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396A -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 Google Patents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396A
KR20040073396A KR1020040009553A KR20040009553A KR20040073396A KR 20040073396 A KR20040073396 A KR 20040073396A KR 1020040009553 A KR1020040009553 A KR 1020040009553A KR 20040009553 A KR20040009553 A KR 20040009553A KR 20040073396 A KR20040073396 A KR 2004007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printing
roller
heat
dischar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664B1 (ko
Inventor
사토미노루
사토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7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41J11/425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for a variable printing material feed a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05Forming loops or sags in webs, e.g. for slackening a web or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the amount of conveyed web material (by arranging a "dancing roller" in a sag of the we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65C9/25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by thermo-activating the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4Thermal printer with pre-coating or post-processing

Abstract

짧은 라벨의 운송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인쇄유닛으로부터 열 활성화 유닛으로의 시트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트 형상 기재의 일면에 인쇄가능층이, 타면에 감열성 점착제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감열성 점착 시트의 상기 인쇄가능층에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1 운송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후단에 설치되고,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장치, 커터 장치의 후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2 운송수단을 구비한 열 활성화 장치, 및 커터 장치와 열 활성화 장치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3 운송수단을 설치 한다.

Description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PRINTER FOR THERMALLY SENSITIVE ADHERING SHEET}
본 발명은, 통상시에는 비점착성을 나타내고, 가열됨으로써 점착성을 발현하는 감열성 점착제층이 시트상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어, 예를 들면 부착용 라벨로서 사용되는 감열성 점착 시트의 열 활성화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짧은 라벨의 운송을 가능하게 하며 인쇄장치로부터 열 활성화 장치로의 시트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품에 부착되는 시트의 하나로서 열 활성화 시트(예를 들면, 감열성 점착 시트와 같은 표면에 열 활성화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인쇄 매체)가 있으며, 예를 들면 식품의 POS 시트, 물류/배송 시트, 의료용 시트, 화물 태그,병, 캔 류의 표시 시트의 부착 등과 같은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감열성 점착 시트는,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통상 시는 비점착성을 나타내고 가열됨으로써 점착성을 발현하는 감열성 점착제층을, 타면에는 인쇄가능면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로서, 서멀(thermal) 프린터의 인쇄 헤드로서 이용되고 있는 서멀 헤드와 같이, 세라믹 기판 상에 설치된 다수의 저항체(발열 소자)를 열원으로서 갖는 헤드를 감열성 점착 라벨(thermally sensitive adhering label)에 접촉시켜 감열성 점착제층(thermally sensitive adhering agent layer)을 가열시키도록 한 열 활성화 장치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여기서,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14 의 서멀 프린터(P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 의 서멀 프린터(P2)는, 롤(roll) 형상으로 감긴 테이프 형상의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보관ㆍ유지하는 롤 수납유닛(20), 감열성 점착 라벨(21)에 인쇄하는 인쇄유닛(30), 감열성 점착 시트(60)를 소정 길이의 라벨로 절단하는 커터(cutter) 유닛(40), 및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시키는 열 활성화 장치로서의 열 활성화 유닛(50)으로 구성된다.
인쇄유닛(30)은, 도트 인쇄가 가능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비교적 작은 저항체로 구성된 다수의 발열 소자(31)를 갖는 인쇄용 서멀 헤드(32)와, 이 인쇄용 서멀 헤드(32)(발열소자(31))에 압착되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printingplaten roller; 33) 등으로 구성된다. 도14 에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우측으로 운송된다.
