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360A -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360A
KR20040080360A KR1020040016195A KR20040016195A KR20040080360A KR 20040080360 A KR20040080360 A KR 20040080360A KR 1020040016195 A KR1020040016195 A KR 1020040016195A KR 20040016195 A KR20040016195 A KR 20040016195A KR 20040080360 A KR20040080360 A KR 20040080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glass crack
adhesive layer
film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801B1 (ko
Inventor
히에다요시히로
아카다유조
호소카와도시츠구
미야유키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2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719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65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73462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6Substr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는 동적저장탄성율 G'가 20℃에서 1×107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및 그 위에 적층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을 갖는다. 특히,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은 편광판 또는 이 편광판과 다른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는 0.1 내지 5㎜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의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은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안쪽에 있도록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액정 표시 장치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 등의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을 이용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이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이용한 액정 표시 방법 및 장치(LC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062828 호 및 제 2003-416530 호에 기초한다.
종래 액정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의 최외면이 되는 유리 기판의 반대면에 편광 소자를 배치하는 화상 형성 방식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편광판)은 액정 패널의 각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편광 필름 이외에, 다양한 광학 소자가 디스플레이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액정 표시 패널의 각 면에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착색 방지용 위상차 필름,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한 휘도 향상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필름을 총칭하여 "광학 필름"이라 부른다.
이러한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표면에 접착시킬 때 일반적으로 점착제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를 광학 필름의 표면에 마련하여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최외면에 즉시 고정시킬 수 있고, 광학 필름을 고정시키기는데 임의의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을 갖기 때문에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표면에 접착시킨다.
점착제는 가열, 가습 등의 내구성 시험에서 점착제로 인한 임의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응력완화성 및 재박리성 등의 성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로 인해 생기는 광학 얼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응력완화성이 요구된다. 광학 필름이 액정 패널 표면의 잘못된 위치에 점착된 경우 또는 이물질이 광학 필름과 액정 패널 사이에 박혀 있는 경우 액정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재박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재박리되고 재이용될 수 있는 광학 부재(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00-9937 호 참조), 및 착색 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응력완화성 및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 시트(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00-109771 호 참조)가 제안되었다. 또한, 액정 패널과 투명 보호판 사이에 삽입된 점착성 수지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시인성이 뛰어난 장치로서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4-75213 호 참조). 그러나, 이들 제안에는 내충격성 및 신뢰성에 관한 기재는 특별히 없었다.
한편, 표시 패널 및 보호 패널을 적어도 1층 이상의 투명 점착제를 통해 밀착한 화상 표시 장치(PDP, LCD)가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03-29644 호 참조). 이 제안에는 내충격성이 뛰어나다는 기재는 있었지만 LCD 표시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나 액정 광학 필름의 신뢰성에 관한 기재는 특별히 없었다.
전술한 제안에는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의 균열 방지에 관한 기재는 없었다. 유리 가판은 직경이 50㎜이고 중량이 약 500g인 강철구를 10㎝의 높이로부터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력(0.5J), 또는 진자 방식이나 스프링 충격 해머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와 같은 충격력에 의해 쉽게 깨진다. 이 때문에 액정에 누출이 생겨 표시가 불완전해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제안에는 패널이 0.5J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광학 필름이 내충격성을 갖고, 광학 필름과 패널 사이에 임의의 기포없이 광학 필름을 패널에 접착시킬 수 있다는 기재는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은 여전히 신뢰성 면에서 불충분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이 가열, 가습 등의 내구성 시험에서 박리되거나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외부 충격으로 인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뢰성이 뛰어난 점착제-함유 광학 부재, 및 점착제-함유 광학 부재를 이용한 액정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범위의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갖는 점착제가 광학 필름에 마련되는 방식으로 제조된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을 상기 점착제가 내향하도록 액정 패널의 적어도 시인측에 접착시킬 때, 편광판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 필름을 액정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광학 필름에 의해 액정 패널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유리 기판의 균열을 막기에는 곤란하던 0.5J 이상의 외부 충격력이 액정 패널에 가해지더라도 유리 기판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일면에 적층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이 편광판, 또는 편광판 및 이와 다른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전술한 구성의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가 0.1 내지 5㎜인 전술한 구성의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 균열 방지점착제층이 재박리성을 갖는 전술한 구성의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 패널, 및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의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안쪽에 있도록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표면에 밑칠층을 통해 특정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마련하고,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위에 표면처리 필름을 마련한 적층 구조를 상기 표면처리 필름이 최외면이 되도록 점착제를 통해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할 때, 내충격성에 의해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0.5J 이상의 충격력을 받더라도 깨어지지 않게 방지되고, 가열, 가습 등의 내구성 시험에서 박리, 발포, 들뜸 등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 및 밑칠층이 사이에 있고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 이상인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일면에 마련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제공한다. 표면처리 필름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은 편광판, 또는 편광판 및 이와 다른 광학층의 복합체로 이루어진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0.1 내지 3㎜의 두께를 갖는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극성기를 함유한다. 밑칠층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 이민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표면처리 필름이 최외면이 되도록 상기 정의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점착제를 통해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하되, 이 상태로 액정 표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정 패널, 및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표면처리 필름이 최외면이 되도록 점착제를 통해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한 상기 정의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일면에 밑칠층을 통해 마련된 적층 구조로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내충격에 대해 충분한 충격완화성을 갖고, 내구성이 뛰어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표면처리 필름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이용한 액정 표시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을 액정 패널에 장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액정 패널에 장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C: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
1: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2: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
3: 박리 필름 4: 액정 패널
5: 액정셀 6: 액정 표시 장치
10,11: 점착제층 20: 편광판
21: 편광자 22: 보호 필름
23: 위상차판
이하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로서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A)은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일면에 적층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및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다른면에 접착된 박리가능한 필름(3)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은 편광자(21) 및 편광자의 반대면에 위치한 보호 필름(22, 22)의 적층체인 편광판(20)으로 이루어진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은 일반적으로 광투과율이 60% 이상으로 양호한 투명성을 나타내고,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 이하, 바람직하게는 7×106내지 1×103Pa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동적저장탄성율 G'가 상기 언급한 범위내에 있으면 외부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완화시켜 액정 패널의 유리가 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보다 크면, 외부 충격 완화성이 떨어져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예를 들어 0.5J 이상의 외부충격력에서 깨지게 될 것이다. 또한,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3Pa 보다 적으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2)이 너무 부드러워 시트화 공정에서 펀칭 또는 커팅시 가공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의 사출시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재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점착제층(1)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경화 필름을 통해 두께가 50㎛ 이하인 얇은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충격완화력이 저하되어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손상되기 때문에 안정상의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시차의 관점에서 화상 열화의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은 적절한 점착성을 가져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A)을 액정 패널에 직접 접착할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점착성은 90°의 박리 점착력에서 일반적으로는 0.5N/25㎜ 폭 이상, 바람직하게는 1.0N/25㎜ 폭 이상인 것으로 선택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은 재가공성의 관점에서 점착제-함유 광학 필름(A)이 접착 후 용이하게 재박리될 수 있도록 재박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재박리성은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을 80℃에서 40일간 방치한 후 90°의 박리 점착력에서 10N/25㎜ 폭 이하, 바람직하게는 8N/25㎜ 폭 이하인 것으로 선택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물질 조성은 상기 언급한 특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 점착제로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점착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열가교형, 광(자외선 또는 전자선) 가교형 등일 수 있다. 투명성이나 내구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언급한 범위의 투명성 및 동적저장탄성율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를 아크릴계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무기 충전제 등을 함유한 복합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학 특성 및 내열성과 같은 물성을 개질시키기 위해 상기 주성분과 공중합가능한 개질용 단량체를 주성분에 첨가한다. 이들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를 수득한다. 필요에 따라, 중합체를 적절히 가교하여 중합체의 점착성(재박리성) 및 내열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한 직쇄 또는 분지쇄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이들 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개질용 단량체의 예로는 하이드록시기-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아크릴레이트;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 산 무수물-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 설폰기-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설포네이트, 알릴 설포네이트,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포네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 설포네이트, 설포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및 인산기-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개질용 단량체의 예로는 추가로 (N-치환) 아미드계 단량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프로판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 알킬 아미노알킬 에스테르계 단량체,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알콕시 알킬 에스테르계 단량체, 예를 들어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및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 숙신이미드가 포함된다.
