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16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162A
KR20180044162A KR1020160137924A KR20160137924A KR20180044162A KR 20180044162 A KR20180044162 A KR 20180044162A KR 1020160137924 A KR1020160137924 A KR 1020160137924A KR 20160137924 A KR20160137924 A KR 20160137924A KR 20180044162 A KR20180044162 A KR 2018004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housing
blad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875B1 (ko
Inventor
조상기
김기준
김대동
이창헌
신문선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75B1/ko
Priority to EP17861879.9A priority patent/EP3396266B1/en
Priority to PCT/KR2017/008294 priority patent/WO2018074718A1/ko
Priority to US16/070,397 priority patent/US11054152B2/en
Publication of KR2018004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162A/ko
Priority to KR1020240031291A priority patent/KR2024003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24F2001/004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하우징에 마련된 제1 송풍구 및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와 하우징 내부의 유로를 제어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제어하여 다양한 기류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 방법을 달리하고, 토출되는 기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 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토출되는 기류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송풍구 및 제2 송풍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도어,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2 도어,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상기 제1 송풍구로 가이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상기 제2 송풍구로 가이드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1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제1 송풍구로 향하는 유로를 닫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2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송풍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단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송풍구 및 상기 제2 송풍구가 닫혔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송풍구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송풍구를 가지는 바디와 제2 송풍구를 가지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고, 상기 제1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고, 상기 제2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제1 송풍구로 향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시 제2 송풍구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송풍구를 가지는 바디, 제2 송풍구와 상기 제2 송풍구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덕트를 여닫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기류를 달리하여 송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역할을 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4)와 송풍구(110, 210)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110, 210)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송풍구(110,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은 제1 송풍구(110)와 제2 송풍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제1 송풍구(110)를 여닫는 제1 도어(120)와 제2 송풍구(210)를 여닫는 제2 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도 하우징(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도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제1 도어(120)가 제1 송풍구(110)를 닫았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홀(12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어(220)는 제2 도어(220)가 제2 송풍구(210)를 닫았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에 의해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나 풍량 등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바디(11, 12)와 바디(11, 1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 12)는 제1 송풍구(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벽면에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11, 12)는 벽면에 고정되는 후방 하우징(12)과 후방 하우징(12)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 패널(13)은 하우징(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과 후방 하우징(12)이 형성하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에 열교환기(20)와 송풍팬(3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의 상부에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하우징(10) 외부로 송풍할 수 있는 제1 송풍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제어 패널(15)이 결합될 수 있다. 제어 패널(15)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6)와 공기조화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15)의 내측에는 수신부(16) 또는 표시부(17)의 동작을 위한 인쇄회로기판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3)은 바디(11, 12)의 적어도 일부(312)와 함께 덕트(31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310)는 전면 패널(13)과 전방 하우징(11)의 전방 외측면(3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210)를 포함할 수 있고, 덕트(310)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에서 나온 공기가 제2 송풍구(210)로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덕트(310)의 입구(311)를 여닫는 가이드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1 송풍구(110)로 가이드하는 제1 위치와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210)로 가이드 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덕트(310)의 입구(311)를 닫은 제1 위치와 덕트(310)의 입구를 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가 닫혔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3 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210)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제3 홀(313)은 하우징(10)의 측면 또는 하면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홀(121) 및 복수의 제2 홀(221)과,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홀(313)에 의해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가 