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143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143A
KR20200125143A KR1020190048972A KR20190048972A KR20200125143A KR 20200125143 A KR20200125143 A KR 20200125143A KR 1020190048972 A KR1020190048972 A KR 1020190048972A KR 20190048972 A KR20190048972 A KR 20190048972A KR 20200125143 A KR20200125143 A KR 20200125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indoor
flow path
temperatur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820B1 (ko
Inventor
김기영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04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8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유로 및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연통된 유로를 따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키는 내부건조모드가 설정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는 단계와, b)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건조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공기유로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상기 결로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세균 및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환경을 유발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이용하는 실내 위생에 악영항을 미칠 뿐 아니라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 배출구에 역류방지 댐퍼를 구비하거나,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유입구 또는 실외 유입구에 전동댐퍼를 구비하여, 공기조화기가 가동 상태가 아닐 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미가동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의 결로 발생 방지에 유효한 방법으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유로가 형성되는 가동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의 결로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실내 공기 농도가 낮아지며 음압이 발생하여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의 쾌적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1554에 나타난 공기조화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내부 공기를 배출하되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실외공기의 불필요한 유입을 방지하고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실외공기유로와,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 및,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연통된 유로를 따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키는 내부건조모드가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내부공간에 상기 실내공기유로 또는 상기 실외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구비된 공기도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 사이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도입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 배출구 및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실내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실외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 와,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에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내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3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에는,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3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각각 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제1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의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각의 일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각의 타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1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제2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의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회전각의 일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1위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회전각의 타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2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1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3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실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개구부로 순차 유동시킨 후 상기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유로경계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유로경계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로경계부 양측단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 공기 조화를 위한 복수의 공기조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드는, 상기 내부건조모드와,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건조모드와 상기 환기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차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결로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a)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는 단계와, b) 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외 유입구를 통해 공기조화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연통된 유로를 유동한 공기는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공기온도차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가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환기모드와 상기 내부건조모드가 교차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고, 제어부에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로부터 소정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가 설정되고, 각 결로기준범위마다 결로방지단계가 설정되어, 각각의 상기 결로방지단계에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각각 설정되며, 상기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이 큰 결로방지단계일수록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에 비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고, 제어부에 상기 기준온도차로부터 소정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가 설정되고, 각 결로기준범위마다 결로방지단계가 설정되어, 각각의 상기 결로방지단계에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각각 설정되며, 상기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이 큰 결로방지단계일수록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에 비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현재 계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현재 계절이 하절기와 동절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계절에 대한 판단은 실외공기 온도와 실내공기 온도의 비교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에 상기 실내공기유로 또는 실외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구비된 공기도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 사이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연통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도입 댐퍼가 상기 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통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여 