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735A -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735A
KR20040075735A KR1020040010778A KR20040010778A KR20040075735A KR 20040075735 A KR20040075735 A KR 20040075735A KR 1020040010778 A KR1020040010778 A KR 1020040010778A KR 20040010778 A KR20040010778 A KR 20040010778A KR 20040075735 A KR20040075735 A KR 2004007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determined
potential
processing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576B1 (ko
Inventor
가나이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07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USB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여 전원 전위로서 공급하는 전원부와, USB 단자에 소정 정보가 공급된 것을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와,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정보 검출부가 소정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는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리고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USB 단자에 공급된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 또는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갖는다. USB 단자로부터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본체의 조작키로 기록·재생 동작 등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의 부호화·복호화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USB 단자 등의 직렬 버스를 통해 전원 공급을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진보에 따라, 디지털 정보의 부호화·복호화를 가능케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많이 개발·제조되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정보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소형화도 진행하여, 손쉽게 디지털 정보를 취급하는 툴로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른 정보 처리 시스템과의 통신에 있어서,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USB는 신호선 이외에 전원을 갖는 통신 규격이며, 시스템을 기동 상태인 채로 접속과 절단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USB 전원 단자는 통신 규격으로서는 매우 편리성이 높지만, 이 USB 전원 단자를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및 통신 정보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01-242965호는 USB 단자를 통해 디지털 정보 기기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PC(Personal Computer)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USB 단자를 통해 예컨대 디지털 정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PC에서는 USB 단자를 통해 정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정보 기기쪽에서는 전원만이 공급되더라도 정보 기기쪽의 키조작으로 제어 동작을 행할 수 없다. 예컨대, PC 모드로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 PC로부터 발생된 커맨드에 의해서만 조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가정용 전원인 교류 전원으로는, 본체의 조작 스위치에 의한 통상의 조작이 불가능하지만, 그 외에는 전원 어댑터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원을 USB 단자로부터 공급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전원 어댑터로부터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정보 기기는, PC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동작을 제어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와 동등하게 취급된다는 사실로 보아, 조작키에 의해서 조작 불능이 된다. 그 결과, 제어 신호가 외부 PC에서 USB 단자로 공급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가 생기거나 대기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전원이 전원 어댑터로부터 USB 단자를 통해 공급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전원이 USB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경우, 제어 조작은 외부 PC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 기기의 조작키와 외부 PC 양쪽 모두로 제어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도 이러한 제어를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와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과의 접속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2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23: 부호화 압축 회로
24: CPU
25: 메모리 카드
26: 복호화 신장 회로
27: 디지털/아날로그 부품 회로
29: 조작 스위치
30: 액정 표시부
31: 영상·음성 처리 IC
32: 플래시 메모리
33: USB 단자
34: USB 컨트롤러
35: 전원부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USB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는 전위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하면 상기 소정 전위를 전원 전위로서 각 구성 요소부에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USB 단자에 소정 정보가 공급된 것을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는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USB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 또는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상세히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와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간의 접속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영상·음성 입력부(21)와, 영상·음성 출력부(28)에 접속되는 영상·음성 처리 집적 소자(31)와, 영상·음성 처리 집적 소자(31)에 접속되는 중앙 처리 장치이며 제어부인 CPU(24)와, CPU(24)에 접속되는 기억 영역인 RAM(11)과, CPU(24)에 접속되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인 메모리 카드(25)와, CPU(24)에 접속되어 내장되는 기억 영역인 플래시 메모리(32)와, CPU(24)에 접속되어 조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30)와, CPU(24)에 접속되는 조작 스위치(29)를 갖고 있다.