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325A -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 Google Patents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325A
KR20040058325A KR10-2004-7007964A KR20047007964A KR20040058325A KR 20040058325 A KR20040058325 A KR 20040058325A KR 20047007964 A KR20047007964 A KR 20047007964A KR 20040058325 A KR20040058325 A KR 2004005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acid
copper
hair
oxy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까다도루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오까다 기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오까다 기껜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오까다 기껜
Publication of KR2004005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각종 악취, 특히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후의 두발에 잔류되는 약품 악취의 제거에 적합한 소취제로서, 두발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어 샴푸, 트리트먼트 등으로의 배합에 적합하다.
이 소취제는 하기 (a)∼(d)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소취 성분을 함유한다.
(a) 2 가 금속의 옥시산염
(b) 2 가 금속의 지방산염
(c) 2 가 금속의 산화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d) 2 가 금속의 무기산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Description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DEODORANT AND COSMETIC SHAMPOO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환경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방취, 소취가 큰 관심이 되고 있다. 종래, 악취 성분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는, 강력한 방향제에 의해 불쾌한 악취를 마스킹하는 방법; 활성탄,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질 흡착제에 의해 악취를 흡착하는 등의 물리적 방법; 촉매 연소법이나 오존에 의해 악취 성분을 산화하는 산화법, 화학 약품을 사용한 중화법 등의 화학적 방법; 혹은 박테리아에 의한 악취 성분의 분해 등의 생물 화학적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미용실 등에서 두발에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를 하는 경우, 웨이브의 보존을 좋게하기 위해 티오글리콜산암모늄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처리제는 퍼머 처리의 완료후, 산 처리 (pH 3 정도) 나 환원 처리, 혹은 수세에 의해 대부분이 두발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미량의 티오글리콜산암모늄 성분이 여전히 두발에 잔존되고, 이 때문에 2∼3 일 경과해도 두발에 특유한 악취가 느껴진다.
이와 같은 퍼머 처리후의 잔류 악취를 비롯하여, 일상 생활에서 실제로 문제가 되는 신변에 가까운 악취는 염기성 악취, 산성 악취 및 이들의 혼합 악취 등이 있고, 각종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어느 악취 성분에 대해서도 소취 효과가 있는 소취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각종 악취, 특히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후의 두발에 잔류하는 약품 악취의 제거에 적합한 소취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구리 이온 등의 2 가 금속 이온과, 옥시산, 지방산 등의 유기산 성분, 또는 특정의 킬레이트제와의 조합에 의한 소취 항균제를 사용함으로써, 퍼머 처리후의 악취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고, 두발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도 적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소취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각종 염기성 악취 (암모니아 등) 나 산성 악취 (메르캅탄 등) 에 대한 소취제로서, 체취, 오물 악취, 그 외의 실내 악취 등 일상 생활에서 신변에 가까운 악취의 제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소취제는 특히 두발에 대한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후에 잔류되는 처리제의 불쾌한 악취 제거에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소취제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특히 샴푸, 트리트먼트제 (린스제)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제는 항균 작용도 갖는다.
발명의 개시
본원의 제 1 발명은 하기 (a)∼(d)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소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소취제이다.
(a) 2 가 금속의 옥시산염
(b) 2 가 금속의 지방산염
(c) 2 가 금속의 산화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d) 2 가 금속의 무기산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이들 2 가 금속으로서는, 구리, 아연 및/또는 철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의 제 2 발명은 상기 소취제를 배합한 샴푸나 트리트먼트제 등의 세발용 화장료이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두발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실시한 후, 이 세발용 화장료를 사용하여 세발을 실행하는 두발 처리법이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상기 소취제를 섬유 형상물, 입자 형상물, 종이, 부직포, 직포, 다공질 물질 또는 고분자 필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소취 항균 기재 (基材) 이다. 또, 그 외에, 베타인 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αㆍ올레인-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를 조합할 수도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소취제에 있어서, 아민, 메르캅탄 등의 산성 악취에 대한 유효 성분은 2 가의 금속 이온으로 생각된다. 또, 이 소취제에 있어서,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악취에 대한 유효 성분은 옥시산근, 지방산근 (radical) 등으로 생각된다.