커터 유닛(40)은, 인쇄유닛(30)에 의해 인쇄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동작되는 가동 블레이드(movable blade; 41), 이 가동 블레이드와 대향된 고정 블레이드(fixed blade; 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 활성화 유닛(50)은, 발열소자(51)을 갖는 가열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와,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운송하는 운송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와, 인쇄유닛(30)측으로부터 공급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발열소자(51))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의 사이에 인입시키는 드로잉 롤러(drawing roller; 54) 등으로 구성된다. 도14에서는,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와 반대 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소정의 방향(우측)으로 운송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JP-A-11-79152
한편, 상술한 구성의 서멀 프린터(P2)에 있어서는, 인쇄유닛(30)의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와, 열 활성화 유닛(50)의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의 3개의 운송수단에 의해 감열성 점착 시트의 운송이 수행되기 때문에, 인쇄된 시트는 그 선단이 드로잉 롤러(54)에 도달한 후에 절단된다. 따라서, 대응가능한 시트 길이는 커터 유닛(40)의 절단 위치로부터 드로잉 롤러(54)까지의 거리 이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더 짧은 시트 길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열 활성화 유닛(50)을 커터 유닛(40)측에 근접시킬 필요가 있으나, 열 활성화 유닛(50)과 커터 유닛(40)의 거리 단축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짧은 라벨의 운송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인쇄유닛으로부터 열 활성화 유닛으로의 시트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멀 프린터(P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기어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서멀 프린터(P1)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는, 서멀 프린터(P1)를 이용한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5는, 서멀 프린터(P1)를 이용한 절차 A 에 따른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6은, 서멀 프린터(P1)의 각 구동 수단 및 각 운송 수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7a 내지 도7g 는,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서멀 프린터(P1)를 이용한 절차 B 에 따른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9는, 서멀 프린터(P1)의 각 구동 수단 및 각 운송 수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10은,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서멀 프린터(P1)를 이용한 절차 C 에 따른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12는, 서멀 프린터(P1)의 각 구동수단 및 각 운송수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13a 내지 도13h 는,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4는, 종래의 서멀 프린터(P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로서, 시트 형상 기재의 일면에 인쇄가능층이, 타면에 감열성 점착제층이 각각 형성되게 되는 감열성 점착 시트의 인쇄가능층에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1 운송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와, 인쇄장치의 후단에 설치되고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장치와, 커터장치의 후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2 운송수단을 구비한 열 활성화 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커터장치와 열 활성화 장치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3 운송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각 운송수단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짧은 시트 길이에의 대응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인쇄장치로부터 열 활성화 장치로의 시트 이송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운송수단을 구동 기구에 접속한 1 또는 2 이상의 배출 롤러로 구성하고, 배출 롤러와 가압부재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끼우고, 배출 롤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도록 한다. 이때, 제3 운송수단의 설치 공간에 여유가 있으면, 배출 롤러를 다수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배출 롤러는 제1 운송수단과 동일한 구동 기구에 접속되고, 제1 운송수단과 연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운송수단과 제3 운송수단에 의한 시트의 운송 속도를 같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용지 걸림(paper jam) 등의 운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 인쇄장치로부터 소정 길이의 시트를 송출한 후에 제1 운송수단 및 배출 롤러의 회전 구동은 정지되고, 제2 운송수단만으로 시트의 운송이 수행된다. 그러한 경우, 배출 롤러와 가압수단 사이에 시트가 끼워져 있으면, 배출 롤러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배출 롤러는 일방향 클러치(one way clutch)를 통해 구동 기구에 접속되도록 하여, 구동 기구와 배출 롤러 사이의 동력 전달을 일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롤러는 시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 서로 마찰력이 가능한 작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배출 롤러의 둘레면(peripheral face)에 수 개의 O 링(O ring)을 배치하면, O 링과 가압부재가 점접촉하게 되고 양자간의 마찰력을 억제할 수가 있다.
배출 롤러와 가압부재는 서로 근접 및 이반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제1 및 제3 운송수단이 접속된 구동 기구가 정지하여 있는 때는, 배출 롤러와 가압부재를 이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 기구를 정지시킨 후에 배출 롤러가 회전하여도 구동 기구나 제1 운송수단에는 그 회전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운송수단이 회전하여 여분의 시트가 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 기구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는, 배출 롤러와 접촉하는 보조 롤러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배출 롤러의 회전에 따라 보조 롤러도 회전되기 때문에 시트를 원활하게 운송할 수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열성 점착 시트용 서멀 프린터(P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서멀 프린터(P1)는, 롤 형상으로 감긴 테이프 형상의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보관ㆍ유지하는 롤 수납유닛(20)과, 감열성 점착 라벨(21)에 인쇄하는 인쇄유닛(30)과,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유닛(40)과,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하는 열 활성화 유닛(50)과, 커터 유닛(40)으로부터 열 활성화 유닛(5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술한 특허문헌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라벨 형상 기재의 표면측에 단열층 및 감열발색층(thermally sensitive coloring layer; 인쇄가 가능한 층)이형성되고, 이면측에 감열성 점착제가 도포 및 건조되게 되는 감열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감열성 점착제층은, 열가소성 수지, 고체가소성(solid plastic)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상술한 단열층을 갖지 않은 것이나, 감열발색층의 표면에 보호층 또는 유색인쇄층(colored printed layer; 미리 인쇄되어 있는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인쇄유닛(30)은, 도트 인쇄가 가능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비교적 작은 저항체로 구성된 다수의 발열소자를 갖는 인쇄용 서멀 헤드(32)와, 이 인쇄용 서멀 헤드(32)에 압접되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printing platen roller; 33)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발열소자는, 세라믹 기재 상에 박막기술로 형성된 다수의 발열 저항체 표면에, 결정화 글래스(glass-ceramics)의 보호막을 형성하게 되는 공지의 서멀 프린터의 인쇄헤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유닛(30)은, 인쇄용 인쇄판 롤러(33)를 회전시키는 제1 스테핑(stepping) 모터(110)(도3 참조)와, 기어 전달 기구(gear transmission mechanism)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이 구동 기구에 의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우측으로 운송하게 된다. 