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41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417A
KR20150027417A KR20130105188A KR20130105188A KR20150027417A KR 20150027417 A KR20150027417 A KR 20150027417A KR 20130105188 A KR20130105188 A KR 20130105188A KR 20130105188 A KR20130105188 A KR 20130105188A KR 20150027417 A KR20150027417 A KR 2015002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ade
air conditioner
discharge por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기
강용헌
김중호
이종원
임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417A/ko
Publication of KR2015002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에 따라 회전방향이 변경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마련된 케이싱,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난방모드에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냉방모드에는 제 1방향의 역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난방모드에는 비중이 작은 따뜻한 공기를 아래를 향해 토출하고, 냉방모드에는 비중이 큰 차가운 공기를 위를 향해 토출하여 냉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드에 따라 회전방향이 변경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토출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공기를 실내로 보낸다.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상관없이 블레이드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며 외관상 사용자는 운전모드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냉방모드인지 난방모드인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따듯한 공기는 비중이 작아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비중이 커서 아래로 가라앉는 경향이 있으나 블레이드는 이와 무관하게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냉방모드에 맞추어 토출공기가 아래를 향하도록 블레이드를 제작하면 난방모드일 경우 비효율적이다. 마찬가지로 난방모드에 맞추면 냉방모드일 경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동되는 모드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블레이드에 색상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마련된 케이싱,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난방모드에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냉방모드에는 상기 제 1방향의 역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은 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후면패널, 상면패널, 하면패널, 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하면패널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는 상단부가 전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가 상기 전면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가 상기 하면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양단부에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각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각각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표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표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면은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하는 방사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 고정되는 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방사형구조는 토출공기가 모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고정되는 냉방모드의 경우, 상기 방사형구조는 토출공기가 확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는 비중이 작은 따뜻한 공기를 아래를 향해 토출하고, 냉방모드에는 비중이 큰 차가운 공기를 위를 향해 토출하여 냉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단부에 부착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냉매가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고, 냉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 증발기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역할을 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되고,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사용된다.
냉매변환장치는 냉동사이클에 위치하여 냉매의 흐름을 변경하는 장치이다. 냉매변환장치를 통해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한다.
공기조화기에는 비교적 큰 실내공간을 냉난방시키기 위해 실내의 바닥에서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작은 실내공간을 냉난방시키기 위해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를 도면에 도시하고, 그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90)가 마련된 케이싱의 형태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은 후면패널(10), 하면패널(20), 전면패널(30), 상면패널(40)을 포함하여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공기조화기(1)는 상면패널(40)이 천장에 고정되고, 후면패널(10)이 수직벽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흡입구(85)는 실내공기가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로, 하면패널(20)에 후면패널(1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90)는 흡입구(8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60)를 거쳐 다시 실내로 나가는 통로로, 공기조화기(1)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90)는 전면패널(30)과 하면패널(20)이 만나는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90)의 전면에는 블레이드(100)가 설치되어, 토출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내부에는 흡입구(85)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열교환기(60)가 마련된다. 열교환기(60)는 공기조화기(1)가 냉방운전하는 경우 증발기로 기능하고, 난방운전하는 경우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유입된 실내공기와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1)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열교환기(60)와 흡입구(85) 사이에는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80)이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80)은 흡입구(8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60)를 통과하여 토출구(9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강제순환시킨다. 송풍팬(80)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고,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되면 구동모터에 의해 송풍팬(80)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실내공기가 흡입구(85)를 통해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하여 열교환되어, 토출구(90)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간을 냉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온도가 낮은 상태로 토출시키고, 반대로 실내공간을 난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에 열을 공급하여 온도가 높은 상태로 토출시킨다. 온도가 낮은 공기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고, 온도가 높은 공기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냉방모드일 경우 토출공기는 아래로 떨어지고, 난방모드일 경우 토출공기는 위로 올라갈 수 있다.
운전모드에 따라 토출공기의 성질이 변화하므로, 운전모드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향을 변경해주면 공기조화기(1)의 냉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냉난방효율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온도에 대한 것이다. 냉방모드의 경우, 상부를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시켜 차가운공기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며 실내공간의 사용자가 냉기를 효율적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난방모드의 경우, 하부를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시켜 따뜻한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펴지며 실내공간의 사용자가 온기를 효율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구(9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100)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0)는 전면패널(30)과 하면패널(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토출구(9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00)가 토출구(90)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외측면(104), 그 반대면을 내측면(106)이라 하고, 전면패널(30)과 인접한 단부를 상단부(55), 하면패널(20)과 인접한 단부를 하단부(50)라 한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블레이드(100)는 상단부(55)가 전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비드듬하게 설치되어 토출구(90)를 폐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는 경우, 블레이드(1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중심부(102)를 중심으로 블레이드(100)가 회전하여 토출구(9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난방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난방모드에 대한 블레이드(100)의 회전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난방모드에 대한 블레이드(100)의 회전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면 송풍팬(80)이 회전하여, 실내공기를 흡입구(85)를 통해 케이싱의 내부로 빨아들인다. 케이싱 내부로 들어온 실내공기는 열교환기(60)에서 열을 공급받아 온도가 상승하고, 비중이 작은 가벼운 공기로 토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가벼워진 실내공기가 하부를 향하여 토출되도록, 토출구(90)의 하부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00)는 상단부(55)가 전면패널(30)을 향해 회전하여 토출구(9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난방모드에서 블레이드(100)의 회전방향을 제 1방향(a)이라 한다.
블레이드(100)가 제 1방향(a)으로 회전하여 토출구(90)의 하부를 개방하면, 토출공기는 토출구(90)를 통해 실내공간에 하부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아래를 향해 뻗어나간 따뜻한 공기는 실내공간에서 작은 비중으로 인해 다시 상승하여 효과적으로 실내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토출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회전하고, 토출구(90)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단부(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단부(50)는 공기조화기(1)의 난방모드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하단부(5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모드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빨간색 계열의 색띠를 하단부(50)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지 않고도 공기조화기(1)의 작동모드를 알 수 있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냉방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냉방모드에 대한 블레이드(100)의 회전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냉방모드에 대한 블레이드(100)의 회전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여 케이싱 내부로 들어온 실내공기는 열교환기(60)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가 하강하고, 비중이 큰 무거운 공기로 토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무거워진 실내공기가 상부를 향하여 토출되도록, 토출구(90)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하단부(50)가 하면패널(20)을 향해 회전하여 토출구(9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제 2방향(b)이라 한다. 즉, 제 2방향(b)은 제 1방향(a)의 역방향이다.
블레이드(100)가 제 2방향(b)으로 회전하여 토출구(90)의 상부를 개방하면, 토출공기는 토출구(90)를 통해 실내공간에 상부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위를 향해 뻗어나간 차가운 공기는 실내공간에서 큰 비중으로 인해 다시 하강하여 효과적으로 실내공간을 냉방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상단부(5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토출구(9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단부(55)는 공기조화기(1)의 냉방모드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파랑색 계열의 색띠를 상단부(55)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지 않고도 공기조화기(1)의 작동모드를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블레이드(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블레이드(100)의 내측면(106)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블레이드(100)의 내측면(106)은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하는 방사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형구조는 이격된 복수 개의 리브(110)로 마련될 수 있고, 리브(110)들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고정리브(108)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리브(108)는 회전중심부(102)와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블레이드(1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리브(110)는 상단부(55)보다 하단부(50)에서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좌측리브(110a)는 제 2, 4사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우측리브(110b)는 제 1, 3사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한다.
블레이드(100)가 제 1방향(a)으로 회전하여 토출구(90)의 상부에 고정되는 난방모드의 경우, 토출공기는 상단부(55)와 하단부(50)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리브(110)들은 상단부(55)에서 하단부(50)로 갈수록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통과하는 토출공기가 모여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가벼운 공기를 모아서 하부로 토출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반대로 블레이드(100)가 제 2방향(b)으로 회전하여 토출구(90)의 하부에 고정되는 냉방모드의 경우, 토출공기는 하단부(50)와 상단부(55)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리브(110)들은 하단부(50)에서 상단부(55)로 갈수록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통과하는 토출공기가 확산되며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무거운 공기를 확산하여 상부로 토출하여, 실내공간에 냉기가 구석구석 퍼지며 효과적으로 냉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a)는 후면패널(10a)이 벽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공기조화기(1a)는 토출구(90a)가 마련된 케이싱의 형태로 외관을 형성하고, 흡입구(85a)는 상면패널(40a)과 전면패널(30a)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85a)는 항상 개방되어 있거나, 공기조화기(1a)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토출구(90a)는 전면패널(30a)과 하면패널(20a)이 만나는 부근에 마련되고, 토출구(90a)의 전면에는 토출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레이드(100a)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1a)의 내부에 마련된 열교환기(60a)는 유입된 실내공기와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30a) 및 상면패널(40a)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열교환기(60a)와 토출구(90a) 사이에는 실내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송풍팬(80a)이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a)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필터(32)와, 냉방운전시 열교환기(60a)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트레이(34)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9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100a)는 공기조화기(1a)의 운전모드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운전모드에 따른 블레이드(100a)의 회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공기조화기 50 : 하단부
55 : 상단부 60 : 열교환기
90 : 토출구 100 : 블레이드
102 : 회전중심부 104 : 외측면
106 : 내측면 110 : 리브
a : 제 1방향 b : 제 2방향

