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682A - 변형 메티오닌 풍부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형 메티오닌 풍부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682A
KR20040077682A KR10-2004-7009840A KR20047009840A KR20040077682A KR 20040077682 A KR20040077682 A KR 20040077682A KR 20047009840 A KR20047009840 A KR 20047009840A KR 20040077682 A KR20040077682 A KR 2004007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ysteine
methionine
serin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호에프페트라
반데르미르로에로프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7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9Other cheese preparations; Mixtures of cheese with other foodstuffs
    • A23C19/0921Addition, to cheese or curd, of minerals, including organic salts thereof, trace element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nucleic acids, yeast extracts or autolysate, vitamins or derivatives of thes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22Inorganic compounds; Minerals, including organic salts thereof, oligo-elements; Amino-acids, peptides, protein-hydrolysates or derivatives; Nucleic acids or derivative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Vitamins; Antibiotics; Bacterioc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30Addition of substanc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A23L15/20 – A23L15/2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airy Produc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nfectione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대한 부스팅 효과를 감소시키도록 변형된 메티오닌 풍부 식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조 물질로 적어도 5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단백질성 물질의 적어도 50%는 동물 기원이거나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이 식품의 아미노산 프로파일은 상승된 양의 시스테인과 선택적으로 세린을 함유하도록 변경된다. 전형적으로, 본 식품은 다음 식 [Cys]/[Meth]≥2:1을 만족하는 몰비로 아미노산 시스테인[Cys]과 메티오닌[Meth]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호모시스테인의 상승된 혈장 농도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에서 상기 언급된 식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시스테인 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세린의 공급원을 식품에 포함시킴으로써 메티오닌 풍부 식품을 변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형 메티오닌 풍부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MODIFIED METHIONINE RICH FOOD PRODUCT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호모시스테인(HS-CH2-CH(NH2)-COOH)은 그것의 심혈관질환의 발생과의 연관성 때문에 과학적으로 상당한 흥미를 끌고 있는 물질이다. 많은 과학적 연구들은 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말초폐색동맥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상승된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고농도의 호모시스테인은 심혈관질환에 대한 위험인자로 간주된다. 또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은 다른 건강상의 위험들, 예를 들어 조울증, 발작증, 우울증, 천식 및 편두통과 관련된다.
공복시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정상(≤15μmol/L)이나, 또는 다음의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수준들 중 하나로서 분류되었다: 보통(15-30μmol/L), 중간(31-100μmol/L), 또는 중증(>100μmol/L). 혈액 콜레스테롤과 마찬가지로 혈장 호모시스테인과 심혈관질환의 관계는 등급으로 나눠지는 것 같다. 이것은 정상을 넘는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어떤 증가는 증가된 위험과 관련되며, 더 높이 상승할수록 위험도 더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편차가 심혈관질환을 어떻게 촉진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메카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섭취 후에 메티오닌 풍부 식품은 메티오닌 부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어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실질적인 증가를 일으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있는 개체는 메티오닌 풍부 식품, 예를 들어 유제품과 육제품을 소비하지 않도록 잘 권고될 것이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감소시키는 주요 대사경로는 다음과 같다:
a. 메티오닌으로 다시 재메틸화(주요 보조-인자: 비타민 B12, 엽산 및 베타인); 및
b. 시스타티온을 통한 시스테인으로 황전환작용(주요 보조-인자: 비타민 B6)
전술된 보조-인자들을 투여하여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치료하는 것이 선행기술에서 제안되었다.
WO 97/34497(Shapira)은 (a) 기준 메티오닌:비타민 B6 비를 갖는 유제품; 및(b) 감소된 미리 선택된 비로 기준 메티오닌:비타민 B6 비를 변형시키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 B6 공급원을 포함하는, 변형된 메티오닌:비타민 B6 비(mg/mg)를 갖는 유제품을 설명한다. 이 PCT 출원에서는, 메티오닌 대사의 보조-인자, 특히 비타민 B6,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마그네슘, 엽산, 비타민 B12 및 시스테인의 양이 증가된 유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했다는 것이 관찰된다.
