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468A - 프론트 바디 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 바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468A
KR20040077468A KR1020040009933A KR20040009933A KR20040077468A KR 20040077468 A KR20040077468 A KR 20040077468A KR 1020040009933 A KR1020040009933 A KR 1020040009933A KR 20040009933 A KR20040009933 A KR 20040009933A KR 20040077468 A KR20040077468 A KR 20040077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ross member
side member
flan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요시 마미츠카
타츠조 토미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결합부의 강성이 높고, 조립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프론트 바디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프론트 바디(1)의 구조는,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3)를 구비한다. 항 쌍의 사이드 부재(2)의 전단부(2a)와 크로스 부재(3)의 양단이 접합된다. 사이드 부재(2)의 하벽(24)은, 크로스 부재(3)의 정벽(33)과 접합되고, 사이드 부재(2)의 내측벽(25)은, 크로스 부재(3)의 정벽(33)에 부착되고, 거싯(4)과 접합된다. 거싯(gusset; 4)은, 정벽(33)으로부터 내측벽(25)로 만곡하여 내측벽(25)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난다. 크로스 부재(3)의 양단은, 사이드 부재(2)의 전단부(2a)에 부착되는 전단 외측벽(7)에 접합된다.

Description

프론트 바디 구조{FRONT BODY STRUCTUR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갖는 차량의 프론트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의 프론트 바디 구조는, 차체의 양측에 전후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부재와, 차체의 폭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부재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는, 각각 단면이 중공(中空)의 4각형 모양이고, 사이드 부재의 하면과 크로스 부재의 상면이 합하도록 결합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6-26468호 공보 참조).
사이드 부재는, 단면 중공 4각형 모양을 하고 있고, 전단이 상벽과 내측벽을 남겨 두고 개구하고 있다. 크로스 부재는, 단면이 역U자 모양의 부재 본체와 이 부재 본체의 하부 개구를 막는 폐쇄 플레이트(저판)로 이루어진다. 크로스 부재의 양단의 상면은, 사이드 부재의 하방에 개구한 부분의 후측에 가깝게 하여 내측벽과 용접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의 결합부에는, 거싯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있다. 거싯 플레이트는, 하연부가 크로스 부재의 상부에 스폿 용접되고, 외측연부가 사이드 부재의 내측벽과 상벽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의 전단에 남는 전방 및 크로스 부재에 의해 막히지 않는 하방의 개구부는, 폐쇄 플레이트로 막혀 있다. 폐쇄 플레이트는, 폐쇄벽(전측벽) 상연, 전측벽 내측연, 연장부(저벽(低壁)) 후연, 저벽 내측연에 각각 용접 플랜지를 갖고 있다. 저벽 후연의 용접 플랜지는, 크로스 부재의 전측벽에 스폿 용접되고, 그 밖의 용접 플랜지는, 사이드 부재에 각각 겹치는 부분에 스폿 용접된다.
사이드 부재의 외방향으로 개구하는 부분은, 연장 패널(extension panel)로 막혀 있다. 연장 패널은, 상연, 전연, 후연에서 차체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되접어꺾인 상연 플랜지, 전연 플랜지, 후연 플랜지를 갖고 있다. 상연 플랜지는, 사이드 부재의 상면의 외측연부와 스폿 용접되어 있다. 전연 플랜지는, 사이드 부재의 전단을 막는 폐쇄 플레이트의 전측벽의 외측연부와 스폿 용접되어 있다. 후연 플랜지는, 사이드 부재의 외측벽 전단에서 차체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절곡된 플랜지와 스폿 용접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부재의 양단에 마련된 플랜지는, 각 사이드 부재의 연장 패널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경우, 크로스 부재가 사이드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부착되는데 대해, 거싯 플레이트의 외측연부의 상단이 사이드 부재의 상벽의 위로부터 덮히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용접한 후에 거싯 플레이트를 스폿 용접으로 부착하던지, 사이드 부재에 거싯 플레이트를 스폿 용접으로 부착한 후에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용접하던지, 또는, 거싯 플레이트를 스폿 용접으로 부착한 크로스 부재를 사이드 부재의 전방부터 삽입하고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용접하는 순서로 조립하여야 한다.
그러나, 크로스 부재와 거싯 플레이트의 접합부는, 크로스 부재의 양단 외측에 면한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합한 상태에서 스폿 용접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크로스 부재에 거싯 플레이트를 미리 스폿 용접한 것은, 조립 라인에서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를 합치는 위치 결정 장치에 복잡한 움직임이 요구된다.
