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22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224A
KR20020075224A KR1020020011555A KR20020011555A KR20020075224A KR 20020075224 A KR20020075224 A KR 20020075224A KR 1020020011555 A KR1020020011555 A KR 1020020011555A KR 20020011555 A KR20020011555 A KR 20020011555A KR 20020075224 A KR20020075224 A KR 2002007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heat exchanger
air
indoor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447B1 (ko
Inventor
다케야노부유키
이시카와미츠루
고마자키메구미
와다고지
이데신이치
시미즈가츠히로
야카베신이치
후지타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유닛 내의 미균의 번식을 방지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유닛(3)에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26),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전면 개구(24), 위쪽 흡입구(25)의 흡입구, 실내팬(10), 후방에 배치된 위쪽 열교환부(8a), 전방향에 배치된 전측 열교환부(8b), 이들 후측 열교환부(8a) 및 전측 열교환부(8b) 사이에 장착된 감압장치의 실내 스로틀 밸브(14), 실내팬(10) 및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제어하는 실내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실내제어부는 실내팬(10)을 저풍량으로 제어하고 또한, 실내 스로틀밸(14)의 스로틀량을 크게 하고 후측 열교환부(8a)를 증발기로서 동작시키고, 전측 열교환부(8b)를 응축기로서 동작시키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구비하고 있어, 분출에 의한 불쾌감을 거주자에게 주지 않고, 냉방운전 정지후에 실내유닛 내의 고온다습상태를 비교적 단시간 중에 해소하여 미균의 번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유닛 내의 미균의 번식을 방지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실외유닛과 실내유닛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서는 그 실내유닛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실내팬을 설치하고, 실내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실내유닛 내로 흡입하고, 흡입한 실내공기를 실내열교환기로 보내어 열교환시키고, 열교환 후의 공기를 다시 실내로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내유닛 내에는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실내유닛 내부 벽면이나 내부에 설치된 실내팬이나 실내열교환기 등에 띠끌이나 먼지가 부착하기 쉽고, 이렇게 부착한 띠끌이나 먼지에 포함되는 미균(黴菌)이 번식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냉방운전 정지 후에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응축한 응축수가 실내유닛 내에서 증발하고, 실내유닛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미균의 번식이 보다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들 미균이 번식하면,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에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실내에 이들 미균의 포자가 분출될 가능성도 있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 실내열교환기나 실내팬에 부착한 미균이 번식하면, 통풍경로의 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실내팬의 풍량이 저하하고, 공기조화기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미균의 번식은 냉방운전 정지 후에 실내유닛 내가 고온다습상태가 되는 것이 주원인이다. 그래서, 냉방원전 종료 직후에 난방운전이나 송풍운전이 이루어진다.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실행하여 실내유닛 내에 결로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습도를 저하시키고, 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방운전에 따른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는 실내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분출되어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송풍운전에 따른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는 실내유닛 내가 건조하기 까지에 장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어떠한 건조운전이라도 실내유닛 내에 결로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로 분출하는 운전이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를 상승시켜, 거주자의 쾌적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냉방운전 정지 후에 실내유닛 내의 고온다습상태를 비교적 단시간 안에 해소하여 미균의 번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실내유닛의 도 3에서의 A-B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실내유닛의 도 3에서의 A-C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실내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제어회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리모트컨트롤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리모트컨트롤러의 메뉴버튼에 의한 전환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기본제어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시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클린운전처리시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각 운전모드에서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운전모드에서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실내유닛 8: 실내열교환기
8a: 후측 열교환부 8b: 전측 열교환부
10: 실내팬 14: 실내 스로틀 밸브
16: 실내제어장치 18: 리모트컨트롤러
23: 전면 패널 24: 전면 개구
25: 위쪽 흡입구 26: 분출구
35: 연통개구 36: 댐퍼
37: 댐퍼용 모터 38: 연통통로
39: 패널용 모터 41: 패널구동기구
42: 상방 흡입루버 44a: 후방 분출루버
44b: 전방 분출루버 45a: 후방 루버용 모터
45b: 전방 루버용 모터 46: 좌우루버
49: 전기집진기 50a: 방전전극
52: 오존발생장치 53: 음이온 발생기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실내팬, 제 1 실내열교환기, 제 2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장착된 감압장치를 수납한 실내유닛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실내팬을 저풍량으로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제 2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위쪽 흡입구, 앞쪽 흡입구, 실내팬, 제 1 실내 열교환기, 제 2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장착된 감압장치를 수납한 실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출구 부분과 흡입구 부분 사이를 개폐기구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 내를 통과하지 않고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통로, 상기 앞쪽 흡입구를 개폐하는 앞쪽 흡입구 개폐기구, 상기 분출구를 개폐하는 분출구 개폐기구, 상기 실내팬, 및 상기 개폐기구를 연통 가능하게 열고 상기 흡입구 개폐기구를 닫고 상기 분출구 개폐기구를 닫고 상기 실내팬을 저풍량으로 제어하며, 또한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제 2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의 공기흡입면적이 제 2 실내열교환기의 공기흡입면적보다 크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실내열교환기가 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냉방운전 시는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작게 또는 완전 개방상태로 하고,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를 모두 증발기로서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실내유닛의 흡입구가 앞쪽에설치되어 공기의 대부분을 제 1 실내열교환기로 유입하는 전방측 흡입구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주로 제 2 실내열교환기로 유입하는 상측 흡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 유닛이 또한 상기 상측 흡입구를 개폐하는 상측 흡입구 개폐기구를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내 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 시에 상기 상측 흡입구 개폐기구를 동작시키고 상기 흡입구를 닫는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실내유닛이 분출구를 개폐하는 분출구 개폐루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 시에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분출공기가 주로 상기 흡입구로 돌아가도록 상기 분출구 개폐루버의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제어장치가 냉방운전 종료 후, 자동적으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실내유닛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모드 시에 상기 오존발생장치 및 음이온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의 공기조화기는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가 리모트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냉방운전 종료후, 자동적으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모드를 실시할지, 여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내유닛인 도 3에서 선 A-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는 실내유닛인 도 3에서선 A-C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실내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제어회로도이며, 도 5는 리모트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의 (a)는 평면도, 도 5의 (b)는 메뉴버튼에 의한 전환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기본제어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7은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시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8은 클린운전 시의 플로우챠트이며, 도 9는 각 운전모드에서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10은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의 다른 실시예에서 운전모드에서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에 있어서, 공기조화기(1)는 실외(O)에 설치된 실외유닛(2)과,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방(R) 내에 설치된 실내유닛(3)으로 구성되고, 실내유닛(2)에 설치된 압축기(4)와 사방향 밸브(5), 실외열교환기(6), 개방도가 미세하게 제어 가능한 전동팽창밸브인 실외팽창밸브(7), 또한 실내유닛(3)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8)가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도록 접속되고, 사방향 밸브(5)에 의해 냉매유로를 전환하여 실내유닛(3)이 설치된 방(R)의 냉방과 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실외유닛(2)에는 실외열교환기(6)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속도 가변의 실외팬(9)이 실내유닛(3)에는 실내 열교환기(8)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속도 가변의 횡류(橫流)팬인 실내팬(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11"은 압축기(4)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접속된 인버터이고, 교류전원(12)에 전원스위치(1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인버터(11)는 실내온도 부하(방(R)의 실온과 설정온도의 차)에 따라서 제어되고, 전동팽창밸브인 실외팽창밸브(7)는 그 개방도가 냉동사이클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실외유닛(2)과 실내유닛(3)의 각부에 교류전원(12)으로부터 소요의 급전(給電)이 이루어진다.