다른 개질용 단량체의 예로는 비닐계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N-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폴린, N-비닐카복실산 아미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N-비닐카프로락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폭시기-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콜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개질용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양이 6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의 범위이고, 개질용 단량체의 양이 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서로 혼합할 수도 있다. 이들 성분들을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사용할 때 유리 균열 방지 접착제로서 충격 완화성이 우수한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한 방법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량체 또는 상기 언급한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중합방식, 유화중합방식, 벌크상중합방식, 현탁중합방식 등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할 수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방식에 따라 중합 개시제로서 열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 등의 적절한 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는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의 일면에 밑칠층(106)을 통해 마련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에 마련된 표면처리 필름(101) 및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의 다른면에 점착제층(104)을 통해 마련된 박리가능한 필름(105)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은 편광자(131)를 갖는 편광판(130), 및 편광자(131)의 반대면에 위치한 보호 필름(132)으로 이루어진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은 일반적으로 광투과율이 60% 이상으로 양호한 투명성을 나타내고,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 이하, 바람직하게는 7×106내지 1×103Pa일 필요가 있다. 동적저장탄성율 G'가 상기 언급한 범위내에 있으면 외부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완화시켜 액정 패널의 유리가 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7Pa보다 크면, 외부 충격 완화성이 떨어져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예를 들어 0.5J 이상의 외부 충격력에서 깨지게 될 것이다.또한, 동적저장탄성율 G'가 1×103Pa 보다 적으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이 너무 부드러워 시트화 공정에서 펀칭 또는 커팅시 가공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의 사출시 문제를 일으킨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충격완화력이 저하되어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손상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시차의 관점에서 화상 열화의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의 물질 조성은 상기 언급한 특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 점착제로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점착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열가교형, 광(자외선 또는 전자선) 가교형 등일 수 있다. 투명성이나 내구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언급한 범위의 투명성 및 동적저장탄성율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를 아크릴계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무기 충전제 등을 함유한 복합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일반적으로, 상기 주성분과 공중합가능한 개질용 단량체를 주성분에 첨가한다. 이들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를 수득한다. 필요에 따라, 중합체를 적절히 가교하여 내열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의 알킬기를 함유한 직쇄 또는 분지쇄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산무수물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설폰기 또는 인산기와 같은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개질용 단량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단량체가 주성분과 공중합되어 극성기가 중합체에 함유된 경우, 밑칠층을 통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에의 중합체의 점착성은 개선될 수 있다. 극성기-함유 단량체의 양을 단량체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중량%의 범위내에서 선택하여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이 포함된다. 산 무수물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이 포함된다. 에폭시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아미노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아미드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프로판 (메트)아크릴아미드가 포함된다.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설포네이트, 알릴 설포네이트,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포네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 설포네이트, 설포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 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인산기-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가 있다.
극성기-함유 단량체 이외에, 임의의 종류의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를 개질용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예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N-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폴린, N-비닐카복실산 아미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메트)아크릴로니트릴,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 숙신이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될 수 있는 개질용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양이 6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중량%의 범위이고, 개질용 단량체의 양(다른 단량체로서 극성기-함유 단량체 및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총량)이 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서로 혼합할 수도 있다. 이들 성분들을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사용할 때 밑칠층을 통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에의 중합체의 점착성이 우수해져 충격 완화성이 우수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를 수득할 수 있다.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한 방법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성분 및 극성기-함유 단량체를 함유한 개질용 단량체의 혼합물로서 2종 이상의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중합방식, 유화중합방식, 벌크상중합방식, 현탁중합방식 등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 열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 등의 적절한 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아세토페논 화합물, 예를 들어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 (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α-하이드록시-α,α'-디메틸아세토페논, 메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 벤조인 에테르 화합물, 예를 들어 벤조일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 메틸 에테르; α-케톨 화합물, 예를 들어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케탈 화합물, 예를 들어 벤질 디메틸 케탈;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2-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 광활성화된 옥심 화합물, 예를 들어 1-페논-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및 벤조페논 화합물,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 벤조에이트 및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이 포함된다.
열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유기 퍼옥사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퍼벤조에이트,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 퍼옥사이드 및 디아세틸 퍼옥사이드; 및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레이트),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및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이 포함된다.
