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628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28A
KR20040055628A KR1020030091946A KR20030091946A KR20040055628A KR 20040055628 A KR20040055628 A KR 20040055628A KR 1020030091946 A KR1020030091946 A KR 1020030091946A KR 20030091946 A KR20030091946 A KR 20030091946A KR 20040055628 A KR20040055628 A KR 2004005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operation
heating
drying
indoor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헨노부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ublication of KR2004005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내부를 건조시킴에 있어서, 습도센서에 의하여 실내습도(Rh)를 검출하고,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기를 저회전수로 한 약화시킨 제 1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한 후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고 송풍운전에 가까운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상기 실내습도(Rh)에 따라 소정 회수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실내기 내부에 결로(結露)를 생기게 하는일 없이 실내기 내부를 적절하게 건조시킨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실내기 내부의 잡균,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내기 내부를 건조하는 내부건조운전모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펌프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인 운전모드로서 난방운전모드와 냉방운전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나, 냉방운전모드나 제습운전모드(드라이운전모드)시에 있어서는,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에 응축수가 부착된다.
통상, 그 응축수는 드레인 팬을 거쳐 실외로 배출되나, 완전히 배출된다고는 할 수 없고, 운전정지후에 드레인 팬에 남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이 하면, 먼지 등이 잔류응축수에 부착되어, 곰팡이 등의 잡균이 발생·번식하기도 하고, 이에 의하여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며, 또 그 잔류응축수에 의하여 실내기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으로부터도 불쾌한 냄새가 더욱 심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잔류응축수에 기인하는 잡균의 발생이나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기의 내부를 건조하는 내부건조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9-12652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10-62000호 공보를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9-126528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한 경우, 일정시간(예를 들면 3분간) 송풍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행하여 실내기 내부의 건조를 행하고, 특히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 후에는 그 시간을 길게 하여 실내기 내부의 건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10-62000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한 것을 검출하면 난방운전에 들어간다. 이 난방운전시에 압축기 및 실내 팬을 저속회전으로 하고, 또한 그 운전을 일정시간(예를 들면, 3분간 정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9-126528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주로 실내 팬만의 송풍운전으로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내기의 내부가 충분히 건조되기까지는 아무래도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면, 높은 습도의 상황하에 있어서는, 3분간이라는 단시간으로의 건조운전으로는 실내기의내부를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의 동작시간에 따라서도 실내기의 내부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난방운전을 병용한다고 하여도, 그 난방운전시간을 고정하면, 실내기 내부의 건조운전이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길거나, 반대로 실내기 내부의 건조운전이 부족하거나 하는 일도 있어, 적절한 건조운전이 행하여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조운전을 필요 이상으로 행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건조운전이 부족하다는 것은 잡균의 발생,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초래하게도 된다.
또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10-62000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냉방운전 직후에 난방운전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기로부터는 상대습도가 거의 100%의 가습된 공기가 분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있다. 또 그 가습된 공기에 의하여 실내기의 내부에 결로가 생길 염려도 있다. 또한 그 난방운전시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9-126528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기의 내부건조운전을 실내의 습도에 따라 적절히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어되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있는 실내기의 구성을 모식화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과 공기분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내에, 실내 팬과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 실내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분출하여 실온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건조하는 내부건조운전모드를 가지고, 상기 내부건조운전모드시에는,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센서에 의하여 실내습도(Rh)를 검출하고, 상기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기를 저회전수로 한 약화시킨 난방운전인 제 1 난방운전을 소정 시간 행한 후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고 