또, 실내열교환기(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 열교환부(8a)와 전측 열교환부(8b)를 갖고, 후측 열교환부(8a)과 전측 열교환부(8b)가 스로틀부착 이방향 밸브인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 후측 열교환부(8a)와 전측 열교환부(8b) 사이의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여기에서 이용되는 실내 스로틀 밸브(14)의 스로틀부착 이방향 밸브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개방도 조작이 가능한 밸브이고, 개방상태(OFF시:스로틀없음은 완전 개방한 상태가 되고, 통상의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 시는 이 완전 개방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또 폐쇄상태(ON시:스로틀있음),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이나 제습운전 시에는 적정한 개방도를 갖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측 열교환부(8a), 전측 열교환부(8b)는 모두 복수개의 알루미늄제 핀이 이 핀을 사행형상으로 관통한 동파이프로 구성된, 이른바 핀튜브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후측 열교환부(8a)의 공기 흡입면적은 전측 열교환부(8b)의 공기흡입면적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시나 제습운전 시에는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폐쇄상태로 함과 동시에 실외열교환기(6)와 전측 열교환부(8b) 사이의 실외팽창밸브(7)를 완전 개방상태로 하여, 전측 열교환부(8b)를 응축기(재열기)로서 동작시키고, 후측 열교환부(8a)를 증발기로서 동작시킬 수있고, 실내유닛(3) 내로 흡입된 공기는 전측 열교환기(8b)에서 데워지고, 후측 열교환기(8a)에서 냉각되게 되기 때문에, 저온으로 되어 있는 후측 열교환기(8a)에 서 결로하고 제습된다. 또한, 제습운전 시의 실내 스로틀 밸브(14)의 개방도(스로틀량)와, 실외팬(9)의 송풍량이나 압축기(4)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실내유닛(3)으로부터의 분출 공기의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양 유닛(2, 3)에는 도 6에 도시한 기본제어 플로우챠트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운전을 실시하기 위해서, 각각으로 실외제어부(15)와 실내 제어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양제어부(15, 16)는 접속선(1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선(17)을 통하여 소요의 제어신호, 데이터의 교환이 양제어부(15, 16) 사이에서 이루워지고, 양제어부(15, 16)에 접속된 실외유닛(2) 내, 실내유닛(3) 내 각부의 운전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실내제어부(16)에는 리모트컨트롤러(18)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신호에 따른 운전개시나 운전종료의 지령, 사용자가 설정한 실온이나 풍량, 풍향 또는 그 밖의 운전에 관계되는 설정 내용 등을 수신하는 송수신부(19)와, 방(R)의 실온을 검지하는 서미스터으로 이루어지는 온도센서(20), 온도감응형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습도센서(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컨트롤러(18)에는 송수신부(18)로부터 실온이나 운전상황 등이 송신되고, 그 내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실내유닛(3)은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방(R)의 천정 근처 벽(Q)에 설치되고, 실외유닛(2)은 벽(Q)에 형성된 벽 개구(P)를 통하여 접속선(17)을 병설하는 냉매 배관(2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실내유닛(3)은 전면 패널(23)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측 개구(24)를 갖고, 또한 상부에 위를 향하여 개구하는 위쪽 흡입구(25), 하부에 아래를 향하여 개구하는 분출구(26)가 형성된 가로로 긴 형상의 하우징 본체 케이스(27) 내에 축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한 가로로 긴 횡류날개(28)를 실내모터(29)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실내팬(10)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모터(29)는 복수단계의 속도 전환이 가능하고, 효율이 높고, 저속이라도 안정성이 높은 직류모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교류모터라도 좋다.
또한, 실내유닛(3)의 본체 케이스(27) 내부에는 전측 개구(24) 및 상부 흡입구(25)로부터 분출구(26)를 향하여 실내팬(10)에 의한 공기의 주 통과유로(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 통과유로(30)에는 실내팬(10)의 상류측에 실내열교환기(8)가 전측 열교환부(8b)를 전측 개구(24)에 대향시키도록 또 후측 열교환부(8a)를 전측 열교환부(8b)의 상부에 연접하도록 하여 본체케이스(17) 상 후부에 대향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측 열교환부(8b)는 볼록한 쪽을 앞방향으로 하여 하단변 가장자리가 주 통과유로(30)의 아래 전부(前部) 벽부분을 구성하는 격벽(隔璧)부재(31)로 설치된 전방 드레인팬(32) 내에 위치하도록, 또 후측 열교환부(8a)는 하단변 가장자리가 주통광유로(30)의 후부 벽부분을 구성하는 등판(33)에 설치된 후방 드레인팬(34)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실내유닛(3)의 방(R)내 공기의 흡입구가 되는 전측 개구(24), 상부 흡입구(25)와 전측 열교환기(8b) 사이의 주통과유로(30) 내에는 온도센서(20)와 습도센서(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 케이스(2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격벽부재(31)는 실내 열교환기(8)의 상류측과 하류측, 즉 전측 개구(24) 및 상부 흡입구(25)의 흡입구 부분과 분출구(26)의 분출구 부분을 가로막는 것이다. 그리고, 격벽부재(31)에는 한쪽측, 예를 들면 실내유닛(3)의 전면 개구(24)측에서 봐서 좌측 부분에 그 약 반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통개구(3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연통개구(35)에는 댐퍼(36)가 댐퍼용 모터(37)를 갖는 구동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댐퍼(36)를 개폐 동작시켜 분출구(26)의 분출구부분에서 전측 개구(24) 및 상부 흡입구(25)의 흡입구 부분을 향하는 실내 팬(10) 및 실내 열교환기(8)를 경유하지 않는 실내 유닛(3) 내부의 연통통로(38)가 형성된다.