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USB 단자(33)와, CPU(24)에 접속되는 USB 컨트롤러(34)와, 다이오드를 통해 USB 단자(33)에 접속되는 전위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원부(35)와, 전원부(35)에 다이오드를 통해 접속되는 전지를 더 구비하고 있다. USB 단자(33)는 전원 단자(T1)와, 제어 정보 단자(T2, T3)와, 접지 단자(T4)를 적어도 갖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는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음성 녹음이나 영상 기록, 음성·영상 재생 또는 동작 전원 오프 등의 조작 입력용 스위치를 가진 조작 스위치(29)와, 이 조작 스위치(29)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액정 표시부(30)가 접속되어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25)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도시하지 않는 하우징에 설치한 카드 슬롯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A/D 변환 회로(22), 부호화 압축 회로(23), 복호화 신장 회로(26), 및 D/A 변환 회로(27)는 1칩의 영상·음성 처리 집적 소자(이하, 영상·음성 처리 IC라 함)(3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기록 처리를 행한다. 즉, 영상·음성 입력 회로(21)는 음악의 사운드나 사람의 소리를 집음하거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과, 이 마이크로폰 또는 CCD 카메라로 생성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영상·음성 입력 회로(21)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영상·음성 신호는 초기 설정으로서 주어진 기본 동작 모드에 따라서, 조작 스위치(29)로부터 공급된 조작 정보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이하, A/D 변환 회로라 함)(22)에서 디지털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이 디지털 영상·음성 신호는 부호화 압축 회로(23)에 공급된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는 디지털 영상·음성 신호를 부호화하고, 데이터를 압축하여, 소정의 디지털 압축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는 일례로서 ITU(국제 전기 통신 연합) 규격 G729A에서 규정된 압축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를 통해,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탑재한 카드(이하,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라 함)(25) 또는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32)에 기록된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25), 또는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32)에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기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관리 데이터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재생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초기 설정으로서 주어진 기본 동작 모드에 따라서,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하에서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25) 또는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32)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신장되고, 복호화된 후, 디지털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이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생성된 디지털 영상·음성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이하, D/A 변환 회로라 함)(27)에서 아날로그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 회로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되는 영상·음성 출력 회로(28)에 공급됨으로써 재생 동작이 행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초기 설정으로서 주어진 기본 동작 모드에 따라서, 조작 스위치(29)로부터 공급된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 외에,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25) 또는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32)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데이터를 편집 또는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들의 기록·재생·편집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전원부의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위에 의해 행해진다. 대체예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USB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전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이들의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는 사용자가 본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29)를 조작함으로써 공급되는 것이지만, USB 단자(33)를 통해 외부에서, 예컨대, PC(2)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전원부(35)로부터의 전원 전위가 USB 단자(33)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전원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조작 정보는 본체의 조작 스위치(29)에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과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 결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a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USB 단자(33)에 접속되는 USB 케이블(9)에 의해 외부의 전원 소켓(7)에 접속된 전원 