또한, 인쇄유닛(30)은,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leaf spring)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이 가압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를 인쇄용 서멀 헤드(32)를 향해 가압시키게 된다. 이 때,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의 회전축과 발열체의 배열 방향을 평행으로 유지함으로써,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압접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용 서멀 헤드(32)의 전단에는 종이센서(S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이센서(S1)에 의한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검출에 기초하여,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의 구동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종이센서(S1)에 의해 감열성 점착 라벨(21)이 검출된 때는 인쇄 처리를 실행가능하게 하고, 종이센서(S1)에 의해 감열성 점착 라벨(21)이 검출되지 않은 때는, 에러 메시지 표시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커터 유닛(40)은, 인쇄유닛(30)에 의해 인쇄가 수행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터 구동부(108)(도3 참조)에 의해 동작되는 가동 블레이드(41), 이 가동 블레이드(41)와 대향하는 고정 블레이드(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 활성화 유닛(50)은, 발열소자를 갖는 가열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와,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운송하는 운송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thermally activating platen roller; 53)와, 인쇄유닛(30)측으로부터 이송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사이에 인입하는 한쌍의 드로잉 롤러(54(구동), 55(종동))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는, 이 실시예에서는 인쇄용 서멀 헤드(32)와 유사한 구성의 것, 즉 세라믹 기판 상에 박막기술로 형성된 다수의 발열저항체표면에 결정화 글래스의 보호막을 형성하게 되는, 공지의 서멀 프린터의 인쇄헤드와 유사한 구성의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로서 인쇄용 서멀 헤드(2)와 동일한 구성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부품을 공통화하여 비용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다.
다만,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의 발열소자는, 인쇄용 서멀 헤드(32)의 발열소자와 같이 도트 단위로 분할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연속한 저항체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열 활성화 유닛(50)은, 열 활성화용 인쇄용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를 회전시키는 제2 스테핑 모터(111)(도3 참조)와 기어 전달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이 구동 기구에 의해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와 반대 방향(도1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우측으로 운송하게 된다. 또한, 열 활성화 유닛(50)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를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를 향해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의 회전축과 발열체의 배열 방향을 평행으로 유지함으로써,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압접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롤러(54, 55)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사이에는 종이센서(S2)가 설치되어 있어, 이 종이센서(S2)에 의한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검출에 기초하여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의 회전 구동이나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의 열 활성화 처리가 제어된다.
또한, 커터 유닛(40)으로부터 열 활성화 유닛(50)까지의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유도하는 가이드 유닛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서멀 프린터(P1)는, 커터 유닛(40)의 후단에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 배출 롤러(61(구동), 62(종동))를 구비하고, 이 배출 롤러(61)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의 구동 기구에 기어 전달 기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롤러로서의 배출 롤러(62)를,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배출 롤러(62)와 배출 롤러(61) 사이에 끼우기 위한 가압수단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배출 롤러(62) 대신에 판 형상 부재(plate-like memeber; 가이드 부재 등)을 가압수단으로 구성하여, 판 형상 부재와 배출 롤러(61)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끼워 운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멀 프린터(P1)에 있어서의 각 유닛 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인쇄용 서멀 헤드(32))로부터 가동 블레이드(41)까지의 거리가 10 mm, 가동 블레이드(41)로부터 배출 롤러(61) 까지의 거리가 20 mm, 배출 롤러(61)로부터 드로잉 롤러(54) 까지의 거리가 30 mm, 드로잉 롤러(54)로부터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까지의 거리가 10 mm 이다. 이와 같이, 각 운송수단 간의 최장 거리가 30 mm 이기 때문에, 운송에 따른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선단의 이완(droop)은 비교적 작게 되어 라벨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는,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기어 전달 기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에 나타내는 기어 전달 기구는, 후술하는 제1 스테핑 모터(110)의 샤프트(shaft)에 고정된 기어(G1)와, 크고 작은 2개의 기어(G2, G3)를 갖는 감속기어(reduction gear; RG)와,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의 측부에 설치된 기어(G5)와, 배출 롤러(61)의 측부에 설치된 기어(G6)로 구성된다. 또한, 감속기어(RG)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기 위해서, 기어(G5)와 감속기어(RG) 사이에 기어(G4)를 설치한다. 또한, 기어(G5, G6)를 동일한 부재로 하고, 또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의 직경 및 배출 롤러(구동; 61)의 직경도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각에 접속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하여,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속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게다가, 배출 롤러(61)의 축과 기어(G6)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배출 롤러(61)와 제1 스테핑 모터(110) 사이의 동력 전달이 일방향으로 한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 전달 기구에 의하면, 제1 스테핑 모터(110)의 회전력은 감속기어(RG), 기어(G4), 기어(G5) 를 통하여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에 전달되고,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은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동시에, 제1 스테핑 모터(110)의 회전력은, 감속기어(RG), 기어(G5) 를 통하여 배출 롤러(61)에 전달되고, 배출 롤러(61)은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하여,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수납 유닛(20)으로부터 인출되고, 인출된 감열성 점착 라벨(21)에 인쇄용 서멀 헤드(32)에서 인쇄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게 된다. 즉, 도1, 도2에서는, 제1 스테핑 모터(110)가 정회전(반시계방향)하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는 시계방향으로, 배출 롤러(6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우측으로 운송된다.
