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927A -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927A
KR20040067927A KR1020040003197A KR20040003197A KR20040067927A KR 20040067927 A KR20040067927 A KR 20040067927A KR 1020040003197 A KR1020040003197 A KR 1020040003197A KR 20040003197 A KR20040003197 A KR 20040003197A KR 20040067927 A KR20040067927 A KR 2004006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vehicle
body structure
vehicle body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859B1 (ko
Inventor
시바따게이스께
오이까와노부히로
고시따요시유끼
야기도시미쯔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메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메탈테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7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 B60N2/307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in a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납 오목부의 폭을 확대 가능하게 한다.
후방 플로어 팬(11)에 수납 오목부(20)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대략 수직인 제1 측면부(52)를 갖는 한 쌍의 측면 부재(12)를 연장 설치하고, 플로어 패널(11)을 수납 오목부(20)의 바닥면이 되는 제1 바닥면부(32) 및 이 제1 바닥면부(32)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제1 측면부(52)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측면부(33)를 갖는 제1 플로어 패널(31)과, 측면 부재(12)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바닥면부(42) 및 이 제2 바닥면부(42)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제1 측면부(52)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인접 배치되는 제3 측면부(43)를 갖는 제2 플로어 패널(41)로 구성하고, 제1 측면부(52), 제2 측면부(33), 제3 측면부(43)에서 측면 부재(12)와 제1 플로어 패널(31)과 제2 플로어 패널(41)을 접합한다.

Description

차체 구조 {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체 후방부에 절첩 시트를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가 설치된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왜건식의 차량에 있어서, 2열째의 시트의 후방에 3열째의 시트가 설치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3열째의 시트는 시트 쿠션에 대해 시트 백을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이 중복된 시트 백 및 시트 쿠션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고, 차체 후방부에 설치된 수납 오목부에 수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7에 종래의 차체 구조를 나타내는 차체 후방부의 주요부 단면, 도8에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을 도시한다.
종래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팬(101)은 차폭 방향 중앙부에 시트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102)가 형성되고, 이 수납 오목부(102)의 차폭 방향 양 측부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세로 벽부(103)가 형성되고, 이 세로 벽부(103)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수평부(104)가 형성되고, 그 단부가 측면 패널(105)에 접합되어 있다. 측면 부재(106)는 이 수납 오목부(102)의 차폭 방향 양측에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상방이 개구된 역 ㄷ자 형상 단면을 이루고, 좌우의 플랜지부(107)가 플로어 팬(101) 수평부(104)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부(104)의 상부에 차음재(108)가 장착되고, 플로어 팬(101)의 상면에 카펫(109)이 부설되어 있다. 시트는 시트 쿠션(111)의 후방부에 시트 백(112)의 하부에 피봇 부착되어 구성되고, 절첩하여 반전시킴으로써 수납 오목부(102)에 수납 가능해지고 있다.
또, 이러한 절첩 시트를 갖는 종래의 차체 구조로서는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63421호 공보
그런데, 차량 바닥 밑으로 수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는, 승차감이나 안정감 등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의 가로 폭을 충분히 확보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팬(101)은 수납 오목부(102)와 세로 벽부(103)와수평부(104)로 구성되고, 이 수평부(104)의 하면에 측면 부재(106)의 좌우 플랜지부(107)를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그로 인해, 플로어 팬(101)에는 세로 벽부(103)와 수평부(104) 사이에 절곡부(110)(굽힘 R)가 필요해지는 동시에, 측면 부재(106)의 플랜지부(107)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대(A)가 필요해지고, 이 양자를 맞춘 폭(W)만큼 수납 오목부(102)의 폭이 좁아져 버린다. 이 수납 오목부(102)의 폭이 좁아지면 시트의 가로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상품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자동차의 시트 수납 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의 차체 구조와 마찬가지로, 심혈형 부재의 바닥부로부터 입상하여 부착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부착 플랜지부의 하면에 단면 통형상의 측면 프레임을 접합하여 있어서, 심혈형 부재에 굽힘(R)이 필요해져 바닥부의 폭(W) 즉, 시트의 가로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플로어 패널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납 오목부의 폭을 확대 가능하게 한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차체 구조를 나타내는 차체의 주요부 단면도.
도2는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제1 및 제2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제1 및 제2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차체 구조가 적용된 차량 후방부의 개략도.