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인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상기 실내습도(Rh)에 따라 소정회수 반복하여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의 순서를 바꾸어, 먼저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한 후에,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내부건조운전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 때, 즉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내부건조운전모드가 지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실행한 후,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계속하고,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고, 그 후에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상기 실내습도(Rh)에 따라 소정회수 반복하여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는, 적어도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하는 경우, 상기 공기분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 풍향판을 수평방향으로 하는 형태가 포함된다. 이것에 의하면, 가령 분출공기가 거의 100% 가습되어 있어도, 상기 제 2 난방운전이 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이므로, 실내기내에서의 결로방지가 효과적으로 행하여져, 실내환경의 악화도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의 반복회수는, 상기 실내습도(Rh)가 높을 수록 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할 때에, 상기 압축기에 난방 0 코드를 발신하는 발신회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이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실내습도(Rh)가 높은 경우에는 내부건조운전이 길어지고, 반대로 실내습도(Rh)가 낮은 경우에는 내부건조운전이 짧아지기 때문에, 실내기 내부의 건조가 효율적이고 또한 적절하게 행하여지게 되어, 에너지 절약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4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측 제어회로(1) 및 실외기측 제어회로(2)를 구비하고, 이들에 의하여 실온제어에 필요한 제어를 행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원격제어장치(3)로부터 실내기의 내부건조운전신호를 수신하면, 실내기 내부의 건조운전을 행하나, 그 때, 신호수신전의 운전상태및 실내습도(Rh) 따라 그 후의 내부건조운전의 내용을 전환하여 적절한 내부건조운전을 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는 벽걸이형이고, 그 박스체의 앞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공기흡입구(4a, 4b, 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박스체의 하면측에는 공기분출구(5)가 설치되고, 공기분출구(5) 내에는 공기의 분출방향을 바꾸기 위한 상하 풍향판(5a)이나 좌우 풍향판(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공기흡입구(4a, 4b, 4c)와 공기분출구(5)를 연결하는 공기통로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6)와 실내 팬(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6)에는 3개의 열교환기(6a, 6b, 6c)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열교환기(6a, 6b, 6c)는 실내팬(7)에 덮여지도록 람다(λ)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내기 박스체의 앞면과 상면 사이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흡입구(4b)는 항상 개방이고, 이것과 대향하는 열교환기(6b)에는 실내습도(Rh)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센서(8)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기 박스체의 앞면측에는, 원격제어장치(3)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6)로부터 적하하는 응축수를 받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3)에는 내부건조운전을 설정하는 건조전용 버튼(3a)이 구비되어 있다. 실외기에는, 상기 열교환기(6a, 6b, 6c)와함께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는 4방밸브(11), 압축기(12) 및 실외 열교환기(도시 생략)와, 그 실외 팬(13)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측 제어회로(1)는 원격제어장치(3)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하 풍향판(5a) 및 도시 생략한 좌우 풍향판의 기울기나 실내 팬(7)의 회전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현재의 실온과 설정온도의 차에 따른 압축기(12)의 운전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실외기측 제어회로(2)에 송신한다. 실외기측 제어회로(2)는, 그 제어신호를 받아 4방밸브(11) 및 압축기(1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실내기측 제어회로(1)는 원격제어장치(3)로부터의 조작신호를 해독하여 그 내용을 판정하는 판정부(1a)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부(1c)와, 도 3에 나타내는 루틴의 실행시에 사용되는 타이머(1b)와, 기억부(1d)와, 카운터(1e)와, 실내 팬(7)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1f)와, 상기 습도센서(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실내습도(Rh)를 판정하는 습도판정부(1g)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기측 제어회로(2)는 4방밸브(11), 압축기(12) 및 실외 팬(13)을 제어하기 위하여, 실내기측 제어회로(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운전모드를 판별하는 운전모드 판정부(2a)와 압축기 제어부(2b)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동작의 일례를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의 제어회로(1, 2)는 원격제어장치(3)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실온제어에 필요한 일반적인 제어로서, 예를 들면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행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운전이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운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원격제어장치(3)로부터 내부건조운전신호가 발신되면, 실내측 제어회로(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루틴을 실행한다.