결로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위생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여 결로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기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를 건조하되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실외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각각 유동하는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의 복수의 공기유로를 서로 연통시키고, 연통된 복수의 공기유로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며 복수의 공기유로를 한번에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져,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내부건조모드 또는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 조건이 설정되어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에 있어 비교노점온도차에 따라 건조모드와 환기모드의 가동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실내의 음압을 방지하는 동시에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건조모드 또는 결로방지조화모드가 가동되어 공기조화기의 공기도입부가 건조됨에 따라 공기도입부의 습도가 낮아지면 내부건조모드 또는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이루어져 불필요한 가동을 줄이고 경제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 및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의 구동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 및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가 제1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공기도입부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 및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가 제2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공기도입부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가 제3위치로 설정되고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가 제1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공기도입부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모드의 가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하절기의 결로방지조화모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절기의 결로방지조화모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결로방지조화모드가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공기조화기(100)의 수평단면도인 A-A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공기 유로(200)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공기 유로(300)와, 상기 실내공기 유로(200)와 상기 실외공기 유로(300)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151a,151b)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공기 유로와 실외공기 유로는 제어모드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환기모드, 공기청정모드, 제습냉방모드, 난방모드 등 다양한 제어모드가 설정될 수 있고, 제어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 유로(200)는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공기 유로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실외공기 유로(300)는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공기 유로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공기도입 댐퍼(151a,151b)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 유로(20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실외공기 유로(300)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진 내부건조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내와 연결되는 실내 유입구(101)와 실내 배출구(102)가 구비되어,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실내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외와 연결되는 실외 유입구(103)와 실외 배출구(104)가 구비되어,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실외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내측으로 상기 실내 유입구(101)가 연결되고 실외측으로 상기 실외 유입구(103)가 연결되며 내부공간에 복수의 공기유로(150a,150b)가 형성된 공기도입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공기유로(150a,150b)는 제1공기유로(150a)와 제2공기유로(15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50a) 및 상기 제2공기유로(150b)를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기유로(150a)는 상기 실내공기 유로의 일부가 되거나 상기 실외공기 유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기유로(150b)는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는 반대로 상기 실외공기 유로의 일부가 되거나 상기 실내공기 유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50a)가 실내공기 유로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실내 유입구(101)와 연통하고, 실외공기 유로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실외 유입구(103)와 연통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150b)도 실내공기 유로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실내 유입구(101)와 연통하고, 실외공기 유로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실외 유입구(103)와 연통한다.
상기 내부건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제2공기유로(150b)가 연통하게 되지만, 환기모드와 제습냉방모드와 같은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제2공기유로(150b)가 서로 격리되어 독립된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개폐하는 실내유입 댐퍼(101a) 및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개폐하는 실외유입 댐퍼(103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유입 댐퍼(101a) 및 상기 실외유입 댐퍼(103b)는 각각 실내유입 구동부(미도시) 및 실외유입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실내유입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실외유입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한 실내공기의 유입과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한 실외공기의 유입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151a,15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151a,151b)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사이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151a,151b)가 구동하며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유로경계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경계부(152)는 수평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가 상기 유로경계부(1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하측 내부공간과 상측 내부공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경계부(151)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와,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와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는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의 양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4방향 댐퍼(4-way damper)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는 상기 유로경계부(151)의 실내측 단부의 회전축(151-1a)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제1회전각(151-2a; 도 4)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는 상기 유로경계부(151)의 실외측 단부의 회전축(151-1b)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제2회전각(151-2b; 도 4)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도입부(150)에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 및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의 회전각을 각각 상기 제1회전각(151-2a) 및 상기 제2회전각(151-2b)으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재(154a,154b,155a,15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재(154a,154b,155a,155b)는 