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529A -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529A
KR20040073529A KR10-2004-7010259A KR20047010259A KR20040073529A KR 20040073529 A KR20040073529 A KR 20040073529A KR 20047010259 A KR20047010259 A KR 20047010259A KR 20040073529 A KR20040073529 A KR 20040073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ction
representative
thumbnai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315B1 (ko
Inventor
도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5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ingle video seque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매체상에 기록된 동화상에 대응해서 1개 혹은 복수개의 대표화상을 관리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동화상에서 지정된 임의의 구간내의 소망의 선택기준에 따라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근거해서 해당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해서 기록한다. 동화상에 대응하는 이 썸네일은 지정된 구간을 지시하는 구간정보, 선택된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선택기준을 나타내느 Type ID에 대응해서 격납된다. 이와같이 해서 등록된 썸네일중 하나의 썸네일이 처리목적에 대응하는 Type ID를 참조해서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되게 된다. 썸네일발생시의 정보인 선택기준이 썸네일의 속성으로써 유지되고, 처리에 적절한 썸네일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썸네일을 사용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MOVING IMAG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종래부터, 기억매체상에 기록된 동화상을 대표화상을 이용해서 관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특허 제 03081304호에는, 일반적인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의 재생기에 있어서의 대표화상의 이용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등의 선택을 행할 때의 간이표시를 위해 대표화상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176137호 및 동 특개 2000-322875호에는, 동화상의 구간에 대해서 대표화상을 할당해 두고 대표화상을 이용해서 재생지시의 대상이 되는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대표화상의 이용형태가 일반적으로 되는 것에 따라, 그 이용형태도 다양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표화상을 이용한 화상관리를 상기와 같은 재생장치 뿐만이 아니라, 편집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같은 동화상의 구간에 대해서도 재생할 때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적절한 대표화상과 편집시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적절한 대표화상은 각각다르다. 따라서 편집장치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기종에 대해 대표화상을 이용하려고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11)은 일련의 동화상을 나타낸다. 이 동화상 (11)에서, 구간(a)에는, 타자가 배트를 가지고 볼의 안타를 치는 동작이 기록된다. (12)와 (13)은 같은 구간(a)에 관한 대표화상이다. 대표화상(12)는 구간(a)의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작성되고 있고, 타자가 준비자세를 취할 때의 화상이다. 또, 대표화상 (13)은, 구간의 중간의 프레임으로부터 작성되고 있고, 타자가 안타를 쳤을 때의 화상이며, 구간(a)의 내용을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대표화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구간에 대해서는 하나의 대표화상이 할당되어 등록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대표화상(12) 및 (13)중 한쪽이 구간(a)의 대표화상으로서 등록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등록된 대표화상은 예를 들면 재생장치용의 인덱스화상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대표화상(13)이 등록된 경우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대표화상의 선택시에 안타를 치기 이전의 상태로부터 재생이 시작되고(구간(a)의 선두로부터 재생이 시작되기 때문에) 따라서, 사용자는 위화감을 느낀다. 한편, 대표화상(12)가 등록된 경우에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것을 사용했을 때에, 구간(a)의 내용을 그 화상(12)으로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 즉, 도 1의 예에 있어서, 구간(a)는 타자가 안타를 친 장면인가, 또는 볼에 스윙해서 볼을 놓치는 장면인가를 대표화상(12)로부터는 판별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동화상중의 하나의 구간에 있어서의 적절한 대표화상은 사용되는 기기의 목적에 따라서다른 것이 된다.
종래는, 재생용이나 편집용 등, 동화상데이터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대표화상의 할당이나 관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편집 혹은 재생이라고 하는 사용목적마다, 또는 동화상이나 정지화상 마다, 또는 기기나 사용형태 마다, 대표화상의 정보를 장황하게 보유할 필요가 있고, 또, 그 대표화상 등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공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대표화상마다 각각 보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여러가지의 동화상데이터처리에 있어서 대표화상을 이용하는 경우에, 그 이용하는 장치나 프로그램 마다 대표화상 등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관리를 실시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이 복수개 존재하는 것은 낭비적이고, 또 대표화상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격납하는 것은 더욱 낭비적이다. 이와 같이, 대표화상의 사용시에 동화상데이터처리의 조작성을 유지하려고 하면, 대표화상의 관리가 번잡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억매체상에 기록된 동화상데이터를 1개 또는 복수개의 대표화상에 의해 관리하는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어서, 명세세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첨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은 대표화상의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한 설명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동화상처리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처리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파일중의 썸네일 격납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푸터(403)중의 인덱스영역(406)에 있어서의 1인덱스분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6B는 도 4에 있어서의, 헤더(401)중의 썸네일(405), 푸터(403)중의 썸네일 영역(407)에 있어서의 1개의 썸네일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썸네일 등록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8A 및 8B는 브라우저 실행시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9B는 동화상처리장치의 브라우저 동작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편집부(305)에 의한 동화상편집시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예
도 11은 편집부(305)에 의한 동화상편집시의 썸네일 표시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2는 프레임을 블록으로 분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대표화상의 기본으로 되는 프레임의 선택에 관계하는 정보를 그 대표화상의 속성으로서 대표화상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대표화상을 이용하는 여러가지의 동화상데이터처리의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표화상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목적은, 동화상에 대응해서, 동화상으로부터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작성된, 대표화상을 격납하는 수단과;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동화상의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프레임화상의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격납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동화상에 대응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대표화상을 관리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목적은 옹화상에 대응해서, 동화상으로부터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작성된 대표화상을 격납하는 단계와,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프레임화상의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격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동화상에 대응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대표화상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유첨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동 도면에서 도면전체에 걸쳐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명칭 또는 구성요소를 나나태는 것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화상을 이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대표화상과 대표화상 관련의 정보를 간단한 방법으로 관리/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각 대표화상은 대표화상작성시의 정보를 갖는다. 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 각 처리에 적합한 대표화상에 액세스(acess) 가능하고, 사용되는 대표화상은 목적 등에 따라서 선택된다. 여기서, 대표화상작성시의 정보란 대표화상의 기본이 되는 대응하는 동화상 구간내의 화상, 또는 대응하는 동화상 구간내의 화상의 타입(격렬한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대표화상작성시의 정보에는, 대표화상의 기본으로 되는 프레임의 선택에 관한 정보(이하, 선택기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표화상 작성시의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복수의 대표화상을 일원화 해서 기록·보존할 수 있어서 낭비를 피할 수 있다(예를 들면, 복수종류의 사용목적에 대응한 복수의 대표화상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할 수가 있다). 또, 개개의 장치나 프로그램에서 독특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적합한 대표화상을, 대표화상의 선택기준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선택할 수 있으므로, 그 기능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정보의 격납시에, 그 배치방식 등을, 그 대표화상 관련의 정보의 이용목적이나 방식에 대응해서 결정할 수가 있다. 즉, 중요한 썸네일(thumbnail)(헤더), 인덱스영역 및 썸네일 영역(푸터(footer)) 각각의 기억매체상의 배치장소를, 중요도에 따라서 액세스가 용이한 장소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처리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201)은 CPU이며, 동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202)는 ROM이며, 본 장치의 시작시에 실행되는 부트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203)은 RAM이며, CPU(201)가 처리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격납하고, CPU(201)가 각종 제어를 행할 때의 작업영역을 제공한다. (204)는 키보드, (205)는 마우스이며, 사용자에 의한 각종 입력조작환경을 제공한다.