(a) 금속 화합물
2 가 금속 이온은 각종 형태로 도입할 수 있으나, 특히 2 가의 금속 산화물, 무기 금속염 (황산염 등), 유기산염 (옥시산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등) 으로서 도입할 수 있다. 이들 2 가의 금속 이온에 의해 주로 아민 악취, 메르캅탄 악취등의 산성 악취의 소취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금속 화합물의 소취제 중에서의 배합량은 소취제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도 있지만, 통상 소취제 전량에 대해 0.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이다. 또, 세발용 화장료에는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이다.
금속 산화물
본 발명의 소취 항균제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구리, 산화아연, 산화철 등, 옥시산이나 지방산의 존재하에서 용액중에 2 가 금속 이온을 부여하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무기 금속염
본 발명의 소취 항균제로 사용되는 2 가 금속의 무기 금속염으로서는, 황산염, 질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황산구리, 질산구리, 황산아연, 황산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옥시산이나 지방산의 존재하에서 용액중에 2 가 금속 이온을 부여한다.
옥시산 금속염
유기산염 중 옥시산 금속염으로서는, 옥시산구리, 옥시산아연, 옥시산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옥시산 금속염의 옥시산 성분으로서는, 글루콘산 등의 알돈산 외에, 당산 등의 당류의 산화물, 아스코르빈산, 디히드로아스코르빈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옥시벤조산, 몰식자산, 만델산, 트로바산 등의 각종 옥시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글루콘산, 말산, 시트르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글루콘산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글루콘산구리, 글루콘산아연이 바람직하다.
옥시산 금속염은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대신에 글루콘산, 당산, 아스코르빈산 등의 옥시산과, 산화구리, 산화아연, 산화철 등의 상기 금속 산화물이나 무기 금속염을 병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옥시산 성분이 공존하면 2 가의 금속 이온이 안정화되어, 높은 금속 이온 농도가 얻어진다. 옥시산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글루콘산구리, 글루콘산아연 등의 글루콘산 금속염은 암모니아, 메르캅탄 등의 어느 악취에 대해서도 높은 소취 작용을 갖고, 우수한 소취제, 항균제가 얻어진다.
지방산 금속염
유기산염 중 지방산 금속염으로서는, 탄소수 1∼30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금속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운데실렌산, 팔미틴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등의 포화 지방산; 혹은 올레인산, 소르빈산, 리놀산, 리놀렌산, 리시놀산, 아라키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등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아연, 구리, 철, 몰리브덴, 코발트, 알루미늄, 티탄, 망간, 니켈, 은 등의 금속염을 들 수 있고, 특히 구리염, 아연염, 철염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금속염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대신에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과, 산화구리, 산화아연, 산화철 등 상기 금속 산화물이나 무기 금속염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방산 금속염은 암모니아, 메르캅탄 등 염기성, 산성의 악취에 대해 우수한 소취 작용을 나타낸다. 이들 지방산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킬레이트제
킬레이트제로서는 아미노산형 킬레이트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헥사아세테이트,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테트라나트륨,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킬레이트제를 첨가함으로써 용액중에서의 소취제의 금속 성분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들의 배합량은 소취제 100 중량부에 대해 0.1∼50,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부이다.
(b) 베타인산
본 발명의 소취제에 있어서는, 악취 성분과의 접촉 효율의 향상, 소취 성분의 용액중에 있어서의 용해성 향상을 위해, 상기 소취 성분과 함께 베타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타인으로서는,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2-운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린산아미드필베타인 등의 각종 베타인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베타인 화합물의 배합량은 글루콘산 금속염 등의 소취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40∼200 중량부이다.
(c) 카르보닐 화합물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소취제에 추가로 케토카르복실산, 알데히드산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카르보닐 화합물로서는, 글리세린알데히드, 피루빈산, 레브린산, 알데히드노난산, 글리옥실산, 알데히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배합에 의해, 염기성, 산성 악취의 제거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들 카르보닐 화합물의 배합량은 글루콘산 금속염 등의 소취제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5∼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200 중량부이다.