US 5,795,873(Allen)은 0.3 내지 10mg 비타민 B12와 0.1 내지 0.4mg 엽산을 갖는 단일 제제를 정기적으로 경구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호모시스테인의 상승된 혈청 대사산물 수준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비타민 B6을 보조투여하는 선택사항이 또한 언급된다.
윌크켄(Wilkcken) 등, "시스타티온 베타-신타제 결핍으로 인한 호모시스틴요증", Metabolism, 34, 1985(12), pp.1115-1121은 시스타티온 베타-신타제 결핍으로 인한 호모시스틴요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베타인의 투여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베타인 투여 후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정상 근처까지 감소되었지만, 메티오닌, 세린 및 시스테인 농도가 증가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비타민 B6, B12, 베타인 및 엽산(비타민 B11)의 투여가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치료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치료는 흔히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데는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으로 고통받는 개체는 그들이 고메티오닌 식품을 소비하지 못하게 하는 엄격한 식이요법을 따르도록 잘 권고된다. 유제품과 육제품은 메티오닌 풍부 식품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므로, 그러한 식이요법은 개체가 맛있고 영양적으로 중요한 식료품들을소비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대한 부스팅 효과를 감소시키도록 변형된 메티오닌 풍부 식품, 예를 들어 상당량의 동물 유래 단백질 또는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성 재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조 물질로 적어도 5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단백질성 물질의 적어도 50%는 동물 기원이거나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이 식품의 아미노산 프로파일은 상승된 양의 시스테인과 선택적으로 세린을 함유하도록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시스테인 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세린 공급원을 식품에 포함시킴으로써 메티오닌 풍부 식품을 변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놀랍게도,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이 메티오닌 풍부 식품의 소비를 금하는 식이요법의 필요 없이 치료 및/또는 예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메티오닌 풍부 식품의 아미노산 프로파일은 그러한 식품에 함유된 높은 수준의 메티오닌이 현저하게 증진된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자동적으로 가져오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시스테인은 특히 세린과 함께 사용되었을 때 메티오닌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에 대한 길항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예기치 않게 확인되었다.
출원인은 이론과 결부되는 것을 원치 않으나, 시스테인과 세린은 모두 호모시스테인의 대사작용에 연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섭취된 식품에 존재하는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비율이 섭취된 메티오닌이 상승된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일으키는 정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심지어 높은 수준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식품의 경우에도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아미노산 밸런스, 특히 메티오닌 대 시스테인의 비,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티오닌 대 세린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상당량의 동물 기원, 특히 밀크, 육류, 계란, 어류 및 갑각류의 단백질성 물질이나, 또는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성 재료를 함유하는 식품에서 특히 진가가 인정된다. 이들 식료품 및 식품 성분들에서 발견된 단백질성 재료는 통상 총 아미노산을 기준으로 계산된 비교적 높은 수준의 메티오닌을 함유한다.
만일 메티오닌 풍부 식품의 아미노산 프로파일이 시스테인 대 메티오닌의 몰비가 적어도 2:1까지 증가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면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메티오닌 풍부 식품의 해로운 효과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메티오닌 풍부 식품, 즉 건조 물질로 적어도 5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단백질성 물질의 적어도 50중량%는 동물 기원 및/또는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식품은 다음 식 [Cys]/[Meth]≥2:1을 만족하는 몰비로 아미노산 시스테인[Cys], 메티오닌[Meth]을 함유한다.
다른 식으로 지시되지 않는다면, 아미노산, 예를 들어 메티오닌 또는 [Meth]에 대한 언급이 있을 때는 상기 언급은 언제나 상응하는 아미노산 잔기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아미노산 잔기 공급원의 예는 단백질, 올리고펩티드, 디펩티드, 당단백질, 지방단백질 등이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시스틴은 2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긴다. 용어 "단백질성 물질"은 아미노산, (올리고)펩티드 및 단백질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펩티드(예를 들어, 글리코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예를 들어, 지방단백질)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물질들도 포함한다.