도6은 다른 실시 형태의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종래의 차체 구조를 나타내는 차체 후방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8은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후방 플로어 팬(플로어 패널)
12 : 측면 부재
13 : 시트
20 : 수납 오목부
31 : 제1 후방 플로어 팬
32 : 제1 바닥면부
33 : 제2 측면부
41 : 제2 후방 플로어 팬
42 : 제2 바닥면부
43 : 제3 측면부
45 : 절곡부(플랜지부)
52 : 제1 측면부
S1, S2 : 스폿 용접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이 한 쌍의 측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플로어 패널을 설치하고, 측면 부재와 플로어 패널을 각각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측면 부재와 플로어 패널을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측면 부재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 폭을 감소시키고, 수납 오목부의 폭을 차폭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차체 구조를 나타내는 차체의 주요부 단면, 도2에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 도3에 제1 및 제2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도4에 제1 및 제2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의 분해 사시, 도5에 본 실시 형태의 차체 구조가 적용된 차량 후방부의 개략, 도6에 다른 실시 형태의 후방 플로어 팬과 측면 부재와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이루는 전방 플로어 팬(도시 생략)의 후방부에 후방 플로어 팬(11)(플로어 패널)이 접합되어 차량의 플로어 패널이 구성되어 있고, 후방 플로어 팬(11)의 차폭 방향 양 측부에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좌우 한 쌍의 측면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3열째의 시트(13)는 시트 쿠션(14)의 후방부에 부착 브래킷(15)을 거쳐서 시트 백(16)의 하부가 지지축(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후방 플로어 팬(11)에는 부착대(18)에 지지축(19)에 의해 시트 쿠션(14)의 후방부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는 잠금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구속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시트(13)의 후방에는 후방 플로어 팬(11)에 수납 오목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 백(16)을 전방으로 쓰러뜨려 절첩한 상태에서, 시트 쿠션(14) 및 시트 백(16)을 후방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시트(13)를 이 수납 오목부(20)에 수납 가능해지고 있다. 또, 수납 오목부(20)의 하방에는 스페어 타이어(21)가 후방 플로어 팬(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플로어 팬(11)은 제1 후방 플로어 팬(31)(제1 플로어 패널)과 제2 후방 플로어 팬(41)(제2 플로어 패널)으로 구성되고, 이 제1, 제2 후방 플로어 팬(31, 41)과 측면 부재(12)가 각각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측면 부재(12)는 차폭 방향 양측에서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방이 개구된 역 ㄷ자 형상 단면을 이루고, 일측에 외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플랜지부(51)가 형성되고, 다른 측에 플랜지부(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대략 수직인 제1 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후방 플로어 팬(31)은 수납 오목부(20)의 바닥면이 되는 제1 바닥면부(32)가 형성되고, 이 제1 바닥면부(32)의 차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제2 측면부(33)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1 바닥면부(32)의 차량 전방으로 대략 수평인 바닥면(34)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후방 플로어 팬(41)은 측면 부재(12)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후방 플로어 팬(31)의 바닥면(34)과 거의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제2 바닥면부(42)가 형성되고, 이 제2 바닥면부(42)의 차폭 방향 일측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제3 측면부(43)가 형성되는 동시에, 차폭 방향 다른 측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제4 측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3 측면부(43)의 상단부에 차량의 내측에 수평하게 절곡된 절곡부(플랜지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선 측면 부재(12)와 제2 후방 플로어 팬(41)은 제2 바닥면부(42)가측면 부재(12)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측면부(52)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제3 측면부(43)가 인접 배치되고, 제2 바닥면부(42)에 플랜지부(51)가 밀착하여 스폿 용접(S1)에 의해 접합된다. 다음에, 한 쌍의 측면 부재(12)의 각 제1 측면부(52) 사이에 수납 오목부(20)가 위치하도록 제1 후방 플로어 팬(31)을 배치하고, 각 측면 부재(12)의 제1 측면부(52)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제1 후방 플로어 팬(31)의 제2 측면부(33)가 인접 배치되고, 제1 측면부(52)와 제2 측면부(33)와 제3 측면부(43)가 밀착하여 스폿 용접(S2)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측면 부재(12)와 후방 플로어 팬(11), 즉 측면 부재(12)와 제1 후방 플로어 팬(31)과 제2 후방 플로어 팬(41)이 각각 접합된다.