역으로, 제1 스테핑 모터(110)가 역회전(시계방향)하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좌측으로 다시 감긴다. 이 때, 배출 롤러(61)는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제1 스테핑 모터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G6)가 공회전하여 배출 롤러(61)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스테핑 모터(110)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 드로잉 롤러(54)나 열 활성화용 인쇄용 롤러(53)에 의해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이 수행되어 배출 롤러(61)가 연동하여 회전되나,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기어(G6)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배출 롤러(61)로부터의 동력은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이나 제1 스테핑 모터(11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가 예정 외로 회전함으로써 운송 불량을 발생시킨다거나, 제1 스테핑 모터(110)에 부하가 걸린다거나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서멀 프린터(P1)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서멀 프린터(P1)의 제어부는, 제어부를 통괄하는 제어장치로서의 CPU(100)와, CPU(10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ROM(101)과, 각종 인쇄 포맷 등을 저장하는 RAM(102)과, 인쇄데이터나 인쇄 포맷데이터 등을 입력, 설정 또는 호출하기 위한 조작부(103)와, 인쇄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4)와, 제어부와 구동부 간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105)와, 인쇄용 서멀 헤드(32)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06)와,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07)와, 감열성점착 라벨(21)을 절단하는 가동 블레이드(41)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08)와, 감열성 점착 라벨의 검출을 행하는 종이 센서(S1, S2)와,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를 구동하는 제1 스테핑 모터(110)와, 열 활성화용 인쇄용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를 구동하는 제2 스테핑 모터(111) 등으로 구성된다.
CPU(1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인쇄유닛(30)에서는 원하는 인쇄가 실행되고, 커터 유닛(40)에서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절단 동작이 실행되며, 열 활성화 유닛(50)에서는 감열성 점착제층(64)의 활성화가 실행된다.
또한, CPU(100)은, 제1 스테핑 모터(110), 제2 스테핑 모터(111)에 각각 독립하여 제어신호를 송신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 속도가 제1 스테핑 모터(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2 스테핑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의 회전 속도, 즉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속도를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서멀 프린터(P1)을 이용한 인쇄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에 대하여, 도4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저에 의해 인쇄 개시의 명령이 이루어지면, 종이센서(S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감열성 점착 라벨(21)이 인쇄 유닛(30)에 세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그리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이 세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 S4 로 이행하고, 라벨이 세팅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104)에 표시한다.
한편, 스텝 S1에서, 감열성 점착 라벨(21)이 세팅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라벨 길이에 기초하여, 인쇄하는 라벨 길이가 40 mm 이상 60 mm 미만인가를 판정한다(스텝 S2). 그리고, 인쇄하는 라벨 길이가 40 mm 이상 60 mm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절차 A 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 로 이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라벨 길이에 기초하여, 인쇄하는 라벨 길이가 60 mm 이상 120 mm 미만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인쇄하는 라벨 길이가 60 mm 이상 120 mm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절차 B 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절차 C 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 스텝 S3에서의 판정은,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라벨 길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이외에, 인쇄 데이터나 인쇄용 인쇄판 롤러(33)에 의해 운송된 운송 길이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에, 절차 A 의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를, 도5 내지 도7 을 참조하여 라벨 길이가 40 mm 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 는 절차 A 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6 은 제1 스테핑 모터(110),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배출 롤러(61), 가동 블레이드(41), 제2 스테핑 모터(111), 드로잉 모터(54),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또한, 도7 은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각 상태 (a) 내지 (g) 는, 도6 의 타이밍 챠트의 상부에 붙은 부호 a 내지 g 에 대응한다.