(206)은 외부기억장치이며,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광학자기테이프, 자기테이프, 비휘발성 반도체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쉬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207)은 표시기이며, CRT디스플레이, LCD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처리결과 등을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한다. (208)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며, 네트워크상의 각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209)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이며, 비디오 카메라 (210)나, VTR(212)로부터의 동화상을 읽어들인다. 또, (211)은 상기의 각 구성을 접속하는 버스이다.
또, 상기의 구성에 대해 비디오 카메라(210), VTR(212) 및 외부기억장치 (206)은 네트워크상에 배치된 것으로 대용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처리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00)는 사용자조작부이며, 사용자에 의한 지시나 입력을, 키보드(204) 및 마우스(205) 등을 개재해서 취득한다. (301)은 동화상 입력부이며, 비디오 I/F(209)를 개재해서 비디오 카메라(210), VTR(212) 등의 동화상을 읽어내고, 동화상 처리장치에 화상을 입력한다. (302)는 동화상파일축적부이며, 외부기억장치 (206)로 구성되고, 동화상 입력부(301)에 의해 입력된 동화상을 파일의 형식으로 축적한다.
(303)은 썸네일(thumbnail) 작성부이며,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축적되어 있는 동화상을 표시기 (207)에 제시해서, 사용자에게 소망의 구간과 해당 구간안의 프레임화상을 지정하게 하고, 이 지정된 프레임화상에 근거해서, 축소화상(이하, 썸네일화상)을 작성하고, 이것을 지정된 구간등의 정보와 함께 동화상파일로서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축적시킨다. 즉, 썸네일 작성부(303)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기(207)에 제시된 동화상을 참조해서 동화상중의 구간과 그 구간을 대표하는 프레임을 사용자 조작부(300)을 개재해서 지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지정된 프레임화상에 근거한 썸네일화상이 지정된 구간등의 정보와 함께 동화상파일에 삽입되고, 동화상파일축적부(302)중에 격납된다. 또, 지정구간으로서 동화상 전체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304)는, 브라우즈부(browse unit)이며, 동화상파일축적부(302)로 부터 썸네일을 읽어내고, 이것을 표시기(207)에 의해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한 동화상을 재생한다. 이 경우의 동화상의 재생에서는, 선택된 썸네일이 대표하고 있는 구간만을 재생하거나, 선택된 썸네일이 대표하고 있는 구간과 그 이후의 동화상을 재생한다. (305)는 편집부이며,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축적된 동화상의 편집을 행한다. 또, 그 편집의 도중경과나 결과는 표시기(207)을 개재해서 표시된다.
또, 상술한 각부의 기능은, CPU(201)가 ROM(202)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혹은, 외부기억장치(206)로 부터 적당하게 RAM(203)에 제어프로그램을 로드하고, CPU(201)가 이것을 실행하도록해도 된다.
<1. 썸네일 격납방법>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파일중의 썸네일 격납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00)은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의해 기억매체상에 기록된 동화상파일이다. 또 기억의 단위는 동화상의 1 파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위는 촬상장치의 녹화버튼을 누르고 나서 정지시킬 때까지의 쇼트를 단위로 해도 되고, 하나의 TV방송프로그램을 단위로 해도 된다. 동화상파일(400)은, 관리정보 등이 기록되는 헤더(401), 동화상데이터 그 자체가 기록되는 동화상(402) 및 주로 썸네일이 기록되는 푸터(footer)(403)로 이루어진다.
헤더(401)에는, 동화상파일의 데이터 사이즈·형식·작성일 등의 동화상파일 관리정보(404)와, 1매의 썸네일화상(405)이 기록된다. 푸터(403)은, 썸네일을 복수매기록이 가능한 썸네일 영역(407)과 각 썸네일의 인덱스정보가 기록되는 인덱스영역(406)을 구비한다.
도 5는, 도 4의 푸터(403)중의 인덱스영역(406)에 있어서의 1인덱스 분의 데이터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Start Point"와 "End Point"는, 각각, 해당 썸네일이 대표하고 있는 동화상중의 구간의 개시점과 종료점이다. 개시점 및 종료점은 동화상의 구간을 특정할 수 있으면 그 형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개시점 및 종료점은 타임코드 또는 프레임 ID 등으로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구간으로서 해당 동화상 전체가 지정되었을 경우, Start Point는 해당 동화상의 선두프레임을, End Point는 해당 동화상의 최종프레임을 가르킨다.
Thumbnail Type ID에는, 썸네일의 작성시에 있어서의, 화상의 선택기준에 의해 ID가 정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썸네일형 ID가 썸네일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humbnail Type ID = 1: 구간의 선두의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2: 구간의 중간의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3: 구간의 종료의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4: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격렬한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5: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온화한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6: 구간중에서 오브젝트(object)가 출현한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7: 구간중에서 오브젝트가 사라진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8: 구간중에서 화질이 좋은 프레임
Thumbnail Type ID = 9: 구간안에 없는 화상
이 실시예에서는, ID는 구간의 프레임의 타입에 의거해서 규정되고, 이들 ID는, 썸네일의 기본이 되는 프레임의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5에 나타나는 "Thumbnail Offset"에는, 인덱스가 지시하는 썸네일에의 오프셋(offset)(썸네일 영역안의 해당 인덱스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위치)가 기술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헤더(401)중의 썸네일(405), 및 푸터(403)중의 썸네일 영역(407)에 있어서의 1개의 썸네일의 데이터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있어서, "Thumbnail Header"에는, 썸네일화상의 관리정보 등이 기술된다. 또, "Thumbnail Image"에는, 썸네일화상데이터 그 자체가 기술된다. 또,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한 "Thumbnail Header"의 데이터구조예가 도시되어 있다. "Thumbnai1 Image Offset"에는, 썸네일화상(Thumbnail Image)의 격납위치에의 오프셋(offset)이 기술되어 있다. "Thumbnail Image Size"에는, 썸네일화상의 사이즈가 기술된다. "Thumbnail Key Relative Point"에는, 썸네일의 기본으로 된 동화상중의 프레임의위치가 상기 Start Point로부터의 상대위치로써 기술된다.
