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223A - 가스 엔진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엔진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223A
KR20040064223A KR1020040001029A KR20040001029A KR20040064223A KR 20040064223 A KR20040064223 A KR 20040064223A KR 1020040001029 A KR1020040001029 A KR 1020040001029A KR 20040001029 A KR20040001029 A KR 20040001029A KR 20040064223 A KR20040064223 A KR 2004006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ve
opening degree
target open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662B1 (ko
Inventor
나까지마가쯔노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2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the fuel being gas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3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7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00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ical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3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 공급 경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연료 가스로서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엔진의 운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류측이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기를 가스 엔진(30)에 공급하기 위한 드로틀부(36)에 접속된 연료 공급 배관(32)과, 이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연료 조정 밸브(35)와, 이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는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57)과, 이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 개방도가 되도록 연료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3)를 구비한 가스 엔진 구동 장치이다. 그리고, 제어 장치(13)는 엔진 기동 후에 회전수 검출 수단(72)으로 검출된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는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75)을 구비한 구성이다.

Description

가스 엔진 구동 장치 {GAS ENGIN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조화 장치, 발전 장치 등의 엔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압축기가 가스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가스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고, 가스 엔진에 연료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연료 가스와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드로틀부에서 혼합되어 혼합기가 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에 밸브 본체 및 스텝핑 모터를 갖고 밸브 입구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는 전동식 유량 제어 밸브로 구성된 연료 조정 밸브를 설치되고, 이 연료 조정 밸브가 연료 가스의 공급량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혼합기의 공연비를 가장 적절하게 조정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참조).
[특허문헌]
일본 특허 공개 평8-219561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가스의 종류[예를 들어 프로판, 도시 가스(13A)]에 대응하도록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을 2개의 경로로 분기하여 제1 경로에 전동식 유량 제어 밸브로 구성된 연료 조정 밸브를 설치하고, 제2 경로에는 노즐 또는 오리피스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을 3개의 경로로 분기하여 제1 경로에 전동식 유량 제어 밸브로 구성된 연료 조정 밸브를 설치하고, 제2 경로에 노즐 또는 오리피스를 설치하고, 또한 제3 경로에는 전동의 개폐 밸브와 노즐 또는 오리피스를 직렬로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에 있어서는 연료 가스로서의 천연 가스를 세계의 다양한 지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그 성상도 산출 지역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그래서, 가스 공급 회사에서는 천연 가스 성상의 차이에 의한 발열량의 폭을 해소하기 위해 성분 조정을 행하여 도시 가스로서 시장으로 공급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일본국에 있어서의 도시 가스에서는, 발열량은 46 MJ/N㎥가 주류이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 가스 공급 사업의 자유화가 예상되고 있고, 그리고, 자유화되었을 때에는 발열량을 그만큼 조정하지 않고 도시 가스로서 연료 가스가 시장에 공급되는 경우도 예측된다. 그 경우, 천연 가스의 산출 지역이나, 가스의 사용 시기에 따라서 도시 가스에 약간의 발열량 변동이 생길 위험이 있고, 기존에는 그 발열량의 폭으로서 약 43 내지 46 MJ/N㎥가 예상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열량의 폭을 가진 미조정 발열량 가스(이하,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라 함)가 시장에 공급된 경우, 사용 지역이나 사용 시기에 따라서 엔진에 공급하는 혼합기의 공연비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에는 엔진의 정상 운전이 곤란해지는 사태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료 공급 경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연료 가스로서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엔진의 운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엔진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의 계통도.
도2는 주요부의 블럭도.
도3은 연료 조정 밸브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4는 제어 장치의 엔진 기동시의 작동 설명용 흐름도.