사용된 중합 개시제의 양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단량체 100중량부 당 0.005 내지 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는 0.005 내지 1중량부, 특히 0.05 내지 0.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이 너무 적으면 광중합 개시 후 다량의 미반응 단량체가 잔존하여 접착계면에서 기포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광중합 개시동안 광중합 개시제가 잔존하여 황변(yellowing) 등을 일으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이유로, 열중합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는 0.01 내지 5중량부, 특히 0.05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중합반응이 수행될 때 충격력 완화 부재의 응집력을 높여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가 가교제(내부가교제)로서 작용하도록 분자내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중합 개시제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사용된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단량체 100중량부 당 일반적으로는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으로 선택된다. 3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양으로 선택된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이 너무 적으면 광중합후 가교도가 너무 낮아져 결합계면에서 기포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이 너무 많으면 점착력이 낮아져 스웰링 등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중합 반응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을 사용한 광중합방식 또는 열중합방식에 의해 수행된다. 점착 시트로의 가공성, 점착 물성 등의 관점에서 광중합 방식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중합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치환된 산소가 없는 분위기하에서, 또는 자외선 투과 필름으로 피복시켜 공기로부터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중합 방식에 사용되는 자외선은 파장 범위가 약 180 내지 460㎚인 전자방사선이다. 상기 언급한 파장 범위보다 장파장 또는 단파장인 전자방사선도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원으로서 수은 아크 램프, 탄소 아크 램프,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금속 할라이드 램프, 케미칼 램프 또는 블랙라이트 램프 등의 조사 장치가 사용된다.
자외선의 강도는 피조사체까지의 거리 및 가해진 전압을 조절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조사시간(생산성)의 경제적인 측점에서 0.5 내지 10J/㎝2의 적산 광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가 0.2㎜ 이상인 경우, 중합열에 의해 점착제층이 꾸불꾸불해질 수도 있다. 광중합시 액체 질소 증기로 냉각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물결을 억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사용된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그밖의 점착제이건 간에 상기 점착제층에 투명성이 양호한 가소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할 수 있다. 이 가소제의 양은 아크릴계 중합체와 같은 기본 중합체 100중량부 당 일반적으로는 5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가소제의 예로는 프탈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헵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부틸벤질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및 부틸 프탈릴 부틸 글리콜레이트; 아디프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 및 디부톡시에틸 아디페이트; 세바크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디부틸 세바케이트 및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인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 포스페이트 및 크레실 페닐 포스페이트; 지방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디옥틸 세바케이트 및 메틸 아세틸리시놀리에이트; 에폭시계 화합물, 예를 들어 디이소데실-4,5-에폭시 테트라하이드로프탈레이트; 트리멜리트산계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부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n-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및 트리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그밖의 화합물, 예를 들어 부틸 올레에이트, 염소화 파라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폴리부텐 및 폴리이소부틸렌이 포함된다.
필요한 경우, 근적외선(800 내지 1100㎚의 파장 범위) 또는 네온광(570 내지 590㎚의 파장 범위)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착색 물질,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천연 또는 합성 수지류, 아크릴계 올리고머, 유리 섬유 또는 유리 비즈 등의 적합한 첨가제를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광확산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미립자를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첨가할 수도 있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투명 수지나 고무 성분으로서 고분자 화합물, 및 상기 고분자 화합물에 분산된 유기 층상 점토 광물을 함유한 복합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기 층상 점토 광물이 고분자 화합물에 분산가능하고, 복합 재료가필름으로 성형가능한 것이면 고분자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가 6×106Pa 이하(실제로는 1×105내지 1×103Pa의 범위)인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면 외부 충격을 잘 완화시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의 예로는 고무계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고무, 폴리에스테르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천연 고무 및 부틸계 고무가 포함된다. 이들 재료 중에서 내열성, 내습신뢰성, 투명성, 가공성, 유기 층상 점토 광물에 대한 친화성 면에서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이 특히 유용하다.
도 5에 나타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에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즉, 편광판(130)의 보호 필름(132)) 및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 사이의 점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밑칠층(106)을 마련함으로써 80℃에서의 내열 시험 및 60℃ 및 90% 상대습도에서의 내습열 시험에서 들뜸, 박리, 발포 등의 불량을 피할 수 있다.
밑칠층 재료의 예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를 들어 2,4- (또는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노보넨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틸렌-이민 화합물이 포함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은 점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에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에 마련된 표면처리 필름(101)은 투명성, 기계 강도, 내열성 등이 뛰어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 필름이 최외면측, 즉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은 적합한 표면처리, 예를 들어 경화 피막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섬광 방지 처리, 끈적임 방지 처리, 확산 처리, 반산 방지 및 섬광 방지 처리, 대전 방지 처리, 오염 방지 처리가 실시된 필름으로서 마련된다.
플라스틱 필름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셀룰로즈계 중합체, 예를 들어 디아세틸 셀룰로즈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아크릴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가 포함된다.
플라스틱 필름 재료의 예로는 추가로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비닐 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및 이들 중합체의 블렌드가 포함된다.
이들 필름 재료 중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셀룰로즈계 중합체(예: 디아세틸 셀룰로즈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및 에폭시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이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상기 패널을 보호하도록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플라스틱 필름은 단일층 또는 여러층의 적층체일 수 있다. 필름의 내면측, 즉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부착되는 면에 점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코로나 처리 또는 실온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처리면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로 직접 피막시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액정 패널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의 최외면측에 표면처리 중에서 경화 피막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경화 피막 처리는, 경도 및 미끄럼 특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의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경화 피막을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외광이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 방지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 처리는 종래 기술에 따라 반사 방지 필름을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 외광의 반사에 의해 편광판을 통해 투과된 광의 시인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섬광 방지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팅법(Sandblasting) 또는 엠보싱법(embossing)을 사용한 표면의 소면화 방식 또는 투명 미립자 혼합 방식 등의 적합한 방식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구조를 부여함으로써 섬광 방지 처리를 수행한다. 섬광 방지 처리는 또한 편광판을 통해 투과된 광을 확산시켜 시야각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시야각 확대 기능 등을 갖음)을 생성하는 처리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미세 요철구조의 부여방식에 있어서 투명 미립자로서 평균 입경이 0.5 내지50㎛인 미립자를 사용한다. 투명 미립자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의 무기계 미립자; 및 유기계 미립자가 포함된다. 사용되는 투명 미립자의 양은 미세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수지 100중량부 당 일반적으로는 2 내지 50중량부, 특히 5 내지 2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도 1의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A)에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표면에 적층시킨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은 편광자(21) 및 편광자(21)의 반대면에 위치한 보호 필름(22, 23)의 적층체인 편광판(2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의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에서, 밑칠층(106)을 통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이 마련된 면을 갖는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은 편광자(131), 편광자의 반대면에 위치한 보호 필름(132)을 포함하는 편광판(130)으로 이루어진다.
편광자(21, 131)의 예로는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폴리비닐 알콜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 부분적으로 정형화된 폴리비닐 알콜 필름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누화 필름에 흡착시키고, 친수성 고분자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제조된 필름; 및 탈수된 폴리비닐 알콜 또는 탈염화수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의 폴리엔의 배향 필름이 포함된다.