구간에 없는 화상의 경우, 즉 Thumbnail Type ID = 9의 경우에 있어서는, 구간중의 화상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최대치와 같은 특정치를 사용해도 된다.
<썸네일의 등록처리>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등록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우선, 스텝(S100)에 있어서, 동화상입력부(301)은 동화상을 입력하고, 이것을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도 4에 나타낸 동화상파일의 형식으로 기록한다. 이 때, 헤더(401)중의 썸네일을 격납하는 영역과, 푸터(403)을 위한 영역을 예약영역으로서 확보해 둔다. 다음에, 스텝(S1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썸네일의 지정이 이루어졌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썸네일의 지정이란, 썸네일의 기본으로 되는 동화상중의 임의의 프레임의 지정, 그 썸네일이 대표하게 되는 동화상중의 구간의 지정, 썸네일의 기본이 되는 동화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준의 지정, 썸네일이 중요한지 어떤지의 지정,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선택기준은 상술한 도 5에 있어서의 Thumbnail Type ID에 대응한다. 또, 중요한 썸네일이란, 동화상파일을 대표하는 썸네일이고, 썸네일(405)로서 등록되는 것이다.
썸네일의 지정은, 장치의 기능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는, (1) 사용자가 이 장치를 썸네일을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모드로 설정하고, (2) 다음에, 동화상중의 소망한 구간을 지정하고, (3) 다음에, 이 구간을 재생하고, (4) 사용자가 썸네일로 하고싶은 화상이 표시된 시점에서, 장치에 소정의 지시를 입력한다. 이 경우, 지정된 동화상중의 구간에 의해 상기 Start Point와 End Point가 결정된다. 또, 소망구간의 지정이나, 썸네일으로 하고싶은 화상의 지시는,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를 사용해서 행한다.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구간중에서, 변화가 격렬한 화상이나, 변화가 적은 화상이라고 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기준에 의거해서 화상을 자동적으로 선택해서 썸네일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구간내의 선두, 중간, 종료에서의 프레임을 선택기준으로서 지정하고, 「선두」가 지정되었을 경우는 해당 구간의 선두 프레임을, 「종료」가 지정되었을 경우는 해당 구간의 말미의 프레임을, 「중간」이 지정되었을 경우는 상기(1)~(4)의 순서로 지정된 프레임을 썸네일의 기본이 되는 화상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썸네일의 기본이 되는 동화상 프레임의 지정의 방식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것이나, 자동적으로 장치가 지정하는 것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적용 가능하고, 본 발명에서는, 그 어느 방법도 적용가능하다. 단, 도 7의 플로우챠트에서는, 선택기준으로서 선두, 중간, 또는 종료를 이용한 순서를 채용한다.
다음에, 스텝(S102)에서, 썸네일이 중요한 썸네일이라는 지정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요한 썸네일이란, 동화상파일 전체를 나타내기 위한 썸네일을 의미한다. 사용자에 의해 중요한 썸네일이라고 지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스텝(S103)으로 진행되어, 썸네일의 작성을 위하여 지정된 프레임의 위치를 동화상파일의 선두로부터의 상대위치로 고치고, "ThumbnailKey Relative Point"를 얻는다. 다음에, 스텝(S104)에 있어서, 스텝(S103)에서 산출한 "Thumbnail Key Relative Point"와 썸네일의 화상사이즈(Thumbnail Image Size) 및 썸네일화상의 격납위치까지의 상대거리의 정보(Thumbnail Image Offset)를 헤더로 한 썸네일(405)을 헤더(401)에 기록한다. 이 때, 헤더(401)을 기억매체상의 액세스가 비교적 용이하고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광디스크의 경우, 내주부분에 격납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동화상파일 선택용의 인덱스표시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스텝(S101)에서의 판단으로 돌아온다. 또, 중요한 썸네일은 이 후의 조작에서 동화상파일을 선택할 때에 필요하므로, 중요한 썸네일의 등록이 완료할 때까지는 본 처리를 종료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처리는 스텝(S115)에서 YES로 분기하지 않는다). 중요한 썸네일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푸터에 격납된 썸네일중의 어느것, 예를 들면 최초로 격납된 썸네일(푸터의 선두)이 격납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또, 그 경우에, 상기 처리의 종료시에 중요한 썸네일의 등록완료를 체크할 필요는 없다.
한편, 스텝(S102)에 있어서, 중요한 썸네일이라고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105)로 진행한다. 스텝(S105)에 있어서, 동화상파일(400)중의 푸터(403)의 인덱스영역(406)의 미사용 영역에 새로운 인덱스를 확보한다. 다음에, 스텝 (S106)에서, 썸네일영역(407)의 미사용영역에 새로운 썸네일을 확보한다. 다음에, 스텝(S107)에서, 스텝(S106)에서 확보된 썸네일에의 오프셋(offset)치를 산출한다.
다음에, 스텝(S108)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썸네일의 타입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기준(본 실시예에서는, 썸네일의 기본으로 되는 화상의 위치가 썸네일에 의해 대표되는 구간의 선두, 중간, 종료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서 판정한다.
