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070A -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070A
KR20040069070A KR1020030005496A KR20030005496A KR20040069070A KR 20040069070 A KR20040069070 A KR 20040069070A KR 1020030005496 A KR1020030005496 A KR 1020030005496A KR 20030005496 A KR20030005496 A KR 20030005496A KR 20040069070 A KR20040069070 A KR 2004006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film
conductive film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669B1 (ko
Inventor
김서민
복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0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69B1/ko
Priority to TW092134684A priority patent/TWI296421B/zh
Priority to JP2003413895A priority patent/JP2004235616A/ja
Priority to US10/749,750 priority patent/US7012002B2/en
Priority to CNB2004100393346A priority patent/CN1292482C/zh
Publication of KR2004006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69B1/ko
Priority to US11/317,809 priority patent/US711284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stors or capaci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10B12/033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plu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65Electrodes comprising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oxide, e.g. platinum (Pt), ruthenium (Ru), ruthenium dioxide (RuO2), iridium (Ir), iridium dioxide (I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패시터 절연막의 높이 증가없이 캐패시터 콘택홀의 크기를 향상시켜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 상기 복수의 플러그 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제1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상기 제1플러그에 인접한 제2플러그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전도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1전도막 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상기 제1전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ROF}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캐패시터와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셀 사이즈가 미세화됨에 따라 필요한 전하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에서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하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들 중 하나가 캐패시터의 형상을 3차원 구조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3차원 형상의 캐패시터의 대표적인 예로 오목형(Concave) 구조의 캐패시터가 있다.
또한, 그 폭은 좁아드는 반면 디자인룰의 감소에 따라 정해진 폭 내에서의 최대한의 전하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캐패시터의 수직 높이는 점차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높이 증가에 따라 여러가지 문제가 수반되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통상의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살펴본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d의 공정도에서 각 도의 (a)는 공정 평면도를 나타내며, 각 도의 (b)는 각 도의 (a)를 각각 a-a' 방향으로 절취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루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기판(10)에 플러그(11)를 형성한다.
여기서, 플러그(11)는 기판(10)에 형성된 소스/드레인 등의 불순물접합층 또는 콘택 패드 등과 콘택된 것으로, 캐패시터의 하부전극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콘택 플러그로서, 통상 폴리실리콘막을 이용한다.
이어서, 플러그(11)가 형성된 전면에 층간절연용 절연막(12)을 형성한다. 절연막(12)은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또는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등의 통상의 실리콘산화막 계열의 물질막을 사용한다.
도 1a의 (a)에서 평면상 원형인 네개의 플러그(11)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절연막(12)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11)는 도시된 원형 뿐만이아닌 사각형이나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12) 상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형성될 캐패시터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은 도 1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인 네개의 플러그(11) 상부에 각각 플러그(11)보다 큰 폭으로 절연막(12)을 오픈시키도록 형성한다. 여기서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이 절연막(12)을 타원형으로 오픈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식각마스크로절연막(12)을 식각하여 플러그(11)를 노출시키는 오픈부 즉, 캐패시터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 때, 식각된 절연막(12)의 프로파일은 절연막(12)의 두께가 낮은 경우는 어느 정도 수직한(Vertical)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반도체소자가 집적화됨에 따라 콘택홀(Contact hole)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므로 절연막(12)의 높이는 더욱 더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막(12)의 식각 프로파일은 어느 정도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특히 콘택홀 하단(14b)으로 갈수록 갑자기 더 큰 기울기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초기에 콘택홀의 크기로 예상하던 용량보다 더 작은 용량을 가지게 되어 다시 절연막(12)의 두께를 더 높여 난이도가 더 높은 공정으로 콘택홀을 형성해야 한다. 또한, 계속 절연막(12)을 높게 형성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울기 때문에 콘택홀 상단(14a)은 어느 정도 형성되어도 하단(14b)이 작아져서 플러그(11)와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도 1c의 (a)를 참조하면, 콘택홀 상단에서는 도면부호 '14a'와 같이 플러그(11) 보다 큰 폭으로 절연막(12)이 식각되어 오픈되어 있으며, 콘택홀 하단에서는 기울기를 갖는 식각 프로파일로 인해 도면부호 '14b'와 같이 플러그(11)보다 작은 폭으로 절연막(12)이 식각되어 오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 콘택홀이 형성된 전면에 하부전극용 전도막(15)과 유전체막(16) 및 상부전극용 전도막(17)을 차례로 증착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속 공정으로 하부전극용 전도막(15)과유전체막(16) 및 상부전극용 전도막(17)을 패터닝하여 상부전극/유전체막/하부전극 구조의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플러그(11)와 하부전극용 전도막(15) 사이에는 오믹 콘택과 하부전극 물질의 기판(10)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리어막을 포함하는 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였으며, 배리어막은 통상 Ti/TiSi2/TiN 구조를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 콘택홀 상단에 비해 좁아진 하단으로 인해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용량은 의도했던 것에 비해 줄어든다.