닫혔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구(14)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즉, 열교환기(20)는 흡입구(14)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4)로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흡입구(14)는 하우징(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열교환기(20)는 흡입구(14)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흡입구(14)와 송풍팬(30) 사이에서 송풍팬(3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열교환기는 송풍팬과 송풍구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0)의 흡입구(14)에는 필터(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필터는 흡입구(14)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냄새입자 등의 이물을 흡착하여 걸러내기 위한 추가적인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의 형상 및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횡류팬(cross flow fan)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송풍팬(30)은 회전축이 흡입구(14) 및 송풍구(110, 210)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후방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후방 하우징(12)에 장착되는 팬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3)에는 송풍팬(30)을 구동하는 팬 모터와 공기조화기(1)의 기타 다른 구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회로기판 등이 포함되는 작동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여러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제1 지지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0)는 열교환기(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후방 하우징(1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0)는 열교환기(20)에서 응축된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물받이(43)를 포함할 수 있고, 물받이(43)에 모인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0)에는 송풍팬(30)의 송풍 방향을 결정하는 스태빌라이저(50)가 장착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는 송풍팬(30)의 흡입 공기 유로와 토출 공기 유로를 구분하기 위해 송풍팬(3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송풍팬(3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토출 공기의 소용돌이의 위치 및 강도를 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은 송풍팬(30)의 일부를 감싸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후방 가이드면(19)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와 후방 가이드면(19)은 송풍팬(30)의 토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의 저면에는 스태빌라이저(50)와 후방 가이드면(19)에 의해 형성된 유로로 토출되는 공기를 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복수의 핀(fin, 5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핀(51)은 좌우 방향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0)에는 제1 도어(120)와 가이드 블레이드(3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40)에는 제1 도어(120)를 구동하는 제1 모터(130)와 가이드 블레이드(320)를 구동하는 제2 모터(3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복수의 제1 힌지 돌기(124)를 포함하고 제1 모터 연결축(125)를 포함한다. 제1 도어(120)의 복수의 제1 힌지 돌기(124)는 제1 지지부재(4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힌지부(41)에 연결되며, 제1 도어(120)의 제1 모터 연결축(125)은 제1 지지부재(40)에 장착된 제1 모터(130)와 연결된다. 제1 힌지 돌기(124)와 제1 모터 연결축(125)은 동축으로 마련되어, 제1 도어(120)는 제1 모터(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상하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1 송풍구(110)로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를 종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제1 송풍구(110)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122)와 제1 블레이드(122)로부터 이격되고 제1 블레이드(12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블레이드(123)는 제1 블레이드(122)와 이격되어 마련되되, 제1 블레이드(122)의 세로 폭보다 좁은 세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홀(121)은 제1 블레이드(1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1 홀은 제2 블레이드(123)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에 홀이 형성되지 않으면,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를 덕트(310)를 향하여 굴절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복수의 제2 힌지 돌기(324)를 포함하고 제2 모터 연결축(325)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레이드(320)의 복수의 제2 힌지 돌기(324)는 제1 지지부재(40)에 마련된 복수의 제2 힌지부(42)에 연결되며, 가이드 블레이드(320)의 제2 모터 연결축(325)은 제1 지지부재(40)에 장착된 제2 모터(330)와 연결된다. 제2 힌지 돌기(324)와 제2 모터 연결축(325)는 동축으로 마련되어,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모터(3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이드 블레이드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는 수동으로 회전 시킬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덕트(310)의 입구(311)를 연 제2 위치에서 제1 송풍구(11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4 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210)로 가이드 하는 제2 위치에서,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120)가 닫혔을 때, 복수의 제4 홀(321)을 통하여 제1 송풍구(11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또 다른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지지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0)는 전방 하우징(11)의 전방 외측면(312)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60)는 덕트(3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도어(2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0)의 상면에는 제2 지지부재(60)에 의해 덕트(310)가 폐쇄되지 않도록 관통홀(6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복수의 제3 힌지 돌기(224)를 포함하고 제3 모터 연결축(225)를 포함한다. 제2 도어(220)의 복수의 제3 힌지 돌기(224)는 제2 지지부재(60)에 마련된 복수의 제3 힌지부(61)에 연결되며, 제2 도어(220)의 제3 모터 연결축(225)은 제2 지지부재(60)에 장착된 제3 모터(230)와 연결된다. 제3 힌지 돌기(224)와 제3 모터 연결축(225)은 동축으로 마련되어, 제2 도어(220)는 제3 모터(2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상하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구(210)로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를 종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1 도어(120), 제2 도어(220), 가이드 블레이드(320)를 통해 풍향 또는 풍량 등의 기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도어(120)는 제1 힌지돌기(1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1 송풍구(110)를 열 수 있고, 제2 도어(220)는 제2 송풍구(210)를 닫을 수 있다. 