동물 기원의 단백질성 물질의 예는 유단백질, 육단백질, 계란단백질, 및 콜라겐을 포함하며, 이들의 부분들, 예를 들어 카세인, 유장단백질, 육류 가수분해물등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동물"은 척추동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조류, 어류 및 갑각류를 포함한다. 또한, 어류 및 조류로부터 얻어진 육류에서 높은 수준의 메티오닌이 발견된다.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메티오닌 풍부 식품의 해로운 효과는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이 적어도 3:1의 몰비로 존재한다면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시스테인에 더하여, 식 [Ser]/[Meth]≥4:1을 만족하는 몰비가 얻어지는 방식으로 아미노산 프로파일을 변경시키도록 상당량의 세린이 본 식료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Ser]/[Meth]의 몰비는 적어도 6:1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1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식품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된 비교적 많은 양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식품에서 가장 뚜렷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식품은 1mol%를 초과하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mol%를 초과하는 농도로 메티오닌을 함유하며, 농도는 식품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식품은 건조 물질로 적어도 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중량%의 단백질성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백질성 재료는 동물 기원의 것이다. 동물 기원의 단백질성 재료는 밀크, 육류, 계란, 어류, 갑각류, 콜라겐, 가죽, 및 이들로부터 유래된 음식 재료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단백질성 재료의 동물 공급원은 소, 돼지, 양, 염소,가금류 또는 어류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식품에서 나타나는 메티오닌, 시스테인 및 세린의 비율은 시스테인과 세린의 조합된 수준이 동일한 식품에 존재하는 메티오닌의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를 보상할 만큼 충분히 높기만 하다면 상당히 변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식품은 다음 식 [Cys]/[Meth]≥4:1에 따라 식품의 메티오닌 함량에 비례하는 양으로 시스테인을 함유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식품에 존재하는 세린의 최소량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 식 [Ser]/[Meth]≥10:1에 의해 설명된다.
원칙적으로는 시스테인만을 포함시킴으로써 메티오닌의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를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나, 시스테인과 세린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식품은 바람직하게 다음 식 0.05≤[Cys]/[Ser]≤2에 의해 설명되는 비로 시스테인과 세린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식품은 0.1≤[Cys]/[Ser]≤1의 비로 시스테인과 세린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메티오닌을 갖는 단백질성 물질을 함유하는 모든 식품들에서 분명히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상당량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품들이 본 발명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식품은 적어도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한다.
메티오닌이 풍부한 상당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유제품, 예컨대 밀크(예를 들어, 소나 염소의), 치즈, 가공치즈, 유류 디저트,
· 육제품, 예컨대 육류(예를 들어, 소, 돼지, 양, 염소, 가금류, 어류 등), 가공육제품(예를 들어, 소시지),
· 스프레드,
· 식사 대용품(예컨대, 바 및 세이크)
· 영양음료, 아이스크림
· 수프 및 소스
· 규정식 및 임상 영양식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대사작용에서 보조-인자로 작용하는 물질을 본 식품에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식품은 적어도 10mg/kg의 비타민 B6이나 그것의 전구체를 함유한다. 이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용어 "전구체"는 식품의 섭취 후 위장관에서 활성성분(비타민 B6이나 그것의 생리활성 대사산물)을 유리시킬 수 있거나, 또는 체내 흡수 후 간에서 대사 분해작용의 결과로서 그럴 수 있는 모든 물질들을 포함한다.
베타인이 호모시스테인 대사의 또 다른 보조-인자이며, 유리하게는 본 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품은 다음 식 [Bet]/[Meth]≥1:1을 만족하는 몰비로 베타인과 메티오닌[Meth]을 함유한다.