또, 전측 개구(24)를 개폐하는 전면 패널(23)은 패널용 모터(39)에 의해 예를 들면 랙(rack)과 피니온(pinion)의 톱니바퀴부재(40)를 갖는 패널구동기구(4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진퇴하고 개폐동작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냉방, 난방운전이나 제습운전 또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시에는 전면 패널(23)을 전진시키고, 이 전진시킨 상태에서는 전측 개구(24)가 개방되고 흡입구가 형성되고, 실내 공기가 실내 유닛(3) 내로 흡입된다. 또, 후술하는 클린운전이나 정지 시에는 전면 패널(23)을 후퇴시키고, 이 후퇴시킨 상태에서는 전측 개구(24)는 폐쇄되고 띠끌이나 먼지가 실내유닛(3)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부 흡입구(25)에는 상부 흡입루버(42)가 상부 루버용 모터(43)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 흡입루버(42)를 회전 운동시켜, 상부 흡입구(25)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흡입루버(42)는 냉방, 난방운전이나제습운전 시에 개방 회전 운동하고, 상부 흡입구(25)에서 실내 공기가 실내유닛(3) 내로 흡입되고, 또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클린운전이나 정지 시에는 폐쇄 회전 운동하고 상부 흡입구(25)는 닫혀지고, 띠끌이나 먼지가 실내유닛(3)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분출구(26)에도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좌우단이 축지지된 후방 분출루버(44a)와 전방 분출루버(44b)가 후방 루버용 모터(45a)와 전방 루버용 모터(45b)에 의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방 분출루버(44a)와 전방 분출루버(44b)를 회전 운동시켜, 분출구(26)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모터(45a, 45b)는 각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 분출루버(44a, 44b)를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맞춰 독립하게 회동시키고, 개폐동작시켜 방(R) 내로의 공조공기의 분출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바뀐다. 그리고, 양 분출루버(44a, 44b)를 모두 폐쇄 회전 운동시켜 분출구(26)는 폐쇄된다.
또한, 분출구(26)를 폐쇄하는 폐쇄위치(Xa, Xb)에 있던 양 분출루버(44a, 44b)를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맞춰, 예를 들면 후방 분출루버(44a)는 경사 아래쪽 위치(Ya), 바로 아래 위치(Za)에, 전방 분출루버(44b)는 수평보다 약간 위쪽 위치(Yb), 비스듬히 아래 위치(Zb)에 열린 각도를 바꿀 수 있고, 또한 그 중간위치로도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분출루버(44a, 44b)의 열린 각도를 운전모드에 따라 바꾸는 것으로 실내유닛(3)으로부터 방(R) 내로의 공조공기의 분출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26)에는 양쪽 분출루버(44a, 44b)의 상류측 근방에 좌우루버(46)가 위 가장자리를 지지부재(47)에 축지지하고, 좌우 루버용 모터(48)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좌우 루버(46)를 회동시켜, 방(R) 내로의 공조공기의 분출방향이 바뀐다.
또, 실내유닛(3)에는 전면 개부(24)측에서 봐서 실내열교환기(8)의 전측 열교환부(8b)을 향하여 전면 상부 우측 부분의 위치에 전측 열교환부(8b)의 약 반정도의 가로폭 치수를 갖는 전기집진기(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집진기(49)는 내부에 방전전극(50a)과 어스전위로 한 집진전극(50b)를 갖고, 비교적 높은 양의 제 1 고전압(VH1)과, 이보다도 낮은 양의 제 2 고전압(VH2)을 발생하는 제 1 고전압전원(51)으로부터 방전전극(50a)과 집진전극(50b) 사이에 2개의 양의 고전압(VH1, VH2)을 각각 전환하여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기집진기(49)를 오존발생장치(52)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방전전극(50a)에 제 1 고전압(VH1)을 인가하여 방전시키고, 오존을 발생시킨다. 또, 집진동작을 시키는 경우에는 방전전극(50a)과 집진전극(50b) 사이에 제 2 고전압(VH2)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방전전극(50a)과 집진전극(50b) 사이의 전위차는 오존발생동작 시가 집진동작 시보다도 큰 것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집진기로서 기능시킬 때와, 오존발생장치로서 기능시킬 때에 방전전극(50a)에 인가하는 전압을 같게 하여도 좋다.
또한, 실내유닛(3)에는 주 통과유로(30)의 아래 전부 벽부분을 구성하는 격벽부재(31)의 전면 개구(24)측에서 봐서 우측의 주통과유로(30)에 면하는 벽면에 음이온 발생기(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음이온 발생기(53)는 양단이 뾰족한 금속제 침(54)과, 상기 침(54)에 음의 소정의 고전압(VH)을 인가하는 제 2 고전압전원(55)을 구비하고 있다. 침(54)은 그 일단이 분출구(26)에서 방(R)안쪽을 향하여, 또 타단이 실내유닛(3) 내부의 실내팬(10)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침(54)에 제 2 고전압전원(55)에서 음의 소정의 고전압(VH)을 인가하여, 침(54)의 선단부분에서 음이온을 방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방운전시, 난방운전시 및 제습운전시에는 실내팬(10)에 의해 보내지는 공기와 함께 분출구(26)측의 침(54)에서 음이온이 방(R)을 향하여 방사된다. 또, 클린운전 시에는 실내팬(10)측의 침(54)에서 음이온이 실내유닛(3) 안쪽을 향하여 방사되어, 실내유닛(3) 내부의 미균을 살균, 멸균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한편 실외유닛(2)과 실내유닛(3)에 설치된 실외제어부(15)와 실내제어부(16)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프로그램된 내용 또는 운전에 앞서서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운전제어가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실외제어부(15) 및 실내제어부(16)에서 실시되는 운전의 기본제어는 도 6의 플로우챠트 및 도 9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를 따라서 실시된다. 우선, 제 1 스텝(S1)이고, 도 5의 (a)의 리모트컨트롤러(18)의 본체(18a)의 일부를덮는 덮개(18b)를 열고, 냉방운전, 난방운전, 제습운전 또는 자동운전 중 어느것을 선택하는 운전전환버튼(56), 제습버튼(57) 또는 실온 설정하는 온도버튼(58) 등을 액정 등에 따른 표시부(18c)에 표시된 내용을 보면서 조작하고, 공지의 공기조화기와 동일하게 원하는 운전모드의 선택을 실시한다.