한편, 이러한 용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캐패시터 콘택홀의 크기를 더 크게하여 절연막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줄이려 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콘택홀 모양이 밀집되어 있어 각 콘택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여유 공간이 없고 무리하게 더 큰 콘택홀을 만들려고 하다가는 도 1d에서 도시된 이웃하는 콘택홀 간의 절연막의 두께(d)가 얇아져 일부 지역에서 절연막이 관통되거나 리키지(Leakage)가 커질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패시터 절연막의 높이 증가없이 캐패시터 콘택홀의 크기를 향상시켜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도시한 평면 및 단면도.
도 4는 제1캐패시터 및 제1전도막 형성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레티클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기판 21 : 플러그
22 : 제1절연막 26b : 제1전극
26c : 제1전도막 27b : 제1유전체막
28b : 제2전극 Cap1 : 제1캐패시터
29 : 제2절연막 33b : 제3전극
33c : 제2전도막 34b : 제2유전체막
35b : 제4전극 Cap2 : 제2캐패시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 상기 복수의 플러그 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제1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상기 제1플러그에 인접한 제2플러그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전도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1전도막 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상기 제1전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복수의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플러그 상에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제1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과,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상기 제1플러그에 인접한 제2플러그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전도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제2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상기 제1전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캐패시터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용량 증가를 위해 캐패시터 절연막의 수직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기의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1). 캐패시터 절연막의 두께가 얇으면 캐패시터 콘택홀 형성을 위한 식각 과정에서 종래의 갑작스런 기울기 증가를 어느 정도 극복하고 기울기가 완만하고 거의 수직에 가까운 식각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2). 캐패시터 콘택홀이 밀집된 구조에서 하나의 콘택홀을 작게 만들면, 인접한 캐패시터 콘택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의 증착에서 콘택홀의 크기와 증착 두께 등을 조절하면 그 콘택홀을 갭-필(Gap-fill) 불량없이 채울 수 있다.
전술한 세가지 관점을 종합하여 실제 공정에 적용한다. 즉, 하나의 캐패시터 콘택홀은 작게 만들고 인접한 캐패시터 콘택홀을 크게 만든다. 이 때, 크게 만들어진 캐패시터 콘택홀에서는 제1캐패시터를 크게 만든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접한 캐패시터 콘택홀을 크게할 수 있어 제1캐패시터 절연막의 두께를 낮출 수 있어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캐패시터 콘택홀은 하부전극 물질로 채워져 있는 바, 낮은 증착 두께를 갖는 제2캐패시터 절연막을 증착하고 제1캐패시터의 상부는 갭-필 특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게 오픈시키고 하나의 캐패시터 콘택홀에 하부전극 물질이 매립된 부분에서는 그 크기가 큰 캐패시터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제2캐패시터를 형성한다.