스텝(S108)에서 판정된 타입에 따라 처리를 스텝(S109)~(S111)로 분기 하고, 대응하는 Thumbnail Type ID를 설정한다. 이것은, 상술한 Thumbnail Type ID를 테이블에 보관, 유지해 두고, 이것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기준이 구간의 선두의 프레임이면, Thumbnail Type ID = 1 (S109), 구간의 중간의 프레임이면, Thumbnail Type ID = 2 (S110), 구간의 종료의 프레임이면, Thumbnail Type ID = 3 (S111)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입은 3개만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스텝(S112)에서, 스텝(S107)에서 산출한 오프셋(offset)(Thumbnail Offset), 스텝(S108)~(S111)에서 설정한 Thumbnail Type ID 및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구간을 나타내는 개시점(Start Point)과 종료점(End Point)으로 이루어진 인덱스를 생성하고, 푸터(403)에 격납한다. 이 때, 푸터(403)의 인덱스영역(406)을 기억매체상의 액세스가 비교적 용이하고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광디스크의 경우, 내주부분에 격납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푸터내의 썸네일 선택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인덱스영역(406)은 기억매체상의 연속한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스텝(S113)에 있어서, 썸네일로써 채용한 프레임의 위치를, 구간의 선두로부터의 상대위치로 고치고, Thumbnail Key Relative Point를 얻는다. 그리고, 스텝(S114)에 있어서, 스텝(S113)에서 산출한 Thumbnail Key Relative Point와 썸네일의 화상사이즈(Thumbnail Image Size)를 헤더로서 해서 지정된 프레임을 축소해서 얻은 썸네일과 함께, 푸터(403)에 격납하고, 썸네일화상의 격납위치까지의 상대거리에 관한 정보를 Thumbnail Image Offset에 격납한다. 이 때, 푸터(403)의 썸네일영역(407)을 기억매체상의 액세스가 비교적 용이하고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광디스크의 경우, 내주부분에 격납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푸터내의 썸네일 표시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스텝(S101)로 돌아오고, 다시 썸네일의 지정이 이루어지면, 스텝(S102)~스텝 (S114)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S101)에 있어서, 썸네일의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S115)로 진행되고, 여기서 등록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처리를 종료한다. 등록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S101)로 돌아와서,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중요한 썸네일, 인덱스 및 썸네일화상중의 어느 것을 기억매체상에서 액세스가 용이하고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위치에 격납할 수 있고, 또, 사용목적이 다른 썸네일, 또는 사용목적은 같지만 장치의 특징이 다른 썸네일을 Thumbnail Type ID에 의해 구별할 수 있으므로, 이들 썸네일을 동일 파일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관리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썸네일 활용처리>
다음에, 상술의 썸네일 등록처리에 의해 등록된 썸네일을 활용할 때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브라우저에 의한 활용]
우선, 브라우저로 썸네일을 활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8A 및 도 8B는, 브라우저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8A은, 브라우즈해야 할 동화상파일이 소정의 선택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의 표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8A에 있어서의 각 썸네일은 선택된 파일의 푸터에 등록된다. 여기서, 소정의 선택조작이란, 예를 들면, 중요한 썸네일로서 각 동화상파일의 헤더에 등록된 썸네일의 리스트를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고, 소망한 썸네일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동화상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8A에 있어서, (801)은 브라우저의 표시영역 전체이다. (802)는 배열된 썸네일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썸네일은 차례로 최상열로부터 시작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표시되고 있다. (803)은 스크롤바이며, 이것을 드래그 하는 것에 의해 썸네일 표시영역(802)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없는 썸네일을, 순서대로 표시시킬 수가 있다. (804)는 포인터이며, 사용자는 사용자조작부(300)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804)를 움직여서, 썸네일 표시영역(802)중의 소망한 썸네일을 지정한다. 포인터(804)로 썸네일을 선택하면, 표시화면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화상 재생화면(805)으로 바뀌고, 동화상의 재생이 시작된다.
이상의 브라우저에서의 썸네일의 활용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9a, 도 9b는 본 실시예의 동화상처리장치의 브라우저 동작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처리는, 해당 동화상 처리장치에서 부라우저 처리가 기동되고 부라우즈해야 할 동화상파일이 지정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 또, 부라우즈해야 할 동화상파일의 지정에 즈음해서는, 도 8A의 썸네일 표시영역에 각 동화상파일을 대표하는 썸네일(각 동화상파일의 헤더에 격납되어 있는 썸네일)을 표시한다. 그리고, 포인터(804)에 의해 소망한 썸네일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소망한 동화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소망한 동화상파일이 선택되면, 도 9a 및 9b에 나타내는 처리가 기동된다.
우선, 스텝(S201)에 있어서, 부라우즈부(304)는, 동화상파일축적부(302)에 의해 축적된 동화상파일 가운데 상기 조작에 의해 선택된 동화상파일(4O0)의 헤더(401)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그 동화상파일관리정보(404)로부터 파일사이즈 등의 각종 기본적인 관리정보를 얻고, 이것을 메모리(RAM203)중에 유지한다. 다음에, 스텝(S202)에 있어서, 푸터(403)중의 인덱스영역(406)을 읽어들이고, 메모리 (RAM203)에 유지한다. 다음에 스텝(S203)에서, 상기 스텝(S202)에서 보관, 유지한 인덱스영역(406)에 포함되는 인덱스를 개시위치(도 5에 나타낸 Start Point)에서 올라가는 순서로 소트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썸네일을 시계열순서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스텝(S204)에 있어서, 스크롤바(803)의 바(bar)의 현재 위치로부터 썸네일의 표시개시매수 N(N매째의 썸네일이 최상열의 좌단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를 얻는다. 예를 들면, 스크롤바(803)가 상단에 있으면(도 8에 나타낸 상태), 표시개시매수 N=1이 된다. 따라서, 1매째의 썸네일로부터 표시가 개시되게 된다.
다음에, 선두의 인덱스로부터 순서대로 이하의 스텝(S205)~(S212)에서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N매째 이후의 부라우즈용 썸네일을 썸네일 표시영역 (802)에 표시한다.
우선, 스텝(S205)에 있어서, 부라우즈에 적절한 썸네일인가 아닌가를 썸네일 등록시의 선택기준에 근거해서 체크한다. 어떠한 썸네일이 부라우즈 조작에 있어서의 인덱스로서 적절한가 하는 그 기준은 같은 브라우저라고 하는 이용형태에서도 기기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일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라우즈부(304)는 구간의 선두의 프레임이 인덱스의 썸네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구간의 선두의 프레임인가 아닌가를 체크하려면, Thumbnail Type ID = 1인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또, 처리의 개시시에는 소트후의 선두의 인덱스로부터 체크를 시작한다.
스텝(S205)에서 브라우저용의 썸네일이라고 판정되었다면, 다음의 스텝(S206)으로 진행된다. 스텝(S206)에 있어서, 매수 C(브라우저용의 썸네일중에서 몇번째인지)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스텝(S207)에 있어서, 카운트된 매수 C가 표시개시매수 N미만인지 아닌지(C<N)를 체크한다. 이것은, N매째미만의 썸네일은 표시하지 않고, 스킵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C가 표시개시매수 N이상이면, 다음의 스텝(S208)에서의, 썸네일표시를 위해 썸네일화상을 읽어들인다. 다음에, 스텝(S209)에 있어서, 썸네일화상을 썸네일 표시영역(802)에 표시하고, 스텝(S210)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S205)에서, 부라우징용의 썸네일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207)에서 C가 N매째미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그대로 스텝(S210)로 진행한다.
스텝(S210)에서는, 다음의 썸네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음의 인덱스로 처리대상을 옮긴다. 여기서, 직전의 처리가 최종의 인덱스에 대해서 행해지고, 다음의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처리는 스텝(S213)으로 진행한다. 다음의 인덱스가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S212)로 진행되고, 썸네일 표시영역(802)에서 표시가능한 썸네일의 매수를 넘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낸 예에서는, 썸네일의 표시가능매수는 9매이다. 따라서, C ≥ N + 9이면, 표시가능한 썸네일을 표시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의 표시가능매수를 넘지 않으면, 스텝(S205)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처리해야 할 인덱스가 없어지거나, 매수가 썸네일의 표시가능매수를 넘을 때까지, 스텝(S205)~(S210)의 처리를 실시하고, 인덱스를 순서대로 체크한다.