보호 필름(22, 22, 132, 132) 각각의 재료로서 투명성, 기계 강도, 열 안정성, 수분차폐성 및 등방성이 뛰어난 재료가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22, 22, 132, 132) 각각의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셀룰로즈계 중합체, 예를 들어 디아세틸 셀룰로즈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아크릴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가 포함된다.
보호 필름(132, 132) 각각의 재료의 예로는 추가로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계 중합체;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예를 들어 나일론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중합체; 비닐 알콜계 중합체; 비닐 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및 이들 중합체의 블렌드가 포함된다.
특히, 셀룰로즈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보호 필름(22, 22, 132, 132) 각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보호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점착제, 폴리비닐 알콜 점착제, 젤라틴 점착제, 비닐 라텍스 점착제, 워터 타입 프로에스테르 점착제 등은 보호 필름(22, 132) 각각을 편광자(21, 131)에 접착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예는 보호 필름(22, 22, 132, 132)을 편광자(21, 131)의 반대면에 마련하여 편광판(20, 130)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보호 필름(22,132)을 편광자(21, 131) 일면에 마련하여 편광판(20, 130)을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보호 필름(22, 22)의 노출면(22) 측에 경화 피막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끈적임 방지 처리, 확산 처리, 섬광 방지 처리, 반사 방지 및 섬광 방지 처리, 대전 방지 처리, 오염 방지 처리 등의 적절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다르게는,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 또다른 필름을 보호 필름의 노출면(22) 측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경화 피막 처리는 광학 필름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경도 또는 미끄럼 특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와 같은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경화 필름을 필름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식에 의해 경화 피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외광이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 처리는 공지된 반사 방지 필름의 형성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섬광 방지 처리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 광학 필름을 통해 투과된 광의 시인성이 외광의 반사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팅법 또는 엠보싱법을 사용한 필름 표면의 소면화 방식 또는 투명 미립자 혼합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구조를 부여함으로써 섬광 방지 처리를 수행한다. 섬광 방지 처리는 또한 편광 필름을 통해 투과된 광을 확산시켜 시야각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시야각 확대 기능 등을 갖음)을 생성하는 처리로서도 작용할 수도 있다.
미세 요철구조의 부여방식에 있어서 투명 미립자로서 평균 입경이 0.5 내지 50㎛인 미립자를 사용한다. 투명 미립자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의 무기계 미립자; 및 유기계 미립자가 포함된다. 사용되는 투명 미립자의 양은 미세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수지 100중량부 당 일반적으로는 2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도 1 및 5는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이 단일 광학층으로서 편광자(21, 131)를 사용한 편광판(20, 130)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이 편광판(20, 130) 및 또다른 광학층을 포함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6은 후자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2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B)을 나타낸다. 도 2 및 6에서, 위상차판(23, 133)을, 특히 도 6의 점착제층(107)을 통해 편광자(21, 131) 및 보호 필름(132, 132)을 포함한 편광판(20, 130)에 추가로 적층시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을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으로서 형성한다. 다른 구성 요소는 도 1 및 5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도 1 및 5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이중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도 1 및 5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지칭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기 위해 편광판에 위상차판을 추가로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을 사용한다. 직선 편광을 원형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형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기 위해 위상차판으로서 특히 1/4파장판(λ/4판)을 사용한다.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1/2파장판을 사용한다.
타원형 편광판은 STN형 액정 표시 장치의 복굴절에 의해 생긴 착색을 보상하여 착색이 없는 단색 표시를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3차원 굴절률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 생기는 착색을 보상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제어될 수 있다. 원형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화상 컬러 표시를 위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상의 화상의 색조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원형 편광판은 또한 반사 방지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23, 13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위상차판(23, 133) 재료의 예로는 공지된 고분자 소재를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제조한 복굴절성 필름; 액정 중합체의 배향 필름; 및 액정 중합체의 배향층이 지지된 필름이 포함된다. 위상차판(23, 13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위상차판(133)의 두께는 20 내지 150㎛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위상차판(23, 133)은 다양한 종류의 파장판 및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발생되는 착색의 시야각을 보상할 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위상차판(23, 133)은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위상차판(23, 133)은 2종 이상의 위상차판의 적층체로서 마련되어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1장의 액정 패널에 대해 2장의 편광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이 경우, 액정 패널과 양 편광판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위상차판을 1장 또는 여러장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태양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을 편광판 및 위상차판의 적층제로 이루어진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으로서 형성한 경우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사판, 반투과 반사판, 시야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광학층 중에서 선택된 1층 또는 2층 이상을 편광판에 별도의 광학층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용으로 적층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3)의 예로는 편광판 및 반사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반사형 편광판; 편광판 및 반투과 반사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 및 시야각 보상 필름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광폭 시야각 편광판;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의 적층체; 이들 판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판의 조합; 반사형 편광판 및 위상차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반사형 원형 편광판; 및 반투과형 편광판 및 위상차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반투과형 타원형 편광판이 포함된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 및 반사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반사형 편광판은 시야각(표시측)으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형을 갖는다. 백라이트 광원과 같은 내장형 광원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형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보호 필름을 통해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제작 방식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 기술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별도의 필름에 반사층을 마련한 반사 시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사층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사층의 반사면이 보호 필름, 편광자 등으로 피복된 상태로 반사형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 방지,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 별도의 보호 필름의 부설 회피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광을 반사시키고 투과시킬 수 있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등의 반투과형 반사층으로서 상기 언급한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수득될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액정셀의 이면측에 마련되어,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는 시야각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투과형 편광판에 의해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이면측에 포함된 백라이트 등의 내장형 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유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시야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수직이 아니라 약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마련된다. 시야각 보상 위상차판의 예로는, 위상차 필름, 액정 중합체의 배향 필름 및 투명 기판에 액정 중합체의 배향층이 마련된 것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일축 연신되어 복굴절을 갖는 중합체 필름이 사용된다.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서 이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이축 연신되어 복굴절을 갖는 중합체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일축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어 굴절률이 두께 방향으로 제어되는 복굴절을 갖는 중합체 또는 그래디언트 배향 필름 등의 이축 연신 필름이 사용된다.
