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596Y1 -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596Y1
KR200149596Y1 KR2019960020730U KR19960020730U KR200149596Y1 KR 200149596 Y1 KR200149596 Y1 KR 200149596Y1 KR 2019960020730 U KR2019960020730 U KR 2019960020730U KR 19960020730 U KR19960020730 U KR 19960020730U KR 200149596 Y1 KR200149596 Y1 KR 200149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actuator
frame
ben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299U (ko
Inventor
강승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0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596Y1/ko
Publication of KR980009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16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록용지가 일단에 닿으면 프레임의 힌지에 삽입된 양측단의 돌기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의 이송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반원 모양으로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에 지지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
본 고안은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기록용지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용지의 이송 상태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를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하지 않고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를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6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6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6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64)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66)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급지카세트(74)에 장착된 기록용지(72)는 픽업롤러(70)에 의해 이송롤러(68)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급지된 기록용지(72)는 이송롤러(68)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76) 측으로 이송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72)상에는 전사롤러(76)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 진다.
그후,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72)는 이송되어져 정착기의 히팅롤러(80)와 압축롤러(8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72)는 배지롤러(86)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88) 측으로 이송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사롤러(76)를 지난 감광드럼(60)의 표면에는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는 청소기(84)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 전하는 전하제거램프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기록용지(72)가 이송롤러(68) 측으로 급지되기 전에 상기 기록용지(72)의 이송 유, 무를 감지하여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기기본체의 프레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이송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40)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의 하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리브(rib))(50)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이 이송롤러(68)에 도착되었을 때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토센서(20)의 빛을 차단시키는 레버(lever)(42)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가 이송롤러(68)로 부터 빠져나간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48)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돌출부(44)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44)의 일측에는 상기 토션스프링(48)이 돌출부(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48)의 일측 끝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부(4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48)의 타측 끝은 기기본체 프레임(22)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46)에 고정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양측에는 프레임(22)의 상부면에 형성된 힌지(16)에 끼워져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기(4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기본체 프레임(22)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상, 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hinge)(16)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2)의 타측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리브(50)가 끼워져 상, 하 방향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기기본체 프레임(22)의 상부에는 전기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원의 수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광부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72)의 이송 유, 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0)가 인쇄회로기판(18)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의 도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기능이 (ON)되면, 포토센서(20)의 발광부는 직접 인쇄회로기판(18)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광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74)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72)가 픽업롤러(70)에 의해 이송되면, 액츄에이터(40)의 리브(50)는 상기 기록용지(72)의 가압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레버(42)는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48)은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이동에 의해 일정한 압축력으로 압축되어진다. 즉,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는 발광부의 광원을 전송받지 못함으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8)에 장착된 회로는 다음장의 기록용지(72)를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은 이송롤러(68)의 입구에서 휨 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회로부에서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이 정렬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송롤러(68)를 구동시킨다. 그후, 상기 이송롤러(68)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기록용지(72)는 전사롤러(76) 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리브(50)는 토션스프링(48)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레버(42)도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후,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의 광원이 수광부에 전송되므로서 다음장의 기록용지(72)가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48)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4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잊어버리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토션스프링(48)을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돌출부(44)에 끼운 후, 양측 끝을 다시 제1고정부(46) 및 제2고정부(52)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일측면에 제1고정부(46)와 돌출부(44)를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22)에 제2고정부(52)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토션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액츄에이터와 일체형인 텐션부를 형성하여 액츄에이터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록 용지가 일단에 닿으면 프레임의 힌지에 삽입된 양측단의 돌기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의 이송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반원 모양으로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에 지지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3a, 3b도는 종래 기술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5a, 5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츄에이터 12 : 레버
13 : 돌기 14 : 텐션부
15 : 절곡부 16 : 힌지
20 : 포토센서 22 : 프레임
24 : 구멍 26 : 리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5a 및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본체의 프레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이송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10)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하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리브(rib)(26)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이 이송롤러(68)에 도착되었을 때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토센서(20)의 빛을 차단시키는 레버(lever)(12)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72)가 이송롤러(68)로 부터 빠져나간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1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일정한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 부재의 텐션부(tension)(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텐션부(14)의 단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텐션부(14)가 전, 후 방향으로 걸림이 없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향 절곡된 절곡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양측에는 프레임(22)의 상부면에 형성된 힌지(16)에 끼워져 상기 액츄에이터(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기(13)각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기본체 프레임(22)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hinge)(16)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2)의 타측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리브(26)가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기기 본체 프레임(26)의 상부에는 전기 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원의 수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광부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72)의 이송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0)가 인쇄회로기판(18)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기능이 온(ON)되면, 포토센서(20)의 발광부는 직접 인쇄회로기판(18)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광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74)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72)가 픽업롤러(70)에 의해 이송되면, 액츄에이터(10)의 리브(26)는 상기 기록용지(72)의 가압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의 레버(12)는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텐션부(14)는 프레임(22)에 접한 절곡부(15)에 의해 지지된 채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이동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는 발광부의 광원을 전송받지 못함으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8)에 장착된 회로는 다음 장의 기록용지(72)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은 이송롤러(68)의 입구에서 휨 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회로부에서는 상기 기록용지(72)의 선단이 정렬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송롤러(68)를 구동시킨다.
그후, 상기 이송롤러(68)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기록용지(72)는 전사롤러(76) 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0)의 리브(26)는 텐션부(14)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의 레버(12)도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후,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의 광원이 수광부에 전송됨으로써 다음 장의 기록용지(72)가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는 액츄에이터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텐션부 및 절곡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록용지가 일단에 닿으면 프레임의 힌지에 삽입된 양측단의 돌기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의 이송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반원 모양으로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에 지지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 장치.
KR2019960020730U 1996-07-12 1996-07-12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KR200149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30U KR200149596Y1 (ko) 1996-07-12 1996-07-12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30U KR200149596Y1 (ko) 1996-07-12 1996-07-12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99U KR980009299U (ko) 1998-04-30
KR200149596Y1 true KR200149596Y1 (ko) 1999-06-15

Family

ID=194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730U KR200149596Y1 (ko) 1996-07-12 1996-07-12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5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9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9002B1 (en) Safety interlock mechanism
US5262827A (en) Light emitting diode printer
US6775514B2 (en) Substrate size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copier/printers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US8608153B2 (en)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EP0837019A1 (en) A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tate of a moving object
KR100565094B1 (ko)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149596Y1 (ko)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EP267232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52552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KR19980015093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0181162B1 (ko)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196570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US107887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446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카세트 장착장치
JP2000053272A (ja) シート材検知装置
KR0126927Y1 (ko)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유무 감지 및 케이서 광차단장치
KR101887652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148864Y1 (ko) 기록용지의 크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카세트 장치
JP3110771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6367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범용 용지 급지장치
KR930005741Y1 (ko) 배지용 트레이 장치
KR950000415B1 (ko) 엘이디(led)프린터의 화상형성장치
JPH05257346A (ja) 給紙ガイド装置
KR0126928Y1 (ko) 정착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