이렇듯, 인접한 두개의 캐패시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2층 구조로 형성하며 이 때, 이들의 각 캐패시터 콘택홀을 크게하고 절연막의 두께를 낮출 수 있어,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키면서 절연막 두께 증가에 따른 제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2층 구조 뿐만이 아닌 3층 이상의 다층 구조 또한 형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도시한 평면 및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를 b-b'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20) 상에 캐패시터 콘택을 위한 복수의 플러그(21)가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제1절연막(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절연막(22)을 관통하여 복수의 플러그(21) 중 제1플러그(2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26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절연막(22)을 관통하여 복수의 플러그(21) 중 제1플러그(21a)에 인접한 제2플러그(21b)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캐패시터(Cap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절연막(22)과 제1전도막(26c) 및 제1캐패시터(Cap1)는 그 상단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탄화되어 있다.
제1전도막(26c)과 제1캐패시터(Cap1)를 포함하는 전체 구조 상부에 제2절연막(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절연막(29)을 관통하여 제1전도막(26c) 상에 제1전도막(26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캐패시터(Cap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절연막(29)을 관통하여 제1캐패시터(Ca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도막(33c)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절연막(29)과 제2전도막(33c) 및 제2캐패시터(Cap2)는 그 상단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탄화되어 있다.
여기서, 제1캐패시터(Cap1)는 제1절연막(22)이 식각되어 형성된 오픈부를 통해 제2플러그(21b)와 접속된 제1전극(26b)과 제1전극(26b) 상에 형성된 제1유전체막(27b) 및 제1유전체막(27b) 상에 형성된 제2전극(28b)로 이루어지며, 제2캐패시터(Cap2)는 제2절연막(29)이 식각되어 형성된 오픈부를 통해 제1전도막(26c)과 접속된 제3전극(33b)과 제3전극(33b) 상에 형성된 제2유전체막(34b) 및 제2유전체막(34b) 상에 형성된 제4전극(35b)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1전극(26b)과 제1전도막(26c)은 동일막으로 이루어지며, 제3전극(33b)과 제2전도막(33c)은 동일막으로 이루어진다.
제1전도막(26c)의 폭은 제1캐패시터(Cap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갭-필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하부의 제1플러그(2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정도의 폭만을 유지하면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제1캐패시터(Cap1)의 폭은 상대적으로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제2전도막(33c)의 폭은 제2캐패시터(Cap2)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갭-필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하부의 제1캐패시터(Ca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정도의 폭만을 유지하면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제2캐패시터(Cap2)의 폭은 상대적으로 크게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캐패시터 간의 간격은 'd'로 매우 좁아졌으나, 실제 공정에서는 약간의 경사 프로파일이 유발됨을 예측했을 때 이에 대한 공간 여유가 'e'라고 할 수 있어, 실제 두 캐패시터 간에는 'd + e'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듯, 좁은 공간에서 이웃하는 두개의 캐패시터(Cap1, Cap2)의 크기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제1절연막(22)의 증착 두께를 낮추면서도 원하는 전하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절연막(22)의 두께가 낮아 제1캐패시터(Cap1)가 형성되는 식각 단면에서의 경사 프로파일이 발생하는 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에서는 제1캐패시터(Cap1)와 제2캐패시터(Cap2)와 제1전도막(26c) 및 제2전도막(33c)의 평면 형상이 모두 원 또는 타원의 원형 형상을 갖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 각각의 평면 형상은 이러한 원형 이외에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캐패시터(Cap1, Cap2)의 제1 ∼ 제4전극(26b, 28b, 33b,35b)과 제1 및 제2전도막(26c, 33c)은 모두 Pt, Rh, Ru, Ir, Os, Pd, PtOx, RhOx, RuOx, IrOx, OsOx, PdOx, CaRuO3, SrRuO3,BaRuO3, BaSrRuO3, CaIrO3, SrIrO3, BaIrO3, (La,Sr)CoO3, Cu, Al, Ta, Mo, W, Au, Ag, WSix, TiSix, MoSix, CoSix, NoSix, TaSix, TiN, TaN, WN, TiSiN, TiAlN, TiBN, ZrSiN, ZrAlN, MoSiN, MoAlN, TaSiN 및 TaAlN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유전체막(27b, 34b)은 BST 또는 Ta2O5등의 고유전체 또는 PZT, SBT, SBTN 또는 BLT 등의 강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3의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살펴 본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캐패시터 형성 공정을 살펴본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i의 공정도에서 각 도의 (a)는 공정 평면도를 나타내며, 각 도의 (b)는 각 도의 (a)를 각각 b-b' 방향으로 절취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루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기판(20)에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플러그(21)를 형성한다.