상기 제1회전각(151-2a)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및 상기 제2회전각(151-2b)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경계에서의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 및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의 기울기에 맞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일측에는 격벽(130)을 사이에 두고 본체부(110)가 연결된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로터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제1영역(121a)과 제2영역(121b)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제습로터(121)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로터(121)는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영역(121a) 또는 상기 제2영역(121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1)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하거나 상기 흡착된 수분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영역(121a)과 상기 제2영역(121b)은 상기 제습로터(121)의 축을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영역(121a)과 상기 제2영역(121b)을 사이에 두고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두 개의 공간부(113,114;111,1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영역(121b)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영역(121a)의 실내측이자 상기 제1공간부(111)의 하층에 제3공간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영역(121a)의 실외측이자 상기 제2공간부(112)의 하층에 제4공간부(1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부(111)와 상기 제2공간부(112)는 상기 제2영역(121b)을 통해 연통되며, 상기 제3공간부(113)와 상기 제4공간부(114)는 상기 제1영역(121a)을 통해 연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3공간부(113), 상기 제2공간부(112)와 제4공간부(114), 상기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 상기 제3공간부(113)와 제4공간부(114) 사이에 분리판(131,132,133,134)이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121a)과 상기 제2영역(121b)을 통해 연통되는 유로를 제외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부(113,114,111,112) 사이의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111)에는 상기 실내 배출구(102)가 구비되고, 상기 제4공간부(114)에는 상기 실외 배출구(104)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부(11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4공간부(114)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격벽(130)에는,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공기도입부(150)를 연통시켜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30a,130b)가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30a,130b)는, 상기 격벽(130)의 실외측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150b)와 상기 제2공간부(112)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130b)와, 상기 격벽(130)의 실내측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3공간부(113)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13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에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을 따라 유동시키고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141)와,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송풍기(141)는 상기 제1공간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상기 제1공간부(111)에 연통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상기 실내 배출구(102)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송풍기(142)는 상기 제4공간부(114)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는 상기 제4공간부(114)에 연통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상기 실외 배출구(104)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로(150a)를 유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2송풍기(142)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상기 제3공간부(113)에 유입되고, 상기 제1영역(121a)을 통해 상기 제4공간부(114)에 유입되며, 상기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기유로(150b)를 유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송풍기(141)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제2개구부(130b)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112)에 유입되고, 상기 제2영역(121b)을 통해 상기 제1공간부(111)에 유입되며, 상기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제1영역(121a) 및 상기 제2영역(121b)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 냉각하는 히트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25)와, 상기 압축기(125)에서 압축된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22;123)와, 상기 응축기(122;123)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124)와, 상기 팽창밸브(124)에서 감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123;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공간부(11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121a)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122)와, 상기 제2공간부(1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영역(121b)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123)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의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111)에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126a,126b,126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부(미도시) 및 실외온도측정부(미도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습도측정부(미도시) 및 실외습도측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온도측정부 및 상기 실내습도측정부는, 상기 공기도입부(150)를 유동하는 공기의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실내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 및 상기 실내습도측정부에서 측정한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외온도측정부 및 상기 실외습도측정부는, 상기 공기도입부(150)를 유동하는 공기의 실외온도 및 실외습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실외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외온도측정부 및 상기 실외습도측정부에서 측정한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외온도 및 실외습도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실외습도 및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습도를 이용하여 실외공기의 노점온도및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각각 연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의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와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구동 실시예 및 각 실시예에 따라 공기도입부(150)를 유동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유동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와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구동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실내 유입구(101)의 하측 경계(101-2)에 연결되는 제1위치(151a-1)와, 상기 실내유입구(101)의 상측 경계(101-1)에 연결되는 제2위치(151a-2)와, 상기 실내 유입구(101)의 상측 경계(101-1)와 하측 경계(101-2)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151a-3)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회전각(151-2b)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가 