구배 배향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 기술에 의해 제작되는 구배 배향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시인성 면에서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기 위해 액정 중합체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discotic) 액정 중합체의 구배 배향층으로 이루어진 광학 이방성 층이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광학 보상 위상차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의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액정셀의 이면측에 마련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자연광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이면측으로부터 반사되어 휘도 향상 필름에 입사될 때,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형 편광 등의 광의 일부는 반사시키지만 광의 다른 일부는 투과시키는 특성을 나타낸다.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의 적층체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적층체에 입사될 때, 광의 일부는 소정의 편광 상태로 투과시키지만 광의 다른 일부는 다른 상태로 반사시킨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 표면에 의해 반사된 광은 이면측에 마련된 반사층 등에 의해 방향이 추가로 반전되어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상기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의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한 광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적층체는 편광자에 흡수될 수 없는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광량의 증대를 달성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킨다.
휘도 향상 필름 및 반사층 사이에 확산판을 마련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반사된 편광은 반사층을 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확산판은 편광이 확산판을 통과할 때 편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킨다. 이와 동시에 확산판은 편광상태를 해소하여 편광을 비편광으로 전환시킨다. 즉, 확산판은 편광을 본래의 자연광으로 되돌린다. 비편광상태, 즉 자연광상태의 광은 반사층 등을 향해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광은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된다. 이 과정이 반복된다.
편광을 본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휘도 향상 필름 및 반사층 등 사이에 확산판을 전술한 방식으로 마련한 경우 표시화면의 밝음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화면의 밝음의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확산판을 마련한 경우 최초 입사광의 반복되는 반사 횟수를 적절히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더불어 반복되는 반사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균일하고 밝은 표시 화면을 얻을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 임의의 적절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필름의 예로는,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은 소정의 편광축으로 직선 편광은 투과하지만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필름; 및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중합체의 배향 필름이나 상기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상에 지지한 필름과 같은 왼방향 또는 오른방향 원형 편광은 반사하지만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필름이 포함된다.
따라서, 소정의 편광축으로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유형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편광축을 소정 축과 일치되게 하면서 휘도 향상 필름을 통과한 광을 편광판에 그대로 입사시킬 경우, 편광판으로 인한 흡수 손실이 억제되면서 상기 광이 편광판을 통해 효과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형 편광을 투과시키는 유형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원형 편광을 편광자에 그대로 입사시킬 수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원형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직선 편광을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판으로서 1/4파장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범위에서 1/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550㎚ 파장의 단색광에 대해 l/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 및 상기 위상차판과는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판, 예를 들어 550㎚ 파장의 단색광에 대해 1/2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배치된 위상차판은 1층의 위상차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의 적층체로서 마련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또한 반사 파장이 상이한 2층 또는 3층 이상의 층의 조합을 갖는 적층 구조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범위에서 원형 편광을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넓은 파장 범위에서 투과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근거한 원형 편광을 얻을 수 있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이 도 2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20,130) 및 위상차판(23, 133)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복합체 필름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거나, 전술한 각종 복합 필름 중에서 선택된 또다른 복합 필름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을 때, 각 광학 층들을 적층시키기 위해 적절한 점착제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를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의 재질, 조성,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성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및 임의의 다른 광학층을 서로 접착시킬 때 광축을 타겟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3은, 위상차판(23)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을 통해 편광판(20)에 적층된 전술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편광판(20)은 편광자(21)의 반대면에 마련된 편광자(21) 및 보호 필름(22, 22)의 적층체이다. 이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별도의 점착제층(10)을 위상차판(23)에 마련하여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에 장착한다. 점착제층(10) 위에 박리 필름(3)을 붙인다.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C)은 본 발명의 변형예이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일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편광판(20)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을 적층시킨다. 사용되는 점착제층(10)은 일반적으로 위상차판(23)을 통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다른 면에 마련된다.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C)은 상기 층(10)을 통해 액정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각 광학층이 서로 적층된 경우 각 광학층의 광축은 목적하는 위상차 특성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다르게는, 광학층을 먼저 적층시켜 광학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형성된 광학 필름은 품질의 안정성 및 가공작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의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B)을 사용하고, 박리 필름(3)을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B)으로부터 제거한 후 액정 패널(4)의 시인측에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을 안쪽으로 하여(즉, 이 경우 상기 점착제층(1)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직접 장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광학 필름(B)이 전술한 방식으로 액정 패널(4)의 시인측에 직접 장착된 경우, 액정 패널(4)의 유리 기판은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에 의해 보호된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서 유리 균열을 방지하기에 곤란하던 0.5J 이상의 외부 충격력이 액정 패널(4)에 가해지더라도 유리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편광판(20)(편광자(21)의 반대면에 마련된 편광자(21) 및 보호 필름(22, 22)의 적층체로서 형성됨) 및 위상차판(23)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또다른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을 추가로 점착제층(11)을 통해 액정 패널(4)의 이면에 장착한다. 이 방식으로 각종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4)의 이면에 장착할 수 있다. 장착용 점착제층(1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 또는 B)(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에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편광판 20, 130)의 다른 면에 마련된 점착제층(10, 104)을 형성하여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을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 직접 접착시키는데점착제층(10, 104)의 점착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10, 104)의 조성 및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층(10, 10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0, 104)의 점착성은 90°의 박리 점착력에서 0.5N/25㎜ 폭 이상, 바람직하게는 1.0N/25㎜ 폭 이상인 것으로 선택된다. 재가공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10, 104)은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2, 103)이 접착 후 용이하게 재박리될 수 있도록 재박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0, 104)의 재박리성은 점착제층(10, 104)을 80℃에서 40일간 방치한 후 측정된 90°의 박리 점착력에서 10N/25㎜ 폭 이하, 바람직하게는 8N/25㎜ 폭 이하인 것으로 선택한다.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A) 또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에서, 박리 필름(3, 105)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 104)의 다른 면에 접착시켜 점착제층(1, 104)을 보호하고, 점착제층(1, 104)의 취급 성능을 개선시킨다. 박리 필름(3, 105)으로서 평활도, 내열성, 기계 강도 등이 뛰어난 필름을 사용한다. 공지된 박리 처리, 예를 들어 실리콘 처리, 플루오르 처리 또는 장쇄 알킬 수지 처리를 다른 층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실시한 후 상기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박리 처리 없이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박리 필름(3, 105) 소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즈계 수지, 아톤(ARTON)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가 포함된다. 취급 특성 및 하프-커트 천공가능성의 관점에서, 박리 필름(3)의 두께는 25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도 7은 박리 필름(105)을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로부터 제거한 후 도 5에 나타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를 점착제층(104)을 통해 액정 패널(109)의 시인측에 직접 장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A)를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9)의 시인측에 직접 장착할 때 상기 적층체(A)에 포함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의 기능 및 최외면에 위치한 표면처리 필름(101)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102)은 액정 패널(109)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 필름(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한 결과를 얻게 된다. 또한, 밑칠층(106)의 존재에 의해 내열 시험 또는 내습열 시험 등의 내구성 시험에서 광학 필름(103)의 박리, 발포, 들뜸 등의 불량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뛰어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뛰어난 액정 표시용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편광자(131)의 반대면에 마련된 편광자(131) 및 보호 필름(132, 132)의 적층체로서 형성된 편광판(130)으로 이루어진 또다른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103)이 추가로 점착제층(108)을 통해 액정 패널(109)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다. 각종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이면측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치를 위한 점착제층(108)은 점착제층(104)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점착제층(108)의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셀 및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과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에 도입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액정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액정 표시 장치가 마련된 경우, 확산판, 섬광 방지층, 반사 방지층,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적절한 부품을 1층 또는 2층 이상 목적하는 위치(들)에 마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을 편광판을 비롯한 각종 광학 필름의 설치가 필요한 조명 시스템과 같은 각종 장치의 제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할 것이다. 하기 기재내용에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유리 균열 점착제층의 동적저장탄성율 G'는, 동적점탄성장치(점탄성 스펙트로미터)[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Rheometric Scientific, Inc.)에 의해 제작된 "ARES 장치(ARES Rheometer)"]를 사용하여 1Hz의 주파수에서의 온도분산 측정을 수행하여 20℃에서의 동적(전단)저장탄성율 G'를 구한 것이다.
