07 2001-08-09 Peter Rae Shintani Configurable remote control unit using a removable memory device
KR100275744B1 (ko) * 1998-09-18 2000-12-15 윤종용 그래픽 및 문자 혼용 lcd 구동 ic
JP4142175B2 (ja) 1998-10-20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6490490B1 (en) * 1998-11-09 2002-12-03 Olympus Optical Co., Ltd. Remot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JP4569790B2 (ja) 1998-11-20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221128C (zh) * 1998-11-25 2005-09-2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显示器一体化电路控制方法
JP2000207261A (ja) 1999-01-18 2000-07-28 Nec Corp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US6882712B1 (en) * 1999-01-22 2005-04-19 Pointse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n applianc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JP2001005584A (ja) 1999-06-18 2001-01-12 Nec Information Service Ltd マルチウインドウ表示装置
JP3659079B2 (ja) * 1999-08-06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の駆動回路、電気光学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3994365B2 (ja) * 1999-09-03 2007-10-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憶媒体
US6404861B1 (en) * 1999-10-25 2002-06-11 E-Cell Technologies DSL modem with management capability
JP3978562B2 (ja) * 1999-11-08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スタマディスプレイ装置
TW456112B (en) * 1999-12-10 2001-09-21 Sun Wave Technology Corp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with touch screen display
US20010005830A1 (en) * 1999-12-27 2001-06-28 Tadashi Kuroyanagi Information medium with respect to food and drink, health control terminal and health control support system
US20030099456A1 (en) 2000-01-06 2003-05-29 Nikon Corporation & Nikon Technologies Inc. Image recorder
JP2001197412A (ja) 2000-01-06 2001-07-19 Nikon Gijutsu Kobo:Kk 録画装置
JP3837002B2 (ja) 2000-01-28 2006-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および機器制御装置
US6615109B1 (en) * 2000-02-10 2003-09-0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ction of an automatic apparatus
EP1282055A4 (en) * 2000-03-09 2009-08-12 Kitagawa Yoshik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OPTICAL DATA READER, SERVER AND METHOD FOR THE ELECTRONIC COMMERCIAL
US6839903B1 (en) * 2000-03-24 2005-01-04 Sony Corporation Method of selecting a portion of a block of data for displa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TWI267049B (en) * 2000-05-09 2006-11-21 Sharp Kk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6371121B1 (en) * 2000-05-17 2002-04-16 O.R. Solutions, Inc. Remote controlled therm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remotely to thermally treat sterile surgical liquid
JP3921036B2 (ja) * 2000-06-15 2007-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システムおよび電子レンジ
US7224370B1 (en) * 2000-08-16 2007-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mong embedded devices using visual images
US7319992B2 (en) * 2000-09-25 2008-01-15 The Mis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02135704A (ja) * 2000-10-24 2002-05-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653926B2 (en) * 2000-12-29 2010-0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device with event notifier
FI111494B (fi) * 2001-06-29 2003-07-31 Nokia Corp Langaton käyttöliittymän laajennus
AU2002334708A1 (en) * 2001-10-01 2003-04-14 Kline And Walker, Llc Pfn/trac system faa upgrades for accountable remote and robotics control
JP3901975B2 (ja) * 2001-10-01 2007-04-04 株式会社ノーバス 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630800B2 (en) * 2002-01-04 2003-10-07 Hugewin Electronics Co., Ltd. Remote-control device of lamp series control box
AU2003211901A1 (en) * 2002-02-19 2003-09-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electronic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terminal, host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040125074A1 (en) * 2002-12-31 2004-07-01 Chin-Shu Lin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US7202799B2 (en) * 2004-09-07 2007-04-10 Inventec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US7631270B2 (en) * 2005-09-16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and wireless status in a notification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1785A1 (en) 2003-08-28
JP4627308B2 (ja) 2011-02-09
CN101247458A (zh) 2008-08-20
CN1633803A (zh) 2005-06-29
US20050162422A1 (en) 2005-07-28
TWI276333B (en) 2007-03-11
CN101247458B (zh) 2011-01-05
KR20070086347A (ko) 2007-08-27
KR100794241B1 (ko) 2008-01-11
JP4034269B2 (ja) 2008-01-16
KR100831628B1 (ko) 2008-05-22
JPWO2003071785A1 (ja) 2005-06-16
AU2003211901A1 (en) 2003-09-09
CN100380918C (zh) 2008-04-09
US8031196B2 (en) 2011-10-04
TW200406109A (en) 2004-04-16
JP2008027455A (ja)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308B2 (ja) データ伝送方法、情報端末装置、ホスト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1976482B (zh) 一种车载仪表屏和中控娱乐屏的双屏交互系统及方法
US6154210A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button interface compatibility in touch-screen equipped digital imaging device
US76174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762038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4216327B2 (ja)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情報表示の管理システム
US8627217B2 (en) Window display system, window display metho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and server device
US20090184924A1 (en) Projection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Program, Projection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US20090096939A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KR20030070685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매체
US20120254748A1 (en) Host device to install driver and method thereof
JPH0863135A (ja) 情報処理装置
CN102203712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910522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7533448A (zh) 图像输出控制方法、图像输出控制程序以及显示装置
US8970604B2 (en) Stat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state display device
CN112631536A (zh) 一种能源控制器lcd液晶显示控制系统及方法
WO2014081020A1 (ja) 表示操作器及び画面パターン情報更新システム
CN111580816B (zh) 基于交互式图形软件的智能平板终端
JP2007072994A (ja) 情報処理装置、ui制御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8936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2297382A (ja) エディタ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2215129A (ja) 画面データ作成装置、画面データ作成方法、画面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47633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069687A (ja) 画像形成装置、表示装置、表示画面切り換え方法、及び表示画面切り換え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