여기서, 플러그(21)는 기판(20)에 형성된 소스/드레인 등의 불순물접합층 또는 콘택 패드 등과 콘택된 것으로, 캐패시터의 하부전극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콘택 플러그로서, 통상 폴리실리콘막을 이용한다.
이어서, 복수의 플러그(21)가 형성된 전면에 층간절연용 제1절연막(22)을 형성한다. 제1절연막(22)은 TEOS막 또는 HDP 산화막 등의 통상의 실리콘산화막 계열의 물질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의 (a)에서 평면상 원형인 네개의 플러그(21)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제1절연막(22)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21)는 도시된 원 또는 타원의 원형 뿐만이 아닌 사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막(22) 상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형성될 캐패시터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은 도 2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좁은 폭(하부의 플러그(21)보다 작거나 거의 비슷한 크기)을 갖으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후속 제1전도막 형성을 위한 'D1'의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과, 그 보다 훨씬 큰 폭(하부의 플러그(21)보다 큰 크기)을 갖으며 'D1'의 영역과 엇갈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후속 제1캐패시터 형성을 위한 'C1'의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을 갖는다.
여기서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이 제1절연막(22)을 원형으로 오픈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제1캐패시터 및 제1전도막 형성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레티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즉, 전술한 도 2b의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공정시 도 4의 (a)와 같은 레티클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23)을 식각마스크로 제1절연막(22)을 식각하여 플러그(21)를 노출시키는 오픈부 즉, 캐패시터 콘택홀(24)과 제1전도막 형성용 오픈부(25)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 때, 캐패시터 콘택홀(24)의 폭을 크게 가져갈 수 있어, 제1절연막(22)의 증착 두께를 종래와 같이 높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각된 제1절연막(22)의 프로파일은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즉, 도 2c의 (a)를 참조하면, 캐패시터 콘택홀(24)의 상단(24a)과 하단(24b)의 크기 차이가 가의 없으며, 또한 상단(24a)과 하단(24b) 모두 플러그(22) 보다 커 콘택 오픈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캐패시터 콘택홀(24)의 폭을 크게하여도 인접한 곳에서는 캐패시터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고 캐패시터 콘택홀(24) 보다 그 폭이 좁은 오픈부(25)가 형성되므로 인접하는 영역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여기서, 오픈부(25)의 폭은 절연막(22)의 두께를 고려하여 후속 전도성 물질을 증착할 때, 갭-필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만 유지하면 된다.
이어서, 제1캐패시터의 제1전극 예컨대, 하부전극 및 제1전도막을 이룰 제1물질막(26a)을 증착하여 오픈부(25)를 충분히 매립하면서 캐패시터 콘택홀(24)의 프로파일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물질막(26a) 상에 제1유전체막(27a)을 증착한 다음, 유전체막(27a) 상에 제1캐패시터의 제2전극 예컨대, 상부전극을이룰 제2물질막(28a)을 증착한다.