이 루틴에 들어가면, 실내측 제어회로(1)는, 먼저 내부건조운전의 개시 직전의 운전상태를 기억부(1d)에 기억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회로(2)를 거쳐 상기 4방밸브(11)를 난방 사이클측으로 전환하여, 압축기(12)를 운전코드 0 (회전수 0 rps)으로 하는 신호를 발신함과 동시에, 실내 팬(7)의 팬 회전수를, 예를 들면, 900 rpm으로 약화시킨 송풍으로 하여, 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으로 한다. 또 상하 풍향판(5a)을 수평방향으로 세트함과 동시에, 표시부(9)에 내부건조운전의 표시를 행한다(단계 ST1).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압축기(12)를 정지한 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상태를 「제 2 난방운전」 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타이머(1b)의 3분 타이머를 스타트시켜(단계 ST2), 1분간 마스크한 후(단계 ST3), 습도센서(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실내습도(Rh)를 검출한다(단계 ST4).
다음에, 이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이었는지의 여부를 기억부(1d)의 내용으로부터 판단한다(단계 ST5).
그 결과가 YES이고,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이었던 경우에는, 단계 ST5로부터 단계 ST6으로 진행하여, 상기 3분 타이머가 타임 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타임 업한 시점에서 내부건조운전을 종료하여, 운전상태를 예를 들면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단계 ST7).
이와 같이,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이었던 경우에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3분간 유지하여 실내기 내부의 건조운전을 행한다.
즉,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이었던 경우에는, 이미 실내기 내부가 어느 정도 건조되어 있어,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하면, 실내기 내부는 충분히 건조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제 2 난방운전시, 실내 팬이 약화된 송풍이므로, 실내환경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이 예에서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의 운전시간을 3분간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의 설치지역이 비교적 추운 지역인지, 비교적 따뜻한 지역인지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어서 좋다.
한편,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 이외의 운전, 즉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운전정지를 포함함)이었던 경우에는, 단계 ST6으로부터 단계 ST8로 진행하여,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실내습도 (Rh)에 따른 내부건조운전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검출실내습도(Rh)가 8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T10), 실내습도(Rh)가 80% 이상이면, 단계 ST11에서 난방 0 코드 발신회수를 4로 설정하고, 실내습도(Rh)가 80% 보다 낮고 60% 이상이면, 단계 ST12로부터 단계ST13으로 진행하여, 난방 0 코드 발신회수를 3으로 설정하고, 실내습도(Rh)가 60% 보다 낮으면, 단계 ST12로부터 단계 ST14로 진행하여, 난방 0 코드 발신회수를 2로 설정한다.
또한 압축기의 회전수 지령은, 실내기측 제어회로(1)로부터 실외기측 제어회로(2)에 발신코드로 보내진다. 발신코드는 압축기의 회전수(rps)를 0으로부터 30까지의 수치로 표시하고, 실외기측 제어회로(2)에는 발신코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코드가 준비되어 있어, 실외기측 제어회로(2)는 발신코드를 주파수 코드로 변환하여 압축기를 운전한다. 상기의 난방 O 코드란, 냉동 사이클을 난방운전모드로 한 상태에서 압축기의 회전수를 O rps로 하는 발신코드이다.
계속해서, 상기 단계 ST2에서 스타트한 3분 타이머가 타임 업 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T15), 그 타임 업에 의하여 단계 ST15로부터 ST16으로 진행하여, 카운터(1e)에 포함되어 있는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를 증분한다(카운트값에 + 1을 더한다). 이 경우, 최초의 난방 0 코드 발신이므로,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는 1이 된다.
계속해서,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의 값이 상기 단계 STl1, 단계 ST13 또는 단계 ST14에 있어서 설정된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17).
즉, 실내습도(Rh)가 80% 이상인 경우에는,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의 값이 4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습도(Rh)가 60% 이상 80% 미만인 경우에는,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의 값이 3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습도(Rh)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의 값이 2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T17에 있어서, 난방 0 코드 발신 카운터의 값이 설정된 값이 아니면, 타이머(1b)의 2분 타이머를 스타트시켜(단계 ST18), 운전모드를 난방운전 그대로로 한 다음에, 압축기(12)의 운전코드를 8(회전수 39 rps)로 하고, 실내 팬(7)의 팬회전수를 900 rpm으로 한다(단계 ST19).
