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01B1 -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01B1
KR101204001B1 KR1020070087372A KR20070087372A KR101204001B1 KR 101204001 B1 KR101204001 B1 KR 101204001B1 KR 1020070087372 A KR1020070087372 A KR 1020070087372A KR 20070087372 A KR20070087372 A KR 20070087372A KR 101204001 B1 KR101204001 B1 KR 10120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water
drying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220A (ko
Inventor
서국정
윤인철
조경래
김형철
송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Abstract

열교환기에 물을 뿌리는 살수부재를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 표면의 스케일을 억제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내 습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되, 열교환기 표면에서 자연 건조되는 동작을 줄이기 위해 건조 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살수부재에 물을 공급하는 유량밸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을 억제한다.
열교환기, 가습, 스케일, 건조, 급수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HUMIDIFYING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열교환기 표면의 스케일을 억제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 기능에 더하여 가습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가습 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있는데, 그러한 공기조화기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9051호에 기재된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팬에 마련된 저수부와, 이 저수부에 모인 응축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관을 통해 펌프와 연결된 살수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습 장치를 구비하여서, 베이스팬에 모인 응축수가 펌프에 의해 살수 트레이로 전달되고, 살수 트레이에 전달된 물은 실내 열교환기로 낙하하여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가습하도록 되어 있다.
가습 시 살수 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비산하여 실내 열교환기에 묻을 수 있으며, 가습이 정지되면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이 자연 건조되는 과정에서 스케일이 생성되게 된다. 열교환기에 스케일이 생성되면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일본공개특허 제1993-322277호는 가습 케이스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수단과 가습 케이스 안의 가습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습 히터를 구비한 가습기를 실내 유닛 내부에 마련하고, 소정 급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급수 수단을 제어하여 가습 케이스 안의 가습 용수를 교체하여 가습 케이스에서의 스케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용 문헌에서는 가습 케이스의 공급된 가습 용수의 수질이 나빠서 가습 케이스에서 스케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을 뿐, 가습하지 않고 자연 건조 시 열교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을 억제하는 방법과는 관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실내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 장치를 가동하는 경우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를 번갈아 수행하되, 급수 시기를 확대하고 단수 시기를 단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스케일을 억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부재; 상기 살수부재에 물 공급하기 위한 유량 밸브; 및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되,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서 자연 건조되는 동작을 줄이기 위해 건조 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유량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급수원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량 밸브는 상기 급수원과 상기 살수부재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을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가습 모드 수행한 이후 처음 수행하는 초기 건조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유량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를 가동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건조모드 이후에 수행하는 건조 모드에서는 단수하기 위해 상기 유량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 정지시킨다.
상기 유량 밸브는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차단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로터리식 유량 밸브이다.
본 발명은, 실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감지부를 통해 감지하는 습도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따라 가습 모드 또는 건조 모드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부재와, 상기 살수부재에 물 공급하기 위한 유량 밸브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 운전하는 동안 가습 모드 또는 건조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가습 모드이면 상기 유량 밸브를 항상 개방하며, 상기 건조 모드이면 상기 유량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난방 운전 시 실내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실내 습도와 미리 설정한 기준 습도를 비교하여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가습 모드 수행한 이후 처음 수행하는 초기 건조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유량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초기 건조모드 이후에 수행하는 건조 모드에서는 단수하기 위해 상기 유량밸브를 폐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가습된 실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습 모드에서는 항상 급수가 계속되도록 하고 건조 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선택적으로 하되 건조 모드의 수행 횟수에 따라 급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열교환기 표면에서 자연 건조되는 시기를 줄여서 열교환기의 스케일을 억제한 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는 난방 운전하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에 살수부재를 이용하여 물을 뿌려서 가습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하는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를 가진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주위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냉매가 흐르는 다수의 냉매관(10)과, 다수의 냉매관(10)이 끼워져서 관통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20)과, 열교환 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 열교환 핀(20)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모으는 트레이(30)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기는 다수의 열교환 핀(20)과 냉매관(10)에 골고루 물을 뿌려서 가습작용 또는 냉각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살수부재(40)를 포함한다.
