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613A -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613A
KR20040049613A KR1020020077445A KR20020077445A KR20040049613A KR 20040049613 A KR20040049613 A KR 20040049613A KR 1020020077445 A KR1020020077445 A KR 1020020077445A KR 20020077445 A KR20020077445 A KR 20020077445A KR 20040049613 A KR20040049613 A KR 2004004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cartridge
unit
sensing
sensor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52B1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52B1/ko
Priority to US10/456,524 priority patent/US6885831B2/en
Publication of KR2004004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mechanical or optical identification means, e.g. protrusions, bar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는, 현상카트리지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부와, 안내부에 설치되며 현상카트리지가 안내부 위에 장착되면 가압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가 일정 각도 선회하면 동작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센서가 동작하면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작동부재는 가압부에 의해 눌리는 인식부, 및 인식부가 안내부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센서는 인식부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회전축에는 인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설된 센싱부가 더 설치되며, 센서는 센싱부에 의해 동작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Detecting apparatus of development cartridge for image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팩스밀리,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으로 인쇄를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보수유지 및 애프터 서비스 등을 위해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등을 일체로 하우징에 격납시켜 한개의 유닛으로 만든 현상카트리지를 자유롭게 본체에 대해 장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형식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현상카트리지는 하우징 등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하지만, 기능을 발휘하는 현상제나 내부의 기능부품 및 화상형성기 본체에 장착되는 부위의 형상이나 치수 등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현상카트리지와 화상형성기 본체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면의 화질불량이나 화상형성기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상형성기에는 적절한 특정의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는 카트리지 인식키(12)와 카트리지 인식홈(22)으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인식키(12)는 화상형성기 본체(10)에 설치되며, 현상카트리지 안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 인식홈(22)은 현상카트리지(20)에 형성된 홈으로서 현상카트리지(20)가 화상형성기 본체(10)의 안내부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인식키(12)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로 성형된다. 따라서, 화상형성기 본체(10)에 적절한 현상카트리지(2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인식키(12)가 카트리지 인식홈(22)에 삽입되므로 현상카트리지(20)가 완전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적절한 현상카트리지(20)가 아닌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인식홈(22) 이외의 부분이 카트리지 인식키(12)에 걸리기 때문에 현상카트리지(20)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적절한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순한 기계적 구조만을 사용한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경우는 사용자가 카트리지 인식키의 제거나 변형등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도록 하면 부적절한 현상카트리지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만 화상형성기가 동작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적절한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대한 발명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게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기 본체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적절한 현상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감지구멍이 형성된 안내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가압부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작동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서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서 작동부재와 센서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
도 6b는 도 5에서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 작동부재와 센서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식부가 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을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인쇄용지가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지나는 경우에 작동부재와 센서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기102; 안내부
104; 감지구멍110; 작동부재
112; 회전축114; 인식부
116; 센싱부120; 현상카트리지
122; 가압부130; 센서
140; 인쇄용지143; 용지이송경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안내부 위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있어서, 현상카트리지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부와, 안내부에 설치되며 현상카트리지가 안내부 위에 장착되면 가압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가 일정 각도 선회하면 동작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가 동작하면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작동부재는 가압부에 의해 눌리는 인식부, 및 인식부가 안내부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센서는 인식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축에는 인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설된 센싱부가 더 설치되며, 센서는 센싱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목적은,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안내부 위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있어서, 안내부에 형성된 감지구멍과; 안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서 돌설되며 일부분이 감지구멍으로 돌출되는 인식부와, 인식부가 감지구멍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회전축에서 돌설된 센싱부를 포함하는 작동부재와; 센싱부에 의해 동작하는 센서; 및 인식부를 감지구멍 안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현상카트리지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현상카트리지가 안내부 위에 장착되면, 가압부에 의해 인식부가 하향으로 회전하고, 인식부가 회전하면 센싱부가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감지구멍은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동부재의 인식부는 감지구멍의 위치에 맞게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인식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는 감지구멍(104), 작동부재(110), 센서(130), 및 가압부(122)를 포함한다.