상기 실내 유입구(101)의 상측 경계(101-1)와 하측 경계(101-2)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사이가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실내 유입구(101)와 연통되며, 상기 제3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실외 유입구(103)의 상측 경계(103-1)에 연결되는 제1위치(151b-1)와, 상기 실외 유입구(103)의 하측 경계(103-2)에 연결되는 제2위치(151b-2)와, 상기 실외 유입구(103)의 상측 경계(103-1)와 하측 경계(103-2) 사이의 제3위치(151b-3)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회전각(151-2b)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가 상기 실외 유입구(103)의 상측 경계(103-1)와 하측 경계(103-2)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사이가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실외 유입구(103)와 연통되며, 상기 제3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가 연통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와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구동 실시예에 따라 공기도입부(150)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 및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위치가 상기 제1위치(151a-1, 151b-1)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에 의해 하향 가이드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50a)로 유동하며,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150b)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제1공기유로(150a)는 실외 배출구(104)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150b)는 실내 배출구(102)로 연결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해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난방모드, 제습냉방모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 및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위치가 상기 제2위치(151a-2, 151b-2)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150b)로 유동하며,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에 의해 하향 가이드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50a)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환기모드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8에서 환기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가 상기 제3위치(151b-3)로 설정되고,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위치가 상기 제1위치(151a-1)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공기유로(150a)와 상기 제2공기유로(150b)는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에 의해 양방향 개방되어 서로 연통되므로,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150b)로 유동한 후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를 끼고 돌아 상기 제1공기유로(150a)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공기도입부(150) 내부공간을 모두 유동한 후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건조모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9에서 내부건조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다음은, 도 8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에 의해 가동되는 공기조화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에 의한 공기조화모드는,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실내 습도를 낮추는 제습모드, 실내공기를 냉각하여 실내에 냉방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실내공기를 가습하여 실내 습도를 높이는 가습모드, 실내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난방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모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모드는, 상기 공기도입부 내부 또는 공기조화기(10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건조하는 내부건조모드 및, 상기 환기모드와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차 가동하는 결로방지조화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건조모드와 결로방지조화모드를 통칭하여 결로방지모드라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100)의 환기모드의 가동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와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의 위치를 제2위치(151a-2,151b-2)로 설정하고, 실내유입 댐퍼(101a)와 실외유입 댐퍼(103a)를 개방하며, 제1송풍기(141)와 제2송풍기(142)를 가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외 유입구(103)를 통해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 실외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제2공기유로(150b)로 유동하고, 제2개구부(130b)를 통해 제2공간부(112)에 유입되며, 제2영역(121b)을 통해 제1공간부(111)에 유입된 후 실내 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에 의해 하향 가이드되어 제1공기유로(150a)로 유동하고,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제3공간부(113)에 유입되며, 제1영역(121a)을 통해 제4공간부(114)에 유입된 후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100)의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상기한 난방모드, 제습모드, 제습냉방모드, 환기모드 등 제1공기유로(150a)와 제2공기유로(150b)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각각 유동하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 이슬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건조하기 위한 공기조화모드이다.
내부건조모드가 가동되면,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의 위치를 제1위치(151a-1)로 설정하고,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의 위치를 제3위치(151b-3)로 설정하며, 실내유입 댐퍼(101a)를 개방하되 실외유입 댐퍼(103a)를 닫고, 제1송풍기(141)를 가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 유입구(101)를 통해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151a)에 의해 상향 가이드되어 제2공기유로(150b)로 유동하고,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151b)를 끼고 돌아 상기 제1공기유로(150b)로 유동하며, 제1개구부(130a)를 통해 제3공간부(113)에 유입되어, 제1영역(121a)을 통해 제4공간부(114)에 유입된 후 실외 배출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즉,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50b) 및 상기 제2공기유로(150a)를 모두 유동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개구부(130a)가 상기 격벽(130)의 실내측 하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50b) 및 상기 제2공기유로(150a)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까지 고루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게 되므로,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고루 건조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인 비교공기온도차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실내온도측정부와 실외온도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로부터 상기 비교공기온도차를 구하여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공기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클수록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를 유동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하며 결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상기 비교공기온도차에 따라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를 건조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에서 온도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클수록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함에 따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중 온도가 높은 쪽 공기의 온도가 저하될 확률이 커지므로, 노점온도에 도달할 확률이 높아진다.
