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162B1 -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62B1
KR0181162B1 KR1019960008635A KR19960008635A KR0181162B1 KR 0181162 B1 KR0181162 B1 KR 0181162B1 KR 1019960008635 A KR1019960008635 A KR 1019960008635A KR 19960008635 A KR19960008635 A KR 19960008635A KR 0181162 B1 KR0181162 B1 KR 018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actuator
sensing unit
feed rolle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736A (ko
Inventor
성무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62B1/ko
Publication of KR97006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록용지의 이송 상태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의 형상을 변형하므로서 이송롤러 상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확히 정렬할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기록용지의 이송에 따라 전, 후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는 상기 기록용지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는 리브와,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이송롤러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기록용지의 휨 상태(량)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액츄에이터는 제1감지부에서 기록용지가 이송롤러 상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고, 다시 제2감지부에서 상기 기록용지의 휨 상태(량)을 감지하여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렬한 후, 이송롤러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정확히 정렬되어 전사롤러 측으로 이송되며, 이로 인해 기록용지가 구겨짐을 방지하고, 또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a,b도는 종래 기술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5a,b,c,d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츄에이터(actuator) 12 : 리브
14 : 제1감지부 16 : 홈
18 : 제2감지부 20 : 포토센서(photo sensor)
20a : 발광부 20b : 수광부
22 : 상부프레임 24 : 개구부
26 : 하부프레임
본 발명은 레이저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용지의 이송 상태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의 형상을 변형하므로서 이송롤러 상에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1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4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4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4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44)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4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40)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기(46)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카세트(56)에 장착된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에 의해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픽업롤러(52)에 의해 급지되어진 기록용지(54)는 센서부(50)의 동작에 의해 선단이 정력되어진 후, 이송롤러(48)의 회전력으로 전사롤러(66)까지 이송되어진다.
그후, 상기 급지된 기록용지(54) 상에는 전사롤러(66)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4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54)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58)와 압축롤러(60)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image)이 정착되어진다.
그후, 인쇄된 기록용지(54)는 받침대(64)측으로 이송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사롤러(66)를 지난 감광드럼(40)의 표면에는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는 청소기(62)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 전하는 전하제거램프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이 동작되어지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장치에서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기본체의 상부프레임(22)의 하면 일측에는 기록용지(54)의 이송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30)가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30)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54)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리브(32)가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30)의 하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54)가 이송롤러(48)상에 위치하였는가를 감지하는 감지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32)가 끼워져 전, 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개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기기본체의 하부프레임(26)의 일측면에는 카세트(56)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54)의 이송 유, 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0)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포터센서(20)는 전기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0a)와 광원의 수광에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20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3도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기능이 온(on)되면,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는 직접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광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20b)로 전송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56)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에 의해 이송되면, 액츄에이터의 리브(32)는 상기 기록용지(54)의 가압에 의해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30)는 정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감지부(34)는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사이로 들어오게 되며,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20b)는 발광부(20a)의 광원을 전송 받지 못함으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회로는 다음장의 기록용지(54)를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54)가 이송롤러(48)의 입구에서 휨 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회로부에서는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정렬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송롤러(48)를 구동시킨다.
그후, 상기 이송롤러(48)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기록용지(54)는 전사롤러(66)측으로 이송되어지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32)는 복원력에 의해 정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감지부(34)는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발광부(20a)의 광원이 수광부(20b)에 전송되므로서 다음장의 기록용지(54)가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상기 액츄에이터(30)는 단순히 기록용지(54)가 이송롤러(48)상에 위치하였는가 만 감지하기 때문에 감지 후, 일정시간 이후에 일정한 량의 휨이 발생되었음을 가정하고 이송롤러(48)를 구동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어느 정도 정렬되었는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확히 정렬할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용지의 적절한 휨량을 감지한 후,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용지의 이송에 따라 전, 후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는 상기 기록용지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리브와,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이송롤러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기록용지의 휨 상태(량)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가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롤러 측으로 급지되는 제1과정과,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액츄에이터를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2감지부가 포토센서의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여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이송롤러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3과정과, 상기 이송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기록용지의 표면에 휨이 발생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록용지의 일부분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후면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홈을 통하여 상기 발광부의 빛이 수광부에 전송되는 제5과정과, 상기 기록용지의 나머지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후면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1감지부가 상기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빛 방법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본체의 상부프레임(22)의 하면 일측에는 기록용지(54)의 이송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10)가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상기 기록용지(54)의 가압(기록용지가 이송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동작하는 리브(12)가 일정한 각도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일측 하부면에는 상기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의 구동력에 의해 급지되어질 