처리해야 할 인덱스가 없어지거나, 또는 썸네일의 표시매수가 썸네일 표시영역(802)의 표시가능매수를 넘었을 경우는, 스텝(S213)으로 진행된다. 스텝(S213)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바가 조작되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고, 조작되어 있으면, 스텝(S204)~스텝(S212)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조작후의 스크롤바의 위치에 상당하는 썸네일을 표시한다.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214)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214)에서, 사용자에 의해 썸네일 표시영역(802)에 표시된 썸네일중 1개가 선택되었는지 어떠했는지를 판정한다. 썸네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S215)로 진행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인덱스로부터 Start Point를 읽어낸다. 다음에, 스텝(S216)에서, Start Point로부터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하고, 동화상 재생화면(805)에 동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처리를 스텝(S217)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214)에서 썸네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그대로 스텝(S217)로 진행된다.
스텝(S217)에서는, 브라우즈부(304)에 의한 브라우징을 종료하는 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어떠했는지를 판정하고,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213)로 돌아온다. 종료가 지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본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썸네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덱스로부터 Start Point를 취득하고, 해당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고, 동화상데이터의 최후까지 재생을 속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재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인덱스로부터 Start Point 및 End Point를 취득하고, 해당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정지 혹은 포즈버튼을 설치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동화상재생을 정지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상,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1개의 동화상파일내를 부라우징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복수의 동화상파일의 썸네일구간에 있어서도 각 동화상파일에 대해서 썸네일을 표시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브라우저부(304)는 썸네일 영역(407)으로부터 브라우징을 위한 썸네일만을 읽어내서 활용한다.
즉, 썸네일을 활용하는 장치 또는 처리는 썸네일 작성시의 정보(Thumbnail Type ID)에 의해 처리에 적합한 썸네일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썸네일을 활용할 수 있다.
[동화상편집에 의한 활용처리]
다음에, 동화상 편집에서 썸네일을 활용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한다. 도 10은, 편집부(305)에 의한 동화상 편집시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예이다. (1000)은 편집작업을 실시하는 편집작업 윈도우이다. (1001)은 재생윈도우이며, 선택한 동화상파일 또는 편집결과를 재생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1002)은 동화상파일윈도우이며, 각 동화상파일의 헤더에 있는 썸네일(중요한 썸네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이다. (1003)은, 재생윈도우(1001)에서 재생시키는 동화상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이고, 왼쪽의 조작버튼으로부터「재생·일시정지·정지·되감기·빨리감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1004)은 선택한 동화상파일을 배열해서 각 동화상에서의 구간을 지정하기 위한 장면지정 윈도우영역이다. 도면에서는,「태양」과「야구선수」의 썸네일으로 대표되는 파일이 배열되어 있고, 각 동화상파일의 영역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썸네일화상이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1005)은 장면지정 바(bar)이며, 이것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선택한 클립(clip)(사선부분)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6)은 포인터이며, 사용자는 사용자조작부(30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포인터(1006)를 움직여서, 각종 버튼의 선택이나 동작의 지정을 실시한다. 조작의 순서로서는, 동화상파일 윈도우(1002)로부터 동화상파일을 선택하고, 재생하고 싶은 차례로 장면지정 윈도우(10O4)로 드래그 및 드롭(drop)을 한다. 그리고, 장면지정 바(1005)를 이용해서, 개시점과 종료점의 수정을 실시한다. 이 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조작부(100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재생윈도우(1001)에서 동화상을 재생하고, 화상을 체크한다.
도 11은, 편집부(305)에 의한 동화상 편집시의 썸네일 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 도 11의 처리는, 해당 동화상 처리장치에서 동화상 편집처리가 실행될 때에 기동된다.
우선, 스텝(S300)에서, 편집부(305)는 동화상파일축적부(302)로부터 전체동화상파일중의 헤더(401)를 읽어들인다. 다음에, 스텝(S301)에서, 각 파일의 헤더 (401)중의 썸네일(405)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스텝(S302)에서, 헤더중의 썸네일(즉, 중요한 썸네일)을 각 동화상파일의 대표화상으로서 동화상파일 윈도우(1002)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303)에서, 동화상파일이 선택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1006)의 조작에 의해 동화상파일 윈도우(1002)로부터 동화상파일이 장면지정 윈도우(1004)에 드래그 및 드롭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동화상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는, 스텝(S304)로 진행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화상파일중의 푸터로부터 인덱스영역(406)을 읽어들인다. 한편, 스텝(S303)에서 동화상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304)을 스킵한다.
다음에, 스텝(S305)에서, 사용자가, 그 동화상파일에 관해서 장면지정 윈도우(1004)에 대해 장면지정바(1005)에 의한 장면의 범위지정을 했는지를 체크한다. 지정되어 있으면, 스텝(S306)~스텝(S311)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내에 존재하는 편집용의 썸네일을 추출해서 표시한다.
우선, 스텝(S306)에서, (처리의 개시시에 있을 수 있는 선두의)인덱스중의Start Point와 End Point를 참조하고, Start Point와 End Point에 의해 나타나는 구간이 사용자 지정범위내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범위내이면, 스텝(S307)로 진행하고, 해당 인덱스에 대응하는 썸네일이 편집에 적절한 썸네일인지 어떤지를 해당 썸네일의 선택기준에 근거해서 판정한다. 어떠한 썸네일이 편집에 적절한 썸네일인지, 그 기준은 같은 편집의 이용형태라도, 기기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편집부(305)는, 구간의 중간 프레임을 편집에 적절한 썸네일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구간의 중간 프레임인지 어떤지를 체크하려면, Thumbnail Type ID = 2인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편집에 적절한 썸네일이면, 처리는 스텝(S310)에 진행된다.
한편, 스텝(S306)에서, 해당 인덱스에 대응하는 구간이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내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스텝(S307)에서 편집용의 썸네일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스텝(S308)로 진행해서, 다음의 인덱스를 처리한다. 스텝 (S309)에서, 다음의 인덱스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존재하는 것이라면, 스텝(S306)과 스텝(S307)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307)에서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에는, 처리는 스텝(S310)로 진행하고, 해당 인덱스에 대응하는 썸네일화상을 읽어 들인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S311)에서, 썸네일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면지정 윈도우(1004)에는, 장면을 나타내는 바에 썸네일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한다. 이에 의해, 범위가 지정된 장면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스텝(S308)로 진행되어, 다음의 인덱스를 대상으로 해서 상술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은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구간의 편집용 썸네일이 장면을 나타내는 바에 중첩해서 표시된다. 또, 이 경우의 썸네일의 표시범위는 2개의 장면지정바(1005)에 의해 지정된 영역이며, 지정된 바사이의 영역의 크기가 부족한 경우는, 썸네일의 일부를 중첩해서 표시키거나 또는 스크롤 가능한 표시를 위해 스크롤바를 표시해도 된다.