도5는 제어 장치의 엔진 기동 후에 있어서의 작동 설명용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 조화 장치(엔진 구동 장치)
11 : 실외기
13 : 제어 장치
16 : 압축기
30 : 가스 엔진
31 : 연료 공급 장치
32 : 연료 공급 배관
33 : 연료 차단 밸브
35 : 제로 거버너
35 : 연료 조정 밸브
36 : 드로틀부
53 : 밸브 입구
54 : 내부 유로
55 : 밸브 본체
56 : 밸브 부재
57 : 스텝핑 모터
58 : 제어 기판
59 : 설정 스위치[천연 가스(13A)측의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
60 : 설정 스위치(프로판 가스측의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
61 : 기억부
62 : 작동 속도 변경부(작동 속도 변경 수단)
72 : 회전수 검출기(회전수 검출 수단)
75 : 목표 개방도 보정부(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가스 엔진과, 이 가스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하류측이 가스 엔진에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기를 공급하기 위한 드로틀부에 접속된 연료 공급 배관과, 이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 개방도가 가변인 연료 조정 밸브와, 이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는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과, 이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 개방도가 되도록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 구동 장치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엔진 기동 후에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는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스 엔진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은 회전수 변동 평균치가 사전 설정된 제1 설정치 이상을 제1 소정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회전수 변동 평균치가 사전 설정된 제2 설정치 이하를 제2 소정 시간에 걸쳐서 계속한 경우,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료 조정 밸브는 그 밸브 입구의 구경이 약 4 내지 6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엔진은 냉매 회로의 압축기 혹은 발전 장치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4의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일실시 형태로서의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10)는실외기(11), 복수대(예를 들어 2대)의 실내기(12A, 12B) 및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 장치(13) 등을 갖고 있고, 상기 실외기(11)의 실외 냉매 배관(14)과 실내기(12A, 12B)의 각 실내 냉매 배관(15A, 15B)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외기(11)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고, 실외 냉매 배관(14)에는 압축기(16)가 배치되는 동시에, 이 압축기(16)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17)가, 토출측에 사방 밸브(18)가 각각 배치되고, 이 사방 밸브(18)측에 실외 열교환기(19), 실외 팽창 밸브(24), 드라이 코어(25)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실외 열교환기(19)에는 이 실외 열교환기(19)를 향해 송풍하는 실외 팬(20)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6)는 벨트 및 풀리 등의 가요성 커플링(27)을 거쳐서 가스 엔진(30)에 연결되고, 이 가스 엔진(3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실외 팽창 밸브(24)를 바이패스하여 바이패스관(26)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2A, 12B)는 각각 실내에 설치되어 각각 실내 냉매 배관(15A, 15B)에 실내 열교환기(21A, 21B)가 배치되는 동시에, 실내 냉매 배관(15A, 15B)의 각각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1A, 21B)의 근방에 실내 팽창 밸브(22A, 22B)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1A, 21B)에는 이들 실내 열교환기(21A, 21B)로 송풍하는 실내 팬(23A, 23B)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 중 부호 28은 스트레이너, 29는 압축기(16)의 토출측의 냉매 압력을 압축실(16)의 흡입측으로 릴리프하는 안전 밸브, 37은 오일 세퍼레이터이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3)는 실외기(11)에 설치되어 실외기(11) 및 실내기(12A, 12B)의 운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3)는 실외기(11)에 있어서의 가스 엔진(30)[즉 압축기(16)], 사방 밸브(18), 실외 팬(20) 및 실외 팽창 밸브(24) 및 실내기(12A, 12B)에 있어서의 실내 팽창 밸브(22A, 22B) 및 실내 팬(23A, 23B)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후술하는 엔진 냉각 장치(44)의 순환 펌프(49)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사방 밸브(18)가 절환됨으로써,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10)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으로 설정된다. 즉, 제어 장치(13)가 사방 밸브(18)를 냉방측으로 절환하였을 때에는 냉매가 실선 화살표와 같이 흘러 실외 열교환기(19)가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21A, 21B)가 증발기로 되어 냉방 운전 상태가 되고, 각 실내 열교환기(21A, 21B)가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제어 장치(13)가 사방 밸브(18)를 난방측으로 절환하였을 때에는 냉매가 파선 화살표와 같이 흘러 실내 열교환기(21A, 21B)가 응축기로, 실외 열교환기(19)가 증발기로 되어 난방 운전 상태가 되고, 각 실내 열교환기(21A, 21B)가 실내를 난방한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상기 실내 팽창 밸브(22A, 22B)의 각각의 밸브 개방도를 공기 조절 부하에 따라서 제어한다. 한편,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실외 팽창 밸브(24) 및 실내 팽창 밸브(22A, 22B)의 각각의 밸브 개방도를 공기 조절 부하에 따라서 제어한다.