계속해서, 제1 측면부(52)와 제2 측면부(33)와 제3 측면부(43)가 접합되어 있는 부위에서는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33)의 상단부와 제3 측면부(43)의 절곡부(45) 사이에 시일 부재(61)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2 플로어 팬(41)의 제4 측면부(44)가 측면 패널(162)에 접합되고, 제2 바닥면부(42)의 상부에 차음재(63)가 장착되고, 후방 플로어 팬(11)의 상면에 카펫(64)이 부설됨으로써 시트(13)를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는, 후방 플로어 팬(11)에 수납 오목부(20)를 설치하고, 이 수납 오목부(20)의 차폭 방향 양측에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대략 수직인 제1 측면부(52)를 갖는 한 쌍의 측면 부재(12)를 연장 설치하고, 플로어 패널(11)을 수납 오목부(20)의 바닥면이 되는 제1 바닥면부(32) 및 이 제1 바닥면부(32)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제1 측면부(52)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측면부(33)를 갖는 제1 플로어 패널(31)과, 측면 부재(12)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바닥면부(42) 및 이 제2 바닥면부(42)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제1 측면부(52)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인접 배치되는 제3 측면부(43)를 갖는 제2 플로어 패널(41)로 구성하고, 제1 측면부(52), 제2 측면부(33), 제3 측면부(43)에서 측면 부재(12)와 제1 플로어 패널(31)과 제2 플로어 패널(41)을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측면 부재(12)와 후방 플로어 팬(11), 즉 제1, 제2 플로어 패널(31, 41)을 대략 수직인 제1, 제2, 제3 측면부(52, 33, 43)에서 접합함으로써, 후방 플로어 팬(11)에 제2 측면부(33)와 제2 바닥면부(42) 사이에 절곡부(굽힘 R)가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측면 부재(12)의 제1 측면부(52)에 후방 플로어 팬(11)[제2 플로어 패널(41)]의 제2 바닥면부(42)와의 접합을 위한 플랜지부, 즉 접합대도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플로어 패널(11)과 측면 부재(12)와의 접합부 폭을 감소, 즉 굽힘(R)이나 접합대의 폭만 수납 오목부(20)의 폭을 확장할 수 있고, 확대한 수납 오목부(20)에 수납하는 시트(13)의 가로 폭도 충분히 확장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 플로어 팬(11)을 제1 플로어 패널(31)과 제2 플로어 패널(41)로 구성하고, 제1, 제2 플로어 패널(31, 32)에 의해 측면 부재(12)를 끼워 접합함으로써, 플로어 패널(11)과 측면 부재(12)와의 조립체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접합부에 절곡부(45)를 설치하여 시일 부재(61)를 장착함으로써, 접합부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는 동시에 시일 부재(6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접합부에 대해 차량 내측으로부터 시일재(61)를 도포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플로어 팬(11)을 제1 플로어 패널(31)과 제2 플로어 패널(41)로 구성하고, 제1 측면부(52), 제2 측면부(33), 제3 측면부(43)에서 측면 부재(12)와 접합하도록 하였지만, 후방 플로어 팬(11)을 종래와 같이 일체로 구성하고, 후방 플로어 팬(11)과 측면 부재(12)를 각각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해도 좋다. 즉, 제1 바닥면부(32)와 제2 바닥면부(42)를 연결하는 제2 측면부(33)와 측면 부재(12)의 제1 측면부(52)를 접합함으로써, 측면 부재(12)의 플랜지부(접합대)가 불필요해져 수납 오목부(20)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후방 플로어 팬(41)의 제3 측면부(43)의 상단부에 차량의 내측에 수평하게 절곡하여 절곡부(45)를 형성하고, 그 하방으로 제1 측면부(52)의 선단부와 제2 측면부(33)의 선단부를 배치하여 접합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시일재(61)를 장착하였지만, 도6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플로어 팬(11) 제2 측면부(33)의 상단부에 차량 외측에 수평하게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고, 그 하방으로 제1 측면부(52)의 선단부와 제3 측면부(43)의 선단부를 배치하여 접합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시일재를 장착해도 좋다.