또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에 의한 운송 속도(인쇄 속도)는 200 mm/sec 혹은 100 mm/sec 로 가변하고,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에 의한 운송 속도(활성화 속도)는 100 mm/sec 이다. 또한, 커터 유닛(40)에서의 라벨 절단에 필요한 가동 블레이드(41)의 구동 시간은 0.4 sec 이다.
먼저, 스텝 S101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를 정회전시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 구동을 개시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200 mm/sec 의 운송 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쇄용 서멀 헤드(52)에 의해 인쇄가능층(감열발색층)에 인쇄를 행한다(도6,7의 부호 a).
다음으로, 스텝 S102 에서 소정 길이(40 mm)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3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의 구동을 정지한다(도6,7 의 부호 b). 여기서, 라벨 길이의 카운트는 제1 스테핑 모터(110)의 구동 상황에 기초하여 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4 에서 가동 블레이드(41)에 의해 라벨(21)을 절단한다(도6,7 의 부호 c).
라벨(21)을 절단한 후에는, 제1 스테핑 모터(110)을 정회전시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 구동을 개시한다. 또한, 스텝 S110 에서 제2 스테핑 모터(111)을 정회전시켜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의 회전 구동을 개시하고, 라벨(21)의 이송을 준비한다(도6,7 의 부호 d).
다음으로, 인쇄유닛(30)에서는, 스텝 S106 에서 소정 길이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되면, 스텝 S107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를 정지하고, 계속하여 스텝 S108 에서 제1 스테핑 모터를 역회전시킨다(도6,7 의 부호 e). 이때, 인쇄용인쇄판 롤러(33)는 역회전되어 여분의 인출된 라벨(21)을 감아들이나,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배출 롤러(61)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텝 S109 에서 라벨(21)의 선단을 커터유닛(40)의 절단 위치까지 되돌리고, 제1 스테핑 모터(110)을 정지시킨다(도6,7 의 부호 f).
한편, 열 활성화 유닛에서는, 스텝 S111 에서 종이센서(S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라벨(21)의 선단이 통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스텝 S112 에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로의 통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S113 에서 종이센서(S2) 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라벨(21)의 종단이 통과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열 활성화 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라벨(21)의 종단이 종이센서(S2)를 통과한 후, 소정의 시간을 두고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에의 통전 및 제2 스테핑 모터(1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6,7 의 부호 g).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절차 A 에 따른 처리에 의해 40 ~ 60 mm 의 비교적 짧은 라벨 길이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다음, 도4 의 절차 B 의 인쇄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를 , 도8 내지 도10 을 참조하여 라벨 길이가 100 mm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8 은 절차 B 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9 는 모터 및 롤러 등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또한, 도10 은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각 상태 (a) 내지 (h) 는, 도9 의 타이밍 챠트의 상부에 붙인 부호 a 내지 h 에 대응한다.
먼저, 스텝 S201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를 정회전시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구동을 개시하고,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200mm/sec 의 운송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쇄용 서멀 헤드(52)에 의해 인쇄가능층(감열발색층)에 인쇄를 행한다(도9,10 의 부호 a).
다음으로, 스텝 S202 에서 소정 길이(40 mm)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03 에서 제2 스테핑 모터(111)을 정회전시켜,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33)의 회전구동을 개시하고, 라벨(21)의 이송을 준비한다(도9,10 의 부호 b).
다음, 스텝 S204 에서 종이센서(S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라벨(21)을 검출하면, 스텝 S205 에서 제2 스테핑 모터(111)의 구동을 정지한다(도9,10 의 부호 c). 이때,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에 의한 운송 속도는 200 mm/sec 이고,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에 의한 운송 속도는 100 mm/sec 이기 때문에, 도9, 10 의 부호 c 의 상태에서는 배출 롤러(61)와 드로잉 롤러(54) 사이에 라벨(21)의 이완이 발생한다(slacked). 더우기, 제2 스테핑 모터(111)를 정지시킨 후에는,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선단은 이송되지 않으나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에 의해 인쇄유닛(30)으로부터 라벨(21)이 송출되기 때문에 라벨(21)의 이완량은 더욱 커지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206 에서 소정 길이(100 mm)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07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9,10 의 부호 d). 그 후, 스텝 S208 에서 가동 블레이드(41)에 의해 라벨(21)의 절단을 개시하고, 절단 개시 후에 스텝 S209 에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로의 통전 및 제2 스테핑 모터(111)의 구동을 개시시켜, 감열성 점착 라벨(21)을 100 mm/sec 로운송한다(도9,10 의 부호 e). 여기서, 배출 롤러(61)와 드로잉 롤러(54) 사이에 라벨(21)은 충분히 이완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21)을 운송하면서 절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21)의 운송에 따라 이완량은 감소해 가고, 최종적으로 라벨(21)의 이완이 없어지면, 배출 롤러(61, 62)로부터 라벨(21)이 인출되어 배출 롤러(61, 62)는 동반 회전한다(도9,10 의 부호 f,g).