제1 송풍구(110)는 하우징(10)의 하부, 구체적으로 후방 하우징(12)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송풍구(110)가 열린 상태로 공기조화기(1)가 작동되면 풍속이 강하고 풍향이 전방 및 하방을 향하는 기류의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벽면의 상측에 설치된다는 가정하에 공기조화기(1)의 제1 송풍구(110)가 개방된 동작 모드를 하향풍 모드 또는 직풍 모드로 정의한다. 직풍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강한 송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할 수 있고, 강한 풍속과 많은 풍량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조화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제1 블레이드(122)와 제2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블레이드(123)는 제1 블레이드(122)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23)는 제1 송풍구(110)로 송풍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120)는 제2 블레이드(123)에 의해 상하방향의 기류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더 빠른 풍속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하향풍 모드에서,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를 제1 송풍구(110)로 향하는 제1 유로로 가이드하는 제1 위치(320a)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덕트(310)로 향하지 않도록 제1 위치(320a)에서 덕트(310)의 입구(311)를 닫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도어(120)는 제1 송풍구(110)를 닫을 수 있고, 제2 도어(220)는 제3 힌지돌기(2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송풍구(210)를 열 수 있다. 제2 송풍구(210)는 하우징(10)의 전면,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3)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송풍구(210)가 열린 상태로 공기조화기(1)가 작동되면 풍속이 강하고 풍향이 전방 및 상방을 향하는 기류의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벽면의 상측에 설치된다는 가정하에 공기조화기(1)의 제2 송풍구(210)가 개방된 동작 모드를 상향풍 모드 또는 간접풍 모드로 정의한다. 간접풍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송풍이 되지 않으면서 대류에 의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강한 풍속과 많은 풍량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조화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제2 송풍구(210)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단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도어(220)에 마련되는 제3 힌지돌기(224)는 제2 도어(22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도어(220)는 제3 힌지돌기(2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송풍구(210)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구(210)는 천장에 가까이 송풍되도록 전면 패널(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향풍 모드에서,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힌지돌기(3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위치(320b)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위치(320b)에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210)로 향하는 제2 유로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덕트(310)로 향할 수 있도록 제2 위치(320b)에서 덕트(310)의 입구(311)를 열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위치(320b)에서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와 함께 제1 송풍구(110)로 향하는 유로를 닫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는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를 닫을 수 있고,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위치(320b)로 이동하여 덕트(310)의 입구(311)를 열 수 있다. 덕트(310)의 일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3)에는 복수의 제3 홀(313)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가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를 닫았을 때,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전면 패널(13)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홀(313)은 제2 송풍구(210)의 상부에도 형성되므로,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2 지지부재(60)의 상부에 마련된 관통홀(62)을 통과하여 덕트(310)의 상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어(220)에도 복수의 제2 홀(221)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가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를 닫았을 때,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에도 복수의 제4 홀(321)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가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210)로 가이드 하는 제2 위치(320b)이고,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220)가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를 닫혔을 때,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가이드 블레이드(320)에 형성된 복수의 제4 홀(321)을 통해 제1 송풍구(1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가이드 블레이드(320)와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 사이의 틈으로도 유동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에도 복수의 제1 홀(121)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4 홀(321) 또는 가이드 블레이드(320)와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 사이의 틈으로 나온 공기는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121)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가 닫힌 상태로 공기조화기(1)가 작동되면, 풍속이 약하고, 풍향이 전방위로 퍼지는 기류의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210)가 닫힌 상태에서의 동작 모드를 무풍 모드로 정의한다. 무풍 모드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송풍이 되지 않으면서, 실내의 공기 조화가 전체적으로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향풍 모드에서는, 제1 송풍구(110)가 개방되어 있어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는 제1 송풍구(110)를 향하는 강한 기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가이드 블레이드(320)에 형성된 복수의 제4 홀(321)을 통해서 덕트(310)로 유입되는 양은 없거나 극히 적다.
상향풍 모드에서는, 제2 송풍구(210)와 덕트(310)의 입구(311)가 개방되어 있어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는 덕트(310)를 지나 제2 송풍구(210)를 향하는 강한 기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가이드 블레이드(320)에 형성된 복수의 제4 홀(321)을 지나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양은 없거나 극히 적다. 또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을 통하여 하우징(10) 외부로 토출되는 양도 없거나 극히 적다.