어댑터(6)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어폰(8)은 영상·음성 출력부(28)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b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외부의 PC(2)와, 일례로서 USB 단자(33)에 접속되는 USB 케이블(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대체예로서,장치(10)는 두개의 USB 단자에 각각이 접속되고, 조작으로 한쪽을 선택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하, 이러한 접속이 행해진 경우, 전원 공급의 처리와 동작 모드의 결정 방법에 관해서 4개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3의 흐름도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는 조작 스위치(29)에 전원이 투입되면, CPU(24)의 제어하에서 미리 설정되어 RAM(11) 등에 기록되어 있는 초기 설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초기 설정에 따라서 키모드를 동작 모드로서 설정한다(S11). 키모드에서는,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조작 정보가 조작 스위치(29)에 의해 공급된다. 대체예로서, 양(兩)모드는, 조작 스위치(29)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와 함께 USB 단자(33)를 통해 외부 PC(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정보도 조작 정보로서 취급하는 동작 모드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 양모드의 경우, 사용자는 본체의 조작 스위치(29)의 조작과 동시에, PC(2)로부터의 키조작에 의해서도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USB 단자(33)의 전원 단자(T1)에 소정 전위(즉, +5 V)를 전원부(35)가 내장하는 전위 검출부가 검출한다(S12). 이어서, 전원부(35)는 전지에 의한 전원 공급을 멈추고, 전원 단자(T1)로부터의 소정 전위에 기초하는 전원 공급을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각 부에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제어부를 구성하는 CPU(24)는 USB 단자(33)의 제어 정보 단자(T2, T3)를 통하여 USB 컨트롤러(34)를 통해 취득한 외부의 PC(2)로부터의 제어 신호, 예컨대, 디바이스 리퀘스트 신호 등의 특유의 커맨드를 검출한다(S13). 동작 모드는 초기 설정된 키모드(또는 양모드)로부터 PC 모드로 변경된다(S14). PC 모드란, PC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가 조작되는 동작 모드이다. 이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본체의 조작 스위치(29)에서는 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USB 단자의 인가 전압이 강하한 것을 전원부(35)의 전위 검출부를 통해 CPU(24)가 인식하면(S15), 초기 설정된 키모드(또는 양모드)로 동작 모드가 변경된다(S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에 따르면 USB 단자로부터 전원 전위가 공급되면 일률적으로 PC 모드가 되어, 본체의 조작 스위치가 사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USB 단자를 통해 디바이스 리퀘스트 신호 등의 커맨드 등의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만 PC 모드로 진입하기 때문에, USB 단자를 통한 외부 PC나 전원 어댑터(6)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조작상의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고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3의 흐름도와 거의 동등하다. 그러나, 도 4의 흐름도는 단계 S16에 있어서 USB 단자(33)에 전원이 공급되고 나서 소정 시간(T)이 경과하기 전에 PC로부터 커맨드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시간(T)은, 예컨대, 1초, 또는 10초, 또는 30초라도 좋다. 그 결과, 전원 어댑터(6)로부터의 전원 공급인 것이 시간 경과에 의해 명확해지며, 불필요한 대기 상태를 피하기 때문에 더욱 동작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 도 5는 도 3의 흐름도와 거의 동등하다. 그러나, 도 5의 흐름도는 단계 S17에 있어서 전원 전위가 공급되었을 때에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가녹음 동작(기록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녹음 처리(또는 영상 기록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는 동작 모드를 키모드로부터 PC 모드로 변경하면 녹음 처리(또는 영상 기록 처리)가 중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녹음 처리(또는 영상 기록 처리)가 종료한 것을 확인한 후에 이후의 단계 S13 내지 S15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녹음 처리(또는 영상 기록 처리)가 종료하는 것을 단순히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강제 종료한 후에 PC 모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재생 처리와 편집 처리를 이러한 관점에서 녹음 처리(또는 영상 기록 처리)에서와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의 흐름도는 도 3의 흐름도와 거의 동등하다. 그러나, 도 6의 흐름도는 단계 S18에 있어서 공급 모드는 동작 모드의 초기 설정으로서 조작 스위치(29) 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설정 가능하다. 이 공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S18), 단계 S11 내지 S15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동작 모드를 키모드(또는 초기 설정에 따라서는 양모드)에 고정한 뒤에 외부로부터의 USB 단자(33)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이 공급 모드가 해제되면 도 3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단계 S11 내지 S15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결과, 도 2a에 도시한 전원 어댑터(6)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가 동작하는 한편, 동시에 본체의 조작 스위치(29)에 의해 시스템이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의 전원 단자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USB 단자(33)를 통해 전원 어댑터(6)로부터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로서 USB를 일례로 들어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인터페이스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Electronics Engineers) 1394를 사용한다거나, 다른 전원 단자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더다도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는다.