이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발명의 차체 구조에따르면,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이 한 쌍의 측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플로어 패널을 설치하고, 측면 부재와 플로어 패널을 각각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하였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측면 부재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 폭을 감소시키고, 수납 오목부의 폭을 차폭 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차량 전후 방향에 따라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측면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플로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이 각각 대략 수직인 면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는 대략 수직인 제1 측면부를 갖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이 되는 제1 바닥면부 및 상기 제1 바닥면부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측면부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측면부를 갖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이 되는 제1 바닥면부 및 상기 제1 바닥면부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측면부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한 제1 플로어 패널과, 상기 측면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바닥면부 및 상기 제2 바닥면부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측면부의 차폭 방향 외측에 인접 배치되는 제3 측면부를 갖는 제2 플로어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어 패널과 상기 제2 플로어 패널과는 별도의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의 선단부에 차량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방으로 상기 제1 측면부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선단부에 차량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방으로 상기 제1 측면부의 선단부 및 상기 제3 측면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측면부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선단부 사이에 시일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오목부에는 차량용 시트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KR1020040003197A 2003-01-17 2004-01-16 차체 구조 KR10054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9139 2003-01-17
JP2003009139A JP4142457B2 (ja) 2003-01-17 2003-01-17 車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27A true KR20040067927A (ko) 2004-07-30
KR100548859B1 KR100548859B1 (ko) 2006-02-02

Family

ID=3267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97A KR100548859B1 (ko) 2003-01-17 2004-01-16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76731B2 (ko)
JP (1) JP4142457B2 (ko)
KR (1) KR100548859B1 (ko)
CN (1) CN100548771C (ko)
DE (1) DE102004002035B4 (ko)
TW (1) TWI234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746B2 (ja) * 2004-02-04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フレーム構造
US6945594B1 (en) * 2004-12-08 2005-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oad floor
FR2980760B1 (fr) * 2011-09-30 2014-02-21 Renault Sa Plancher en creux et methode d'installation
JP5776570B2 (ja) * 2012-01-30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接合構造
US10286826B2 (en) * 2017-07-25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looring component
KR20220072175A (ko) * 2020-11-25 2022-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시트 장착부 보강 차체구조
DE102021111023A1 (de) 2021-04-29 2022-1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odenstruktur für eine Karosserie eines Personenkraftwagens
CN114714992A (zh) * 2022-03-28 2022-07-08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后排座椅安装结构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87486C (de) * 1929-09-06 1929-12-11 Albert Bertholdt Henninger Selbsttragender, aus Blech hergestellter Fahrzeugkasten fuer Kraftfahrzeuge
DE2717942C3 (de) * 1977-04-22 1981-08-20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Bodengruppe einer selbsttragenden Karosserie für Kraftfahrzeuge
JPS6111104Y2 (ko) * 1980-02-29 1986-04-08
US4836600A (en) * 1987-04-21 1989-06-06 Nissan Motor Co., Ltd. Floor structure for modular vehicle body
FR2622525A1 (fr) * 1987-11-02 1989-05-05 Honda Motor Co Ltd Procede de fabrication de panneau de carrosserie de vehicule a structure sandwich a nid d'abeilles
DE4020363C2 (de) * 1990-06-27 2000-11-30 Opel Adam Ag Längsträger für Personenkraftwagen
JPH06219334A (ja) * 1993-01-22 1994-08-09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H06247211A (ja) * 1993-02-24 1994-09-06 Mazda Motor Corp トランクルームの収納装置
JP3198960B2 (ja) * 1996-04-04 2001-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3635624B2 (ja) * 1999-08-27 2005-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ート収納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4529B (en) 2005-06-21
DE102004002035B4 (de) 2010-07-22
CN1550396A (zh) 2004-12-01
TW200418659A (en) 2004-10-01
US20040201259A1 (en) 2004-10-14
KR100548859B1 (ko) 2006-02-02
JP4142457B2 (ja) 2008-09-03
JP2004217151A (ja) 2004-08-05
CN100548771C (zh) 2009-10-14
US6976731B2 (en) 2005-12-20
DE102004002035A1 (de)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86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060066138A1 (e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JPH07257425A (ja) 自動車用車体のサブフレーム取付け構造
JP5807809B2 (ja) シートブラケットの周辺構造
KR100548859B1 (ko) 차체 구조
JPH10329763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911757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JP3553578B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の取付構造
JP5061564B2 (ja)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
JP5800224B2 (ja) リアシート支持構造
JPS59156871A (ja) 車体構造
JPS60244646A (ja) 自動車用トノボ−ド
JP2006327555A (ja) 排気系支持部材の取付構造
JP3932077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車体構造
KR100324399B1 (ko) 차체의 후부구조
JP2002046653A (ja) フロア構造
JP3833494B2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3969160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JP2002193144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H10201563A (ja) 自動車用シートの構造
JP2001247056A (ja) 車体後部構造
JPH10203426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トクロスメンバの構造
JP2021059176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9980021556U (ko)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JPH107022A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