사이드 부재에 크로스 부재의 부재 본체를 용접하고 나서 거싯 플레이트를 부착한 후, 폐쇄 플레이트를 본체 부재의 하면에 부착하는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크로스 부재와 거싯 플레이트의 접합부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각 부재를 순번대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을 단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결합부의 강성이 높고, 조립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프론트 바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 형태의 프론트 바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론트 바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이드 부재와 헤드 램프 지지체를 조립한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크로스 부재와 거싯과 선적용 브라켓을 조합하여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로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에 도 4의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의 접합 개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 또한 전단 외측벽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 중의 F7-F7을 따른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바디 2 : 사이드 부재
3 : 크로스 부재 4 : 거싯
5 : 헤드 램프 지지체 6 : 전단 상부 바
7 : 전단 외측벽 7a : 후부 플랜지
7b : 상부 플랜지 8 : 선적용 브라켓
21 : 내측부 22 : 외측부
23 : 상벽 23a : 상부 플랜지(상측연)
24 : 하벽 24 : 하부 플랜지
25 : 내측벽 26 : 외측벽
31 : 상측부 32 : 하측부
33 : 정벽 34 : 전측벽
34a : 전방 플랜지 35 : 후측벽
35 : 후방 플랜지 36 : 저벽
36c : 하방 플랜지
본 발명에 관한 프론트 바디 구조는, 차량 앞부분의 양측에 차체의 전후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함께, 상벽과,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서 해당 상벽의 차폭 방향 내측단에 접속하는 내측벽과, 내측벽 하단에 연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벽을 갖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와, 차체의 폭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부재의 상기 하벽에 접합되는 정벽(頂壁)과, 전후 방향의 전측벽 및 후측벽을 갖는 크로스 부재와, 사이드 부재의 내측벽과 크로스 부재의 정벽에 결합되고, 내측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나는 거싯을 구비하기 때문에, 거싯을 크로스 부재에 미리 부착한 상태에서, 크로스 부재를 사이드 부재의 하방향으로부터 합칠 수 있어서,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이 간단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론트 바디(1)의 구조를 도 1부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향(전측), 후방향(후측), 좌우 폭방향,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으로 퍼지는 방향으로 외방향(외측), 차량의 폭방향에 따라 차량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내방향(내측)을 각각 설정한다. 도 1에 도시한 프론트 바디(1)는, 자동차의 강도를 담당하는 구조 부재로서, 사이드 부재(2)와, 크로스 부재(3)와, 거싯(4)과, 헤드 램프 지지체(head lamp support; 5)와, 전단 상부 바(front end upper bar; 6)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2)는, 프론트 바디(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다. 각 사이드 부재(2)는, 내측부(inner; 21)과 외측부(outer; 22)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부(21)는 상벽(23)과 하벽(24)과 내측벽(25)을 구비하고, 외측부(22)은 외측벽(26)을 구비한다. 외측부(22)의 전연은 inner(21)의 전연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마련되고, 이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2)의 전단부(2a)는, 외측이 개구한 상태로 된다.
상벽(23)의 외측연 및 외측벽(26)의 상연에는 상부 플랜지(23a, 26a)가 형성되고, 하벽(24)의 외측연 및 외측벽(22)의 하연에는 하부 플랜지(24a, 26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23a, 26a)는,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도중에 방향이 변향되고, 전단에서 도중까지가 외측으로 늘어나 있고, 도중부터 후단까지가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하부 플랜지(24a, 26b)는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내측부(21)와 외측부(22)는, 상부 플랜지(23a, 26a) 및 하부 플랜지(24a, 26b)가 합쳐져서, 스폿 용접(X)된다.
또한, 외측부(22)의 전연보다도 전방의 개구한 부분을 막도록, 전단 외측벽(7)이 부착된다. 전단 외측벽(7)의 후측연, 상연, 및 전측연에는,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후부 플랜지(7a), 상부 플랜지(7b), 및 전단 플랜지(7c)가 마련되어 있다. 후부 플랜지(7a)는, 외측벽(26)의 전연에 마련되는 전부 플랜지(26c)와 스폿 용접(X)되고, 상부 플랜지(7b)는, 상벽(23)의 외측연에 마련된 상부 플랜지(23a)와 스폿 용접(X)된다. 또한, 전단 외측벽(7)은, 하벽(24)의 하부 플랜지(24a)와 스폿용접(X)됨과 함께, 하벽(24)을 넘어서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사이드 부재(2)의 내부에는, 보강 부재(reinforce member)가 부착된다. 전부 플랜지(7c)는, 차량 충돌시의 하중의 입력을 받아내기 쉽게 하여, 사이드 부재(2)에서의 충격 흡수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3)는, 프론트 바디(1)의 앞 가까이 위치하고, 폭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3)는, 상측부(upper; 31)와 하측부(lower; 32)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부(31)는 정벽(33)과 전측벽(34)과 후측벽(35)을 구비하고, 하측부(32)는 저벽(36)을 구비한다. 전측벽(34)과 후측벽(35)의 하연과, 저벽(36)의 전연 및 후연에는, 하방으로 늘어나는 플랜지(34a, 35a, 36a, 36b)가 마련되어 있다. 전측벽(34)의 플랜지(34a)와 저벽(36)의 플랜지(36a), 후측벽(35)의 플랜지(35a)와 저벽(36)의 플랜지(36b)는, 서로 스폿 용접(X)된다. 정벽(33)의 양단부(33a)는, 사이드 부재(2)의 전단부(2a)의 하벽(24)에 스폿 용접(X)되어 있다.