도 2d는 제1캐패시터의 제2전극용 제2물질막(28a)이 전면에 증착된 공정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막(22)이 노출되도록 제2물질막(28a)과 제1유전체막(27a) 및 제1물질막(26a)을 제거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제1절연막(22)을 관통하여 각각 하부의 플러그(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탄화된 제1전도막(26c)과 제1캐패시터(Cap1)를 형성한다. 평탄화 공정시 CMP 또는 에치백 공정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도면부호 '26b'는 제1캐패시터(Cap1)의 제1전극을, '27b'는 제1유전체막을, '28b'는 제2전극을 각각 나타낸다.
이어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Cap1)와 제1전도막(26c)가 평탄화되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층간절연용 제2절연막(29)을 증착한다. 제2절연막(29)은 제1절연막(22)과 유사한 TEOS막 또는 HDP 산화막 등의 통상의 실리콘산화막 계열의 물질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연막(29) 상에 제2캐패시터가 형성될 캐패시터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은 도 2g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좁은 폭(하부의 플러그(21)보다 작거나 거의 비슷한 크기)을 갖으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캐패시터(Cap1)의 제2전극(28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제2전도막 형성을 위한 'D2'의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과, 그 보다 훨씬 큰 폭(하부의 플러그(21)보다큰 크기)을 갖으며 'D2'의 영역과 엇갈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후속 제2캐패시터 형성을 위한 'C2'의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을 갖는다.
여기서는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이 제2절연막(29)을 원형으로 오픈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2g의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공정시 도 4의 (b)와 같은 레티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의 (b)는 도 4의 (a)와 서로 역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별도의 레티클을 제작하지 않고 도 2b의 공정에서 사용한 레티클을 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식각마스크로 제2절연막(29)을 식각하여 제1전도막(26c)과 제1캐패시터(Cap1)의 제2전극(28b)를 각각 노출시키는 오픈부 즉, 캐패시터 콘택홀(32)과 제2전도막 형성용 오픈부(31)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 때, 캐패시터 콘택홀(32)의 폭을 크게 가져갈 수 있어, 제2절연막(29)의 증착 두께를 종래와 같이 높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각된 제2절연막(29)의 프로파일은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즉, 도 2h의 (a)를 참조하면, 캐패시터 콘택홀(32)의 상단(32a)과 하단(32b)의 크기 차이가 가의 없으며, 또한 상단(32a)과 하단(32b) 모두 하부의 제1전도막(26c) 보다 그 폭이 커 콘택 오픈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캐패시터 콘택홀(32)의 폭을 크게하여도 인접한 곳에서는 캐패시터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고 캐패시터 콘택홀(32) 보다 그 폭이 좁은 오픈부(31)가 형성되므로 인접하는 영역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여기서, 오픈부(31)의 폭은 제2절연막(29)의 두께를 고려하여 후속 전도성 물질을 증착할 때, 갭-필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만 유지하면 된다.
이어서, 제2캐패시터의 제3전극 예컨대, 하부전극 및 제2전도막을 이룰 제3물질막(33a)을 증착하여 오픈부(31)를 충분히 매립하면서 캐패시터 콘택홀(32)의 프로파일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3물질막(33a) 상에 제2유전체막(34a)을 증착한 다음, 유전체막(34a) 상에 제2캐패시터의 제4전극 예컨대, 상부전극을 이룰 제4물질막(35a)을 증착한다.
도 2i는 제2캐패시터의 제4전극용 제4물질막(35a)이 전면에 증착된 공정 단면 및 평면을 나타낸다.
이어서, 제2절연막(29)이 노출되도록 제4물질막(35a)과 제2유전체막(34a) 및 제3물질막(33a)을 제거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제2절연막(29)을 관통하여 각각 제1캐패시터(Cap1)의 제2전극(28b)과 제1전도막(26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33c)과 제2캐패시터(Cap2)를 형성한다. 평탄화 공정시 CMP 또는 에치백 공정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도 3은 이러한 제1 및 제2캐패시터(Cap1, Cap2)가 형성된 공정도를 나타낸며, 여기서 도면부호 '33b'는 제2캐패시터(Cap1)의 제3전극을, '34b'는 제2유전체막을, '35b'는 제4전극을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을을 알 수있다.