(d) αㆍ올레핀-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본 발명의 소취제에는, 금속 이온을 분산시키고, 산성 악취 및 염기성 악취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αㆍ올레핀-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는,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메틸비닐에테르와 무수 말레산과의 교호 공중합체로, VEMA 의 제품명으로 다이셀 화학 공업 (주) 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각종 분자량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이소부틸렌과 무수 말레산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소반의 제품명으로 (주) 구라레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각종 분자량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αㆍ올레핀-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와, 구리 화합물 (예: 산화구리) 및/또는 아연 화합물 (예: 산화아연) 등을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공중합체 중의 무수 말레산 구조 단위에는, 적어도 일부에 구리, 아연 등의 금속이 결합되어 있다. 이들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글루콘산 금속염 등의 소취제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0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소취제는 퍼머후의 잔류 악취를 비롯해, 일상 생활에서 문제가 되는 신변에 가까운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악취 및 메르캅탄 등의 산성 악취의 어느 것에 대해서나 우수한 흡착력, 소취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베타인, 지방산 금속염, 무기 금속 화합물 및 카르보닐 화합물 등을 배합함으로써, 황화수소나 메르캅탄 등의 황계의 악취 원인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제조법)
본 발명의 소취제 제조에 있어서는, 소취 성분인 산화 금속, 무기 금속염, 유기산 금속염 등의 2 가 금속의 화합물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베타인, 카르보닐 화합물, 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등을 적절한 매체중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액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취제의 조제에 사용하는 상기 용매로서는, 각 성분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알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의 사용량은 소취 성분 1 중량부에 대해 2∼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취제는 세발용 화장료를 비롯하여, 각종 모발 처리제, 예컨대샴프, 트리트먼트제, 헤어스프레이, 헤어밀크, 블로우제 등에 배합할 수 있고, 또 다른 화장료에 배합할 수도 있다. 샴푸, 트리트먼트 등의 세발 화장료, 모발 처리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취제를 공지된 세발 화장료 성분, 모발 처리 성분에 첨가 혼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세발제, 모발 처리제에는 소취제 외에, 그 제형에 따른 공지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 유분, 살균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소취제를 섬유나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필름중에 혼합하거나 하여 주위 환경을 소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소취제는 시트 형상, 실 형상 등의 각종 형상의 기재상에 층 형상으로 도포하거나, 혹은 함침시켜 소취용 조성물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소취 작용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재로서는, 부직포, 직포; 실, 모노필라멘트 등의 섬유 형상물, 입자 형상물, 종이 또는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활성탄 등의 다공질 물질 등이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사용된다.
소취제를 각종 기재에 적용하는 경우, 촉감이나 외관의 조제, 혹은 시트 형상이나 실 형상의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대한 부착, 도포를 위해, 추가로 각종 접착성의 소재를 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기재로서는, 적절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우레탄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의 다른 사용 형태로서는, 각종 고분자 화합물에 분산, 혼합하거나, 혹은 베이스 폴리머와 상호 용해시켜 폴리머 블렌드로 하고, 이 혼합물을 시트, 필름 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배합량은 중량% 이다.
[실시예 1]
산화구리 1.0 g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DTA) 5.0 g 을 물에 첨가하여 분산, 교반하여 전체 100 g 으로 하였다. 얻어진 소취액을 휴지 (10 ×10 ㎝) 에 분무하여 함침시켰다 (부착량: 1 ㎖). 이 휴지를 80 ℃ 에서 1 시간 건조시켜 소취지를 얻었다.