트레이(30)의 하단에는 트레이(30)에 모인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호스(32)가 끼워진 배출관(31)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열교환 핀(2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서 배치되어 응축수가 하향으로 흘러내리게 하며, 다수의 냉매관(10)은 전체 열교환 핀(20)을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각 열교환 핀(2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에 끼워지게 된다.
다수의 냉매관(10)은 열교환 핀(2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제1열의 냉매관(10a)과 제2열의 냉매관(10b)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냉매관(10)은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에 마련되는 압축기, 팽창 밸브 등과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며, 난방 운전 시 압축기에서 토출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받고 후술하는 실내 송풍기의 가동에 따라 실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살수부재(40)는 각 열교환 핀(2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21)에 끼워져서 열교환 핀(20)에 일체로 결합되며, 살수부재(4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살수부 또는 슬롯(50)이 마련되어서 살수부재(40)를 통과하는 물이 하향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핀(20)과 냉매관(10)으로 물이 살수되게 한다.
짝수의 살수관(41)(42)으로 형성된 살수부재(40)는 다수의 열교환 핀(20)의 관통홀(21)에 끼워진 후 확관 작업을 통해 직경이 확장되어 열교환 핀(20)의 관통홀(21)에 밀착됨으로써 간편하게 열교환 핀(20)에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부재(40)는 제1살수관(41)과 제2살수관(42)이 U 형상의 연결부(4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져서, 제1살수관(41)의 일단은 살수부재(40)로 물이 공급되는 입구부(41a)를 형성하게 되고, 제2살수관(42)의 일단은 살수부재(40)의 슬롯(50)으로 빠져 나가지 않은 물이 배출되는 출구부(42b)를 형성하게 된다. 열교환 핀(20)과 냉매관(10)으로 물을 뿌리기 위한 슬롯(50)은 제1살수관(41)과 제2살수관(42)의 하부에 일정 폭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에서 급수부터 가습 까 지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살수관(41)은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급수관(61)에 연결된 외부 급수원(60)에 연결되고, 그 급수관(61)의 중도에는 물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밸브(70)가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유량 밸브(70)는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로 구현할 수 있다.
열교환기 표면에 살수하기 위하여 유량 밸브(70)를 개방시키면 제1살수관(41)의 입구부(41a)는 외부 급수원(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되고, 이에 따라 살수부재(40)를 이용한 살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열교환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팬(31)과 그 송풍팬(31)을 회전시키는 송풍 팬모터(32)를 포함하는 실내 송풍기(30)를 가동하면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기 핀(20)에 냉매관(10)을 흐르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살수되는 물을 통과하는 실내 공기에는 수분이 섞여서 실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 내 가습 작용이 이루어진다.
실내 공간에서 가습하는 동안 센서에 의해 습도가 감지되어 후술하는 제어부에 제공된다.
제2살수관(42)의 출구부(42b)는 트레이(30)를 향해 하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호스(미도시)에 의해 트레이(30)의 배출관(31)에 연결되게 하여 물이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의 입력측에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80)와 실내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감지부(81)가 연결되고, 그 출력측에는 송풍 팬모터(32)와 유량밸브(70)가 연결된다.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하며, 실내의 습도에 따라 가습과 건조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90)는 습도 감지부(81)를 통해 감지한 실내 습도와 미리 설정한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송풍팬모터(32)의 가동 여부와 유량밸브(7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특징적으로 제어부(90)는, 열교환기에 뿌려진 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스케일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실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습 모드에서는 항상 급수 하도록 하고 건조 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선택적으로 하되 건조 모드의 수행 횟수에 따라 급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급수 없이 자연 건조하는 시기를 줄일 수 있도록 송풍팬 모터(32)와 유량 밸브(70)를 제어한다.
도 5를 참고하면,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가습 동작과 건조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되, 가습을 수행하는 모든 가습(A) 및 가습(B)에서 급수를 함과 아울러 처음 건조(A)에서도 급수가 되게 하여 유량밸브(70)를 개방하는 시기 즉 급수 시기를 확대하며, 나중 건조B)에서는 급수를 제한함으로서 유량밸브(70)를 폐쇄하는 시기 즉, 단수 시기를 단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6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100). 난방 운 전 동안 습도감지부(81)는 실내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는 실내 습도를 인식한다(102).