무풍 모드에서는 개방된 송풍구가 없기 때문에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상향풍 모드에 비하여 약하게 덕트(3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저속으로 하우징(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은 모두 같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에서 보이는 복수의 홀들이 모두 같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은 각각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은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은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송풍팬(30)에서 제1 송풍구(110)를 커버하는 제1 도어(120)가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고,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가이드 블레이드(30) 및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에 의해 굴절되는 경로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이 모두 같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무풍 모드에서 제1 도어(12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홀(121)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에 비하여 빠를 수 있다.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은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에서 같은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 또는 가이드 블레이드(320)에 형성된 복수의 제4 홀(321)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제1 도어(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121), 제2 도어(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221) 및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제3 홀(313)에서 같은 유속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흡입구(14)와 송풍구(110, 410)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110, 410)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복수의 송풍구(110,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2)의 하우징(10)은 제1 송풍구(110)와 제2 송풍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2)는 제1 송풍구(110)를 여닫는 제1 도어(120)와 제2 송풍구(410)를 여닫는 제2 도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도 하우징(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420)도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제1 도어(120)가 제1 송풍구(110)를 닫았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도어(420)는 제2 도어(420)가 제2 송풍구(410)를 닫았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420)에 의해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나 풍량 등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바디(11, 12)와 바디(11, 1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 12)는 제1 송풍구(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벽면에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11, 12)는 벽면에 고정되는 후방 하우징(12)과 후방 하우징(12)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 패널(13)은 하우징(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과 후방 하우징(12)이 형성하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에 열교환기(20)와 송풍팬(3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의 상부에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하우징(10) 외부로 송풍할 수 있는 제1 송풍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3)은 바디(11, 12)의 적어도 일부(312)와 함께 덕트(31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310)는 전면 패널(13)과 전방 하우징(11)의 전방 외측면(3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410)를 포함할 수 있고, 덕트(310)는 바디(11, 12)의 내부 공간에서 나온 공기가 제2 송풍구(410)로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덕트(310)의 입구(311)를 여닫는 가이드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1 송풍구(110)로 가이드하는 제1 위치와 송풍팬(30)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410)로 가이드 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덕트(310)의 입구(311)를 닫은 제1 위치와 덕트(310)의 입구를 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가 닫혔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3 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3)은 제2 송풍구(410)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제3 홀(313)은 하우징(10)의 측면 또는 하면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제1 도어(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홀(121)과 하우징(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홀(313)에 의해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가 닫혔을 때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도어(420)에 복수의 제2 홀이 형성된 경우, 제1 송풍구(110) 및 제2 송풍구(410)가 닫혔을 때 복수의 제2 홀을 통해서도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복수의 제1 힌지 돌기(124)를 포함하고 제1 모터 연결축(125)를 포함한다. 제1 도어(120)의 복수의 제1 힌지 돌기(124)는 제1 지지부재(4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힌지부(41)에 연결되며, 제1 도어(120)의 제1 모터 연결축(125)은 제1 지지부재(40)에 장착된 제1 모터(130)와 연결된다. 제1 힌지 돌기(124)와 제1 모터 연결축(125)은 동축으로 마련되어, 제1 도어(120)는 제1 모터(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상하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1 송풍구(110)로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를 종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도어(120)는 제1 송풍구(110)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122)와 제1 블레이드(122)로부터 이격되고 제1 블레이드(12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블레이드(123)는 제1 블레이드(122)와 이격되어 마련되되, 제1 블레이드(122)의 세로 폭보다 좁은 세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홀(121)은 제1 블레이드(1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1 홀은 제2 블레이드(123)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2 도어(420)를 구동할 수 있는 제3 모터(430)가 장착될 수 있는 제2 지지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31)는 전방 하우징(11)의 전방 외측면(31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도어(420)는 복수의 제3 힌지 돌기(424)를 포함하고 제3 모터 연결축(425)를 포함한다. 제2 도어(420)의 복수의 제3 힌지 돌기(424)는 전면 패널(13)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3 힌지부(432)에 연결되며, 제2 도어(420)의 제3 모터 연결축(425)은 제2 지지부재(431)에 장착된 제3 모터(430)와 연결된다. 