즉, 압축기를 저회전수로 한 약화시킨 난방운전을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난방운전상태를 「제 1 난방운전」 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2분 타이머가 타임 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20). 2분 타이머가 타임 업하면, 즉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2분간 행하면, 3분 타이머를 스타트시킨 후(단계 ST21), 운전모드를 난방운전으로 한 채로 압축기(12)의 운전 코드를 0(정지)으로 하고, 실내 팬(7)의 팬회전수를 900 rpm으로 하여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한다(단계 ST22).
그리고 상기 3분 타이머가 타임 업하면, 즉 상기 압축기(12)를 0 코드로 하여 송풍운전에 가까운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3분간 행하면, 단계 ST23으로부터 단계 ST16으로 되돌아가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즉, 실내습도(Rh)가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2분간 행한 후에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3분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3회 반복하고, 실내습도(Rh)가 60% 이상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을 2회 반복하며, 실내습도(Rh)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을 1회로 한다. 또한 상기 2분 타이머 및 3분 타이머의 설정시간은 일례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을 소정회수 행하면, 단계 ST17로부터 도 3의단계 ST7로 진행하여 내부건조운전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실내습도(Rh)가 높을수록, 상기 제 1 난방운전(약화시킨 난방운전)과 상기 제 2 난방운전(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을 조합한 건조운전 사이클의 반복회수를 많게 하고, 실내습도(Rh)가 낮으면, 건조운전 사이클의 반복회수를 적게 하며, 실내습도(Rh)가 더 낮으면, 건조운전 사이클의 반복회수를 더 적게 하기 때문에, 실내습도(Rh)에 따른 실내기 내부의 건조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드레인 팬(10)에 응축수가 고여 있었다고 하여도, 그 응축수를 증발시켜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 원격제어장치(3)의 건조 전용버튼(3a)을 조작하면, 본 발명의 내부건조운전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어떠한 운전상태이어도,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내부건조운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이 냉방운전이나 제습(드라이) 운전인 경우에는, 비교적 실내습도(Rh)가 높고, 또한 그 운전에 의하여 실내기 내부가 냉각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종래예(일본국 특허공개 평성10-62000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와 같은 난방운전에 들어가면 실내기 내부에 결로가 생기기 쉬워지나, 본 발명에서 행하는 건조운전은, 상기 제 1 난방운전과 상기 제 2 난방운전에 의한 건조운전이고, 또한 그 때 상하 풍향판(5a)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하여 실내기 내부에의 공기순환량이 많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기 내부에 결로를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실내기 내부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3)의 내부 건조버튼(3a)을 조작한 경우에 내부건조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냉방운전이나 제습(드라이)이 행하여진 후에, 자동적으로 본 발명의 내부건조운전을 행하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난방운전과 상기 제 2 난방운전에 의한 건조운전 사이클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한 후에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행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5)

  1. 공기흡입구와 공기분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내에, 실내 팬과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 실내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분출하여 실온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건조하는 내부건조운전모드를 가지고, 상기 내부건조운전모드시에는,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센서에 의하여 실내습도(Rh)를 검출하고, 상기 냉동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기를 저회전수로 한 약화시킨 난방운전인 제 1 난방운전을 소정 시간 행한 후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한 송풍운전에 가까운 난방운전인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상기 실내습도(Rh)에 따라 소정회수 반복하여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의 순서를 바꾸어, 먼저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한 후에,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내부건조운전모드가 지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실행한 후,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계속하고, 내부건조운전에 들어가기 전의 운전상태가 난방운전 또는 송풍운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고, 그 후에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소정시간 행하는 건조운전 사이클을 상기 실내습도(Rh)에 따라 소정회수 반복하여 실내기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출구내에는 분출방향을 바꾸는 상하 풍향판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 풍향판을 수평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운전사이클의 반복회수는, 상기 실내습도(Rh)가 높을 수록 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난방운전을 행할 때에 상기 압축기에 난방 0 코드를 발신하는 발신회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이 소정의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건조운전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91946A 2002-12-17 2003-12-16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40055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4782A JP4228194B2 (ja) 2002-12-17 2002-12-17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JP-P-2002-00364782 2002-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28A true KR20040055628A (ko) 2004-06-26