이 소취액을 테프론 (등록 상표) 제의 용기 (용량 5 L) 에 넣고, 암모니아 (500 ppm) 5 L 및 황화수소 (100 ppm) 5 L 로 조제한 질소 가스를 봉입하였다. 용기내의 기체 농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을 사용하여 소취제를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각 소취제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휴지에 분무하여 소취제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취 테스트를 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3 4
산화구리 1.0 - - 0.2
산화아연 - 0.5 - -
산화철 - - 0.5 -
황산구리 - - - 2.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DTA) 5.0 - - -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테이트 - 7.0 - -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 - 5.0 -
트리에틸렌테트라민헥사아세테이트 - - 1.5 -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테트라나트륨 - - 1.0 7.0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10.0 10.0 10.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기체 농도 (ppm) NH3 H2S NH3 H2S NH3 H2S NH3 H2S
0 분후 5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30 분후 40 22 35 15 40 15 20 15
60 분후 5 3 1 2 2 1 2 1
90 분후 0 0 0 0 0 0 0 0
[실시예 5]
글루콘산구리 4.0 g 을 물에 첨가하여 분산, 교반하여 전체적으로 100 g 으로 하였다. 얻어진 소취액을 휴지 (10 ×10 ㎝) 에 분무하여 함침시켰다 (부착량: 1 ㎖). 이 휴지를 80 ℃ 에서 1 시간 건조시켜 소취지를 얻었다. 이 소취액을 테프론 (등록 상표) 제의 용기 (용량 5 L) 에 넣고, 암모니아 (500 ppm) 5 L 및 황화수소 (100 ppm) 5 L 또는 추가로 아세트산 (20 ppm) 5 L 로 조제한 질소 가스를 봉입하였다. 용기내의 기체 농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14]
표 2 및 표 3 에 나타내는 성분을 사용하여 소취제를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각 소취제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휴지에 분무하여소취지를 얻었다.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한 결과를 표 2 및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6 7 8 9 10 11 대조
글루콘산구리 4.0 4.0 5.0 5.0 - 5.0 - -
글루콘산아연 - - - - 5.0 - 5.0 -
아세트산구리 - - - - - 5.0 - -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 2.0 5.0 - - - - -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 - - 5.0 - - - -
피루빈산 - - - - - - 1.0 -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기체 농도 (ppm) NH3 H2S NH3 H2S NH3 H2S 아세트산 NH3 H2S NH3 H2S NH3 H2S NH3 H2S NH3 H2S
0 분후 500 100 500 100 500 100 2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100
30 분후 35 50 30 35 15 30 2 30 30 45 50 15 25 10 30 490 100
60 분후 2 5 5 8 0 2 0 5 10 10 15 0 5 0 5 490 100
90 분후 - - - - 0 0 0 0 0 1 5 0 0 0 0 490 100
실시예 12 13 14
산화구리 0.5 - 0.5
산화아연 - 0.2 -
당산 5.0 - -
몰식자산 - - 4.0
아스코르빈산 - 5.0 -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 10.0 10.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기체 농도 (ppm) NH3 H2S NH3 H2S NH3 H2S
0 분후 500 100 500 100 500 100
30 분후 30 25 35 20 25 40
60 분후 1 2 5 2 5 10
90 분후 0 0 0 0 0 0
[실시예 15] (샴푸)
소취제 조성중량%
글루콘산구리 5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10
피루빈산 1
정제수 잔부
샴푸 성분중량%
알킬황산트리에탄올아민 25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13)에테르황산나트륨 15
야자유 방산 디에탄올아미드 5
식염 1
프로필렌글리콜 5
정제수 잔부
상기 각 성분을 혼합 교반하고, 소취제 및 샴푸 기제 (基劑) 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샴푸 기제 97.5 g 에 소취제 2.5 g 을 첨가하여 소취제 배합 샴푸를 조제하였다. 이 샴푸를, 통상의 퍼머넌트 처리 (티오글리콜산암모늄 처리를 포함) 를 실시한 후인 최후의 세발에 사용하였다. 샴푸후, 티오글리콜산암모늄의 악취 잔류에 대해 관능 시험을 실행하였다. 테스트는 20 인씩 실시예 15 의 샴푸를 사용한 사람과 사용하지 않은 사람으로 나누어 테스트하였다. 실시예 15의 샴푸를 사용한 사람은 모두 처리제의 악취를 느끼지 못했고, 한편 사용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모두 처리제의 악취가 잔류되었다.
[실시예 16∼29] (샴푸)
실시예 15 에서의 소취제를 각각 실시예 1∼14 의 소취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6∼29 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한 결과, 잔류 악취는 없고,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0] (트리트먼트제)
모발용 트리트먼트 성분중량%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25
공중합의 4 급화물
브롬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10
정제수 잔부
상기 각 성분을 혼합 교반하고, 소취제 및 트리트먼트 기제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트리트먼트 기제 97.5 g 에, 실시예 15 에서 조제한 소취제 2.5 g 을 첨가하여 소취제 배합의 트리트먼트제를 조제하였다. 이 트리트먼트제를, 통상의 퍼머넌트 처리 (티오글리콜산암모늄 처리를 포함) 를 실행하여 세발한 후의 트리트먼트 처리에 사용하였다. 모발의 트리트먼트 후, 티오글리콜산암모늄 악취의 잔류에 대해 실시예 15 와 동일한 관능 시험을 실행한 결과, 잔류 악취는 없이,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소취제는 피부나 두발 등 인체에 대한 자극, 영향이 적고, 특히 퍼머넌트 처리후의 두발의 암모니아 악취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하기 (a)∼(d)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소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소취제.