또한, 전측벽(34)의 양단에는, 전방으로 늘어나는 전방 플랜지(34b)가 마련되고, 후측벽(35)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늘어나는 후방 플랜지(35b)가 마련되고, 저벽(36)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늘어나는 하방 플랜지(36c)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 플랜지(34b), 후방 플랜지(35b), 하방 플랜지(36c)는, 전단 외측벽(7)과 스폿 용접(X)된다.
크로스 부재(3)는,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매끈하게 만곡한 후, 재차 내측을 향하여 매끈하게 만곡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부(32)의 하방을 향하는 구부러짐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구부러짐으로의 변곡부(32a)에는, 하측부(32)의 저벽(36)과 전연 및 후연로부터 늘어나는 플랜지(36a, 36b)에 선적용 브라켓(shipping bracket; 8)이 스폿 용접(X)된다. 선적용 브라켓(8)은, 하측부(32)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여기서, 선적용 브라켓(8)이란, 차량을 배(船) 등으로 수송하는 경우에, 선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브라켓이다.
거싯(4)은, 크로스 부재(3)와 사이드 부재(2)의 접합부에 걸쳐서 부착된다. 거싯(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3)에 대해, 상측부(31)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구부러짐의 도중에서, 정벽(33)과 전측벽(34)와 후측 벽(35)에 기단(基端; 4a)이 스폿 용접(X)되고, 사이드 부재(2)에 대해, 내측벽(25)에 플랜지(4b)가 스폿 용접(X)된다. 또한, 거싯(4)은, 내측벽(25)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헤드 램프 지지체(5)는, 내측벽(25)과 거싯(4)과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스폿 용접(X)됨과 함께, 상벽(23)보다도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상벽(23)에 대해 리브(rib; 5a)가 마련되어 있고, 각부(脚部)에 마련된 플랜지(5b)가 상벽(23)에 스폿 용접(X)된다.
전단 상부 바(6)는, 좌우의 헤드 램프 지지체(5)의 상단에 걸쳐져서, 고정된다.
다음에, 상술한 프론트 바디(1)의 조립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사이드 부재(2)의 내측부(21)는, 보강 부재가 부착된 후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부(22)가 스폿 용접(X)된다. 또한, 헤드 램프 지지체(5)가, 내측부(21)의 전단부(2a)에 스폿 용접(X)된다. 또한, 헤드 램프 지지체(5)와 외측부(22)는, 어느쪽을 먼저 내측부(21)에 부착하여도 좋다. 사이드 부재(2)의 내측부(21)와 외측부(22) 및 헤드 램프 지지체(5)가 조합된 것을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라고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싯(4)은, 크로스 부재(3)의 상측부(31)에 부착된다. 선적용 브라켓(8)은, 하측부(32)의 저벽(36)과 스폿 용접(X)된다. 거싯(4)과 선적용 브라켓(8)이 부착된 후, 크로스 부재(3)의 상측부(31)와 하측부(32)는, 스폿 용접(X)된다. 크로스 부재(3)의 상측부(31)와 하측부(32), 거싯(4), 선적용 브라켓(8)이 조합된 것을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라고 한다.
좌우의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를 아래로부터 들어올려서 조합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벽(33)과 하벽(24), 및 거싯(4)과 헤드 램프 지지체(5)와 내측벽(25)의 겹침부를 각각 스폿 용접(X)한다.