이 후, 감열성 점착 라벨(21)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및 드로잉 롤러(54)에 의해 운송되나, 드로잉 롤러(54)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는 구동원이 동일하여 운송속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드로잉 롤러(54)와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 사이에 이완이 발생하거나, 여분의 장력(tension)이 가해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종이센서(S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라벨(21)의 종단이 통과하였다고 판정된 때까지 열 활성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라벨(21)의 종단이 종이센서(S2)를 통과한 후 소정의 시간을 두고 스텝 S211 에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로의 통전 및 제2 스테핑 모터(1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9,10의 부호 h).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벨 길이가 60 ~ 120 mm 인 경우에는 상술한 절차 B 에 따른 처리에 의해 대응한다. 즉, 절차 B 에서는, 라벨(21)을 절단한 다음, 열 활성화 유닛(50)에서의 열 활성화 처리를 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발열소자)에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감열성 점착제층이부착하여 용지 걸림(paper jam)을 발생시키는 등의 운송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 도4 의 절차 C 의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를, 도11 내지 도13 을 참조하여 라벨 길이가 200 mm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1 은, 절차 C 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12 는 모터 및 롤러 등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또한, 도13 은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운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각 상태 (a) ~ (h) 는, 도12 의 타이밍 챠트의 상부에 붙인 부호 a ~ h 에 대응한다.
또한, 절차 C 의 처리는 절차 B 의 처리와 거의 동일하고, 절차 B 에서는 스텝 S205 에서 일단 제2 스테핑 모터(111)를 정지하고, 스텝 S209 에서 재시동함에 반해, 절차 C 에서는 이러한 제2 스테핑 모터(111)의 정지 및 재시동 처리를 행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먼저, 스텝 S301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를 정회전시켜,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의 회전 구동을 개시하고, 감열설 점착 라벨(21)을 200 mm/sec 의 운송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쇄용 서멀 헤드(52)에 의해 인쇄가능층(감열발색층)에 인쇄를 행한다(도12,13의 부호 a).
다음으로, 스텝 S302 에서 소정 길이(40mm) 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03 에서 제2 스테핑 모터(111)를 정회전시켜,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33)의 회전 구동을 개시하고, 라벨의 이송을 준비한다(도12,13 의 부호 b).
다음으로, 스텝 S304 에서 종이센서(S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라벨(21)을 검출하면, 스텝 S305 에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로의 통전을 개시한다(도12,13 의 부호 c). 이 후, 인쇄용 인쇄판 롤러(33) 및 배출 롤러(61)에서는 200 mm/sec 로 라벨(21)이 운송되고,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에서는 100 mm/sec 로 운송되기 때문에, 배출 롤러(61)과 드로잉 롤러(54) 사이에는 라벨(21)의 이완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스텝 S306 에서 소정 길이(200 mm)의 라벨을 운송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307 에서 제1 스테핑 모터(1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12,13의 부호 d). 그 후, 스텝 S308 에서 가동 블레이드(41)에 의해 라벨(21)의 절단을 개시한다(도12,13의 부호 e). 이때, 가동 블레이드(41)에 의해 절단하고 있는 동안은 이완된 라벨(21)의 부분이 운송되기 때문에, 라벨(21)을 운송하면서 절단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라벨(21)의 이완이 없어지면, 배출 롤러(61)은 라벨(21)의 운송에 따라 동반 회전한다(도12,13의 부호 f,g). 그리고, 스텝 S309 에서 종이센서(S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라벨(21)의 종단이 통과하였다고 판단될 때까지 열 활성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라벨(21)의 종단이 종이센서(S2)를 통과한 후 소정의 시간을 두고, 스텝 S310 에서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로의 통전 및 제2 스테핑 모터(1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12,13의 부호 h).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벨 길이가 120 mm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절차 C 에 따른 처리에 의해 대응한다. 즉, 절차 C 에서는, 열 활성화 유닛(50)에서의 감열설 점착 라벨의 운송을 정지함 없이 커터 유닛(40)에 의한 감열성 점착라벨(21)의 절단을 실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열 활성화용 서멀 헤드(52)(발열소자(51))에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감열성 점착제층이 부착되어 용지 걸림이 발생한다거나 운송 불량이 발생하는 일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하는 라벨의 길이에 기초하여 절차 A, B, C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인쇄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라벨 길이에 따라 최적의 인쇄 처리 및 열 활성화 처리를 실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절차 A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40 mm ~ 60 mm 라고 하는 비교적 짧은 라벨 길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배출 롤러(61)를 설치함으로써 각 운송수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인쇄 유닛(30)으로부터 열 활성화 유닛(50)으로의 감열성 점착 라벨(21)의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배출 롤러(61)를 제1 스테핑 모터(110)에 접속하고, 제1 스테핑 모터(110)와 배출 롤러 사이의 동력 전달을 일방향으로 한정함으로써,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에 의한 라벨의 운송에 따라 배출 롤러(61)가 동반 회전하는 때의 단점(라벨의 여분의 인출, 모터에의 부하 등)에 대처하고 있으나, 그 외의 