즉, 상기 노점온도는 공기중의 상대습도에 따라 공기중의 수증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는 온도를 산출한 값이므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클수록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공기 온도가 저하되며 수증기가 포화되어 이슬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즉, 공기중의 상대습도가 반영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에 따라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를 건조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가 건조됨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가 상기 공기온도차 이하로 저하되거나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특히 실외공기의 온도가 높고 실내공기의 온도가 낮은 하절기와, 실외공기의 온도가 낮고 실내공기의 온도가 높은 동절기 중 적어도 하나의 시기에 가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절기에 실외공기보다 건조한 상태의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건조하고, 동절기에 실외공기보다 고온 상태의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내부공간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은 경우 하절기로 판단하고,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동절기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되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기설정된 하절기온도차보다 큰 경우 하절기로 판단하고,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높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가 기설정된 동절기온도차보다 큰 경우 동절기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일년 중 하절기에 해당하는 시기와 일년 중 동절기에 해당하는 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시기가 설정되어, 해당 시기에 따라 하절기 또는 동절기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하절기에 적용되는 하절기 기준공기온도차와 동절기에 적용되는 동절기 기준공기온도차가 각각 설정되어, 제어부의 계절 판단에 따라 상기 하절기 기준공기온도차 또는 상기 동절기 기준공기온도차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하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공기온도차와 상기 하절기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하절기 기준공기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동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공기온도차와 상기 동절기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동절기 기준공기온도차보다 큰 경우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하절기에 적용되는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와 동절기에 적용되는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가 각각 설정되어, 제어부의 계절 판단에 따라 상기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 또는 상기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를 적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하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실외공기의 노점온도와 실내공기의 공기온도의 차를 계산하여 비교노점온도차를 구하고,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동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의 노점온도와 실외공기의 공기온도의 차를 계산하여 비교노점온도차를 구하고,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절기의 실외공기는 동절기의 실내공기에 비해 상대습도가 높아 노점온도 도달시 발생되는 이슬의 양이 많으므로, 상기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를 상기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작게 설정하여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 조건이 동절기보다 하절기에 쉽게 만족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효율적인 결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로 0℃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로 9℃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100)의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에 의한 결로방지조화모드는, 상기한 도 9에 나타난 내부건조모드와, 상기한 도 8에 나타난 환기모드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차 가동하는 공기조화모드이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 여부 또는 가동 정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한 내부건조모드와 같은 내용의 가동 조건 또는 가동 정지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에 의해 교차 가동되는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td)과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tv)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비교노점온도차(D_Temp)에 따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td)과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tv)의 비율을 조절하는 결로방지단계(S1,S2,S3)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결로방지단계(S1,S2,S3)는, 상기 기준노점온도차(SD_Temp)를 최솟값으로 하여 소정의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R_Temp)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로기준범위(R_Temp)는, 각각 최솟값(m)보다 크고 최댓값(M)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웃하는 결로방지단계의 결로기준범위는 그 범위가 겹치지 않되 연속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N 개의 결로기준단계가 설정되는 경우, 제1단계 결로기준단계의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m)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SD_Temp)이며, 결로기준단계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최솟값(m)이 커지고, 마지막 제N단계의 결로기준단계의 결로기준범위는 최솟값(m)만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로방지단계(S1,S2,S3)에는 각각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tv)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td)이 설정되되, 결로기준단계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tv)에 대한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td)의 비율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결로기준단계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길게 설정되거나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이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단계는, 기준공기온도차를 최솟값으로 하여 소정의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교공기온도차에 따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과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이 각각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도 10에는 하절기의 결로방지조화모드 가동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하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하절기 기준노점온도차(SD_Temp)로 설정된 0℃보다 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가 가동된다.
이때,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는 실외공기의 노점온도(T_oda_dew)와 실내공기의 공기온도(T_room)의 차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는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상기 0℃로부터 3℃의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3단계의 결로기준범위(R_Temp)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3단계의 결로방지단계(S1,S2,S3)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가동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0℃보다 크고 3℃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1단계 결로기준범위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5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15분간 가동하는 제1단계 결로방지단계(S1)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3℃보다 크고 6℃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2단계 결로기준범위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10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10분간 가동하는 제2단계 결로방지단계(S2)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6℃보다 큰 경우, 상기 3단계 결로기준범위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20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5분간 가동하는 제3단계 결로방지단계(S3)를 수행하게 된다.
도 11에는 동절기의 결로방지조화모드 가동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에서 현재 계절을 동절기로 판단하는 경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동절기 기준노점온도차(SD_Temp)로 설정된 9℃보다 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가 가동된다.