상기 압축기(16)를 구동하는 가스 엔진(30)의 연소실(도시하지 않음)에는 연료 공급 장치(31)로부터의 연료 가스와 급기 통로로부터의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공급된다. 상기 연료 공급 장치(31)는 연료 공급 배관(32)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연료 공급 배관(32)의 도중에 2개의 연료 차단 밸브(33, 33), 제로 거버너(34), 연료 조정 밸브(35) 및 드로틀부(36)를 연료 공급 배관(32)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료 공급 배관(32)의 하류측단부는 드로틀부(36)에 접속된다.
상기 연료 차단 밸브(33, 33)는 직렬로 2개 배치되어 2폐쇄형의 연료 차단 밸브 기구를 구성하고, 2개의 연료 차단 밸브(33, 33)가 연동하여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되어 연료 가스의 누설이 없는 차단과 연통을 택일적으로 실행한다.
상기 제로 거버너(34)는 연료 공급 배관(32) 내에 있어서의 제로 거버너(34) 전후의 1차측 연료 가스 압력(1차압)과 2차측 연료 가스 압력(2차압) 중 1차압의 변동에 의해서도 2차압을 일정한 소정압으로 조정하여 가스 엔진(30)의 운전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연료 조정 밸브(35)는 드로틀부(36)의 상류측의 흡기로(X)로부터 공기가 도입됨으로써 생성되는 혼합기의 공연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드로틀부(36)는 가스 엔진(30)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급량을 조정하여 가스 엔진(30)의 회전수를 가변 제어한다.
또한, 가스 엔진(30)에는 엔진 오일 공급 장치(38)가 접속되어 있고, 이 오일 공급 장치(38)는 일단부가 오일 탱크(39)에 접속된 오일 공급 배관(40)에 오일 차단 밸브(41), 서브 오일 팬(42) 및 오일 공급 펌프(43)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고, 가스 엔진(30)의 오일 팬(도시하지 않음)에 서브 오일 팬(43) 및 오일 공급 펌프(43)를 거쳐서 엔진 오일을 적절하게 공급한다.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한 가스 엔진(30)의 제어는, 구체적으로는 엔진 연료 공급 장치(31)의 연료 차단 밸브(33, 33), 제로 거버너(34), 연료 조정 밸브(35) 및 드로틀부(36) 및 오일 공급 장치(38)의 오일 차단 밸브(41) 및 오일 공급 펌프(43)를 제어 장치(13)가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 엔진(30)은 엔진 냉각 장치(44) 내를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 엔진 냉각 장치(44)는 일단부가 가스 엔진(30)에 부설된 배기 가스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가스 엔진(30)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가스 엔진(30)에 직접 접속된 대략 폐쇄 루프 형상의 냉각수 배관(45)에 왁스 3방 밸브(46), 라디에이터(48) 및 순환 펌프(49)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순환 펌프(49)는 가동시에 엔진 냉각수를 승압하여 이 엔진 냉각수를 냉각수 배관(45) 내에서 순환시킨다. 상기 왁스 3방 밸브(46)는 가스 엔진(30)을 빠르게 난기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이 왁스 3방 밸브(46)는 입구(46A)가 냉각수 배관(45)에 있어서의 가스 엔진(30)에, 저온측 출구(46B)가 냉각수 배관(45)에 있어서의 순환 펌프(49)의 흡입측에, 고온측 출구(46C)가 냉각수 배관(45)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48)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엔진 냉각수는 순환 펌프(49)의 토출측으로부터 약 40 ℃에서 가스 엔진(30)의 배기 가스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유입하고, 가스 엔진(30)의 배열(배기 가스의 열)을 회수한 후에 가스 엔진(30) 내를 흘러 이 가스 엔진(30)을 냉각하고, 이 가스 엔진(30)의 냉각에 의해 약 80 ℃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가스 엔진(30)으로부터 왁스 3방 밸브(46)로 유입한 엔진 냉각수는 저온(예를 들어 80 ℃ 미만)일 때에는 저온측 출구(46B)로부터 순환 펌프(49)로 복귀되어 가스 엔진(30)을 빠르게 난기하고, 고온(예를 들어 80 ℃ 이상)일 때에는 고온측 출구(46C)로부터 라디에이터(48)로 흐른다.