전단 외측벽(7)은, 예를 들면 다음 순번으로 스폿 용접(X)한다. 후부 플랜지(7a)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벽(26)의 전연에 마련된 전부 플랜지(26c)와 스폿 용접(X)된 후, 상부 플랜지(7b)가, 상벽(23)의 외측연에 마련된 상부 플랜지(23a)와 스폿 용접(X)된다. 최후로, 크로스 부재(3)의 전방 플랜지(34b), 후방 플랜지(35b), 하방 플랜지(36c), 및, 사이드 부재(2)의 하벽(24)의 하부 플랜지(24a)가, 전단 외측벽(7)과 스폿 용접(X)된다.
또한, 사이드 부재(2)의 전단의 개구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9)가 별도 부착되고, 이 플랜지(9)에 범퍼 스테이(bumper stay; 10)가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론트 바디(1)는, 사이드 부재(2)와 크로스 부재(3)를 접합하기 전에, 헤드 램프 지지체(5)가 사이드 부재(2)에 부착되고, 거싯(4) 및 선적용 브라켓(8)이 크로스 부재(3)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거싯(4)은, 사이드 부재(2)의 내측벽(25)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나 있기 때문에, 크로스 부재(3)를 사이드 부재(2)의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라인에서,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를 전방으로 반송하고,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를 하방향으로부터 합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이 간단하다. 또한, 크로스 부재(3)의 상측부(31) 및 하측부(32), 거싯(4), 선적용 브라켓(8)을 조립한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를 사이드 부재 어셈블리에 부착하기 때문에, 사이드 부재(2)의 조립 라인과 별도의 라인에서 크로스 부재 어셈블리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효율이 좋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21)의 상벽(23)과 내측벽(25)과 하벽(24)의 재료가 전단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에의 충돌이나 오프셋 충돌을 상정한 경우, 전방향(前方向)에 대한 좌굴(挫屈) 강도가 높다. 또한, 폭방향으로부터의 충돌을 상정한 경우, 크로스 부재(3)의 부재가 사이드 부재(2)의 전단 외측벽(7)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 강도가 높다.
크로스 부재(3)의 부착부에 관해, 사이드 부재(2)의 전단부(2a)의 폭방향의 단면 형상을 전후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함으로써, 프론트 오버흥(front overhung)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다른 사이즈의 엔진에 대해 용이하게 프론트바디(1)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 램프 지지체(5)는, 사이드 부재(2)에 별개의 부품으로서 부착되기 때문에, 사양에 따라, 다른 크기(높이)의 헤드 램프 지지체(5)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다.
선적용 브라켓(8)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부(32)가 하방을 향하는 구부러짐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구부러짐으로의 변곡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선적용 브라켓(8)에 작용하는 힘을 크로스 부재(3)로부터 사이드 부재(2)로 전하여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선적용 브라켓(8)의 형상은 좌우 대칭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사이드 부재(2)와 크로스 부재(3)의 접합은, 하벽(24)과 정벽(33), 크로스 부재 단부(전측벽(34), 후측벽(35), 저벽(36))와 전단 외측벽(7), 상측부(31)와 거싯(4), 거싯(4)과 내측벽(25)의 복수 개소에서 접합되고, 스폿 용접(X)점 수가 많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높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접합은, 스폿 용접으로 행하고 있지만, 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용접(tack welding)을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론트 바디 구조에 의하면, 차량 앞부분의 양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함께, 상벽과,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서 해당 상벽의 차폭 방향 내측단에 접속하는 내측벽과, 내측벽 하단에 연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벽을 갖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와, 차체의 폭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부재의 상기 하벽에 접합되는 정벽과, 전후 방향의 전측벽 및 후측벽을 갖는 크로스 부재와, 사이드 부재의 내측벽과 크로스 부재의 정벽에 결합되고, 내측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나는 거싯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거싯을 크로스 부재에 미리 부착한 상태에서, 크로스 부재를 사이드 부재의 하방향으로부터 합칠 수 있고,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이 간단하게 된다.