실시예 1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제작)
냉각관, 질소도입관, 온도계, 자외선조사장치 및 교반장치를 갖춘 반응용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광중합 개시제) 0.1부를 넣고 자외선조사에 의해 중합하여 8중량%의 중합율로 중합되는 중합체/단량체 혼합액을 수득했다.
그 다음, 이 혼합액 100부에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내부가교제) 0.3부,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광중합 개시제) 0.2부 및 산화방지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에 의해 제조된 "이가녹스(IRGANOX) 1010") 1부를 배합하여 광중합 조성물을 제조했다.
광중합 조성물을 1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포레이션(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에 의해 제조된 "PET SEPA MRF")에 도포했다. 상기 1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보다 박리력이 약한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PET SEPA MRN")을 광중합 조성물에 놓아 광중합 조성물을 75㎛ 두께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으로 덮었다. -15℃로 냉각하면서 자외선 램프로부터 4000mJ/㎝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하여 두께가 1㎜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20℃에서 3×104Pa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나타냈다.
(점착제 용액의 제조)
부틸 아크릴레이트 96부, 아크릴산 3.9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0.1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부 및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250부를 교반하면서 약 60℃에서 6시간동안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63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수득했다.
그 다음, 이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계 다작용성 화합물(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에 의해 제작된 "코로네이트 엘(CORONATE L)")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의 중합체 고형분 100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다작용성 화합물 O.5부의 혼합 비율로 첨가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했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제작)
두께가 80㎛인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서 5배로 연신시킨 후,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했다. 투명보호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을 점착제를 통해 편광자의 반대면에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작했다. 이 편광판의 한 면(시인측)에 경화 피막 처리 및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점착제 용액을 편광판의 다른 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두께가 25㎛인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위상차판으로서 두께가 50㎛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가네카 코포레이션(Kaneka Corp.)에 의해 제작됨)을 25㎛ 두께의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에 적층시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PET SEPA MRN)을박리한 후, 1㎜ 두께의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상기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위상차판측에 붙여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을 제조했다.
폴리에스테르계 박리 필름(PET SEPA MRF)을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의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한 후,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 붙였다. 액정 패널의 반대면(이면측)에 상기 점착제 용액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통해 다른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최하부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면에 반사 방지층의 형성을 생략하여 제조됨)의 위상차판측을 붙였다. 이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제조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 100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동적저장탄성율 G'는 20℃에서 7×104Pa였다.
실시예 3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제조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대신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98부 및 아크릴산 2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동적저장탄성율 G'는 20℃에서 5×104Pa였다.
실시예 4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제조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대신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0부 및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0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동적저장탄성율 G'는 20℃에서 3×104Pa였다.
실시예 5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를 1㎜에서 500㎛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를 1㎜에서 25㎛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를 1㎜에서 50㎛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함유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 각각에서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한 균열 방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참조하기 위해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에 이용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20℃에서의 동적저장탄성율 G' 및 그 두께를 하기 표 1에 병기했다.
(균열 방지 시험)
직경 50㎜ 및 중량 510g의 강철구를 10㎝ 높이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에 낙하시키는 조건에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또한, 강철구를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 에너지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한 결과 약 0.5J이었다:
상기 식에서, W는 강철구 중량(kgf)이고, H는 강철구가 낙하하는 높이(m)이고, A는 중력가속도(m/s2)이다.
실제로 액정 패널의 유리 균열 방지성에 대한 규격은 없지만, 사실상 0.5J 이상의 유리 균열 방지성이면 충분하다. 이 유리 균열 방지성 시험에서 유리 기판에서 균열/파손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으로 평가하고, 유리 기판에서 균열/파손이 관찰되는 경우(즉, 액정에서 흔들림이 관찰됨)를 ×로 평가했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 각각에서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액정 패널의 유리가 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1 내지 5 각각에서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는 비교예 1 또는 2에서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보다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제작)
냉각관, 질소도입관, 온도계, 자외선조사장치 및 교반장치를 갖춘 반응용기에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3.6부와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16.4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에 의해 제조된 "이가큐어(IRGACURE)-651") 0.05부와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에 의해 제조된 "이가큐어 Ir-184") 0.05부를 넣고 자외선조사에 의해 중합하여 10중량%의 중합율로 중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단량체 혼합액을 수득했다.
그 다음, 이 혼합액 100부에 가교제로서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에 의해 제조된 "이가큐어 Ir-184")을 첨가했다. 생성된 혼합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PET SEPA MRF")에 도포했다. 커버 세퍼레이터로서 작용하고 상기 1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보다 박리력이 약한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PET SEPA MRN")를 상기 혼합액에 놓아, 혼합액을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로 덮었다. -15℃로 냉각하면서 자외선 램프로부터 4000mJ/㎝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혼합액을 광중합시켜 두께가 0.4㎜인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이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은 20℃에서 1×105Pa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나타냈다.
(밑칠층의 형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니폰 폴리우레판 인더스트리즈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에 의해 제조된 "코로네이트 에이치엘")의 툴루엔 용액을 건조 후 0.5㎛의 두께가 되도록 이후에 기재될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였다. 상기 용액을 건조시켜 밑칠층을 형성했다.