1). 집적도가 증가하면 캐패시터의 하부 면적을 확보하지 못해 절연막의 두께를 낮추어야 는데, 이러한 공정은 절연막의 두께를 높일 수록 식각 공정의 난이도는 증가하고 수율도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2중 또는 3중 이상의 캐패시터 구조를 형성하여 절연막의 두께를 낮추고 각 캐패시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어, 낮은 절연막의 두께에서도 쉽게 원하는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용량을 얻을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낮은 전하저장용량을 보상하기 위해 사진식각 공정에서 확보할 수 있는 최대한의 크기로 캐패시터 콘택홀을 형성하는 데, 이 경우에는 캐패시터 콘택홀 간의 간격이 작아져서 리키지 및 원하지 않는 기생용량(Parastic capacitance)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캐패시터와 캐패시터 사이의 간격이 크고 사로 위 아래로 분포하고 있어 기생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3). 예컨대, 2층 구조의 캐패시터 구조를 형성할 경우 각 캐패시터의 콘택홀 형성을 위한 마스크 공정에서 사용되는 레티클의 모양이 위치만 다르고 그와 다른 것이 같으므로 별도의 레티클 제작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경비 없이 기생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하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4)

  1.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
    상기 복수의 플러그 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제1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상기 제1플러그에 인접한 제2플러그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전도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1전도막 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상기 제1전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
    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의 폭은 상기 제1전도막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2캐패시터의 폭은 상기 제2전도막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는,
    상기 제1플러그 상에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에 형성된 제1유전체막 및 상기 제1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도막은 상기 제1전극과 동일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패시터는,
    상기 제1전도막 상에 형성된 제3전극과, 상기 제3전극 상에 형성된 제2유전체막 및 상기 제2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4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도막은 상기 제3전극과 동일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2캐패시터는, 그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막 및 상기 제2전도막은, 그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7. 기판 상에 복수의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플러그 상에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제1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도막과, 상기 제1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중 상기 제1플러그에 인접한 제2플러그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전도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1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제2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도막 상에 상기 제1전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캐패시터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2절연막과 실질적으로 평탄화된 제2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의 폭은 상기 제1전도막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2캐패시터의 폭은 상기 제2전도막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막과 상기 제1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도막이 형성될 영역의 제1오픈부의 폭에 비해 상기 제1캐패시터가 형성될 상기 제1오픈부의 폭이 크도록 상기 제1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플러그 및 제2플러그를 각각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도막이 형성될 영역의 상기 제1오픈부를 충분히 매립하면서 상기 제1캐패시터가 형성될 상기 제1오픈부의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1캐패시터의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도막용 제1물질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막 상에 제1유전체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1유전체막 상에 상기 제1캐패시터의 제2전극용 제2물질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물질막과 상기 제1유전체막 및 상기 제1물질막을 제거하여 평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막과 상기 제2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전도막이 형성될 영역의 제2오픈부의 폭에 비해 상기 제2캐패시터가 형성될 상기 제2오픈부의 폭이 크도록 상기 제2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전도막 및 제1캐패시터를 각각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전도막이 형성될 영역의 상기 제2오픈부를 충분히 매립하면서 상기 제2캐패시터가 형성될 상기 제2오픈부의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제2캐패시터의 제3전극 및 상기 제2전도막용 제3물질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3물질막 상에 제2유전체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2유전체막 상에 상기 제2캐패시터의 제4전극용 제4물질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4물질막과 상기 제2유전체막 및 상기 제3물질막을 제거하여 평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오픈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마스크 패턴은 서로 역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시키는 단계에서, 에치백 공정 또는 화학기계적연마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 및 상기 제2캐패시터는, 그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14. 제 7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막 및 상기 제2전도막은, 그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 방법.