때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이송롤러(48)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8)와, 상기 기록용지(54)가 얼마만큼 휨이 발생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4)를 각각 구성하기 위해 홈(16)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리브(12)와 제1감지부(14)와 제2감지부(18)는 몰드물로 일체형으로 액츄에이터(1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12)가 끼워져 전, 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도록 개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기기본체의 하부프레임(26)의 일측면에는 카세트(56)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의 구동력에 의해 급지되어질때 상기 기록용지(54)의 이송 유, 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0)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포터센서(20)는 전기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0a)와 광원의 수광에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부(20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5도 (가)(나)(다)(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기능이 온(ON)되면,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는 직접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광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20b)로 전송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56) 내부에 장착된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에 의해 이송되면, 액츄에이터의 리브(32)는 상기 기록용지(54)의 가압에 의해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30)는 정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2감지부(18)는 제5도(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사이로 들어오게 되며,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20b)는 발광부(20a)의 광원을 전송 받지 못함으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회로는 상기 기록용지(54)가 이송롤러(48) 입구에 도착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54)는 이송롤러(48)의 가압력(상기 이송롤러는 정지해 있고 상기 기록용지는 계속해서 진행할려는 서로의 힘)때문에 일정량의 휨이 발생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54)의 일부분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12)는 후면 방향으로 조금 더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30)는 장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5도(다)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후, 상기 포토센서의 발광부(20a)의 광원은 수광부(20b)에 전해지고, 거의 동시에 상기 기록용지(54)의 나머지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12)는 후면 방향으로 조금 더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30)는 정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5도(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1감지부(14)가 포토센서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 사이로 들어오게 되며, 상기 포토센서(20)의 수광부(20b)는 발광부(20a)의 광원을 전송 받지 못함으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회로는 상기 기록용지(54)가 일정량 만큼 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이송롤러(48)는 메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54는 선단이 정렬되어지고, 상기 이송롤러(48)의 구동력에 의해 전사롤러(66)측으로 이송되어지면서 휨이 펴지고,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는 제5도(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후, 상기 액츄에이터의 리브(12)는 복원력에 의해 정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는 후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발광부(20a)의 광원이 수광부(20b)에 전송되므로서 다음장의 기록용지(54)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하여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은 홈이 형성된 액츄에이터는 제1감지부에서 기록용지가 이송롤러 상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고, 다시 제2감지부에서 상기 기록용지의 휨 상태(량)을 감지하여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을 정렬한 후, 이송롤러를 구송시키기 때문에 상기 기록용지의 선단이 정확히 정렬되어진 후 전사롤러 측으로 이송되며, 이로인해 기록용지가 구겨짐을 방지하고, 또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록용지(54)의 이송에 따라 전, 후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10)와, 발광부(20a)와 수광부(20b)로 형성되어 상기 기록용지(54)의 이송 유, 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0)로 구성되어진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0)는 상기 기록용지(54)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리브(12)와,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이송롤러(48)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8)와, 상기 기록용지(54)의 휨 상태(량)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2)와 제1감지부(14)와 제2감지부(18)는 몰드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감지부(14)와 제2감지부(18)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장치.
  4.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세트(56)에 장착된 기록용지(54)가 픽업롤러(52)에 의해 이송롤러(48) 측으로 급지되는 제1과정과,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액츄에이터(10)를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제2감지부(18)가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의 빛을 차단하여 상기 기록용지(54)의 선단이 이송롤러(48)에 도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제3과정과, 상기 이송롤러(48)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기록용지(54)의 표면에 휨이 발생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록용지(54)의 일부분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10)가 후면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홈(16)를 통하여 상기 발광부(20a)의 빛이 수광부(20b)에 전송되는 제5과정과, 상기 기록용지(54)의 나머지의 휨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10)가 후면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제1감지부(14)가 상기 발광부(20a)의 빛을 차단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과 제6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록용지(54)가 일정량 만큼 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방법.
  6. 상기 제6과정과 동시에 상기 이송롤러(48)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 상태 감지 방법.
KR1019960008635A 1996-03-27 1996-03-27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KR018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635A KR0181162B1 (ko) 1996-03-27 1996-03-27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635A KR0181162B1 (ko) 1996-03-27 1996-03-27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736A KR970066736A (ko) 1997-10-13
KR0181162B1 true KR0181162B1 (ko) 1999-04-01

Family

ID=1945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635A KR0181162B1 (ko) 1996-03-27 1996-03-27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736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9002B1 (en) Safety interlock mechanism
US20030133733A1 (en) Substrate size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copier/printers
JPH09194049A (ja) シートのスタックから切断シートを供給するシート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印刷機
KR0131962B1 (ko) 전자사진현상방식 화상기록장치의 급지방법
US8540233B2 (en) Retard feeder
EP0227488B1 (en) Full waste toner container detector
KR0181162B1 (ko) 기록용지의 선단정렬 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JPH09194048A (ja) シートのスタックから切断シートを供給するシート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印刷機
EP1376254B1 (en) Jam clearance member for media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H069066A (ja) シート使用装置の給紙トレイ
US68193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leaning mechanism therefor
KR200149596Y1 (ko) 기록용지의 선단 정렬상태 감지장치
US8175481B2 (en) Image-forming device for suppressing internal temperature rise when sheet-feed error occurs
KR19980015093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1446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카세트 장착장치
JP2003091108A (ja) 反射型フォト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4027260B2 (ja) 排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3635157B2 (ja) 給紙装置用駆動装置
KR100580211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477692B1 (ko) 용지검지방법
JPH1045260A (ja) 画像形成装置
JPS5811444A (ja) 複写機の検知装置及び検知方法
JPH0632031A (ja) ページプリンタ
KR1998006367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범용 용지 급지장치
JPH04338786A (ja) 放電器清掃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放電器清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