본 식품은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치료제(의 일부)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승된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으로 고통받는 개체를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호모시스테인의 상승된 혈장 농도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앞서 본원에 설명된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음 식 [Cys]/[Meth]≤1:1을 만족하는 몰비로 메티오닌과 선택적으로 시스테인을 함유하는 메티오닌 풍부 식품을 변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를 2:1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4:1까지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시스테인 공급원을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식품은 선택적으로 식 [Ser]/[Meth]≤3:1을 만족하는 몰비로 세린을 함유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를 4:1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6:1 이상까지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세린 공급원을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의 공급원"은 자유 아미노산 및/또는 아미노산 잔기의 형태로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을 함유하는 재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시스테인의 공급원 및 세린의 공급원은 메티오닌에 비하여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는 어떤 식등급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스테인 공급원은 [Cys]/[Meth]≥5:1의 몰비로 시스테인과 선택적으로 메티오닌을 함유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비는 적어도 8:1이다. 유사하게, 세린 공급원은 바람직하게 [Ser]/[Meth]≥8:1의 몰비로 세린과 선택적으로 메티오닌을 함유한다. 더 바람직하게 후자의 비는 적어도 12:1이다.
비교적 많은 양의 단백질성 물질을 함유하는 시스테인이나 세린의 공급원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한편의 메티오닌과 다른 한편의 시스테인, 그리고 선택적으로 세린의 올바른 밸런스를 얻기 위해서는 단지 한정된 양만이 첨가될 필요가 있다. 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시스테인 공급원 뿐만 아니라 세린 공급원은 건조 물질로 적어도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농축물이다. 시스테인 공급원은 바람직하게 단백질성 물질로 적어도 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중량%의 양으로 시스테인을 함유한다. 세린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성 물질로 적어도 8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중량%의 양으로 세린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시스테인 공급원 및 세린 공급원은 원래 식품의 25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양은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시스테인과 세린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 아미노산을 자유 아미노산이나 비교적 작은 펩티드의 형태로 식품에 도입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수분해를 사용하여 자유 아미노산이나 작은 펩티드를 유리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연속해서 분별하여 메티오닌에 비해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이 풍부하게 있는 부분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시스테인 공급원 및 세린 공급원에 의해 함유된 단백질성 물질은 적어도 50%의 가수분해도,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가수분해도를 가진다. 시스테인 및 세린의 공급원은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충분한 정도로 적합하게 가수분해되어 있을 수 있다.
소위 Maillard 반응을 선호하는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시스테인과 환원당의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반응향미(또는 가공향미)를 제조하는 것이 향미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반응향미는 식료품에 고기 및 견과의 향미 특징을 부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가열과정 동안 발생하는 반응이 시스테인을 메티오닌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에 대한 길항효과를 갖지 않는 성분으로 전환시키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반응향미의 포함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 방법은 유류 및 육류 유래된 식료품의 제조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제품의 경우 그러한 제품을 비-유류 기원의 성분들로 오염시키는 것은 흔히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방법에서 사용된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의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식품의 벌크와 동일한 동물 기원의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변형 전의 식품은 건조 물질로 적어도 5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며, 이 단백질성 물질의 적어도 50중량%는 동물 기원이고, 여기서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의 공급원은 상기 단백질성 물질과 동일한 동물 기원이다.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의 적합한 공급원의 예는 유장(특히 락트알부민), 콩으로부터 분리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부분 및 밀단백질(특히 알부민 및 글로불린)을 포함한다. 메티오닌에 유리하게, 시스테인 및/또는 세린의 수준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언급된 공급원 재료들에 가수분해 단계를 행한 다음 아미노산 및/또는 펩티드 분리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분리 기술은 본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이온교환, 겔투과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한외여과, 나노여과 및 침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식료품, 영양 제품 및 제약 제제의 군에서 선택된 제품에서, 제품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를 저하시키기 위한 및/또는 제품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저하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테인과 세린의 조합 사용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앞서 본원에서 규정된 식품의 유효량을 경구투여함에 의한, 사람에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더 예시된다.
실시예 1
네덜란드 낙농장에서 얻은 평범한 소매용 요구르트 제품에 메티오닌, 시스테인(시스틴의 형태로 첨가됨) 및/또는 세린을 다음의 양으로 첨가한다.
크로스오버 연구에서 24명의 피험자는 저단백 아침식사와 함께 상기 표에 설명된 4가지 조성물(대조표준, 조성물 I, 조성물 II, 조성물 III) 중 하나의 단일용량을 섭취한다. 각 피험자는 2, 9, 16 및 23일에 무작위 순서로 4가지 다른 조성물을 섭취한다.