이상 기재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의해 당업자는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실시예의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생각해내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고, 진보적인 발전 없이도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실시예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원리와 신규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단자에 전원 전위가 공급된 시점에서는 초기 설정에 따라서 본체의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후, USB 단자를 통하여 외부 PC로부터의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만 USB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 등의 소정 정보에 따라서 시스템이 조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원은 USB 단자를 통해서 전원 어댑터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Claims (17)

  1.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는 전위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하면 상기 소정 전위를 전원 전위로서 각 구성 요소부에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는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 또는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처리를 행하는 동작 모드로 초기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와 상기 직렬 버스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정보 양쪽 모두에 따라서 처리 동작을 행하는 이중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르는 처리 동작을 행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한 후에,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의 강하를 검출하면 상기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처리 동작을 행하도록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르는 처리 동작을 행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한 후에,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의 강하를 검출하면 초기 설정에 따라서 상기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처리 동작을 행하도록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르는 처리 동작을 행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한 후에,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의 강하를 검출하면 초기 설정에 따라서 상기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와 상기 직렬 버스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정보 양쪽 모두에 따라서 처리 동작을 행하도록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동작 모드로 수행되고,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소정 정보의 검출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로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기록 동작중 또는 재생 동작중이면 상기 정보 검출부가 검출하는 상기 소정 정보의 유무에 상관없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로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기록 동작중 또는 재생 동작중이면 상기 정보 검출부가 검출하는 상기 소정 정보의 유무에 상관없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로 수행되고,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종료한 후에는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기록 동작중 또는 재생 동작중이면 상기 정보 검출부가 검출하는 상기 소정 정보의 유무에 상관없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로 수행되고,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종료한 후에는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외부에서 전원 공급되기 위한 동작 모드로 초기 설정되어 있는 한,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외부에서 전원 공급되기 위한 동작 모드로 초기 설정되어 있는 한,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와 상기 직렬 버스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정보 양쪽 모두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13.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여, 상기 소정 전위를 전원 전위로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는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동작 모드로 수행되고,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인가된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소정 정보의 검출의 유무에 관계없이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에 의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기록 동작중 또는 재생 동작중이면 상기 소정 정보의 유무에 상관없이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초기 설정에 의한 동작 모드로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초기 설정되어 있는 한,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직렬 버스 단자에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 중 선택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7. 입력 인터페이스에 인가된 소정 전위를 검출하는 전위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하면 상기 소정 전위를 전원 전위로서 각 구성 요소부에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공급되는 소정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와,
    상기 전위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전위를 검출한 후에,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하기 전에는 적어도 본체에 설치된 조작키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정보 검출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공급된 상기 소정 정보에 따라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040010778A 2003-02-20 2004-02-18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0611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3030 2003-02-20
JP2003043030A JP3756882B2 (ja) 2003-02-20 2003-02-20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735A true KR20040075735A (ko) 2004-08-30
KR100611576B1 KR100611576B1 (ko) 2006-08-11

Family

ID=3302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778A KR100611576B1 (ko) 2003-02-20 2004-02-18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603567B2 (ko)
JP (1) JP3756882B2 (ko)
KR (1) KR100611576B1 (ko)
CN (3) CN101661452A (ko)
TW (1) TW2004193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704B2 (ja) * 2006-04-11 2008-09-17 ヤマハ株式会社 アンプ装置
KR101329307B1 (ko) * 2007-01-25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5023848B2 (ja) * 2007-04-05 2012-09-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8250245B2 (en) 2007-04-05 2012-08-21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operation modes when connected to a host device
WO2009112595A1 (es) 2008-03-10 2009-09-17 Fundación Cetena Sistema de soporte a un ordenador para la ejecución de algoritmos seguros
DE102009032821A1 (de) * 2008-10-28 2010-04-29 Giesecke & Devrient Gmbh Speichermedium mit unterschiedlichen Zugriffsmöglichkeiten
JP4944214B2 (ja) * 2010-02-09 2012-05-3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周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5160611B2 (ja) * 2010-10-15 2013-03-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制御方法
CN102681640A (zh) * 2011-03-16 2012-09-19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自我供电usb设备
US9755852B2 (en) * 2012-05-11 2017-09-05 Fsr Inc. Power over ethernet to USB adapter