가습(A) 모드에서는, 제어부(90)는 감지한 실내 습도(Hs)와 미리 설정한 습도 상한값(Ht)보다 큰지를 판단하고(104), 그 판단 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상한값(Ht)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90)는 유량밸브(32)를 온시켜 개방하고 송풍 팬모터(32)를 온시켜 가동한다. 이에 따라 살수부재(40)는 개방된 유량밸브(32)를 통하여 급수원(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그 공급되는 물이 제1 및 제2살수관(41)(42)의 슬릿(50)을 통하여 하향 낙하하고, 송풍팬모터(32)의 가동으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수분이 섞여서 실내로 공급되고 이로서 가습이 이루어진다(105).
동작 104의 판단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상한값(Ht)보다 크면, 제어부(90)는 현재 밸브상태 변수(SV)를 1 증가한다(106).
그런 다음 제어부(90)는 밸브상태 변수(SV)가 미리 설정된 변수값 예컨대 2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08).
밸브상태 변수(SV)가 미리 설정된 변수값보다 크지 않으면 예컨대 건조(A)와 같은 동작 모드인 경우, 제어부(90)는 건조 모드라고 하여도 급수 동작을 지속하기 위하여 유량밸브(70)를 온시켜 개방하고 아울러 실내 공기와 열교환기 사이의 열교환 동작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송풍 팬모터(32)를 오프시켜 가동을 정지한다(110). 여기서 건조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도 급수가 이루어지므로 열교환기 표면에서의 자연 건조되는 작용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 다음 제어부(90)는 감지한 실내 습도(Hs)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112), 그 판단 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지 않으면 현 상태를 지속하기 위하여 동작 110로 진행한다.
동작 112의 판단 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으면, 제어부(90)는 현재 밸브상태 변수(SV)를 1 증가한다(114).
그런 다음 가습(B)와 같은 동작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90)는 제어부(90)는 유량밸브(70)를 온시켜 개방하고 송풍 팬모터(32)를 온시켜 가동한다(116). 이후 동작 102로 진행한다.
한편, 동작 108의 판단 결과 밸브상태 변수(SV)가 미리 설정된 변수값 예컨대 2보다 크면 제어부(90)는 실질적인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유량밸브(70)를 오프시켜 단수되도록 하고 송풍 팬모터(32)를 오프시켜 가동 정지한다(109).
그런 다음 제어부(90)는 밸브상태 변수(SV)를 초기값인 0으로 설정한다(111).
그런 다음 제어부(90)는 감지한 실내 습도(Hs)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113), 그 판단 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지 않으면 동작 102로 진행하고, 그 판단 결과 감지한 실내 습도(Hs)가 미리 설정한 습도 하한값(Hb)보다 작으면 유량 밸브(70)를 온시켜 개방하고 송풍 팬모터(32)를 온시켜 가동하여 가습 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엎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유량 밸브가 온 또는 오프 하는 방법 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량밸브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앞에서 설명한 가습과 건조를 위한 동작 모드에 따라 물 공급하는 동작을 제어하되, 건조 모드에서는 건조 횟수를 고려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서 즉 급수 시기를 확대하고 단수 시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물 공급을 제어하는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조절수단은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차단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로터리식 유량 밸브로서 구현할 수 있다.
그러한 유량 밸브의 변형 예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동작 상태를 도 7a 내지 도 7d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식 유량 밸브(70a)는 급수원(6)에 연결되는 연결관(61)에 접속되고 밸브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하는 하나의 입구(71)와, 제1살수관(41)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분기되는 3개의 분기관(41a)(41b)(41c)에 각각 접속되고 밸브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하는 3개의 출구(72)(73)(74)를 포함한다. 또한 로터리식 밸브(70a)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유로 차단부재(76)를 포함한다.