감지구멍(104)은 화상형성기 본체(100)의 안내부(102)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현상카트리지(120)의 가압부(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다. 동일 기종의 화상형성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현상카트리지(122)가 여러 종류가 있을 경우에는 감지구멍(104)을 복수로 형성하고 각각의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가 각각 다른 감지구멍(104)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 여러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에도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102)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아랫면과 함께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기 본체(100)에 형성된 부분이며, 안내부(102)의 좌우측면에는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재(110)는 회전축(112), 인식부(114), 및 센싱부(116)를 포함한다. 회전축(112)은 감지구멍(104)이 형성된 안내부(102)의 하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112)은 상술한 감지구멍(104)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감지구멍(104)에 전부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성형된다. 인식부(114)는 회전축(112)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회전축(112)에 조립할 수 있도록 보스(115)가 형성되고 타단은 감지구멍(104) 속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인식부(114)의 타단은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에 용이하게 눌릴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인식부(114)는 회전축(1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세트스크류(115a)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회전축(112)에 고정한다. 센싱부(116)는 인식부(114)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축(112)으로부터 돌설되며, 센서(130)를 동작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센싱부(116)와 인식부(114)의 관계는 인식부(114)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인식부(114)는 감지구멍(104)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센싱부(116)와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고, 센싱부(116)는 센서(130)의 감지영역 밖에 위치해야 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02) 위에 현상카트리지(120)가 없는 경우, 즉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부(106)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인식부(114)는 감지구멍(10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센서부(116)는 센서(130)를 동작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동시에,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부(106)에 장착되어 가압부(122)에 의해 인식부(114)가 하향으로 눌릴 때, 센싱부(116)가 센서(130)를 온(on)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센싱부(116)와 센서(130)를 급지장치(141, 도 8 참조)로부터 인쇄용지가 급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용지감지장치로 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쇄용지가 용지이송경로(143, 도 8 참조)를 통과하면서 인식부(114)를 하향으로 더욱 선회시켰을 때 센서부(116)가 센서(130)의 감지영역에서 벗어나 센서(130)를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부재(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6)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센서(130)가 인식부(114)의 동작을 감지하여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는 한개의 화상형성기(100)에 여러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에 맞도록 작동부재(110')와 센서(130)의 설치위치를 조정하여야 한다. 즉, 한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를 사용하다가 다른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현상카트리지(120)에 형성된 가압부(122)에 맞도록 안내부(102)에 설치된 작동부재(110')외에 센서(130)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센서(130)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어 작동부재(110)가 동작하면, 그 동작을 감지하여 현상카트리지 장착신호를 화상형성기(100)의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하여 제어부가 인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센서(130)는 작동부재의 센싱부(116)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센싱부(116)가 감지영역으로 진입하면 온(on)되고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오프(off)되는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30)는 인식부(114)가 가압부(122)에 눌려 작동부재(110)가 하향으로 선회한 경우 센싱부(116)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가압부(122)는 현상카트리지(120)의 하면에 안내부(102)의 감지구멍(10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압부(122)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부(106)에 완전히 장착되면, 감지구멍(104)으로부터 돌출된 인식부(114)를 눌러 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성형된다. 이때, 현상카트리지(120)의 하면은 안내부(102)와 함께 급지장치(141, 도 8 참조)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143, 도 8 참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압부(122)는 용지이송경로(143)를 막지않는 상태에서 작동부재(110)의 인식부(114)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현상카트리지(120)가 여러 제조업체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는 각 업체의 현상카트리지(120)마다 가압부(122)의 설치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현상카트리지(120)의 제조업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상카트리지(120)를 장착하기 전의 화상형성기의 안내부(102)와 장착부(106)의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지구멍(104) 위로 인식부(114)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센싱부(116)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30)의 감지영역 외부에 위치하여 센서(130)는 오프(off)상태에 있다. 센서(130)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화상형성기의 제어부(미도시)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인쇄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화상형성기에 적절한 현상카트리지(120)를 장착부(106)에 장착하면, 현상카트리지(120)의 하면과 안내부가 용지이송경로를 형성하고, 가압부(122)는 인식부(114)를 눌러 작동부재(110)가 일정각도 선회하게 한다. 이때,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기에 적절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의 위치가 안내부(102)에 돌출된 인식부(114)의 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가압부가 인식부(114)를 누르지 못하게 된다. 가압부(122)가 인식부(114)를 누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110)가 선회하여 센싱부(116)가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 진입한다. 센싱부(116)가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 진입하면 센서(130)는 온(on)으로 된다. 그러면, 화상형성기의 제어부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고, 정상적인 인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절한 현상카트리지(120)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13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제어부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인쇄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현상카트리지(120)를 교체하기 위하여 현상카트리지(120)를 장착부(106)에서 빼내면,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가 작동부재(110)의 인식부(114)와 분리된다. 그러면, 무게균형에 의해 작동부재(110)의 인식부(114)는 감지구멍(104)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센싱부(116)는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도 6a 참조). 센싱부(116)가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 부터 벗어나면 센서(130)가 오프(off)로 되어 제어부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동일한 형상의 화상형성기 안내부(102)에 성능이 다른 여러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특정의 화상형성기에 특정의 현상카트리지(120)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한 종류의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 위치를 안내부(102)에 형성된 복수의 감지구멍(104) 중 어느 하나의 감지구멍(104)에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그 현상카트리지(120)가 사용될 화상형성기에는 인식부(114)가 해당 현상카트리지 가압부(122)와 대응되는 감지구멍(104)으로 돌출되도록 인식부(114)를 조절한 작동부재(110)를 설치한다. 이때, 인식부(114)를 조절하는 것은 인식부 보스(115)의 고정부재(115a)를 풀고 인식부(114)를 회전축(1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감지구멍(104)의 위치를 맞춘 후 다시 고정부재(115a)를 죄면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화상형성기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122)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가압부(122)를 형성하고 그 위치에 맞는 감지구멍(104)으로 작동부재(110)의 인식부(114)가 돌출되도록 하면된다. 