스텝(S305)에서 사용자가 장면범위 지시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혹은 스텝(S309)에서 처리해야 할 인덱스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스텝 (S312)로 진행된다. 스텝(S312)에서는, 동화상 편집작업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 어떠했는지를 판정한다. 종료의 지시가 없으면(동화상편집이 실행중이면)스텝(S303)으로 처리가 돌아와서,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편집작업의 종료가 지시된 것으로 판정되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편집부(305)는, 파일선택시에, 헤더에 격납되어 있는 중요한 썸네일을 이용할 수가 있고, 썸네일 영역(407)으로부터 지정된 범위에 대응한 동화상 편집용의 썸네일만을 꺼내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서는, 썸네일의 활용방법으로서 부라우징 및 동화상 편집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들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프레임 화상을 인쇄하는 등, 여러가지 목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프레임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는, 지정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썸네일(푸터에 기록된 썸네일)로부터, 인쇄에 적절한 썸네일을 추출하고, 인쇄 프레임 후보로서 표시하고, 선택된 썸네일의 기본이 된 프레임을 인쇄한다. 인쇄에 적절한 썸네일의 기준은, 같은 인쇄의 이용형태라도, 기기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온화한 프레임과 구간중에서 화질이 좋은 프레임이 인쇄에 적합한 프레임으로서 취급되는 경우는, Type ID = 5 또는 Thumbnail Type ID = 8인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프레임이 지정되면, 지정된 썸네일의 도 6에 나타낸 Thumbnail Key Relative Point에 의해 특정되는 프레임의 화상을 취득하고, 이것을 인쇄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동화상처리장치에 인쇄부 등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썸네일을 활용하는 기능으로서 부라우즈부 및 편집부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의 인쇄부를 포함하는 이들 기능중 하나만, 또는 다른 복수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동화상처리 장치는 하나의 장치안에, 동화상입력부(301), 썸네일 작성부(303), 부라우즈부(304), 편집부(305)의 모두가 포함되어 있지만, 동화상처리장치는 상기의 인쇄부 등의 다른 기능도 포함하고 각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장치, 또는 몇개의 기능의 조합을 가진 장치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때는, 기억매체를 개재해서, 또는, IEEE1394 등의 통신수단을 개재해서, 썸네일을 포함한 동화상파일(400)(도 4)을 각 장치간에 교환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더의 썸네일에 대해서는,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헤더의 썸네일은 Start Point,End Point,Thumbnail Type ID를 보유하지 않지만, 이들 정보를 관리정보로서 보유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더에 기록된 썸네일(파일을 대표하는 썸네일)은,푸터에는 기록되지 않지만, 이것을 헤더와 푸터에 기록해도 된다.
또, 복수의 선택 기준으로부터 같은 썸네일이 작성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구간의 중간프레임과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격렬한 프레임이 동일할 경우)에는, 썸네일을 다른 Thumbnail Type ID을 부여해서 등록해도 되고, 또는 하나의 Thumbnail Type ID(예를 들면, Thumbnail Type ID=1O:구간의 중간이고 또한,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격렬한 프레임)을 준비해 두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는, 같은 썸네일을 등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1개의 썸네일에 복수의 선택기준(Thumbnail Type ID)을 등록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썸네일의 등록은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결정하고 있지만, 이것을 자동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구간중에서 움직임이 격렬한 프레임을 자동추출하려면, 이전의 프레임과 현재의 프레임에 대해서, 각각의 프레임을 도 12 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횡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을 하고, 각각의 블록에 있어서 RGB의 평균치를 산출해 두고, 이전의 프레임과 현재의 프레임의 사이에서 RGB 각 채널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구하고, 이것을 프레임간 유사성 거리로 한다. 그 계산식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식 1]
i: 처리중의 블록
K: 분할 블록수
P1iR: 이전의 프레임의 i번째 블록의 R채널평균치
P1iG: 이전의 프레임의 i번째의 블록의 G채널평균치
P1iB: 이전의 프레임의 i번째의 블록의 B채널평균치
P2iR: 현재의 프레임의 i번째의 블록의 R채널평균치
P2iG: 현재의 프레임의 i번째의 블록의 G채널평균치
P2iB: 현재의 프레임의 i번째의 블록의 B채널평균치
상기의 프레임간 유사성 거리가 작을 수록 프레임은 유사하고, 클수록 유사하고 있지 않다. 움직임이 격렬할수록, 프레임간 유사성이 감소하므로, 어느 역치 이상의 프레임간 유사성 거리를 가질 때의 프레임을 움직임이 격렬한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이용목적 및, 선택기준에 대응하는 복수의 썸네일을 1개의 파일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썸네일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 썸네일에 사용시에는, 썸네일에 부여된 썸네일 작성시의 선택기준(Thumbnail Type ID)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그 목적 및, 썸네일을 이용하는 기기의 특성에 대응하는 썸네일만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예를들면 CPU, MPU)가 기억매체에 격납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어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읽어내진 프로그램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또, 프로그램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학자기디스크, CD-ROM, CD-R, DVD, 자기테이프, 불휘발성 타입의 메모리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컴퓨터가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해서,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기억매체로부터 읽어내진 프로그램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확장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확장유니트에 갖춰지는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서, 기능확장보드나 기능확장유니트에 갖춰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표화상의 작성에 관계하는 정보를 그 대표화상의 속성으로서 대표화상에 부가함으로써, 여러가지의 동화상데이터 처리의 실행에 대해 대표화상을 이용했을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대표화상의 관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백히 다른 많은 실시예가 그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정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2)

  1. 동화상에 대응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대표화상을 관리하는 장치로써,
    상기 동화상에 대응해서, 상기 동화상으로부터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작성된 대표화상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정보와 상기 프레임화상의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상기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격납하는 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상기 대표화상, 상기 구간정보 및 상기 속성정보는 하나의 파일로써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화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상기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격납하는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동화상에 있어서의 소망의 구간을 지정하는 제 1지정수단과,
    상기 제 1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구간내의 동화상으로부터, 상기 선택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대표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선택된 프레임화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화상은 상기 프레임화상을 축소해서 얻어진 썸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소망의 동화상에 대응해서 기억된 대표화상으로부터 처리목적에 대응하는 대표화상을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해서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와 상기 속성정보는 대표화상 단위로 연속된 특정의 장소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장소는 기억매체상의 연속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선택기준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 2지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제 2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선택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택기준은 지정된 구간의 선두 프레임화상과 상기 구간의 최종 프레임화상과, 상기 선두 및 최종 프레임화상 이외의 구간의 소망의 프레임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복수의 선택기준의 각각에 할당된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구간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간의 동화상에 대해서 처리목적에 대응하는 처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브라우징 조작시에, 상기 속성정보를 참조해서 부라우징조작에 적합한 대표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되는 경우, 상기 적용수단은 상기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구간정보에 의거해서 동화상을 재생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동화상중의 소망의 프레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조작시에, 상기 속성정보를 참조해서 인쇄에 적합한 대표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적용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프레임화상을 인쇄, 출력하도록 인쇄데이터를 생성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인쇄조작시에 소망의 동화상에서 편집대상구간이 지정된 경우, 상기 속성정보 및 상기 구간정보를 참조해서 편집조작에 적합하고 편집대상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대표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장치.