Claims (10)

  1. 토출구가 마련된 케이싱;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난방모드에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냉방모드에는 상기 제 1방향의 역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후면패널, 상면패널, 하면패널, 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하면패널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는 상단부가 전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향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가 상기 전면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가 상기 하면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양단부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각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각각의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표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항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표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면은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하는 방사형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 고정되는 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방사형구조는 토출공기가 모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고정되는 냉방모드의 경우,
    상기 방사형구조는 토출공기가 확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30105188A 2013-09-03 2013-09-03 공기조화기 KR20150027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88A KR20150027417A (ko) 2013-09-03 2013-09-0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188A KR20150027417A (ko) 2013-09-03 2013-09-0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417A true KR20150027417A (ko) 2015-03-12

Family

ID=5302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188A KR20150027417A (ko) 2013-09-03 2013-09-0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4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EP3514459B1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CN111094856B (zh) 空调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EP4265975A2 (en) Air conditioner
KR102341728B1 (ko) 공기조화기
KR101577071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CN214094711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20180039405A (ko) 공기조화기
CN203869124U (zh) 用于油烟机的送风模块与油烟机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CN217817102U (zh) 空调烟机
CN213901267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20100007303A (ko) 공기조화기
KR20150051269A (ko) 공기조화기
KR20150027417A (ko) 공기조화기
KR202001255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11075168A (ja) 空気調和機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150085218A (ko) 공기조화기
KR100522880B1 (ko) 히터장착 공기조화기
KR100871116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냉난방기
KR100939019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