    (a) 2 가 금속의 옥시산염
    (b) 2 가 금속의 지방산염
    (c) 2 가 금속의 산화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d) 2 가 금속의 무기산염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2. 제 1 항에 있어서, 2 가 금속이 구리, 아연 및 철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금속인 소취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d) 의 소취 성분이 하기와 같은 소취제.
    (a) 옥시산구리, 옥시산아연 및 옥시산철
    (b) 아세트산구리, 프로피온산구리
    (c) 산화구리, 산화아연 또는 산화철과,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d) 황산구리와, 옥시산, 지방산 또는 킬레이트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베타인 화합물 및/또는 카르보닐 화합물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소취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취제를 배합한 세발용 화장료.
  6. 두발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실시한 후, 제 5 항의 세발용 화장료를 사용하여 세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처리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취제를 섬유 형상물, 입자 형상물, 종이, 부직포, 직포, 다공질 물질 또는 고분자 필름의 표면 및/또는 내부에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소취 항균 기재 (基材).
KR10-2004-7007964A 2001-11-26 2002-11-25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KR20040058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9183 2001-11-26
JPJP-P-2001-00359183 2001-11-26
PCT/JP2002/012252 WO2003045449A1 (fr) 2001-11-26 2002-11-25 Agent desodorisant et preparation de shampooing cosmetique le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325A true KR20040058325A (ko) 2004-07-03

Family

ID=1917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964A KR20040058325A (ko) 2001-11-26 2002-11-25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65940A1 (ko)
EP (1) EP1452188A4 (ko)
JP (1) JP4558321B2 (ko)
KR (1) KR20040058325A (ko)
WO (1) WO20030454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63B1 (ko) * 2008-02-29 2013-01-0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흡착성 조성물 및 흡착성 성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497A1 (en) * 2002-07-30 2006-08-24 Earl Jenevein Wood preservative
DE102005017032B4 (de) * 2004-04-27 2009-12-17 Beiersdorf Ag Kosmetische Formulierung enthaltend Mandelsäure
CN1946369B (zh) * 2004-04-27 2012-11-28 拜尔斯道夫股份有限公司 透明的化妆品或皮肤病制剂
DE102004033206A1 (de) * 2004-07-09 2006-02-09 Wella Ag Verwendung von Oxo-carbonsäuren enthaltenden Kombinationen zur Desodorierung
JP2006176675A (ja) * 2004-12-22 2006-07-06 Riken Koryo Kogyo Kk 洗浄剤用消臭性配合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4589132B2 (ja) * 2005-01-25 2010-12-0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縮毛矯正用後処理剤組成物
WO2007100563A2 (en) * 2006-02-24 2007-09-07 Mallinckrodt Inc. Bifunctional resorcinol, thioresorcinol, and dithioresorcinol derivative metal chelating conjugates
US20090012488A1 (en) * 2006-03-10 2009-01-08 Basf Se Super-Absorber Having Improved Smell-Inhibition
JP4820416B2 (ja) 2006-09-01 2011-11-24 東洋製罐株式会社 吸着性金属超微粒子含有吸着剤
JP5341409B2 (ja) * 2007-07-04 2013-11-13 有限会社岡田技研 消臭剤
CN103977027A (zh) * 2014-04-30 2014-08-13 南昌大学 乳酸-纳米氧化锌抑菌复合物
CN103977026A (zh) * 2014-04-30 2014-08-13 南昌大学 丙酸和纳米氧化锌抑菌组合物
JP2017140236A (ja) * 2016-02-10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消臭剤
JP2018035093A (ja) * 2016-08-31 2018-03-08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7787A (en) * 1955-06-29 1959-01-21 Frederick Victor Wells Improvements in preparations for application to the hair and scalp
JPS60136506A (ja) * 1983-12-23 1985-07-20 Takasago Corp 脱臭・消臭剤
JPS61272054A (ja) * 1985-05-28 1986-12-02 株式会社資生堂 デオドラント化粧品
JP2600692B2 (ja) * 1987-07-10 1997-04-16 ライオン株式会社 消臭剤
JP2717209B2 (ja) * 1988-05-10 1998-02-18 徹 岡田 液状消臭剤
JP2882017B2 (ja) * 1990-09-19 1999-04-1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US5352444A (en) * 1992-05-19 1994-10-04 Cox James P Stabilization of biowastes
FR2704451B1 (fr) * 1993-04-30 1995-06-30 Oreal Procédé de désodorisation d'une formulation contenant au moins un composé porteur d'un groupe thiol et formulation désodorisée ainsi obtenue.