  16. 동화상에 대응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대표화상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동화상에 대응해서, 상기 동화상으로부터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발생된 대표화상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정보와, 상기 프레임화상의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상기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격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상기 대표화상, 상기 구간정보 및 상기 속성정보는 하나의 파일로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화상에 대응해서 상기 프레임화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격납하는 단계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동화상에 있어서의 소망의 구간을 지정하는 제 1지정단계와,
    상기 제 1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구간의 동화상으로부터 상기 선택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대표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의 선택된 프레임화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선택기준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화상은 상기 프레임화상을 축소해서 얻는 썸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소망의 동화상에 대응해서 기억된 대표화사으로부터 처리목적에 대응하는 대표화상을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해서 선택하는 선택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 및 상기 속성정보는 대표화상에 의해 연속한 특정의 장소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의 관리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장소는 기억매체상의 연속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선택기준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 2지정단계를 또 구비하고,
    상기 생성단계에서, 상기 대표화상이 상기 제 2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선택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화상에 의거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택기준은 지정된 구간의 선두 프레임화상과, 구간의 최종 프레임화상과, 상기 선두 및 최종 프레임화상 이외의 구간의 소망한 프레임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선택기준의 각각에 할당된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구간정보에 의해서 지시된 구간의 동화상에 대하여 처리목적에 대응하는 처리를 적용하는 적용단계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부라우징조작에 적합한 대표화상은, 부라우징조작시에 상기 선택공정에서 상기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되고, 상기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은 상기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선택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적용단계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인쇄에 적합한 대표화상은, 동화상에 있어서의 소망의 프레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조작시에, 상기 선택공정에서 상기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되고,
    상기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대표화상중 하나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대표화상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화상을 인쇄, 출력하도록상기 적용단계에서 인쇄데이터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편집조작시에, 소망의 동화상에서의 편집대상구간이 지정되는 경우에는, 편집조작에 적합하고 편집대상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대표화상이 상기 선택공정에서 상기 속성정보 및 상기 구간정보를 참조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데이터관리방법.
  31. 청구항 16~30항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
  32. 청구항 16항~30항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KR1020047010259A 2001-12-28 2002-12-10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602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401351 2001-12-28
JP2001401351A JP4194272B2 (ja) 2001-12-28 2001-12-28 動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
PCT/JP2002/012921 WO2003058498A1 (en) 2001-12-28 2002-12-10 Moving imag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529A true KR20040073529A (ko) 2004-08-19
KR100602315B1 KR100602315B1 (ko) 2006-07-18

Family

ID=1918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259A KR100602315B1 (ko) 2001-12-28 2002-12-10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965701B2 (ko)
EP (1) EP1459212B1 (ko)
JP (1) JP4194272B2 (ko)
KR (1) KR100602315B1 (ko)
CN (1) CN1610904B (ko)
WO (1) WO20030584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12B1 (ko) * 2005-12-28 200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50011652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20190102112A (ko) * 2018-02-23 2019-09-03 (주)온넷시스템즈코리아 장면 기반 동영상 네비게이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662B2 (ja) * 2000-12-27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466901B2 (en) * 2002-04-17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umbnail recorded there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8112711B2 (en) * 2003-10-06 2012-02-0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playback and feature control for video players
JP4340528B2 (ja) * 2003-12-16 2009-10-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3816488B2 (ja) * 2003-12-26 2006-08-3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媒体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JP4328265B2 (ja) * 2004-06-25 2009-09-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97561A (ja) * 2004-12-17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KR101114110B1 (ko) * 2005-02-01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률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파일의 썸네일 생성 방법
KR100659882B1 (ko) * 2005-02-22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녹화 장치 및 방송 검색 장치
US8141111B2 (en) * 2005-05-23 2012-03-20 Open Text S.A. Movie advertising playback techniques
US9648281B2 (en) 2005-05-23 2017-05-09 Open Text Sa Ulc System and method for movie segment bookmarking and sharing
EP2309738A1 (en) 2005-05-23 2011-04-13 Thomas S. Gilley Distributed scalable media environment
US8145528B2 (en) 2005-05-23 2012-03-27 Open Text S.A. Movie advertising placement optimization based on behavior and content analysis
JP4594835B2 (ja) * 2005-09-09 2010-12-0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079169B2 (ja) * 2005-10-06 2008-04-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装置を備える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画像処理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70136268A1 (en) * 2005-12-09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Just in time loading list
JP4770460B2 (ja) 2005-12-28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75176B1 (ko) * 2006-03-10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정보를 썸네일로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말기
JP5156646B2 (ja) * 2006-05-29 2013-03-06 ジーブイビービ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エイ.アール.エル. 動画編集システムおよび動画編集方法
JP5025217B2 (ja) * 2006-10-02 2012-09-12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240330B2 (ja) * 2006-10-24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作成方法、データベース作成プログラム、データベース作成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記録装置
JP2008147838A (ja) * 2006-12-07 2008-06-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76098B2 (en) 2006-12-22 2012-09-25 Apple Inc. Interactive image thumbnails
US7992097B2 (en) 2006-12-22 2011-08-02 Apple Inc. Select drag and drop operations on video thumbnails across clip boundaries
US7954065B2 (en) * 2006-12-22 2011-05-31 Apple Inc. Two-dimensional timeline display of media items
US9142253B2 (en) 2006-12-22 2015-09-22 Apple Inc. Associating keywords to media
US8943410B2 (en) * 2006-12-22 2015-01-27 Apple Inc. Modified media presentation during scrubbing
CN101611451B (zh) * 2006-12-22 2015-01-28 苹果公司 媒体项的二维时线显示
US8020100B2 (en) * 2006-12-22 2011-09-13 Apple Inc. Fast creation of video segments
KR101335518B1 (ko) 2007-04-27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재생장치
US8739073B2 (en) * 2007-05-15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document table of contents
KR20090017170A (ko) *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US9704532B2 (en) * 2008-01-14 2017-07-11 Apple Inc. Creating and viewing preview objects