KR10-2003-0005496A 2003-01-28 2003-01-28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2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96A KR100502669B1 (ko) 2003-01-28 2003-01-28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092134684A TWI296421B (en) 2003-01-28 2003-12-0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3413895A JP2004235616A (ja) 2003-01-28 2003-12-11 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49,750 US7012002B2 (en) 2003-01-28 2003-12-3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B2004100393346A CN1292482C (zh) 2003-01-28 2004-01-19 半导体存储器元件及其制造方法
US11/317,809 US7112840B2 (en) 2003-01-28 2005-12-22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496A KR100502669B1 (ko) 2003-01-28 2003-01-28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70A true KR20040069070A (ko) 2004-08-04
KR100502669B1 KR100502669B1 (ko) 2005-07-21

Family

ID=3659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496A KR100502669B1 (ko) 2003-01-28 2003-01-28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12002B2 (ko)
JP (1) JP2004235616A (ko)
KR (1) KR100502669B1 (ko)
CN (1) CN1292482C (ko)
TW (1) TWI296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9455A (ja) * 2004-06-30 2006-01-1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2646B2 (ja) 2005-09-09 2009-06-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459894B2 (ja) * 2005-12-27 2014-04-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20080217672A1 (en) * 2007-03-09 2008-09-11 Qimonda Ag Integrated circuit having a memory
US7829410B2 (en) * 2007-11-26 2010-1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and methods of forming DRAM arrays
US20090302479A1 (en) * 2008-06-06 2009-12-10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Semiconductor structures having vias
KR20230014446A (ko) * 2021-07-21 2023-01-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95A (ja) * 1993-06-22 1995-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61832A (ja) * 1993-12-08 1995-06-23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39293A (ja) * 1994-09-17 1996-05-31 Toshiba Corp 半導体基板
JPH10242410A (ja) * 1996-12-26 1998-09-11 Sony Corp 半導体メモリセル及びその作製方法
JP3030812B2 (ja) * 1997-05-06 2000-04-10 ナショナル・サイエンス・カウンシル 化学的機械研磨法を利用したdramキャパシタの製造法
US5851875A (en) * 1997-07-14 1998-12-22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forming capacitor array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344413B1 (en) * 1997-12-22 2002-02-05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US6479341B1 (en) * 1998-03-02 2002-11-12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or over metal DRAM structure
KR20000053391A (ko) * 1999-01-12 2000-08-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다이나믹 램 셀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 형성방법
JP4063450B2 (ja) * 1999-06-14 2008-03-1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20065795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램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9943A (zh) 2004-08-11
JP2004235616A (ja) 2004-08-19
US20040157388A1 (en) 2004-08-12
US7012002B2 (en) 2006-03-14
US20060134861A1 (en) 2006-06-22
TW200414327A (en) 2004-08-01
TWI296421B (en) 2008-05-01
CN1292482C (zh) 2006-12-27
US7112840B2 (en) 2006-09-26
KR100502669B1 (ko)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943B1 (ko) 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US6991980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multi-layer integrated circuit capacitor electrodes
KR10041660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234538A1 (en) Plurality of capacitors employing holding layer patter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60060907A1 (en)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with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
US644813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6573551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contac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4809961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763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US20090001437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Recessed Conductive Layers and Related Methods
US71128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70043723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615814B2 (en) Ferroelectric device having a contact for taking the potential of a metal film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positioned periodically
KR20030061099A (ko)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145057A1 (en)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34563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2103B1 (ko)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471730B1 (ko) 배리어 구조물을 구비한 커패시터 전극의 제조 방법
GB2400237A (en) Sidewall spacer structure for self-aligned contact
US20230035899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00007644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4001199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8614A (ko)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36089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TW202205539A (zh) 半導體記憶體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