대처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 롤러(61)의 둘레면에 수개의 O 링을 배치하면, O 링과 배출롤러(62)가 점접촉하게 되어, 서로 마찰력이 가능한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드로잉 롤러(54) 및 열 활성화용 인쇄판 롤러(53)에 의한 라벨의 운송에 따라 배출 롤러(61)가 동반 회전하는 것 자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배출 롤러(61 및 62)는 서로 근접 및 이반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제1 및 제3 운송수단이 접속된 구동 기구가 정지되어 있는 때는, 배출 롤러(61,62)를 서로 이반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 기구를 정지시킨 후에 배출 롤러가 회전하여도 구동 기구나 제1 운송수단에는 그 회전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운송수단이 회전하여 여분의 시트가 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구동 기구에 여분의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서멀 프린터와 같은 열 전사 방식의 인쇄장치에 적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잉크 젯 방식, 레이저 프린트 방식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는, 라벨의 인쇄가능층에 감열인쇄층에 대신하여 각 인쇄 방식에 적합한 가공이 실시된 라벨이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장치와, 이 인쇄장치의 후단에 설치된 커터 장치와, 이 커터 장치의 후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열 활성화 장치를 적어도 구비한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에 있어서, 커터 장치와 열 활성화 장치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3 운송수단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쇄장치로부터 열 활성화 장치로의 시트 이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시트 형상 기재의 일면에 인쇄가능층이, 타면에 감열성 점착제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감열성 점착 시트의 상기 인쇄가능층에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1 운송수단을 구비한 인쇄장치;
    상기 인쇄장치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장치;
    상기 커터 장치의 후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2 운송수단을 구비한 열 활성화 장치; 및
    상기 커터 장치와 상기 열 활성화 장치 사이에,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제3 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운송수단은, 구동 기구에 접속된 1 또는 2 이상의 배출 롤러이며, 상기 배출 롤러와 가압부재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끼우고, 상기 배출 롤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는, 상기 제1 운송수단과 동일한 구동 기구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운송수단과 연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는,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상기 구동기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는, 시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러와 상기 가압부재는, 서로 근접 및 이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출 롤러와 외주면의 일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보조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KR1020040009553A 2003-02-13 2004-02-13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KR101081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4600A JP4068472B2 (ja) 2003-02-13 2003-02-13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JP-P-2003-00034600 200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396A true KR20040073396A (ko) 2004-08-19
KR101081664B1 KR101081664B1 (ko) 2011-11-09

Family

ID=3302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53A KR101081664B1 (ko) 2003-02-13 2004-02-13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25518B2 (ko)
EP (1) EP1484184B1 (ko)
JP (1) JP4068472B2 (ko)
KR (1) KR101081664B1 (ko)
CN (1) CN100352660C (ko)
DE (1) DE60200401484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4713B2 (en) * 2004-10-14 2006-09-12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for a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US7478956B2 (en) * 2004-10-14 2009-01-20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for printing on both a heat-sensitive adhesive label and an ordinary label
JP4369863B2 (ja) * 2004-12-15 2009-11-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JP4518323B2 (ja) * 2005-01-05 2010-08-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熱活性化装置、プリンタ、熱活性化方法、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JP2007076662A (ja) * 2005-09-12 2007-03-29 Seiko Instruments Inc 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4544111B2 (ja) * 2005-09-16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921796B2 (ja) 2006-01-11 2012-04-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記録方法
US20080003039A1 (en) * 2006-06-29 2008-01-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er
JP4367467B2 (ja) * 2006-07-25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US9352580B2 (en) * 2007-12-31 2016-05-31 Ncr Corporation Printer with adhesive capabilities
JP5135584B2 (ja) 2008-02-27 2013-02-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ラベル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製造システム
JP2009262385A (ja) 2008-04-24 2009-11-12 Seiko Instruments Inc ラベル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製造装置