또한, 메뉴버튼(59)를 조작할 때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운전모드가 주기적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설정할 운전모드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과 클린운전을 조합시킨 자동클린모드, 또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만을 실시하는 건조모드, 이들 운전없음의 3개의 모드 중에서 표시부(18c)에 표시된 내용을 보면서 원하는 선택을 실시한다. 또한, 이 운전모드 전환을 실시할 때에는 선정한 운전모드가 표시부(18c)에 소정시간, 예를 들면 10초간 표시되고, 사용자에 따른 확인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1)의 운전개시, 정지를 실시하는 운전버튼(60)을 조작하고 전원 스위치(13)를 폐쇄 동작시켜 전원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냉방운전시, 난방운전시에 음이온 발생기(53)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공기청정구(61)를 온으로 해둔다.
계속해서 제 2 스텝(S2)에서는 어떤 운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냉방모드이면 제 3 스텝(S3)의 냉방운전제어로 나아간다. 난방모드이면 제 4 스텝(S4)의 난방운전제어로 나아간다. 난방모드이면 제 4 스텝(S4)의 난방운전제어로 나아간다. 제습모드이면 제 5 스텝(S5)의 제습운전제어로 나아간다. 각각의 제어는 공지의 공기조화기와 동일하게 도 9에 도시한 표에 따라서 실시된다. 다음에, 제 6 스텝(S6)으로 나아가고 운전종료했는지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6 스텝(S6)은 운전종료의 확인이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제 6 스텝(S6)에서 운전종료가 확인되면 제 7 스텝(S7)으로 나아간다.
제 7 스텝(S7)에서는 직전의 운전모드가 냉방운전모드 또는 제습운전모드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냉방운전모드 및 제습운전모드 중 어떤 것도 아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 8 스텝(S8)으로 나아가고, 도9의 표에 따른 운전종료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제 7 스텝(S7)에서 냉방운전모드 또는 제습운전모드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 9 스텝(S9)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제 9 스텝(S9)에서는 운전개시시에 앞서 설정된 냉방운전, 제습운전후의 운전모드 설정이, 자동클린모드, 건조모드, 선택모드 없음 중 어떤 것이었는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판단결과가 자동클린모드인 경우에는 제 10 스텝(S10)에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제 11 스텝(S11)에서 클린운전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실행후에 제 8 스텝(S8)으로 나아가 운전종료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판단결과가 건조모드인 경우에는 제 12 스텝(S12)으로 나아가고,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실행후에 제 8 스텝(S8)으로 나아가고 운전종료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가 선택모드없음인 경우에는 제 8 스텝(S8)으로 나아가 운전종료처리를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기본제어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기조화기(1)는 통상의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 제습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미리 운전모드를선택, 설정함으로써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후에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은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클린운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전모드를 실시하지 않는 처리, 즉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및 클린운전처리의 선택없음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하면 운전을 정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공기조화기가 계속 운전되는 것에 불안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이들 건조운전처리, 클린운전처리가 실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후에 실시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의 제어는 도 7의 플로우차트 및 도 9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에 따라서 실시된다. 우선, 제 1 스텝(T1)에서 각부를 도 9에 나타낸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의 동작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압축기(4)를 냉동능력을 저하시킨 상태로 하여, 실외팬(9)을 저속상태 또는 저속과 정지의 교대반복운전상태로 하고 실내팬(10)을 제습운전시보다 저속인 극저속 운전상태로 하며,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폐쇄상태로 하고 실외팽창밸브(7)를 개방상태로 하며, 사방향 밸브(5)를 냉방을 실시하는 위치로 해 둔다.
또한, 실내유닛(3)의 상방 흡입루버(42)를 폐쇄상태로 하고 전면 패널(23)을 개방상태로 하며, 상방 분출루버(44b)를 수평보다 약간 위쪽을 향하는 위치(Yb)로 하고, 하방 분출루버(44a)를 폐쇄위치(Xa)로 한다. 또한, 댐퍼(36)를 폐쇄상태로 하고 전면 패널(23)이 개방상태가 되어 있는 전면개구(24)를 흡입구로서 실내유닛(3)내에 흡입된 실내공기가 주통과유로(30)를 흐르고, 실내 열교환기(8),실내팬(1)을 거쳐 분출구(26)로부터 수평보다 약간 위쪽을 향하여 분출되고, 실내유닛(3) 근방을 흘러 다시 바로 실내유닛(3)내에 흡입되도록 한다.
또한, 전기집진기(49)에 대해서는 ON상태로 하여 방전전극(50a)에 제 1 고전압(VH1)을 인가하여 오존발생장치(52)로서 운전되도록 해도 좋고 그 동작을 OFF시켜도 좋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53)도 이것을 ON상태로 해도 좋고 OFF상태로 해도 좋다.
다음에 제 2 스텝(T2)에서 습도센서(21)에 의해 앞쪽 열교환부(8b)의 상류의 주통과유로(30)에 흘러 들어가는 실내공기의 습도(Ha)를 측정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 3 스텝(T3)에서 습도(Ha)의 정도가 판정된다. 습도(Ha)가 70% 이상이면 제 4 스텝(T4)으로 나아가고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10분간으로 설정한다. 습도(Ha)가 70%보다 낮고 40%이상이면 제 5 스텝(T5)으로 나아가고, 타이머를 8분간으로 설정한다. 또한 습도(Ha)가 40% 미만이면 제 6 스텝(T6)으로 나아가고 타이머를 5분간으로 설정한다.