이때,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는 실내공기의 노점온도(T_room_dew)와 실외공기의 공기온도(T_oda)의 차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는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9℃ 초과 6℃이하의 범위와, 15℃ 초과 20℃이하의 범위와, 20℃ 초과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3단계의 결로방지단계(S1,S2,S3)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가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9℃보다 크고 15℃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1단계 결로기준범위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5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15분간 가동하는 제1단계 결로방지단계(S1)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15℃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2단계 결로기준범위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10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10분간 가동하는 제2단계 결로방지단계(S2)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가 20℃보다 큰 경우, 3단계 결로기준범위 에 해당되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20분간 가동하고 상기 환기모드를 5분간 가동하는 제3단계 결로방지단계(S3)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SD_Temp)의 차이가 클수록 공기도입부(150) 내부의 공기유로에 이슬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m)이 큰 결로방지단계일수록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에 비해 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을 길게 잡아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에 의하면, 상기 건조모드와 상기 환기모드를 교차 가동함으로써 건조모드 가동시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고 실내와 실외를 가로막는 구조의 틈새 등을 통해 실외공기가 의도치 않게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모드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공기유로에 구비된 복수의 필터(126a,126b,126c)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므로, 틈새 등을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에 비교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D_Temp)에 따라 상기 건조모드와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공기도입부(150) 내부공간의 건조 효율과 실내 음압 방지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결로방지모드가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0은, 공기조화기가 가동되고, 제어부에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계절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특히 현재 계절이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20은,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비교하거나,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거나,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방법에 따라 가동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후술하는 단계 30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결로방지모드를 가동하고, 가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10으로 돌아간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 S10에서 판단한 계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상기 기준공기온도차 또는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를 해당 계절에 맞게 적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30은,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결로방지단계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공기온도차 또는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복수의 결로방지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은, 상기 결로방지모드를 가동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 S30에서 판단된 결로방지단계로 상기 결로방지모드를 가동한다. 상기 결로방지모드가 결로방지조화모드인 경우, 해당 결로방지단계에 설정된 환기모드 가동시간(tv)과 내부건조모드 가동시간(td)에 따라 환기모드와 내부건조모드를 교차 가동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를 건조한다.
단계 S50은,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중지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단계 S20에서 서술한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여부 판단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상기 단계 S20의 방법에 따라 가동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중지 조건이 불만족되며, 상기 단계 S30을 다시 수행하여 상기 결로방지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계 S20의 방법에 따라 가동 조건이 불만족되는 경우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 중지 조건이 만족되며, 후술하는 단계 S60을 수행하여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단계 S60은,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로방지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단계 S10으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공기도입부(150)를 건조하여 결로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위생 악화를 방지하고,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기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공기도입부(150)를 건조하되 실내에 음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실외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각각 유동하는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복수의 공기유로(150a,150b)를 서로 연통시키고, 상기 연통된 복수의 공기유로(150a,150b)를 따라 실내공기가 순차로 유동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유로(150a,150b)를 한번에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져,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내부건조모드 또는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 조건이 설정되어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에 있어 비교노점온도차(D_Temmp)에 따라 건조모드의 가동시간(td) 및 환기모드의 가동 시간(tv)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실내의 음압을 방지하는 동시에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건조모드 또는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가 가동되어 상기 공기도입부(150)가 건조됨에 따라 상기 공기도입부(150)의 습도가 낮아지면 상기 내부건조모드 또는 상기 결로방지조화모드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이루어져 불필요한 가동을 줄이고 경제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공기조화기 101: 실내 유입구
102: 실내 배출구 103: 실외 유입구
104: 실외 배출구 110: 본체부
111: 제1공간부 112: 제2공간부
113: 제3공간부 114: 제4공간부
121: 제습로터 121a: 제1영역
121b: 제2영역 122: 제1열교환기
123: 제2열교환기 130: 격벽
130a: 제1개구부 130b: 제2개구부
141: 제1송풍기 142: 제2송풍기
150: 공기도입부 150a: 제1공기유로
150b: 제2공기유로 151a: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
151b: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 154a, 154b, 155a, 155b: 회전제한부재 D_Temp: 비교노점온도차(D_Temp) SD_Temp: 기준노점온도차(SD_Temp)
T_oda: 실외온도 T_oda_dew: 실외공기의 노점온도
T_room: 실내온도 T_room_dew: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Claims (27)

  1. 실내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실내공기유로;