JP5207292B2 (ja) 2008-04-30 2013-06-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ラベル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製造装置
JP5382851B2 (ja) * 2009-01-21 2014-01-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粘着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JP5601016B2 (ja) * 2010-05-13 2014-10-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粘着剤付加ユニットおよびプリンター、ならびに粘着ラベルの作成方法
JP5654299B2 (ja) * 2010-09-16 2015-01-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粘着ラベルとその作製装置
JP5750874B2 (ja) * 2010-11-30 2015-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5762036B2 (ja) * 2011-02-14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切断装置
JP2014024283A (ja) * 2012-07-27 2014-02-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4162543A (ja) * 2013-02-27 2014-09-08 Seiko Instruments Inc 粘着ラベル発行装置、及びプリンタ
JP6181487B2 (ja) * 2013-09-09 2017-08-1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画像記録装置
US20180290468A1 (en) * 2014-11-12 2018-10-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gressive buffer generation
CN106476447B (zh) * 2016-11-25 2018-03-27 山东华菱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双热敏打印头的热敏打印装置
CN106628428B (zh) * 2017-02-24 2022-09-02 上海冠众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复卷打码机及复卷打码方法
CN107010463B (zh) * 2017-05-09 2018-10-16 浙江步昌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商标裁切装置
JP7073971B2 (ja) 2018-08-02 2022-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077853B2 (ja) * 2018-08-02 2022-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9572238A (zh) * 2018-12-22 2019-04-05 苏州高研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数码印花机
CN111942031B (zh) * 2019-05-14 2023-10-27 利乐拉瓦尔集团及财务有限公司 对包装的基于纸盒的包装材料进行数字印刷的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329A (ja) 1999-07-21 2001-04-03 Ricoh Co Ltd 熱粘着性ラベルの熱活性化装置、熱活性化・感熱記録装置及び熱活性化方法、熱活性化・感熱記録方法
JP3949316B2 (ja) 1999-06-11 2007-07-25 株式会社リコー 感熱性粘着ラベルの熱活性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感熱性粘着ラベル
JP2723992B2 (ja) * 1989-09-08 1998-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プリンタ
JP3590201B2 (ja) * 1995-07-28 2004-11-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US6449060B1 (en) * 1996-07-22 2002-09-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623084B2 (ja) * 1996-10-18 2005-02-23 株式会社リコー 感熱性粘着ラベルの熱活性化方法及び感熱性粘着ラベルの貼り付け方法
DE60029673T2 (de) * 1999-04-22 2007-10-18 Ricoh Co., Ltd. Aktivieren und Aufzeichen eines wärmeempfindlichen Haftetikettes durch Wärme
JP2001088814A (ja) 1999-07-21 2001-04-03 Ricoh Co Ltd 熱粘着性ラベルの加熱活性化装置、プリンタ及び加熱活性化方法
CN1158184C (zh) * 1999-09-29 2004-07-2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及其控制方法
JP3855800B2 (ja) * 2002-02-27 2006-1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177601B2 (ja) * 2002-06-05 2008-11-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JP2004058309A (ja) * 2002-07-25 2004-02-2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97800B2 (ja) * 2002-08-05 2010-07-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JP3953919B2 (ja) * 2002-08-27 2007-08-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その熱活性化装置を用いた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25518B2 (en) 2006-04-11
CN100352660C (zh) 2007-12-05
EP1484184A3 (en) 2006-06-07
JP2004243606A (ja) 2004-09-02
EP1484184B1 (en) 2008-07-09
US20040218961A1 (en) 2004-11-04
CN1533901A (zh) 2004-10-06
KR101081664B1 (ko) 2011-11-09
EP1484184A2 (en) 2004-12-08
JP4068472B2 (ja) 2008-03-26
DE602004014849D1 (de)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664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KR100918738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의 반송 및 절단 방법 및 감열성 점착시트용 프린터
US7106354B2 (en) Printer apparatus
JP5897656B2 (ja) プリンタ
US7478956B2 (en) Printer for printing on both a heat-sensitive adhesive label and an ordinary label
KR100929754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KR101018954B1 (ko) 감열성 점착 시이트용 열활성화장치
JP4080958B2 (ja) プリンタ装置
US7101100B2 (en) Printer apparatus
US7102658B2 (en) Printing and thermal activation method and device for a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US7275880B2 (en) Thermal activation apparatus
US7104713B2 (en) Printer for a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JP4110045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4563163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方法および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JP6358759B2 (ja) プリンタ
JP2005001152A (ja) プリンタ
JPH08244260A (ja) ラベ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