그 후, 제 7 스텝(T7)으로 나가가고 습도(Ha)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된 시간,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제 8 스텝(T8)에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실시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 9 스텝(T9)으로 나아가고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종료한다. 그 후, 미리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도 6에 기본제어 플로우차트에서의 제 1 단계(S11)의 클린운전처리, 또는 제 8 스텝(S8)의 운전종료처리의 제어내용으로 이행한다.
또한, 이러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는 일종의 제습운전이다.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에 의해 실내유닛(3) 내부에 대량의 드레인수(drain)가 발생한다. 그 대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호스(drain hose)를 경유하여 실외로 배출되지만, 일부가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 종료후에도 전방 드레인판(32)이나 후방 드레인판(34)에 남거나, 실내열교환기(8) 등에 부착되어 남는다.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 종료후, 실내유닛(3)내의 온도가 침입한 실내공기로 상승하고, 실내유닛(3) 내부에 잔류한 드레인수가 단숨에 증발된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는 실내유닛(3) 내부의 습도는 100% 가까이 달하게 되지만,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상기 건조운전처리에 의해 제습이 실시되고, 실내유닛(3) 내부가 세균에 있어서 절호의 번식환경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상기 건조운전처리는 실내유닛(3) 내부의 고온다습공기가 거주자에게 닿지 않도록 실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제습운전과 달리, 압축기(4)의 회전을 저속으로 하여 냉동능력을 저하시키고 상방 흡입루버(42)를 실내공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는 앞쪽 열교환부(8a)를 극력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내팬(10)의 회전을 제습운전시 보다 저속인 극저속으로 하여 실내팬(10)의 송풍량을 극력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후방 분출루버(44a)를 폐쇄하고, 전방 분출루버(44b)만을 개방하고, 또한 전방 분출루버(44b)를 수평 보다 약간 위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분출공기가 방(R) 내의 거주영역으로 보내어지지 않고 다시 실내유닛(3)내로 되돌아가게 하는 운전, 즉 쇼트서킷(short cicuit)운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실외팬(9)을 저속연속운전상태, 또는 저속과 정지의 교대반복운전상태로 유지하고, 앞쪽 열교환부(8b)의 온도를 높이고 앞쪽 열교환부(8b)에 그 팬 등에 결로하여 보수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킨다. 또한, 실내유닛(3) 내를 흐르는 공기온도를 높이고 실내유닛(3) 내부의 드레인수의 증발을 가속한다. 또한, 실내팬(10), 분출구(26) 및 분출구(26) 근방에 있는 각종 루버(44a, 44b, 46) 등의 온도를 높여 결로를 방지하고 있다. 이 결과, 실내유닛내에 결로하고 있는 수분은 급속하게 증발하고 쇼트서킷에 의해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따라서 저온이 되어 있는 뒤쪽 열교환부(8a)에서 결로 응축하여, 드레인수로서 회수된다.
즉, 냉방운전에서는 실내 스로틀 밸브(14)가 개방 상태이므로, 뒤쪽 열교환기부(8a), 상기 열교환기부(8b)는 어떤 것도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따라서 저온이 되어 있는 양열교환부(8a,8b)의 팬표면에서 실내공기중의 수분이 결로한다. 결로수가 많아지면 팬 표면에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양 열교환부(8a,8b)의 아래쪽에 있는 각 드레인팬(32,34)으로 낙하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냉방운전 종료시에는 양 열교환부(8a,8b)에 어느 정도의 결로수가 잔류한다. 여기에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 의해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폐쇄 상태로 하면 뒤쪽 열교환부(8a)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앞측 열교환부(8b)가 응축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앞쪽 열교환부(8b)에 보유되어 있는 응축수가 증발된다. 그리고,증발된 수분은 뒤쪽 열교환부(8a)에서 결로한다. 뒤쪽 열교환부(8a)는 그 공기 흡입면적이 작으므로 상기 단위면적당의 응축수량이 많아지고 원활하게 후방 드레인판(34)으로 낙하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 결과,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종료시에는 적어도 앞쪽 열교환부(8b)에서 결로하여 보수되어 있었던 분량만큼은 실내유닛(3)내의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시에는 제습운전시보다도 실내팬을 저속으로 운전하므로, 실내유닛(3) 내부의 수분량의 감소효과는 제습운전보다도 높다.
또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상기 건조운전시간을, 그 운전개시시, 즉 냉방운전종료시, 제습운전종료시의 방(R)내 습도(Ha)(습도센서의 검출습도)에 정비례하여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습도(Ha)가 높은 상태에서는 10분간, 중간 상태에서는 8분간, 낮은 상태에서는 5분간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각 시간은 공기조화기(1)의 능력 등에 따라 변경해도 좋다. 또한, 습도(Ha)에 비례하여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시간을 변경하고 있으므로, 실내유닛(3)내의 잔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장시간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이 실시되고, 적은 경우에는 단시간의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이 실시되도록,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 전기집진기(49) 및 음이온 발생기(53)는 ON이어도 OFF이어도 좋지만 가능하면 ON으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ON으로 해 두면 전기집전기(49)로부터 발생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53)로부터 음이온이 분출공기에 섞여 쇼트서킷하고, 다시 실내유닛(3)내에 흡입되므로, 환류한 오존 및 음이온이 실내유닛(3)내의 각부 세균을 약간이긴 하지만 멸균, 감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은 뒤쪽 열교환부(8a)를 증발기로서 동작시키고, 앞측 열교환부(8b)를 응축기로서 동작시키고, 실내팬(10)의 능력을 억제하여 극력 실내공기를 실내유닛(3) 내부에 흡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내유닛(3) 내부에 결로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것을 증발기에 의해 회수하며, 실외로 배수함으로써 실내유닛(3) 내부의 습도를 효률좋게 단시간에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는 방(R)내에 분출되는 공기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뒤쪽 열교환부(8a)를 통과한 공기와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앞쪽 열교환부(8b)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저습도이고 적절한 온도가 되고, 분출공기의 일부가 거주영역측으로 흘러나와도 불쾌감을 주는 일이 거의 없고 방(R)내 습도(Ha)를 높일 우려도 적다.