상기 라디에이터(48)는 엔진 냉각수를 방열하여 이 엔진 냉각수를 약 40 ℃로 냉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라디에이터(48)에서 냉각된 엔진 냉각수는 순환 펌프(49)의 흡입측을 경유하여 가스 엔진(30)의 배기 가스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복귀되어 가스 엔진(30)을 냉각한다. 또한, 이 라디에이터(48)는 실외기(11)에 있어서의 실외 열교환기(19)의 풍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또한 실외 열교환기(19)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12A, 12B)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시에 상기 엔진 냉각 장치(44)의 순환 펌프(49)가 가동되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고, 이 냉각수가 가스 엔진(30)을 냉각한다. 그리고, 가스 엔진(30)을 냉각한 엔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48)에서 방열되어 냉각된다. 특히, 실내기(12A, 12B)의 난방 운전시에는, 라디에이터(48)에서 방열된 열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19)에 취입되어 증발기의 열원으로서 이용된다.
그런데, 상기 연료 공급 장치(31)의 연료 조정 밸브(3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51) 및 출구(52)를 갖는 동시에, 도중에 밸브 입구(53)가 설치된 내부 유로(54)를 형성한 밸브 본체(55)와, 상기 밸브 입구(53)의 개방도(밸브 개방도)를 가변 조정하는 밸브 본체(56)와, 이 밸브 본체(56)를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57)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식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밸브 본체(56)에서 밸브 개방도가 가변되는 밸브 입구(53)는 그 구경(S)이 약 4.0 내지 6.0 ㎜(실시 형태에서는 약 5.0 ㎜)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로 거버너(34)를 통과하여 대략 대기압으로 압력 조정된 연료 가스는 밸브 본체(55)의 입구(51)로부터 내부 유로(54)로 유입하여 밸브 본체(56)에 의해 개방도가 정해진 밸브 입구(53)를 통과할 때에 유량이 조정된다. 그 유량 조정된 연료 가스는 출구(52)를 통과하여 드로틀부(36)로 흐른다.
상기 제어 장치(13)를 탑재한 전장 기판[실외기(11)의 도시하지 않은 외장체 내에 수용되어 있음](58)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발열량이 약 24000 ㎉/㎥인 프로판 가스나, 발열량이 약 11000 ㎉/㎥(약 46 MJ/N㎥)인 도시 가스(13A) 등의 사용하는 연료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 스위치(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59, 6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설정 스위치(59, 60)의 조작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13)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 장치(13)는 기억부(61), 작동 속도 변경부(62) 및 목표 개방도 보정부(7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기억부(61)에는 사용하는 연료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연료 조정 밸브(35)의 밸브 개방도 등을 다르게 하여 제어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제어 데이터, 예를 들어 프로판 가스 사양과 천연 가스(13A) 사양 등의 복수 종류의 제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의 일예로서는, 예를 들어 발열량이 약 24000 ㎉/㎥인 프로판 가스의 경우,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밸브 개방도를 100 step으로 하고, 발열량이 약 11000 ㎉/㎥(46 MJ/N㎥)인 도시 가스(13A)의 경우,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밸브 개방도를 200 step으로 하는 제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제어 데이터의 예로서, 예를 들어 프로판 가스의 경우, 연료 조정 밸브(35)의 밸브 개폐 속도(작동 속도)를 1 step/1초, 도시 가스(13A)의 경우, 연료 조정 밸브(35)의 밸브 개폐 속도(작동 속도)를 3 step/1초로 하는 제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억부(61) 내의 복수의 제어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설정 스위치(59, 60)의 조작에 의해, 사용하는 연료 가스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되어 설정된다.
상기 작동 속도 변경부(62)는 상기 설정 스위치(59, 60)에 의해 설정된 목표 개방도에 따라서 상기 연료 조정 밸브(35)의 밸브 개폐 속도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는 가스 엔진(30)의 기동 완료 직후에 제어 장치(13)의 연산부에서 산출된 후술하는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의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한다.
즉, 제어 장치(13)는 가스 엔진(3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기(회전수 검출 수단)(72)에 의한 엔진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1 설정치(예를 들어, 5) 이상을 제1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20초간) 계속한 경우,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하고, 그 후, 상기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2 설정치(예를 들어, 4) 이하를 제2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시간) 계속한 경우,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1 step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가스 엔진(25)의 완전 폭발 중에, 예를 들어 30개의 실회전수(Ni)(i = 1 내지 30)를 취입하고, i번째 이동 평균 회전수(Mni)를 식 1로부터 산출한다.