가습(A) 동작 모드인 경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차단부재(76)는 출구(72)에 대응하여 위치되게 하여 그 출구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다른 출구(73)과 출구(74)에 연결된 분기관(41b)(41c)을 통해 제1살수관(41)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건조(A) 동작 모드인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차단부재(76)는 출구(73)에 대응하여 위치되게 하고 그 출구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건조 모드라 하여도 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다른 출구(72)과 출구(74)에 연결된 분기관(41a)(41c)을 통해 제1살수관(41)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가습(B) 동작 모드에서도,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차단부재(76)가 출구(74)를 폐쇄하도록 위치하며, 이에 따라 입구(7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다른 출구(72)과 출구(73)에 연결된 분기관(41a)(41b)을 통해 제1살수관(41)으로 급수도록 한다.
건조(B) 동작 모드에서는,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차단부재(76)가 입구(71)를 폐쇄하도록 위치하면, 급수원(6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출되지 않아 단수가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90)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유로 차단부재의 위치를 제어하되, 열교환기 표면에서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는 자연 건조하기 위한 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급수하는 시기는 확대하고 단수하는 시기는 단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에 살수부재를 설치한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수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에서 급수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에서의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 습도와 유량밸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밸브의 변형 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열교환기 핀 40:살수부재
41:제1살수관 42:제2살수관
60:급수원 70:유량밸브

Claims (9)

  1. 열교환기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부재;
    상기 살수부재에 물 공급하기 위한 유량 밸브; 및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되,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서 자연 건조되는 동작을 줄이기 위해 건조 모드에서는 건조 모드의 수행 횟수를 기초로 급수 동작을 적어도 한번 수행하도록 상기 유량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원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량 밸브는 상기 급수원과 상기 살수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을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가습 모드 수행한 이후 처음 수행하는 초기 건조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유량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를 가동 정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건조모드 이후에 수행하는 건조 모드에서는 단수하기 위해 상기 유량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 정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밸브는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차단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로터리식 유량 밸브인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감지부를 통해 감지하는 습도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따라 가습 모드 또는 건조 모드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7. 열교환기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부재와, 상기 살수부재에 물 공급하기 위한 유량 밸브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 운전하는 동안 가습 모드 또는 건조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가습 모드이면 상기 유량 밸브를 항상 개방하며, 상기 건조 모드이면 건조 모드의 수행 횟수를 기초로 상기 유량 밸브를 적어도 한번 개방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운전 시 실내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실내 습도와 미리 설정한 기준 습도를 비교하여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모드 수행한 이후 처음 수행하는 초기 건조모드에서는 급수 동작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유량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초기 건조모드 이후에 수행하는 건조 모드에서는 단수하기 위해 상기 유량밸브를 폐쇄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방법.
KR1020070087372A 2007-08-30 2007-08-30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0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372A KR101204001B1 (ko) 2007-08-30 2007-08-30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372A KR101204001B1 (ko) 2007-08-30 2007-08-30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220A KR20090022220A (ko) 2009-03-04
KR101204001B1 true KR101204001B1 (ko) 2012-11-23

Family

ID=4069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372A KR101204001B1 (ko) 2007-08-30 2007-08-30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990A (ja) 2002-12-17 2004-07-1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4347297A (ja) 2003-05-26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990A (ja) 2002-12-17 2004-07-1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4347297A (ja) 2003-05-26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220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5035C1 (ru) Кондиционер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JP5092647B2 (ja) 換気空調装置
JP6743869B2 (ja) 空気調和機
JPH11101520A (ja) エアサイクル式空気調和装置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KR19980033402A (ko)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및 공기조화장치
KR102184544B1 (ko) 제습기
JP6897848B2 (ja) 空調システム
JP7285410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TWI659184B (zh)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204001B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36857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JP5863619B2 (ja) 空気調和機
KR101970763B1 (ko) 공기조화기의 동파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JP2009257650A (ja) 温湿度調整装置
JP2009257649A (ja) 温湿度調整装置
JP2003130382A (ja) 空気調和機
JP431779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040464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2020159595A (ja)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116335B2 (ja) 室内空調システム
JPH0926152A (ja) 空気調和機
JP3685752B2 (ja) 空気調和装置
JPH11351730A (ja)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