Claims (14)

  1. 차량 앞부분의 양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함께, 상벽과,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서 해당 상벽의 차폭 방향 내측단에 접속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 하단에 연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벽을 갖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와,
    차체의 폭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부재의 상기 하벽에 접합되는 정벽(頂壁)과, 전후방향의 전측벽 및 후측벽을 갖는 크로스 부재와,
    상기 사이드 부재의 상기 내측벽과 상기 크로스 부재의 상기 정벽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벽의 상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늘어나는 거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는,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서 상기 상벽의 차폭 방향 외측단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사이드 부재 전단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전연(前緣)이 마련된 외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부재의 상기 상벽, 상기 하벽 및 상기 외측벽 전연에 접합되는 전단 외측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외측벽은 상기 사이드 부재를 넘어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전단 외측벽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외측벽에는,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단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는, 양단으로부터 차량 중앙을 향하여 하방으로 만곡하고 재차 내측을 향하여 만곡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변곡점에, 선적용 브라켓(shipping bracket)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에는, 상기 전측벽 및 상기 후측벽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저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의 전단부에는, 범프 스테이(bumper stay)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의 상기 상벽, 상기 내측벽 및 상기 하벽은 일체적으로 차량 전단까지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부재의 전단부는, 폭방향의 단면 형상이 일정하게 계속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부보다도 길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와 상기 거싯을 접합한 후에, 상기 사이드 부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거싯의 사이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상벽보다도 상방으로 늘어나는 헤드 램프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사이드 부재의 각각에 부착된 상기 헤드 램프 지지체의 상단의 사이에 걸쳐지는 전단 상부 바(front end upper ba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양단연로부터 전방, 후방, 하방으로 각각 늘어나는 전방 플랜지, 후방 플랜지, 하방 플랜지를 상기 전단 외측벽의 내측면에, 상기 전단 외측벽의 상연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늘어나는 상부 플랜지를 상기 상벽의 폭방향 외측연에, 전단 외측벽의 후측연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늘어나는 후부 플랜지를 상기 외측벽의 전연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늘어나는 전부 플랜지에, 상기 하벽의 폭방향 외측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하부 플랜지를 상기 전단 외측벽의 내측면에, 각각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바디 구조.
KR1020040009933A 2003-02-27 2004-02-16 프론트 바디 구조 KR20040077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1215A JP4144376B2 (ja) 2003-02-27 2003-02-27 フロントボディ構造
JPJP-P-2003-00051215 2003-0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28A Division KR20060027381A (ko) 2003-02-27 2006-02-22 프론트 바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468A true KR20040077468A (ko) 2004-09-04

Family

ID=331164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933A KR20040077468A (ko) 2003-02-27 2004-02-16 프론트 바디 구조
KR1020060017128A KR20060027381A (ko) 2003-02-27 2006-02-22 프론트 바디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28A KR20060027381A (ko) 2003-02-27 2006-02-22 프론트 바디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44376B2 (ko)
KR (2) KR20040077468A (ko)
CN (1) CN1272208C (ko)
TW (1) TWI240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1287B2 (ja) * 2008-06-19 2013-07-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5002550B2 (ja) * 2008-07-09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5001241B2 (ja) * 2008-09-02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WO2012067059A1 (ja) * 2010-11-19 2012-05-24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前部の構造
JP6132152B2 (ja) * 2013-06-26 2017-05-24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前部の構造
JP5858006B2 (ja) * 2013-06-28 2016-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169934B2 (ja) * 2013-09-30 2017-07-26 株式会社Subaru 車体前部構造
JP6600873B2 (ja) * 2016-02-19 2019-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FR3123042A1 (fr) 2021-05-20 2022-11-25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 la batterie des véhicules automobiles hybrides contre les chocs arrière à grande vites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4376B2 (ja) 2008-09-03
TWI240689B (en) 2005-10-01
KR20060027381A (ko) 2006-03-27
CN1524749A (zh) 2004-09-01
JP2004256059A (ja) 2004-09-16
CN1272208C (zh) 2006-08-30
TW200424079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7381A (ko) 프론트 바디 구조
CN100390007C (zh) 车辆的后部车体结构
KR100462091B1 (ko) 차체 구조
CN108394471B (zh) 车辆框架结构
WO2011074326A1 (ja) 車体パネル接合構造
JP6560710B2 (ja) 車体前部構造
KR2004008202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JP2010100162A (ja) 後部ドア構造
CN106515866A (zh) 车辆框架结构
JP2015089792A (ja) 車両のセンタピラー下部構造
JP2006282106A (ja) 車体骨格の補強構造
JP4285414B2 (ja) 車体骨格構造
JP2007015443A (ja) 車体構造
EP1160148B1 (en) Joint structure of cab mounting portion
CN114162221B (zh) 车辆的车顶结构
KR20010087448A (ko) 자동차의 리어엔드 크로스멤버 보강구조
JP2000142469A (ja) 車体構造
JP2017144884A (ja) キャブの後面部構造
JP4019681B2 (ja) 車両の上部骨格部材の結合構造
JPH09183388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メンバ構造
JPH06171442A (ja) バンパーの取付構造
JP4930823B2 (ja) 車両のサイドボディとアンダボディの結合構造
JP4036430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302476B1 (ko) 자동차의프론트바디보강구조
KR100737238B1 (ko) 차량용 프레임형 도어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22

Effective date: 2007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