[수학식 1]
이 이동 평균 회전수(Mni)와 실회전수(Ni)와의 차의 절대치를 Dni로 하여 식 2로부터 구한다.
[수학식 2]
그리고, 이 Dni를, 예를 들어 20개 산출한 후, 그들의 상가 평균을 취하여 Tdni를 식 3으로부터 산출한다.
[수학식 3]
이 Tdni를, 예를 들어 10개 구한 후, 그들의 평균치를 식 4를 이용하여 산출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로 한다.
[수학식 4]
또한, 도2에 있어서, 부호 63은 일단부측이 상기 드로틀부(36)에 접속되고, 타단부측이 가스 엔진(30)에 접속된 흡기 파이프, 64는 배기 파이프, 67은 스타터, 68은 이그니션 코일, 69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 가스 온도 센서, 70은 가스 엔진(30) 내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71은 유압 스위치이다.
상기 스타터(67) 및 이그니션 코일(68)은 제어 장치(13)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고, 한편, 상기 배기 가스 온도 센서(69), 수온 센서(70), 유압 스위치(71) 및 회전수 검출기(72) 등은 제어 장치(13)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연료 공급 장치(3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연료 가스로서 천연 가스(13A)를 사용하는 경우, 실외기(11)의 설치시에 천연 가스(13A)측의 설정 스위치(59)를 온(ON) 조작해 둔다. 그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하면, 이 전원 투입 상태에 있어서, 도4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는 천연 가스(13A)측의 설정 스위치(59)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 스위치(59)가 온인 경우,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밸브 개방도를 200 step으로 설정하고, 연료 조정 밸브(35)의 스텝핑 모터(57)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본체(56)를 3 step/1초의 개폐 속도로 개방밸브 방향으로 구동한다. 즉, 밸브 본체(5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입구(5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밸브 입구(53)를 크게 개구하고, 그 상태에서 스텝핑 모터(57)를 정지한다.
한편, 설정 스위치(59)가 오프(OFF)인 경우, 즉 전원 투입시에 프로판 가스측의 설정 스위치(60)가 온인 경우, 제어 장치(13)는 프로판측의 설정 스위치(60)가 온이라 판정하고, 그 경우, 기억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밸브 개방도를 100 step으로 설정하고, 연료 조정 밸브(35)의 스텝핑 모터(57)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본체(56)를 1 step/1초의 개폐 속도로 개방 밸브 방향으로 구동한다. 즉, 밸브 본체(5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입구(5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밸브 입구(53)를 천연 가스(13A) 사양보다도 작게 개구하고, 그 상태에서 스텝핑 모터(57)를 정지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13)는 가스 엔진(30)을 기동시켜 엔진 기동 후의 엔진 회전수가 안정된 시점(엔진 기동 완료로부터 약 5 내지 10초 경과 시점)에서 상기한 수식에 의해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의 산출을 개시하고, 도5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출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1 설정치(예를 들어, 5) 이상인 경우, 제어 장치(13)의 타이머부가 제1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20초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이 제1 소정 시간에 있어서 회전수 변동 평균치가 제1 설정치 이상(Frpm > 5)을 계속하였을 때에,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하고, 그리고, 제어 장치(13)는 부하에 따라서 드로틀부(36)와 연료 조정 밸브(35)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통상의 운전을 실행한다.
상기한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의 증가 보정은 가스 엔진(30)에 공급하는 연료 가스가 성분 조정된 천연 가스(13A)보다도 발열량이 적은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라 판단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어 장치(13)는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킨 상태에서의 통상 운전의 실행 중에 상기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통상 운전 개시로부터 제2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시간)에 걸쳐서 제2 설정치(Frpm < 4) 이하를 계속한 경우,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1 step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한다.