제3 힌지 돌기(424)와 제3 모터 연결축(425)은 동축으로 마련되어, 제2 도어(420)는 제3 모터(4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도어(420)는 상하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구(410)로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를 종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도어(420)는 제2 송풍구(410)를 여닫는 제3 블레이드(422)와 제4 블레이드(422)로부터 이격되고 제3 블레이드(42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4 블레이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4 블레이드(423)는 제3 블레이드(422)와 이격되어 마련되되, 제3 블레이드(422)의 세로 폭보다 좁은 세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2 홀은 제2 도어(420)의 제3 블레이드(4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홀은 제4 블레이드(423)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2)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제1 도어(120), 제2 도어(420), 가이드 블레이드(320)를 통해 풍향 또는 풍량 등의 기류를 다양하게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도어(120)는 제1 송풍구(110)를 닫을 수 있고, 제2 도어(420)는 제3 힌지돌기(4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송풍구(410)를 열 수 있다. 제2 송풍구(410)는 하우징(10)의 전면,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3)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송풍구(410)가 열린 상태로 공기조화기(1)가 작동되면 풍속이 강하고 풍향이 전방 및 상방을 향하는 기류의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2)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벽면의 상측에 설치된다는 가정하에 공기조화기(2)의 제2 송풍구(410)가 개방된 동작 모드를 상향풍 모드 또는 간접풍 모드로 정의한다. 간접풍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송풍이 되지 않으면서 대류에 의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강한 풍속과 많은 풍량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조화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도어(420)는 제2 송풍구(410)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단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도어(420)에 마련되는 제3 힌지돌기(424)는 제2 도어(42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도어(420)는 제3 힌지돌기(4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송풍구(410)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향풍 모드에서,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힌지돌기(32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위치(320b)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위치(320b)에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를 제2 송풍구(410)로 향하는 제2 유로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덕트(310)로 향할 수 있도록 제2 위치(320b)에서 덕트(310)의 입구(311)를 열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블레이드(320)는 제2 위치(320b)에서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와 함께 제1 송풍구(110)로 향하는 유로를 닫을 수 있다.
제2 송풍구(420)는 전면 패널(13)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구(420)가 전면 패널(13)의 중간에 배치되면,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가 제1 도어(120)의 제2 블레이드(123) 및 가이드 블레이드(320)에 의해 굴절된 공기가 제2 송풍구(420)에서 다시 굴절되지 않고 곧바로 상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즉, 제2 송풍구(420)가 전면 패널(13)의 중간에 배치되면, 제2 송풍구(420)를 통해서 송풍팬(30)에서 나온 공기를 빠른 유속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제2 도어(420)는 제3 블레이드(422)와 제4 블레이드(4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블레이드(423)는 제3 블레이드(322)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블레이드(423)는 제2 송풍구(410)로 송풍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도어(420)는 제4 블레이드(423)에 의해 상하방향의 기류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더 빠른 풍속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향풍 모드 및 무풍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2: 공기조화기 10: 하우징
11: 전방 하우징 12: 후방 하우징
13: 전면 패널 14: 흡입구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110: 제1 송풍구 120: 제1 도어
121, 221, 313, 321:복수의 홀 210, 410: 제2 송풍구
220, 420: 제2 도어 320: 가이드 블레이드

Claims (20)

  1. 제1 송풍구 및 제2 송풍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도어;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2 도어;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상기 제1 송풍구로 가이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상기 제2 송풍구로 가이드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1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제1 송풍구로 향하는 유로를 닫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2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2 송풍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단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송풍구 및 상기 제2 송풍구가 닫혔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송풍구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 송풍구를 가지는 바디와 제2 송풍구를 가지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고, 상기 제1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고, 상기 제2 송풍구를 닫았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제1 송풍구로 향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구는 상기 전면 패널의 중간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시 제2 송풍구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19. 제1 송풍구를 가지는 바디;
    제2 송풍구와 상기 제2 송풍구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전면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
    상기 바디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송풍구 또는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1 송풍구를 여닫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송풍구를 여닫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여닫는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37924A 2016-10-21 2016-10-21 공기조화기 KR10264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924A KR102645875B1 (ko) 2016-10-21 2016-10-21 공기조화기
EP17861879.9A EP3396266B1 (en) 2016-10-21 2017-08-01 Air conditioner
PCT/KR2017/008294 WO2018074718A1 (ko) 2016-10-21 2017-08-01 공기조화기
US16/070,397 US11054152B2 (en) 2016-10-21 2017-08-01 Air conditioner