상기의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이하, 제 1 건조운전 처리 실시예라고 부름)에서는 댐퍼(36)를 폐쇄 상태로 하고, 전방 분출루버(44b)를 수평보다 약간 위쪽을 향한 위치(Yb)로 한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된 실내유닛(3)내 공기를, 개방 상태의 전면 패널(23)의 전면개구(24) 부분으로부터 다시 실내유닛(3)내로 되돌아가는 쇼트서킷 운전을 실시한다. 상기 운전에 의해 실내유닛(3) 내부에 결로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앞쪽 열교환부(8b)에서 증발하고,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뒤쪽 열교환부(8a)에서 결로하여, 드레인수가 되어 실외에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이하, 제 2 건조운전처리 실시예라고 부름)와 같이 실내유닛(3) 내의 공기를 밖으로 거의 분출하지 않고 실내유닛(3)내에서 환류시키도록 하여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는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도 10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표에 따라서 실시된다. 우선 제 1 스텝(T1)에서, 각부를 도 10에 도시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의 동작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제 1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전면 패널(23)을 폐쇄상태로 하고, 전방 분출루버(44b)를 폐쇄위치(Xb)로 하고 댐퍼(36)를 개방상태로 하고, 상방 흡입루버(42)를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로 한다. 그리고, 다른 각부에 대해서는 제 1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반처리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압축기(4)를 저속연속운전상태로 하고, 실외팬(9)을 저속연속운전상태 또는 저속과 정지의 교대반복운전상태, 실내팬(10)을 극저속 운전상태로 하고,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폐쇄 상태로 하고, 실외팽창밸브(7)를 개방 상태로 하고, 사방향 밸브(5)를 냉방을 실시하는 위치로 하고, 또한 후방 분출루버(44a)를 폐쇄 위치(Xa)로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실내유닛(3)내의 공기가, 주통과유로(30)를 흐르고 실내열교환기(8), 실내팬(1)을 통과하고 분출구(26) 부분으로부터 연결개구(35)를 통과하고, 연통통로(38)를 거쳐 다시 주통과유로(30) 및 실내열교환기(8)에 흐르도록 한다. 또한, 전기집진기(49)를 ON상태로 하여 운전하도록 해도 좋고 오프상태이어도 좋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53)도 ON상태이어도 좋고 OFF상태이어도 좋다. 그리고, 계속되는 제 2 스텝(T2) 이후의 각 스텝(T3∼T9)도, 제 1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고,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예와 달리, 극저속으로 한 실내팬(10)에 의해 실내유닛(3) 내의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8)로부터 주 통과유로(30)를 흘러 좌우 루버(46)를 통과하고, 또한 폐쇄상태에 있는 후방 분출루버(44a), 전방 분출루버(44b)의 분출구(26) 부분 및 댐퍼(36)가 개방상태에 있는 연통개구(35)를 통과하고, 폐쇄상태에 있는 전면 패널(23)의 이면에 형성된 연통통로(38)를 거쳐 다시 실내열교환기(8)의 상류측에 흐르는 구성의, 실내유닛(3)내에 순환로를 형성한 운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실내유닛(3)내에 순환로를 형성한 운전에 의해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폐쇄상태(스로틀 있음)로 하여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따라서 고온이 되어 있는 공기 흡입면적이 큰 앞쪽 열교환부(8b)로부터 습도가 높은 공기와, 냉방, 제습운전종료시에 실내유닛(3) 내부에서 발열한 수분이 흘러 나오고, 실내유닛(3)내의 공기온도를 높이고 실내유닛(3) 내부의 드레인수의 증발을 가속하고, 또한 실내팬(10), 분출구(26) 및 분출구(26) 근방에 있는 각종 루버(44a, 44b, 46)등의 온도를 높여 결로를 방지한다. 그 결과, 실내 유닛(3)내에 응축하고 있는 수분은 급속하게 증발하고 또한 증발한 수분은 순환로를 흐르고, 그 후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따라서 저온이 되어 있는 공기흡입면적이 작은 뒤쪽 열교환부(8a)에서 응축하고 원활하게 드레인수로서 뒤쪽 드레인판(34)에 회수,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2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실시예에서도 제 1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전면 패널(23)을 폐쇄 상태로 하여 방(R)으로부터의 공기 흡입량을 적게 하고, 실내 유닛(3)내의 공기를 내부에서 순환환류시켜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후측 열교환부(8a)에서 제습처리함으로써, 실내유닛(3) 내부의 결로수 등의 응축수분을 많이 배수하고, 보다 고효율의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26)에 설치한 후방 분출루버(44a), 전방 분출루버(44b)를 모두 폐쇄위치(Xa, Xb)로 하여 운전하므로, 방(R)으로의 공기의 분출도 거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위쪽 흡입구(25)는 상방 흡입루버(42)를 폐쇄상태로 하여 폐쇄하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개폐기구를 갖지 않는 구조 등에서는 개방한 상태에서도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의 효과는 얻어진다. 또한, 좌우루버(46)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존했지만 정면에서 보아 좌측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실내유닛(3)내의 공기의 순환이 전체에 걸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운전모드로서 냉방운전 또는 제습운전후에 자동클린모드를 설정한 경우,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후에 실시되는 클린운전처리의 운전모드에서의 제어는 도 8의 플로우차트 및 도 9의 각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표에 따라서 실시된다. 우선, 제 1 스텝(U1)에서 각부를 도 9에 도시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에서의 동작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압축기(4)와 실외팬(9)을 정지상태로 하고, 실내팬(10)을 제습운전시보다 저속인 극저속 운전상태로 하며, 실외팽창밸브(7)와 실내 스로틀 밸브(14)를 개방상태로 하고, 사방향 밸브(5)를 냉방을 실시하는 위치로 해 둔다.
또한, 실내유닛(3)의 상방 흡입루버(42)를 폐쇄상태로 하고 전면 패널(23)도폐쇄상태로 하며, 후방 분출루버(44a) 및 전방 분출루버(44b)도 모두 폐쇄위치(Xa, Xb)로 한다. 또한, 좌우 루버(40)를 그 전단부분이 전면개구(24)측에서 보아 좌측이 되도록 회전운동시키고, 실내팬(1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좌측방향으로 편향하도록 한다. 또한, 댐퍼(36)를 개방상태로 하여 통류 가능하게 한 연통개구(35)를 통하여, 분출구(26) 근방의 주 통과유로(30)와 전면 패널(23)의 이면측에 형성된 연통통로(38)를 연통시킨다.