이 감소 보정은 상기 제2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엔진(30)의 엔진 회전수가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을 때, 즉 엔진 출력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상태에 이르지 않을 때에 실행되는 것이고, 상기 목표 개방도의 증가 보정에 의한 결점[예를 들어,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에 의한 배기 가스 속의 NOx의 증가]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천연 가스(13A) 사양의 제어 데이터에 의한 엔진 제어에 있어서는 가스 엔진(30)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발열량 저하에 수반하여 공연비가 커진 경우에, 상기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경우,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즉, 제어 장치(13)는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예를 들어, 8) 이상이 된 경우, 연료 가스의 발열량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하여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한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킨 상태에서의 통상 운전의 실행 중에 그 통상 운전 개시로부터 제2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시간)에 걸쳐서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제2 기준치(예를 들어, 7) 이하를 계속한 경우,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1 step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한다. 이들 목표 개방도의 보정은 가스 엔진(30)에 공급하는 연료 가스의 발열량을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를 기초로 하여 제어 장치(13)가 간이적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에 의해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조정하는 일예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 엔진(30)과, 이 가스 엔진(3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기(회전수 검출 수단)(72)와, 하류측이 가스 엔진(30)에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기를 공급하기 위한 드로틀부(36)에 접속된 연료 공급 배관(32)과, 이 연료 공급 배관(32)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 개방도가 가변인 연료 조정 밸브(35)와, 이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스위치(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59, 60)와, 이 설정 스위치에서 설정되는 목표 개방도가 되도록 연료 조정 밸브(35)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3)를 구비하고, 이 제어 장치(13)는 엔진 기동 완료 직후에 상기 회전수 검출기(72)에서 검출된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의 산출을 개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료 조정 밸브(36)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는 목표 개방도 보정부(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75)를 구비한 구성이므로, 연료 공급 배관(32)의 도중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하거나, 연료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노즐이나 올리피스 등의 조정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연료 공급 경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를 기초로 하여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6)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므로,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가 연료 가스로서 가스 엔진(30)에 공급되는 사태가 생겨도 가스 엔진(30)의 정상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스 사업의 자유화 등에 수반하는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의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목표 개방도 보정부(75)는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1 설정치(예를 들어, 5) 이상을 제1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20초간) 계속한 경우,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2 step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하고, 그 후, 회전수 변동 평균치(Frpm)가 사전 설정된 제2 설정치(예를 들어, 4) 이하를 제2 소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초간) 계속한 경우, 목표 개방도 보정부(75)가 연료 조정 밸브(35)의 목표 개방도를 -1 step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하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발열량이 약 11000 ㎉/㎥(약 46 MJ/N㎥)인 도시 가스(13A)와는 다른 발열량인 미조정의 천연 가스가 가스 엔진(30)에 공급된 경우라도 공연비의 변화나 출력 부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또한 양호한 엔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조정 밸브(35)는 그 밸브 입구(53)의 구경(S)이 약 4 내지 6 ㎜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료 공급 배관(32)의 도중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하는 일없이 연료 가스의 공급량에 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술한 일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술한 일실시 형태에서는 천연 가스(13A)용과 프로판 가스용으로서 설정 스위치(59, 60)의 개수를 2개 설치하였지만, 어느 쪽이 1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설정 스위치를 천연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3개 내지 6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연료 조정 밸브(35)의 제어 데이터를 설정 스위치의 설정수에 따라서 제어 장치(13)의 기억부(61)에 기억시켜 두면 된다. 또한, 상술한 일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에 적응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공기 조화 장치 외에 가스 엔진(30)에서 발전기를 구동하는 엔진 구동 발전 장치 등의 엔진 구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엔진과, 이 가스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하류측이 가스 엔진에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기를 공급하기 위한 드로틀부에 접속된 연료 공급 배관과, 이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 개방도가 가변인 연료 조정 밸브와,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는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과, 이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 개방도가 되도록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 구동 장치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엔진 기동 후에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는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므로,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하거나, 연료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노즐이나 올리피스 등의 조정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연료 공급 경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연료 가스로서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가 가스 엔진에 공급되는 사태가 생겼을 때의 엔진의 정상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열조정되지 않은 가스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Claims (4)

  1. 가스 엔진과, 이 가스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하류측이 가스 엔진에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기를 공급하기 위한 드로틀부에 접속된 연료 공급 배관과, 이 연료 공급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 개방도가 가변인 연료 조정 밸브와, 이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설정하는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과, 이 목표 개방도 설정 수단으로 설정되는 목표 개방도가 되도록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가스 엔진 구동 장치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엔진 기동 후에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회전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전수 변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보정하는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개방도 보정 수단은 회전수 변동 평균치가 사전 설정된 제1 설정치 이상을 제1 소정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회전수 변동 평균치가 사전 설정된 제2 설정치 이하를 제2 소정 시간에 걸쳐서 계속한 경우, 상기 연료 조정 밸브의 목표 개방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조정 밸브는 그 밸브 입구의 구경이약 4 내지 6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엔진은 냉매 회로의 압축기 혹은 발전 장치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엔진 구동 장치.