KR1020240031291A KR20240038662A (ko) 2016-10-21 2024-03-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924A KR102645875B1 (ko) 2016-10-21 2016-10-21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291A Division KR20240038662A (ko) 2016-10-21 2024-03-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162A true KR20180044162A (ko) 2018-05-02
KR102645875B1 KR102645875B1 (ko) 2024-03-11

Family

ID=62019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924A KR102645875B1 (ko) 2016-10-21 2016-10-21 공기조화기
KR1020240031291A KR20240038662A (ko) 2016-10-21 2024-03-05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291A KR20240038662A (ko) 2016-10-21 2024-03-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54152B2 (ko)
EP (1) EP3396266B1 (ko)
KR (2) KR102645875B1 (ko)
WO (1) WO2018074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7867A (zh) * 2020-01-19 2020-06-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918B1 (ko) * 2016-09-05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600956B1 (ko) * 2016-09-22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339755A1 (en) * 2016-12-21 2018-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391356B1 (ko) * 2017-04-28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610644B2 (ja) * 2017-11-20 2019-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2531649B1 (ko) * 2018-01-17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0425635A (zh) * 2018-04-28 2019-1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
EP3851755B1 (en) * 2018-09-30 2022-09-2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09812872B (zh) * 2019-03-13 2024-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0736140B (zh) * 2019-10-10 2022-01-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的控制方法
EP4080125A4 (en) * 2020-01-19 2023-07-05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780242A (zh) * 2020-06-08 2020-10-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780244A (zh) * 2020-06-08 2020-10-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706917A (zh) * 2020-06-28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706918A (zh) * 2020-06-28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706916A (zh) * 2020-06-28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811053A (zh) * 2020-07-24 2020-10-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以及空调控制方法
CN112178776A (zh) * 2020-08-24 2021-0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CN112082259A (zh) * 2020-08-31 2020-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壳体和空调器
CN112032838B (zh) * 2020-09-0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2517611B1 (ko) * 2020-11-13 202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3865069A (zh) * 2021-10-28 2021-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15143528A (zh) * 2022-06-29 2022-10-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调室内机以及空调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672A (ja) * 2006-04-13 2006-08-31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80035946A (ko) *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CN204901976U (zh) * 2015-08-07 2015-1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16099030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620U (ko) * 1984-04-11 1986-04-30
JPS6163620A (ja) 1984-09-04 1986-04-01 Kao Corp 痔疾治療用発熱性坐剤
JPS61138947A (ja) 1984-12-11 1986-06-26 Fujitsu Ltd レジスト膜パタ−ンの形成方法
JPH0233069Y2 (ko) * 1985-02-20 1990-09-06
JPH11237067A (ja) * 1998-02-24 1999-08-31 Fujitsu General Ltd ファンコンベクタ
KR20010001964A (ko) 1999-06-10 2001-01-0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콘택 홀 형성 방법
KR20010001964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에어컨 실내기의 도어그릴 개폐구조
KR101085899B1 (ko) 2006-01-0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8151477A (ja) * 2006-12-20 2008-07-03 Daikin Ind Ltd 床置型空気調和機
JP5279622B2 (ja) * 2009-06-08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2518418B1 (en) 2011-04-29 2018-08-22 Giordano Riello International Group S.p.A. Fan convector
KR102055939B1 (ko) * 2012-10-10 2019-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5180267B (zh) * 2015-08-07 2018-02-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出风控制方法
KR101890869B1 (ko) *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672A (ja) * 2006-04-13 2006-08-31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80035946A (ko) *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JP2016099030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CN204901976U (zh) * 2015-08-07 2015-1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7867A (zh) * 2020-01-19 2020-06-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11237867B (zh) * 2020-01-19 2021-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6266A1 (en) 2018-10-31
KR20240038662A (ko) 2024-03-25
EP3396266B1 (en) 2021-04-14
KR102645875B1 (ko) 2024-03-11
US20190056120A1 (en) 2019-02-21
US11054152B2 (en) 2021-07-06
WO2018074718A1 (ko) 2018-04-26
EP3396266A4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US20210025600A1 (en) Air conditioner
US11739976B2 (en) Air conditioner
KR102506415B1 (ko) 공기조화기
US11137148B2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US20180080665A1 (en) Air conditioner
KR102531649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KR20240020721A (ko) 공기조화기
JP2004116859A (ja) 空気調和機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8A (ko) 공기조화기
KR102420499B1 (ko) 공기조화기
KR20010028972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20150027417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