혈액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아침식사 후 0, 2, 4, 6, 8, 10 및 24시간에 측정한다. 피험자가 대조표준 조성물을 섭취한 후 호모시스테인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관찰된 호모시스테인 수준의 증가는 대조표준 조성물 섭취 후보다 피험자가 조성물 I 또는 II를 섭취한 후가 상당히 더 낮다. 호모시스테인 수준의 증가는 피험자가 조성물 III을 섭취한 후 최소로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설명된 요구르트 제품에 아미노산 시스테인(시스틴의 형태)과 세린을 다음의 양으로 첨가했다.
실시예 3
소고기 햄버거에 아미노산 시스테인(시스틴의 형태)과 세린을 다음의 양으로첨가했다.

Claims (13)

  1. 건조 물질로 적어도 5중량%의 단백질성 물질을 포함하며, 이 단백질성 물질의 적어도 50중량%는 동물 기원 및/또는 씨, 견과류, 곡물 또는 콩류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다음 식 [Cys]/[Meth]≥2:1, 바람직하게는 [Cys]/[Meth]≥3:1을 만족하는 몰비로 아미노산 시스테인[Cys]과 메티오닌[Meth]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 식 [Ser]/[Meth]≥4:1, 바람직하게는 [Ser]/[Meth]≥6:1을 만족하는 몰비로 세린[Ser]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Meth]은 식품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1mol%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물질로 적어도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중량%의 단백질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제품, 육제품, 스프레드, 식사 대용품, 영양음료, 아이스크림, 스프 및 소스, 규정식 및 임상 영양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0mg/kg의 비타민 B6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 [Bet]/[Meth]≥1:1을 만족하는 몰비로 베타인[Bet]과 메티오닌[Meth]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모시스테인의 상승된 혈장 농도를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9. 다음 식 [Cys]/[Meth]≤1:1을 만족하는 몰비로 메티오닌과 선택적으로 시스테인을 함유하는 메티오닌 풍부 식품을 변형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상기 비를 2:1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4:1 이상까지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시스테인의 공급원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식품이 다음 식 [Ser]/[Meth]≤3:1을 만족하는 몰비로 세린을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비를 4:1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6:1 이상까지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세린의 공급원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시스테인 공급원은 [Cys]/[Meth]≥5:1의 몰비로 시스테인과 선택적으로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린 공급원은 [Ser]/[Meth]≥8:1의 몰비로 세린과 선택적으로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식료품, 영양 제품 및 제약 제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품에서, 이 제품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상승효과를 저하시키기 위한 및/또는 제품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저하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테인과 세린의 조합 사용.
KR10-2004-7009840A 2001-12-21 2002-12-20 변형 메티오닌 풍부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77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5069.6 2001-12-21
EP01205069 2001-12-21
PCT/NL2002/000854 WO2003055335A1 (en) 2001-12-21 2002-12-20 Modified methionine rich food product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682A true KR20040077682A (ko) 2004-09-06

Family

ID=818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840A KR20040077682A (ko) 2001-12-21 2002-12-20 변형 메티오닌 풍부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40265358A1 (ko)
EP (1) EP1455602B1 (ko)
JP (1) JP4317023B2 (ko)
KR (1) KR20040077682A (ko)
CN (1) CN1317979C (ko)
AT (1) ATE319330T1 (ko)
AU (1) AU2002358347B2 (ko)
BR (1) BR0215274A (ko)
DE (1) DE60209793T2 (ko)
ES (1) ES2260500T3 (ko)
PL (1) PL205028B1 (ko)
RO (1) RO122116B1 (ko)
RU (1) RU2305417C2 (ko)