Family

ID=3237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46A KR20040055628A (ko) 2002-12-17 2003-12-16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92474B2 (ko)
EP (1) EP1431676B1 (ko)
JP (1) JP4228194B2 (ko)
KR (1) KR20040055628A (ko)
CN (1) CN1303374C (ko)
ES (1) ES231272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43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352A (ja) * 2005-11-21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1204001B1 (ko) 2007-08-30 201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092647B2 (ja) * 2007-09-25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JP4935685B2 (ja) * 2008-01-16 2012-05-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057226B (zh) * 2008-06-18 2016-02-10 大金工业株式会社 换气装置
CN101694314B (zh) * 2009-10-23 2012-07-25 清华大学 一种带自然供热和湿度控制的空气处理装置
JP5511717B2 (ja) * 2011-03-14 2014-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5352128A (zh) * 2015-11-25 2016-0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清洁方法和系统及空调器
CN106419796B (zh) * 2016-11-28 2020-02-1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通风控制方法、装置和洗碗机
JP6989780B2 (ja) * 2018-10-31 2022-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3819610A (zh) * 2021-08-1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控制方法、空调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1081A (en) * 1946-08-16 1950-09-05 Willard L Morrison Drier
US4042016A (en) * 1975-10-28 1977-08-16 Evelyn Boochever Environmental humidification and cooling system
US5146977A (en) * 1991-03-06 1992-09-15 Professional Supply, Inc. Environmental control in a confined workplace
US5605051A (en) * 1991-04-26 1997-02-25 Nippondenso Co., Ltd.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condenser and evaporator provided within air duct
US5269076A (en) * 1992-01-27 1993-12-14 U.S. Natural Resources, Inc. Balanced draft vent system for kiln
US5276980A (en) * 1992-11-12 1994-01-11 Carter John L Reversible conditioned air flow system
US5526583A (en) * 1995-01-30 1996-06-18 Hull; Dwayne E. Portable dry kiln for drying or treating lumber
JPH09126528A (ja) * 1995-10-30 1997-05-16 Diamond Electric Mfg Co Ltd 空気調和機
JPH1062000A (ja) * 1996-08-20 1998-03-0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5915811A (en) * 1996-09-30 1999-06-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Solar drying process and apparatus
JPH10281537A (ja) * 1997-04-07 1998-10-2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KR100239576B1 (ko) * 1997-12-17 2000-0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42018B2 (ja) * 2000-02-23 2008-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機器
US6393723B1 (en) * 2000-08-10 2002-05-28 George R. Culp Forced convection heat exchangers capable of being used in kil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43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92474B2 (en) 2005-05-17
EP1431676B1 (en) 2008-09-17
US20040123485A1 (en) 2004-07-01
EP1431676A2 (en) 2004-06-23
CN1303374C (zh) 2007-03-07
JP4228194B2 (ja) 2009-02-25
ES2312729T3 (es) 2009-03-01
JP2004197990A (ja) 2004-07-15
CN1508486A (zh) 2004-06-30
EP1431676A3 (en)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2970B (zh) 空气调节器
KR20020075224A (ko) 공기조화기
KR2004005562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JP4277166B2 (ja) 空気調和機
JP3576149B2 (ja) 空気調和機
JP4548979B2 (ja) 空気調和機
JP2017044424A (ja) 空気調和機
JPH0427084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322385A (ja) 空気調和機
JP200324774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008831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5016830A (ja) 空気調和機
JP3570260B2 (ja) 空調装置
JP4938536B2 (ja) 空気調和機
JP2007132646A (ja) 空気調和機
JPH11159832A (ja) 空調機の制御装置
JPH0524046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0660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310660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1254985A (ja) 空気調和機
JP2007285561A (ja) 空気調和機
JP2007232267A (ja) 空気調和機
JP2518420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00817549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