이에 의해, 실내유닛(3)내에는 주 통과유로(30)에 위치하는 실내팬(10)으로부터 음이온 발생기(53) 근방을 거쳐 연통개구(35)에 이르고, 또한 연통통로(38)를 통과하여, 전기집진기(49)(오존발생장치(52))가 배치되어 있는 실내열교환기(8) 상류부분에서의 주 통과유로(30)를 거쳐, 실내팬(10)으로 되돌아가는 순환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내유닛(3)내에는 실내팬(10)에 의해 도 3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환류, 즉 실내팬(10)으로부터 주통과유로(30)를 분출구(26)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연통개구(35)에 이르고, 또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개구(35)로부터 연통도로(38)를 지나, 전기집진기(49)(오존발생장치(52)), 실내열교환기(8)를 지나 실내팬(10)으로 흐르는, 극저속 공기의 환류가 발생한다. 또한, 전기집진기(49)에 대해서는 ON상태로 하여 방전전극(50a)에 제 1 고전압(VH1)을 인가하여 오존발생장치(52)로서 동작시키고, 음이온 발생기(53)도 ON상태로 한다.
다음에, 제 2 스텝(U2)에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10분간 설정한다. 그 후, 제 3 스텝(U3)으로 나아간다. 여기에서, 타이머를 스타트시킴으로써 클린운전이 개시된다. 그 후, 제 4 스텝(U4)으로 나아가고 타이머에 설정된 소정시간, 즉 10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실시한다. 소정시간(10분)이 경과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 5 스텝(U5)으로 나아가고 여기에서 클린운전을 종료하고, 각부를 도 9에 도시한 정지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클린운전처리는 냉방운전시나 난방운전시에 실내유닛(3)내의 각부에 부착된 세균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클린운전처리에서는 냉동사이클을 정지시키고, 실내팬(10)을 극저속 회전으로 한 상태에서 실내유닛(3)내에서 공기를 환류시킨다. 즉, 분출구(26) 및 전면 개구(24)나 위쪽 흡입구(25)의 흡입구를 폐쇄하고 실내유닛(3) 내를 극력 밀폐한 상태로 유지하며, 댐퍼(33)를 개방하고 좌우 루버(46)를 좌측 방향으로 편향시켜, 실내유닛(3)을 대각선 방향으로 긴 원을 그리도록 하여 순환하는 극저속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 환류에 의해 전기집진기(49)를 그 방전전극(50a)에 제 1 고전압(VH1)을 인가하여 오존발생장치(52)로서 동작시켜 발생시킨 오존, 또한 음이온 발생기(53)를 ON상태로 하여 발생시킨 음이온을 실내유닛(3)내에 건너가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실내유닛(3)내의 각부에 부착된 세균의 살균, 멸균이 양호하게 실시되고, 또한 오존과 음이온을 동시에 존재시킴으로써 단독으로 존재시킨 경우보다도 보다 효과적으로 세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운전처리에서는 분출구(26)나 흡입구의 전면개구(24)나 위쪽 흡입구(25)를 폐쇄상태로 하므로, 오존이 방(R)내에 누출되지 않고, 방(R)내에 오존 냄새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방(R)내로의 오존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내유닛(3)내의 오존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사용되는 전기집진기는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능력으로 결정되는 비교적 큰 용적을 갖지만,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사용되는 전기집진기는 그 용적이 약 반 정도로 가능하다. 상기 용적은 실내 열교환기의 거의 반이고, 따라서 전기집진기를 실내 열교환기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치상태에서는 전기집진기가 오존발생장치로서 동작할 때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가, 전기집진기가 설치되어 있는 근방의 한쪽에서 높아지고, 다른쪽에서 낮아지는 불합리함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클린운전처리시에, 실내유닛(3)내에 연통통로(38)를 형성하여 공기를 환류시킴으로써 발생시킨 오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너가게 하고 있다. 따라서, 연통통로(38)에 의존하지 않고 공기를 순환시키는 종래예에 비해 매우 단시간에서 오존이 다른쪽까지 균일하게 건너가고, 실내유닛(3)내의 오존의 농도분포가 단시간내에 균일해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기집진기(49)가 오존발생장치(52)로서도 기능하도록 했지만, 오존발생장치(52)를 전기집진기(49)와 독립하여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실내유닛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처리나 클린운전처리시에, 위쪽 흡입루버(42)에 의해 위쪽 흡입구(25)가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지만, 상방 흡입루버(42)를 설치하지 않고 위쪽 흡입구(25)를 개방상태인 채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약간 저하되지만 실내유닛(3)내의 건조효과 및 세균의 살균, 멸균효과는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 가습공기를 분출함으로써 방에 있는 사람의 쾌적감을 손상시킬 우려도 없고, 냉방운전정지후에서의 실내유닛내의 고온다습상태를 비교적 단시간내에 해소하여 세균의 번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균의 번식에 의한 이상한 냄새의 발생이 방지되고 위생적으로 양호한 공조를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0)

  1.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실내팬, 제 1 실내열교환기, 제 2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제 1실내 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장착된 감압장치를 수납한 실내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을 저풍량으로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제 2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위쪽 흡입구, 앞쪽 흡입구, 실내팬, 제 1 실내열교환기, 제 2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장착된 감압장치를 수납한 실내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부분과 흡입구 부분 사이를 개폐기구를 통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 내를 통과하지 않고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통로,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앞쪽 흡입구 개폐기구, 상기 분출구를 개폐하는 분출구 개폐기구, 상기 실내팬, 및 상기 개폐기구를 연통 가능하게 열고, 상기 흡입구 개폐기구를 닫고, 상기 분출구 개폐기구를 닫고, 상기 실내팬을 저풍량으로 제어하고, 또한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제 2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의 공기흡입 면적이 제 2 실내열교환기의 공기흡입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실내열교환기가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는 상기 감압장치의 스로틀을 작게 또는 완전 개방상태로 하고, 상기 제 1 실내열교환기와 제 2 실내열교환기를 모두 증발기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닛의 흡입구는 앞쪽에 설치되고, 공기의 대부분을 제 1 실내열교환기로 유입하는 전방측 흡입구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주로 제 2 실내열교환기로 유입하는 상측 흡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 유닛이또한 상기 상측 흡입구를 개폐하는 상측 흡입구 개폐기구를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내 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 시에 상기 상측 흡입구 개폐기구를 동작시키고 상기 흡입구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닛은 분출구를 개폐하는 분출구 개폐루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 모드 시에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분출공기가 주로 상기 흡입구로 돌아가도록 상기 분출구 개폐루버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냉방운전 종료 후, 자동적으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닛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 시에 상기 오존발생장치 및 음이온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또한 리모트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냉방운전 종료후, 자동적으로 실내유닛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모드를 실시할지, 여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11555A 2001-03-23 2002-03-05 공기조화기 KR100453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85463 2001-03-23
JP2001085463A JP4297625B2 (ja) 2001-03-23 2001-03-23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24A true KR20020075224A (ko) 2002-10-04