WO (1) WO2003055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914B (fi) * 2005-04-01 2012-08-31 Biohit Oyj Elintarvikekoostumus asetaldehydin sitomiseksi suussa ja ruoansulatuskanavassa ja menetelmä koostumuksen valmistamiseksi
EP2079847B1 (en) 2006-11-02 2012-03-07 DSM IP Assets B.V. Use of lysozyme hydrolysates containing tryptophan
JP6088821B2 (ja) * 2010-08-19 2017-03-01 株式会社明治 乳酸菌および/またはビフィズス菌の生残性向上剤
JP7305361B2 (ja) * 2019-01-31 2023-07-1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還元型グルタチオン含有乳酸菌培養物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0617A (en) * 1980-02-08 1981-09-01 Ajinomoto Co Inc Nutrient composition for young child
JPS60145067A (ja) * 1984-01-09 1985-07-31 Takeda Chem Ind Ltd 肉類食品の退色防止方法および退色防止用組成物
WO1988001872A1 (en) * 1986-09-10 1988-03-24 Dudrick Medical Research Fund I, Ltd. Method and substrate composition for treating atherosclerosis
JP2990686B2 (ja) * 1994-11-17 1999-12-13 田辺製薬株式会社 水溶性ビタミンb類配合総合輸液
IL117505A (en) * 1996-03-15 1999-09-22 Niva Shapira Enriched dairy products
US5993866A (en) * 1997-09-12 1999-11-30 Shapira; Niva Process of making food products having reduced methionine ratios
EP1196047A4 (en) * 1999-06-29 2004-12-22 New Zealand Milk Inst Ltd MILK-BASED PROPHYLACTIC FOOD SUPP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58347B2 (en) 2007-09-06
RU2305417C2 (ru) 2007-09-10
EP1455602B1 (en) 2006-03-08
US20040265358A1 (en) 2004-12-30
CN1612698A (zh) 2005-05-04
ATE319330T1 (de) 2006-03-15
PL370830A1 (en) 2005-05-30
JP4317023B2 (ja) 2009-08-19
BR0215274A (pt) 2005-05-10
EP1455602A1 (en) 2004-09-15
DE60209793D1 (de) 2006-05-04
CN1317979C (zh) 2007-05-30
RO122116B1 (ro) 2009-01-30
WO2003055335A1 (en) 2003-07-10
ES2260500T3 (es) 2006-11-01
RU2004122399A (ru) 2005-03-27
PL205028B1 (pl) 2010-03-31
AU2002358347A1 (en) 2003-07-15
JP2005512584A (ja) 2005-05-12
DE60209793T2 (de)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0724B2 (ja) ホエイたん白濃縮物による動物の宿主抵抗性の改良方法
US6667063B2 (en) Nutritional or therapeutic supplement and method
CZ24999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JP2002517454A (ja) 健康保護性腸管ミクロフローラの創造/維持及び免疫系の増強のための予防的及び治療的栄養サプリメント
Kassem Future challenges of whey proteins
WO2009090970A1 (ja) 肝機能保護剤
JP2002065212A (ja) 筋強化用食品組成物及び筋強化剤
JP2014504261A (ja) システイン及び食物摂取
JP2002020312A (ja) 体脂肪減少促進用食品組成物及び体脂肪減少促進剤
US20060062827A1 (en)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 and method
AU2002358347B2 (en) Modified methionine rich food product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WO2007014311A2 (en) Composition permitting muscle growth while protecting joint health
JPH10257867A (ja) 低アルブミン血症改善用食品
JP2005512584A6 (ja) 変性したメチオニンを多く含んだ食品及びその製法
JP2008535919A (ja) 脂肪の減少に有効である安定な乳成分
JP3563892B2 (ja) 体力増強・疲労回復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3578566B2 (ja) 肥満改善及びダイエット食用素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ダイエット用食品
JP5060691B2 (ja) 栄養組成物
Sahar et al. Contribution of Animal Origin Foods in the Human Diet
JP2952300B2 (ja) 栄養改善組成物及び経口栄養改善剤
Sharma Dairy Beverages
EP3329788A1 (en) Food for prophylaxis or improvement of malnutrition
JP3608884B2 (ja) 脂質代謝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Akdeniz et al. The importance and health benefits of whey proteins.
Akdeniz et al. THE IMPORTANCE AND HEALTH BENEFITS OF WH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