(점착제층의 형성)
부틸 아크릴레이트 100부, 아크릴산 5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0.075부를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3부 및 에틸 아세테이트 250부와 함께 교반하면서 약 60℃에서 6시간동안 반응을 수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63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수득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에,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의 중합체 고형분 100부 당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작된 "코로네이트 엘") 0.6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츠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Shin-Etsu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KBM403") 0.08부를 첨가하고, 잘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했다. 점착제 용액을 박리 필름으로서 두께가 75㎛인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PET SEPA MRN")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23㎛ 두께의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편광판)의 제작)
두께가 80㎛인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서 5배로 연신시키고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작했다.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을 점착제를 통해 편광자의 반대면에 각각 적층시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으로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표면처리 필름의 제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 캄파니 리미티드(Toyobo Co., Ltd.)에 의해 제조된 "PET# 125-A4300")의 일면에 경화 피막 처리 및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반대면에 추가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이 방식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표면처리 필름을 제작했다.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제작)
편광판(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의 보호 필름의 하나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의 일면에 밑칠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반대면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밑칠층에 접착시켰다. 그 다음, 표면처리 필름의 코로나처리면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접착시켰다. 그 다음, 다른 점착층을 편광판의 다른면에서 박리 필름과 합쳐 접착시켰다. 이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제작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
박리 필름을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로부터 박리한 후,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점착제층이 안쪽을 향하도록 액정 패널의 전방면에 접착시켰다. 이에 따라, 표면처리 필름,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밑칠층, 편광판(보호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의 배열), 점착제층 및 액정 패널이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 구조를 형성했다. 편광판(보호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의 배열)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다른 점착제층을 통해 액정 패널의 이면에 적층시켰다. 이 방식으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7
밑칠층이 폴리에틸렌 이민(니폰 쇼쿠바이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Shokubai Co., Ltd.)에 의해 제조된 "에포민 피(EPOMIN P)-1000")으로 이루어져 밑칠층의 두께가 0.5㎛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8
밑칠층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점착제(실시예 6에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함)로 이루어져 밑칠층의 두께가 20㎛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실시예 9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를 1㎜(1000㎛)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두께를 25㎛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비교예 4
점착제의 단량체 조성을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3.6부 및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16.4부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비교예 5
밑칠층의 형성을 생략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3 내지 5 각각에서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하기 방법에 의한 유리 균열 방지성 시험 및 내구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유리 균열 방지성 시험)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처리 필름에 직경 50㎜ 및 중량 510g의 강철구를 상방(10㎝ 높이)에서부터 진자낙하시키는 조건에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깨지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또한, 강철구를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 에너지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한 결과 약 0.5J이었다:
수학식 1
상기 식에서, W는 강철구 중량(kgf)이고, H는 강철구가 낙하하는 높이(m)이고, A는중력가속도(m/s2)이다.
본 시험에서, 유리 기판에서 균열/파손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으로 평가하고, 유리 기판에서 균열/파손이 관찰되는 경우(즉, 액정에서 흔들림이 관찰됨)를 ×로 평가했다.
(내구성 시험)
액정 표시 장치를 내열 시험에서 80℃에서 500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를 내습열 시험에서 60℃ 및 90% 상대습도에서 500시간동안 방치하였다. 각 시험에서, 장치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했다. 각 시험에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편광판)용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및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표면처리 필름에서 박리, 발포, 들뜸 등의 불량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으로 평가하고, 박리, 발포, 들뜸 등의 불량이 관찰되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6 내지 9 각각에서 수득된 유리 균열 방지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내열 시험 및 내습열 시험 둘다에 있어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에서 박리, 발포, 들뜸 등의 불량이 없기 때문에 유리 균열 방지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 내지 5 각각에서 수득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유리 균열 방지성 또는 내구성이 열등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양태로 상세하게 기재하였지만, 이후에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바람직한 양태의 개시내용을 그 내용 일부의 조합 및 배열에 있어서 및 구조의 세부사항에 있어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이 가열, 가습 등의 내구성 시험에서 박리되거나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이 외부 충격으로 인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뛰어난 점착제-함유 광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함유 광학 부재를 이용한 액정 표시 방법 및 장치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20℃에서 1×107Pa 이하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의 일면에 적층한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이 하나의 편광판, 또는 편광판 및 이와 다른 광학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0.1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0.1 내지 3㎜의 두께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재박리성을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극성기를 함유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6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20℃에서 1×103Pa 내지 7×106Pa 범위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투명 수지나 고무 성분으로서 고분자 화합물, 및 상기 고분자 화합물에 분산된 유기 층상 점토 광물을 함유한 복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6×106Pa 이하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20℃에서 1×103Pa 내지 1×105Pa 범위의 동적저장탄성율 G'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및 상기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된 밑칠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 및 상기 액정 표시용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된 밑칠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에 마련된 표면처리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밑칠층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이민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14.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표면처리 필름을 최외면이 되게 하면서 제 12 항에 정의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점착제를 통해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하되, 이 상태로 액정 표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를 이용한 표시 방법.