KR100453447B1 KR100453447B1 (ko) 2004-10-20

Family

ID=1894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55A KR100453447B1 (ko) 2001-03-23 2002-03-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97625B2 (ko)
KR (1) KR100453447B1 (ko)
CN (1) CN1239848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49B1 (ko) * 2001-08-24 2005-10-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KR20130079849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29681A1 (ko) * 2022-08-04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029B2 (ja) * 2003-11-19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69352B2 (ja) * 2004-12-06 2009-11-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668649B2 (ja) * 2005-03-10 2011-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3897804B1 (ja) * 2005-10-31 2007-03-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8008564A (ja) * 2006-06-30 2008-01-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8032343A (ja) * 2006-07-31 2008-02-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5101070B2 (ja) * 2006-09-29 2012-12-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フィルタ再生制御方法
JP4683056B2 (ja) * 2008-02-05 2011-05-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1694311B (zh) * 2009-10-23 2011-11-30 清华大学 一种带自然冷却功能的液泵供液多联式空调机组
ES2558321T3 (es) * 2010-01-26 2016-02-03 Daikin Industries, Ltd. Unidad de interior montada en el techo para dispositivo de aire acondicionado
JP5558136B2 (ja) * 2010-02-22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627502B2 (ja) * 2011-02-17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3073758A1 (en) * 2011-11-17 2013-05-23 Coway Co., Ltd. Dehumidification-type air cleaner
CN102788404B (zh) * 2012-07-31 2014-11-12 宁波奥克斯电气有限公司 防止直流变频空调低压故障停机的控制方法
CN103277870A (zh) * 2013-05-03 2013-09-04 上海交通大学 基于双重温度测量的空调控制系统
CN104654515B (zh) * 2013-11-21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积尘检测方法及系统
JP6477126B2 (ja) * 2014-04-08 2019-03-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型の空調室内ユニット
CN104566910A (zh) * 2014-12-16 2015-04-29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壁挂式空调
CN104748267B (zh) * 2015-03-23 2017-09-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组件、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CN106322508A (zh) * 2015-06-25 2017-01-1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组件
CN106016829A (zh) * 2016-05-23 2016-10-12 东南大学 一种家用分体式空调器
JP2018025344A (ja) * 2016-08-0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7062529B (zh) * 2017-03-06 2019-10-0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的模式切换控制方法
CN107084429B (zh) * 2017-04-17 2020-02-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8895544A (zh) * 2018-06-01 2018-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空调系统及空调室内机的除菌控制方法
JP2020008181A (ja) * 2018-07-03 2020-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20250294A1 (ja) * 2019-06-11 2020-12-1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室内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6974756B2 (ja) * 2019-09-30 2021-1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7022286B2 (ja) * 2019-11-15 2022-0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915668B2 (ja) * 2019-11-15 2021-08-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13587395B (zh) * 2020-04-30 2023-03-07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控制方法
CN112665152B (zh) * 2020-12-21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与处理器
CN113251634A (zh) * 2021-05-10 2021-08-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空调器
CN113819610A (zh) * 2021-08-1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控制方法、空调器和存储介质
CN114904036A (zh) * 2022-04-18 2022-08-16 安徽冠东电子科技有限公司 风冷散热式臭氧消毒机
CN115899988A (zh) * 2022-11-07 2023-04-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风道清洁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068B2 (ja) * 1990-05-18 1995-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105276B2 (ja) * 1991-01-09 2000-10-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5141692A (ja) * 1991-11-19 1993-06-0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3413232B2 (ja) * 1993-03-19 2003-06-0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677887B2 (ja) * 1996-09-11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H11223376A (ja) * 1998-02-09 1999-08-1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0140688A (ja) * 1998-11-13 2000-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および空質調和装置
JP3794212B2 (ja) * 1999-07-30 200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49B1 (ko) * 2001-08-24 2005-10-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KR20130079849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29681A1 (ko) * 2022-08-04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86278A (ja) 2002-10-03
CN1239848C (zh) 2006-02-01
KR100453447B1 (ko) 2004-10-20
JP4297625B2 (ja) 2009-07-15
CN1376877A (zh)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447B1 (ko) 공기조화기
EP1553358B1 (en) Air conditioner
JP2002286240A (ja) 空気調和機
JP2003074962A (ja) 空気調和装置
JP4476514B2 (ja) 空気調和機
JP2009079783A (ja) 換気空調装置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JP4285959B2 (ja) 空気調和機
JP2002349891A (ja) 空気調和機
JP3576149B2 (ja) 空気調和機
JP4548979B2 (ja) 空気調和機
JP4277166B2 (ja) 空気調和機
KR101420873B1 (ko) 공기 조화 장치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JP5462517B2 (ja) 機器制御方法及びそれを採用した空気調和機
JP4938536B2 (ja) 空気調和機
JP3942910B2 (ja) 空気調和機
JP4484011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430002B1 (ko)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310660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6123469A (ja) 空調換気機能付き除湿ユニットの運転制御装置
CN219624191U (zh) 下出风式空调器及应用其的干衣柜
JP4183321B2 (ja) 空気調和機
KR100601215B1 (ko) 셀프-클리닝이 가능한 분리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