KR1020040001029A 2003-01-09 2004-01-08 가스 엔진 구동 장치 KR100576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2829A JP2004211674A (ja) 2003-01-09 2003-01-09 ガスエンジン駆動装置
JPJP-P-2003-00002829 2003-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223A true KR20040064223A (ko) 2004-07-16
KR100576662B1 KR100576662B1 (ko) 2006-05-10

Family

ID=325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29A KR100576662B1 (ko) 2003-01-09 2004-01-08 가스 엔진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37496B1 (ko)
JP (1) JP2004211674A (ko)
KR (1) KR100576662B1 (ko)
CN (1) CN1322233C (ko)
DE (1) DE602004007047T2 (ko)
ES (1) ES2287590T3 (ko)
PT (1) PT1437496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201B2 (ja) * 2005-06-22 2011-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308466B2 (ja) * 2011-01-31 2013-10-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の燃料ガス供給方法および装置
CN111520244B (zh) * 2020-04-30 2023-05-12 四川华气动力有限责任公司 一种发动机燃气回路的运行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740A (ja) * 1982-12-27 1984-07-12 Toyota Motor Corp デイ−ゼルエンジンの吸気絞り制御方法
JPH0623549B2 (ja) * 1983-07-12 1994-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回転数制御装置
GB2165065B (en) * 1984-09-22 1988-02-10 Diesel Kiki Co Idling control of ic engines
US5222022A (en) * 1986-12-01 1993-06-22 Woodward Govern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terated determinations of sensed speed and speed governing
JPH0868360A (ja) * 1994-08-30 1996-03-12 Tokyo Gas Co Ltd 希薄燃焼ガスエンジン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3071104B2 (ja) * 1994-09-27 2000-07-31 東京瓦斯株式会社 希薄燃焼ガスエンジンの運転制御方法
US6189523B1 (en) * 1998-04-29 2001-02-20 Anr Pipelin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ir-to-fuel ratio in a non-stoichiometric power governed gaseous-fueled station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833839C2 (de) * 1998-07-28 2001-02-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Kraftstoffzumeßeinrichtung
US6945231B2 (en) * 2000-10-12 2005-09-2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Fuel gas mixer
CN2498357Y (zh) * 2001-05-28 2002-07-03 上海佳动力环保科技有限公司 液化石油气摩托车、助动车发动机用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7047D1 (de) 2007-08-02
CN1322233C (zh) 2007-06-20
ES2287590T3 (es) 2007-12-16
KR100576662B1 (ko) 2006-05-10
JP2004211674A (ja) 2004-07-29
PT1437496E (pt) 2007-09-04
DE602004007047T2 (de) 2008-02-28
CN1517537A (zh) 2004-08-04
EP1437496B1 (en) 2007-06-20
EP1437496A3 (en) 2006-10-11
EP1437496A2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724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US11007847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US20180194191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90107128A1 (en) Cogeneration system
CA2212640C (en) Transport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enhanced low ambient heat capacity
US10808598B2 (en) Cooling device and cooling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52344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576662B1 (ko) 가스 엔진 구동 장치
KR100557381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899247B2 (ja) ガスタービン吸気加温及び冷却システム
JP4107954B2 (ja) ガスエンジン駆動装置の燃料供給装置
JP4097405B2 (ja) エンジン冷却方法及び装置並びに冷凍装置
JP2001248489A (ja)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の制御方法
KR100796838B1 (ko) 엔진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엔진 구동식 히트 펌프 장치
JP2011230659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9138709A1 (ja) 燃料供給システム、ガスタービン、発電プラン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63734B2 (ja) 空気調和装置
JP4169453B2 (ja) 貯湯式の給湯熱源装置
JP4056286B2 (ja) エンジン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2000146263A (ja) エンジン燃料供給装置及びこのエンジン燃料供給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0445445B1 (ko) 냉동 장치
JPH08109851A (ja) ガスヒートポンプエアコンの燃料ガス制御方法
JP4183423B2 (ja) 空気調和装置
JPH10131795A (ja) 内燃エンジンの希薄燃焼制御方法
KR970006059B1 (ko) 냉매가열식 공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