  15. 액정 패널,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유리 균열 방지 점착제층이 안쪽에 있도록 상기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된 제 1 항에 정의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액정 패널,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의 표면처리 필름을 최외면이 되게 하면서 점착제를 통해 상기 액정 패널에 직접 장착된 제 12 항에 정의된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40016195A 2003-03-10 2004-03-10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748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2828A JP2004271935A (ja) 2003-03-10 2003-03-10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と液晶表示装置
JPJP-P-2003-00062828 2003-03-10
JP2003416530A JP2005173462A (ja) 2003-12-15 2003-12-15 ガラス割れ防止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3-00416530 2003-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360A true KR20040080360A (ko) 2004-09-18
KR100748801B1 KR100748801B1 (ko) 2007-08-13

Family

ID=3296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95A KR100748801B1 (ko) 2003-03-10 2004-03-10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8206B2 (ko)
KR (1) KR100748801B1 (ko)
CN (1) CN100397171C (ko)
TW (1) TWI3528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962A (ko) * 2016-01-27 2018-08-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9290A (ja) * 2004-04-26 2005-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TWI380900B (zh) * 2004-09-17 2013-01-01 Sumitomo Chemical Co 光學疊層體
US7759442B2 (en) * 2005-01-26 2010-07-20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1156193B (zh) * 2005-04-07 2011-07-27 日东电工株式会社 用于平板显示器的冲击吸收片材、其制造方法以及平板显示器
JP5283146B2 (ja) * 2005-07-01 2013-09-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0454092C (zh) * 2005-07-01 2009-01-21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液晶显示装置
JP4479692B2 (ja) * 2005-08-29 2010-06-0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90122236A1 (en) * 2005-10-21 2009-05-1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139576A1 (en) * 2005-12-21 2007-06-21 Alexander Hunt Display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JP5000940B2 (ja) * 2006-01-13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20150A1 (en) * 2006-01-31 2008-01-24 Wal Hee Kim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70081661A (ko) 2006-02-13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 장치
JP5221027B2 (ja) * 2006-02-17 2013-06-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磁波遮蔽フィルムと光学機能性フィルムとの貼合用粘着剤、及び前記粘着剤を含む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要素
US7883777B2 (en) * 2006-03-23 2011-02-08 Garware Polyester Ltd. Solar energy shielding window film laminates
EP2824653B1 (en) * 2006-07-14 2016-06-29 Dexerial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JP2008037943A (ja) * 2006-08-03 2008-02-21 Nitto Denko Corp 衝撃吸収粘着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535039B (zh) * 2006-10-04 2013-10-23 康宁股份有限公司 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TW200835597A (en) * 2006-10-30 2008-09-01 Lofo High Tech Film Gmbh Plasticizer for protective films
US20100182538A1 (en) * 2006-11-16 2010-07-22 Yoshiki Takat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824782B1 (ko) * 2006-12-18 2008-04-24 (주)파버나인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095993B2 (ja) * 2006-12-28 2012-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8176173A (ja) * 2007-01-22 2008-07-31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5401824B2 (ja) 2007-04-09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08126868A1 (ja) 2007-04-09 2008-10-23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
JP2009186957A (ja)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JP5470735B2 (ja) * 2007-04-10 2014-04-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90017298A1 (en) * 2007-07-11 2009-01-15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343391B2 (ja) * 2007-07-17 2013-11-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86962A (ja) * 2007-07-17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1743507B (zh) * 2007-07-17 2014-03-05 迪睿合电子材料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5291973B2 (ja) * 2007-07-17 2013-09-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2650340A3 (en) * 2008-10-15 2014-04-16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2460125B (zh) * 2009-04-15 2015-11-25 3M创新有限公司 防止光学耦合的光学膜
JP2010262094A (ja) * 2009-05-01 2010-11-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751996B1 (ko) * 2010-04-06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24009A1 (en) 2010-08-18 2012-02-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and thermal control blanket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8853723B2 (en) 2010-08-18 2014-10-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and thermal control blanket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R20130140710A (ko) * 2010-11-17 2013-12-24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보호판,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130128439A (ko) * 2010-12-21 2013-11-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 접착제를 갖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TWI432838B (zh) * 2011-02-25 2014-04-01 Innolux Corp 顯示器及其製造方法
JP2013020135A (ja) * 2011-07-12 2013-01-31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EP2551110B1 (en) * 2011-07-29 2014-04-23 Creator Technology B.V. Impact resistant device comprising an optical layer
KR101949561B1 (ko) 2012-10-12 2019-02-1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잔류 강도를 갖는 제품
KR101802562B1 (ko) * 2014-08-29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이를 위한 편광판용 보호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152275A1 (ja) * 2015-03-24 2016-09-29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8959B2 (ja) * 2017-06-09 2022-08-16 デンカ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08008555A (zh) * 2017-12-29 2018-05-08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钢球撞击检测lcd屏幕硬度的方法
CN107991801A (zh) * 2018-01-19 2018-05-04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的处理方法及液晶显示面板
CN113490594A (zh) * 2019-02-27 2021-10-08 富士胶片株式会社 层叠体
JP2021056306A (ja) * 2019-09-27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2021071713A (ja) * 2019-10-28 2021-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1221173B (zh) * 2019-11-06 2021-07-0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EP4101635A1 (en) * 2021-06-11 2022-12-14 Whitestone Co., Ltd. Display prot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11138D0 (en) * 1983-04-25 1983-06-02 Grace W R & Co Compositions for sealing containers
JPH0675213A (ja) 1992-08-25 1994-03-18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
EP0726485A4 (en) * 1994-06-30 1998-07-01 Son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TO PLASMA ADDRESSES
JP2000009937A (ja) 1998-06-25 2000-01-14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
JP3898357B2 (ja) 1998-09-28 2007-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JP2000109771A (ja) 1998-10-07 2000-04-18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2001266759A (ja) * 2000-03-15 2001-09-28 Nitto Denko Corp 衝撃緩和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023649A (ja) * 2000-03-15 2002-01-23 Nitto Denko Corp 透明衝撃緩和積層体と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WO2002074532A1 (fr) * 2001-03-15 2002-09-26 Mitsui Chemicals Inc. Corps lamine et dispositif d'affichage utilisant ce corps lamine
JP2002341776A (ja) 2001-05-16 2002-11-29 Nitto Denko Corp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3029644A (ja) 2001-07-19 2003-01-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用積層板及び画像表示装置のパネルに用いる透明粘着シート
JP3800125B2 (ja) * 2002-04-18 2006-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
US7365815B2 (en) * 2004-06-16 2008-04-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hase retarda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962A (ko) * 2016-01-27 2018-08-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8223A (zh) 2004-10-20
KR100748801B1 (ko) 2007-08-13
US20040180148A1 (en) 2004-09-16
US7208206B2 (en) 2007-04-24
TW200422708A (en) 2004-11-01
CN100397171C (zh) 2008-06-25
TWI352840B (en)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801B1 (ko)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808747B1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연속 제조 방법
KR20210119926A (ko)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444412B1 (ko) 광학막및액정표시장치
KR101399194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5173462A (ja) ガラス割れ防止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718400B1 (ko) 투명 적층체, 펜 입력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JP5243197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271935A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と液晶表示装置
KR102351941B1 (ko) 점착 시트
KR2013000228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광학 부재,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및 분리 방법
KR101883795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JP5856463B2 (ja)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
JP2009110026A (ja) 液晶パネルのガラス割れ防止粘着剤層
KR102525401B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7440993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01305B (zh) 黏著劑、黏著片以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薄膜
KR20240025704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갖는 광학 부재
KR20180098351A (ko) 점착제층 부착 편보호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TWI691577B (zh) 附有黏著劑層之光學薄膜
CN110643287A (zh) 粘着片及光学层叠体
JP2004145139A (ja) 光学補償板、それを用いた光学補償層付偏光板、前記光学補償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20129333A1 (ja) 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485188B2 (ja) 積層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6594782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