따라서, 안내부(102)에 형성된 감지구멍(104)의 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여러 종류의 현상카트리지(120)에 대하여 동일한 안내부(102)를 사용하면서도 각각의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110)와 센서(130)를 인쇄용지의 이송을 감지하는 용지감지장치로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인쇄용지의 감지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작동부재(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02)와 현상카트리지(120) 하면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143)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급지장치(141)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140)는 용지이송경로(143)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쇄용지(140)의 선단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의 인식부(114)를 하향으로 더욱 누르고 피드롤러(144)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센싱부(116)는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센서(130)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인쇄용지(140)의 이송이 계속되어 인쇄용지(140)의 후단이 인식부(114)와의 간섭에서 벗어나면 센싱부(116)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여 다시 센서(130)의 감지영역으로 진입하여 센서(130)를 온(on)시킨다. 그러면, 제어부는 센서(130)가 온(on)된 후 오프(off)되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온(on)되는 것을 판단하여 인쇄용지(140)가 이송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142, 145, 146은 각각 픽업롤러, 전사롤러, 정착롤러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는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부재가 안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간단하게 조작하여 다른 현상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작동부재를 픽업된 인쇄용지의 이송을 감지하는 용지감지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의하면, 간단하게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기 본체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적절한 현상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안내부 위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부;
    상기 안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안내부 위에 장착되면상기 가압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선회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가 일정 각도 선회하면 동작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동작하면,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눌리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가 상기 안내부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인식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인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설된 센싱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5.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안내부 위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는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형성된 감지구멍;
    상기 안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돌설되며 일부분이 상기 감지구멍으로 돌출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가 상기 감지구멍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축에서 돌설된 센싱부를 포함하는 작동부재;
    상기 센싱부에 의해 동작하는 센서; 및
    상기 인식부를 상기 감지구멍 안으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안내부 위에 장착되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인식부가 하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인식부가 회전하면 상기 센싱부가 상기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구멍은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인식부는 상기 감지구멍의 위치에 맞게 상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식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9. 안내부와 함께 용지이송경로를 이루는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가를 인식하는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형성된 감지구멍;
    상기 안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돌설되며 일부분이 상기 감지구멍으로 돌출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가 상기 감지구멍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축에서 돌설된 센싱부를 포함하는 작동부재;
    상기 센싱부에 의해 동작하는 센서; 및
    상기 인식부를 상기 감지구멍 안으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인식부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센싱부가 상기 센서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쇄용지가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쇄용지에 의해 상기 인식부가 더욱 하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센서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구멍은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인식부는 상기 감지구멍의 위치에 맞게 상기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가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식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KR10-2002-0077445A 2002-12-06 2002-12-06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KR10045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445A KR100452552B1 (ko) 2002-12-06 2002-12-06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US10/456,524 US6885831B2 (en) 2002-12-06 2003-06-09 Detecting apparatus of development cartridge used with an image form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445A KR100452552B1 (ko) 2002-12-06 2002-12-06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613A true KR20040049613A (ko) 2004-06-12
KR100452552B1 KR100452552B1 (ko) 2004-10-14

Family

ID=3246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445A KR100452552B1 (ko) 2002-12-06 2002-12-06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85831B2 (ko)
KR (1) KR100452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468B2 (ja) * 2004-03-31 2007-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07079121A (ja) * 2005-09-14 2007-03-29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78499B2 (ja) * 2006-05-18 2012-02-15 株式会社東芝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102141768B (zh) * 2007-12-10 2013-03-13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处理盒
JP5309235B2 (ja) 2012-02-29 2013-10-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00639B2 (ja) * 2016-07-22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38399B2 (ja) * 2018-12-28 2023-03-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949A (ja) * 1988-09-14 1990-03-19 Toshiba Corp 超音波探傷装置
JPH02210464A (ja) * 1989-02-10 1990-08-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518452B2 (ja) * 1990-05-18 1996-07-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出力制御装置
JPH06124038A (ja) * 1992-10-13 1994-05-06 Sharp Corp 複写装置
JPH11184329A (ja) * 1997-12-18 1999-07-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65982B2 (ja) * 1997-12-19 2005-06-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記録装置
JP2001222204A (ja) * 2000-02-09 2001-08-1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5831B2 (en) 2005-04-26
US20040109700A1 (en) 2004-06-10
KR100452552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618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媒体供給ユニット
US8042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022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185394B1 (en) Method of adjusting photoreceptor belt in printing apparatus
KR100503797B1 (ko) 급지장치
KR20080071037A (ko) 정착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1284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US7735826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8608153B2 (en)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52552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US20080309008A1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US201402944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artridge Detachably Mounted Therein
US6249662B1 (en) Device for adjusting photoreceptor belt tension in printing apparatus
JP3194440B2 (ja) 給紙装置
JP345070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76974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배지커버 열림감지장치
KR200149596Y1 (ko)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JP4784668B2 (ja) 用紙検出装置
KR200154525Y1 (ko) 인쇄기의 정착온도 조절장치
JP336566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86324Y1 (ko)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KR0181162B1 (ko)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JP2000072284A (ja) 画像形成装置用の紙検出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1083861A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24870A (ko) 화상형성기의 용지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