JPH07150193A (ja) * 1993-11-25 1995-06-13 Earth Chem Corp Ltd ペット糞尿用液体消臭・洗浄剤及び消臭、洗浄方法
JPH07165544A (ja) * 1993-12-14 1995-06-2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3400142B2 (ja) * 1994-10-07 2003-04-28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H08198709A (ja) * 1995-01-18 1996-08-06 Tomita Seiyaku Kk 抗菌・脱臭剤
JPH08206186A (ja) * 1995-02-02 1996-08-13 Okada Giken:Kk 脱臭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脱臭装置
US5681554A (en) * 1995-06-28 1997-10-28 Cosmair,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3650677B2 (ja) * 1996-08-07 2005-05-25 大洋香料株式会社 消臭組成物及び消臭シャンプー
JPH10236904A (ja) * 1996-12-28 1998-09-08 Lion Corp 抗菌・消臭剤組成物
KR20010013377A (ko) * 1997-06-04 2001-02-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마일드한 잔류성 항균 조성물
US6149933A (en) * 1997-07-10 2000-11-21 Summa Rx Laboratories, Inc. Dietary supplement for promotion of healthy hair and pigment restoration
JP3548011B2 (ja) * 1998-08-07 2004-07-28 小林製薬株式会社 溶液型消臭剤
JP3029825B1 (ja) * 1998-11-20 2000-04-10 大塚化学株式会社 消臭性組成物
US6710038B1 (en) * 1999-12-14 2004-03-23 Kibun Food Chemifa Co., Ltd. Emulsification method using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JP2001321429A (ja) * 2000-05-16 2001-11-20 Okada Giken:Kk 消臭剤
JP5155504B2 (ja) * 2001-03-09 2013-03-06 石原薬品株式会社 据置き型消臭剤
US6723308B2 (en) * 2001-11-02 2004-04-20 Kenra, Llc Hair clarifying treatment
GB0126923D0 (en) * 2001-11-09 2002-01-02 Procter & Gamble Chitosan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63B1 (ko) * 2008-02-29 2013-01-0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흡착성 조성물 및 흡착성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5449A1 (fr) 2003-06-05
US20050265940A1 (en) 2005-12-01
JP4558321B2 (ja) 2010-10-06
EP1452188A1 (en) 2004-09-01
JPWO2003045449A1 (ja) 2005-04-07
EP1452188A4 (en)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8325A (ko)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세발 화장료
US5882638A (en) Methods using uncomplexed cyclodextrin solution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US5874067A (en)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on the body
US6528047B2 (en) Odor absorption and deodorization
AU731790B2 (en) Compositions for reducing odor on skin
CA2269808C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JPS62267218A (ja) 毛髪化粧料
JP2006176675A (ja) 洗浄剤用消臭性配合剤及び洗浄剤組成物
CN110755284A (zh) 除臭留香的组合物
JP2003113010A (ja) 抗菌消臭剤
JPH06298626A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毛髪消臭処理剤
GB1571517A (en) Deodo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JP5341409B2 (ja) 消臭剤
TWI718069B (zh) 具除臭留香之組合物
JPH03294215A (ja) 紫蘇抽出物配合頭皮・頭髪用剤
JP5722602B2 (ja) 毛髪用消臭剤
KR102279633B1 (ko) 알데히드계 악취 및 활성산소 제거용 조성물
KR102094550B1 (ko) 선택적 암모니아 소취용 향료 조성물
KR20060102631A (ko) 살균성 및 피부 저자극성을 갖는 소취제 및 상기 소취제를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JP2000154111A (ja) 備長炭配合化粧品
JP2001348313A (ja) 毛髪化粧料
WO2017189972A1 (en) Beard care composition
JP2020138913A (ja) 消臭性化粧料
MXPA99003876A (en) Compositions for reducing odor on skin
JP2002509525A (ja) 皮膚臭気軽減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