US9342259B2 (en) * 2012-09-10 2016-05-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onvolatile logic array and power domain segmentation in processing device
JP7155120B2 (ja) 2016-11-28 2022-10-18 フリント グループ ジャーマニ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板状の材料を露光するための露光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7027A (en) * 1985-09-20 1988-11-22 Ncr Corporation System using an adapter board to couple a personal computer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in a financial environment
US5212797A (en) * 1988-02-24 1993-05-18 Fuji Photo Film Co., Ltd. Multiple CPU system including automatic power supply restoration following instantaneous shutdown
US4997288A (en) * 1988-12-09 1991-03-05 The Exchange System Limited Partnership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fault-tolerant operation in a microcomputer-based encryption system
US5267323A (en) * 1989-12-29 1993-11-3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system
JP2792217B2 (ja) 1990-09-07 199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3096489B2 (ja) * 1991-07-09 2000-10-10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5642458A (en) * 1992-11-18 1997-06-24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3058986B2 (ja) * 1992-04-02 2000-07-04 ダイヤセミコ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節電制御装置
US5717582A (en) * 1996-02-22 1998-02-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lectively controlled electrical power switching system
US5838983A (en) * 1996-08-20 1998-11-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low power audio CD-player
US5948085A (en) * 1996-08-08 1999-09-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us voltage detection and protection
KR100480415B1 (ko) * 1996-08-14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씨디-롬(cd-rom) 드라이브의 동작상태 체크방법
JP2000010907A (ja) * 1998-06-24 2000-01-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6330668B1 (en) * 1998-08-14 2001-12-11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having hardware circuitry to prevent electrical or thermal stressing of the silicon circuitry
JP3293779B2 (ja) * 1998-08-25 2002-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647435B1 (en) * 1999-10-22 2003-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system with first and second controller connected via uart chip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of computer system in second power mode
US6571333B1 (en) * 1999-11-05 2003-05-27 Intel Corporation Initializing a memory controller by executing software in second memory to wakeup a system
JP2001166854A (ja) * 1999-12-10 2001-06-22 Aiwa Co Ltd 電力供給方法及び電源回路
JP2001177543A (ja) * 1999-12-16 2001-06-29 Onkyo Corp バス接続機器および機器接続システム
JP3819658B2 (ja) * 1999-12-27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共通シリアルバスコネクターを具えた携帯電子機器
JP2001242965A (ja) * 2000-02-29 2001-09-07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JP3501722B2 (ja) * 2000-04-12 2004-03-02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966677B2 (ja) * 2000-06-16 2007-08-29 株式会社東芝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2062957A (ja) * 2000-08-18 2002-02-2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4504579B2 (ja) 2000-10-03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455730B2 (ja) 2001-02-22 2003-10-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拡張ユニット
DE10146491B4 (de) * 2001-09-21 2006-04-13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Schaltung mit einer Treiberschaltung
US6877058B2 (en) * 2001-10-30 2005-04-0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a slo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program that controls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US6883102B2 (en) * 2001-12-18 2005-04-19 Arm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functions
US20030233509A1 (en) * 2002-06-18 2003-12-18 D.C. Chang MP3 play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1452A (zh) 2010-03-03
US20090319803A1 (en) 2009-12-24
US20130290691A1 (en) 2013-10-31
US20050172139A1 (en) 2005-08-04
US8375222B2 (en) 2013-02-12
US8745424B2 (en) 2014-06-03
TW200419364A (en) 2004-10-01
CN101661451B (zh) 2012-10-17
KR100611576B1 (ko) 2006-08-11
US7603567B2 (en) 2009-10-13
JP3756882B2 (ja) 2006-03-15
CN100555167C (zh) 2009-10-28
US20090319698A1 (en) 2009-12-24
US20130124884A1 (en) 2013-05-16
CN1523472A (zh) 2004-08-25
JP2004252749A (ja) 2004-09-09
US8438407B2 (en) 2013-05-07
CN101661451A (zh) 2010-03-03
US8762740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407B2 (en)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in two modes based on connection to power supply and command information
US20010049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in a mobile terminal
WO1995028702B1 (en) Handheld record and playback device with flash memory
US7187775B2 (en) Audi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20060085577A1 (en) Portabl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20040017484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KR100609171B1 (ko) 이어폰의 기능 키를 이용한 음악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041240A (ja) 音声トリガ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050924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0989720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모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모드 제어 방법
KR20020015579A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스테이션 장치
JP2002315071A (ja) リモコン用ジャック、リモコンケーブル用プラグ、インターフェースケーブル用プラグ及びリモコン装置
JP2002358099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並びに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2002358098A (ja) データ再生装置
KR200256127Y1 (ko) 카메라를 구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US20060172768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gital answer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JP2001043669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装置
JP200519010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この装置に接続されたクレードル
JP2000023011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0222078A (ja) 音声処理装置
JP2001142647A (ja) アナログ入力装置及びアナログ出力装置
JPH08335090A (ja) 音声データ転送装置
KR19990009421A (ko) 휴대용카세트의 녹음기능제어가 가능한 vcr
JP2000267697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KR19980075523A (ko)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