    실외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실외공기유로;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연통된 유로를 따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키는 내부건조모드가 설정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상기 실내공기유로 또는 상기 실외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구비된 공기도입부;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공기도입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 사이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도입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 배출구 및 상기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실내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실외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 와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에는,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내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3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에는,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실외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3위치가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각각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제1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의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각의 일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각의 타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1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제2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의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회전각의 일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1위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회전각의 타측 경계에 위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2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1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를 상기 제3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실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개구부로 순차 유동시킨 후 상기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유로경계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측 공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측 공기도입 댐퍼는, 상기 유로경계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로경계부 양측단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 공기 조화를 위한 복수의 공기조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드는, 상기 내부건조모드와,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와 상기 환기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차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내부건조모드를 가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결로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건조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a)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공기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공기유로를 상호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실외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연통시키는 단계;
    b) 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실외공기가 실외 유입구를 통해 공기조화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연통된 유로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연통된 유로를 유동한 공기는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공기온도차보다 작거나 같아지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가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환기모드와 상기 내부건조모드가 교차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공기온도가 높은 쪽의 노점온도와 온도가 낮은 쪽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노점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노점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노점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고;
    제어부에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로부터 소정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가 설정되고, 각 결로기준범위마다 결로방지단계가 설정되어, 각각의 상기 결로방지단계에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각각 설정되며;
    상기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이 큰 결로방지단계일수록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에 비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공기온도의 차인 비교공기온도차와 기설정된 기준공기온도차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공기온도차가 상기 기준노점온도차보다 큰 경우 가동되고;
    제어부에 상기 기준온도차로부터 소정 온도차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로기준범위가 설정되고, 각 결로기준범위마다 결로방지단계가 설정되어, 각각의 상기 결로방지단계에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과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각각 설정되며;
    상기 결로기준범위의 최솟값이 큰 결로방지단계일수록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에 비해 상기 내부건조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현재 계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현재 계절이 하절기와 동절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절에 대한 판단은 실외공기 온도와 실내공기 온도의 비교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상기 실내공기유로 또는 실외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실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구비된 공기도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도입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 사이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연통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 댐퍼는 일정 범위의 회전각 사이를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도입 댐퍼가 상기 회전각의 일측 경계와 타측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통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48972A 2019-04-26 2019-04-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36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72A KR102368820B1 (ko) 2019-04-26 2019-04-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72A KR102368820B1 (ko) 2019-04-26 2019-04-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43A true KR20200125143A (ko) 2020-11-04
KR102368820B1 KR102368820B1 (ko) 2022-03-02

Family

ID=7357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972A KR102368820B1 (ko) 2019-04-26 2019-04-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628A (ko) * 2002-12-17 2004-06-26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7009510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628A (ko) * 2002-12-17 2004-06-26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70095101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820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82839B1 (ko)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US793089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773073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7464868B2 (ja) 空気質の調整システム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5229368B2 (ja) 調湿装置
KR20060133065A (ko) 조습장치
KR102232441B1 (ko) 육구 공조기
JP2013124788A (ja) 換気システム
JP6252703B1 (ja) 調湿装置
KR20180130457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배관 일체형 냉난방 습도조절장치
US10823435B2 (en) Air conditioner
JP5332467B2 (ja) 調湿システム
WO2023032738A1 (ja) 空気調和装置
JP2010133612A (ja) 空調システム
KR10236882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807320B2 (ja) 調湿装置
JP2003227629A (ja) 調湿装置
KR1024487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0286197A (ja) 調湿装置
JP2005188915A (ja) 調湿装置
JP2009109134A (ja) 換気装置
JP4179052B2 (ja) 調湿装置
WO2023032731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