JP5247356B2 (ja) * 2008-10-29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83863B2 (ja) * 2008-11-12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60690B1 (ko) * 2008-11-27 2015-10-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녹화기의 썸네일 생성 장치 및 방법
JP5098976B2 (ja) * 2008-11-28 2012-12-12 国立大学法人お茶の水女子大学 行動分析支援システム及び行動分析支援プログラム
EP2416320B1 (en) * 2010-08-03 2014-03-12 BlackBerry Limited Representing video content
JP2012039522A (ja) * 2010-08-10 2012-02-23 Sony Corp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423921A1 (en) * 2010-08-31 2012-02-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humbnails
US8621351B2 (en) 2010-08-31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humbnails
US9483167B2 (en) * 2010-09-29 2016-11-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a touch enabled device
US9229636B2 (en) 2010-10-22 2016-01-05 Adobe Systems Incorporated Drawing support tool
US10031641B2 (en) 2011-09-27 2018-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Ordering of objects displayed by a computing device
US8938116B2 (en) * 2011-12-08 2015-01-20 Yahoo! Inc. Image cropping using supervised learning
KR101952260B1 (ko) 2012-04-03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동영상 썸네일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30137458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6292862B2 (ja) * 2013-12-19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17635B2 (ja) * 2014-02-05 2016-05-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管理コンテンツ生成方法、管理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54206B2 (ja) * 2014-02-27 2018-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17029849A1 (ja) * 2015-08-20 2017-02-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EP3627831A4 (en) * 2017-05-18 2020-06-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1082752B2 (en) * 2018-07-19 2021-08-03 Netflix, Inc. Shot-based view files for trick play mode in a network-based video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156A (ja) * 1985-09-27 1987-04-04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登録検索装置
JPH0381304A (ja) 1989-08-25 1991-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タロシアニン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81304B2 (ja) 1991-09-20 2000-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検索方法
KR100215586B1 (ko) * 1992-11-09 1999-08-16 모리시타 요이찌 다이제스트 화상 자동생성 장치 및 다이제스트 화상 자동생성 방법
JPH08249348A (ja) * 1995-03-13 1996-09-27 Hitachi Ltd 映像検索方法および装置
JP3407840B2 (ja) * 1996-02-13 200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要約方法
US5963204A (en) * 1996-09-20 1999-10-05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with reproduction and display of images at the same timing
US5953008A (en) * 1996-10-01 1999-09-14 Nikon Corporation Source file editing apparatus
JP3250467B2 (ja) * 1996-10-04 2002-0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要約方法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3662129B2 (ja) * 1997-11-11 2005-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情報編集装置
US6052492A (en) * 1997-12-09 2000-04-18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mage to represent a video sequence
JPH11176137A (ja) 1997-12-15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記録装置
JPH11259507A (ja) * 1998-03-12 1999-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検索方法および映像検索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EP1005043B1 (en) * 1998-10-28 2005-08-24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otion-picture voic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otion-picture voice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2000148771A (ja) * 1998-11-06 2000-05-3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EP1522934A3 (en) * 1999-01-28 2005-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information describing method, video retrieval method, video reproducing method, and video reproducing apparatus
JP4536261B2 (ja) * 1999-01-29 2010-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特徴符号化方法及び画像検索方法
US6408301B1 (en) * 1999-02-23 2002-06-18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image storage, indexing and retrieval system
JP4227241B2 (ja) * 1999-04-13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6424795B1 (en) * 1999-07-05 2002-07-2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data, and recording medium
JP3376314B2 (ja) 1999-05-12 2003-02-1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映像情報媒体、デジタル映像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映像情報処理方法
JP2001306619A (ja) * 2000-04-19 2001-11-02 Hitachi Ltd データ表示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312730A (ja) * 2000-05-01 2001-11-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2007478A (ja) * 2000-06-19 2002-01-11 Fuji Xerox System Service Co Ltd 視聴覚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方法
US7038736B2 (en) 2000-09-21 2006-05-02 Canon Kabushiki Kaisha Mov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JP4765155B2 (ja) * 2000-09-28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及びオーサリング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3774662B2 (ja) 2000-12-27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335473A (ja) * 2001-05-10 2002-11-22 Webstream:Kk 動画コンテンツの検索情報抽出システム、検索情報抽出方法、検索情報保存システム、動画コンテンツのストリーミング配信方法
WO2003003371A1 (en) * 2001-05-31 2003-01-09 Canon Kabushiki Kaisha Moving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43279A1 (en) 2001-09-04 2003-03-06 Alardin Development Corporation Video surveillanc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12B1 (ko) * 2005-12-28 200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에서의 프로그래스바를 이용한 녹화물 주요 장면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50011652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20190102112A (ko) * 2018-02-23 2019-09-03 (주)온넷시스템즈코리아 장면 기반 동영상 네비게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8876A1 (en) 2007-03-15
EP1459212A4 (en) 2007-05-23
US20050201628A1 (en) 2005-09-15
JP4194272B2 (ja) 2008-12-10
CN1610904A (zh) 2005-04-27
US7269290B2 (en) 2007-09-11
JP2003196297A (ja) 2003-07-11
US20040268223A1 (en) 2004-12-30
EP1459212B1 (en) 2014-07-23
CN1610904B (zh) 2011-12-21
US6965701B2 (en) 2005-11-15
KR100602315B1 (ko) 2006-07-18
EP1459212A1 (en) 2004-09-22
US7155064B2 (en) 2006-12-26
WO2003058498A1 (en)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315B1 (ko) 동화상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US7123264B2 (en) Moving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JP4065142B2 (ja) オーサリング装置およびオーサリング方法
JP422724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70127888A1 (en)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udio and video recording method, and audio and video reproducing method
JPH08249348A (ja) 映像検索方法および装置
US20070172206A1 (en) Mov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moving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s and storage media
JP389747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US6518978B1 (en) Image-display edit processing method, image edi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5318618A (ja) 動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
JP4606400B2 (ja) 画像蓄積表示装置
JP2006060279A (ja) 動画再生装置
JP4366439B1 (ja) 映像コンテンツの編集方法とこれを用いた編集装置ならびに遠隔編集装置
JP2000059720A (ja) 連続メディア情報の表示・編集装置と連続メディア情報の表示・編集方法およびその処理手順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99248B2 (ja) 記録再生装置
JP3530853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H10322647A (ja) 動画エディットシステム
JP2002204418A (ja) ビデオ編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166166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3204515A (ja) 電子的撮像装置
JPH09282850A (ja) 動画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