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324Y1 -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324Y1
KR200186324Y1 KR2019970025178U KR19970025178U KR200186324Y1 KR 200186324 Y1 KR200186324 Y1 KR 200186324Y1 KR 2019970025178 U KR2019970025178 U KR 2019970025178U KR 19970025178 U KR19970025178 U KR 19970025178U KR 200186324 Y1 KR200186324 Y1 KR 200186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present
rotary hing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175U (ko
Inventor
최봉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5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3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의 양면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 사이에 용지잼이 발생했을 때 용지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롤러간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롤러 가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걸린 용지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양면인쇄기의 롤러 가압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회전힌지대와 구동롤러 간에 가압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힌지대가 급지카세트의 상단과 접촉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의 양면인쇄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양면인쇄기의 롤러 가압조절장치{ROLLER PRESSURE DEVICE FOR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의 양면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 사이에 용지잼이 발생했을 때 용지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롤러간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롤러 가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의 용지이송경로 및 화상형성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10)는 픽업롤러(11)의 회전에 의해 픽업되고, 픽업된 용지는 이송경로(A)를 따라 현상기(30)로 이동한다. 노광부(4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토너가 현상된 상기 현상기의 감광드럼(32)은, 상기 용지(10) 위에 토너상을 전사하고,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은 용지가 정착롤러(13)와 히팅롤러(14) 사이를 통과할 때 용지면에 정착된다.
상기 정착롤러와 히팅롤러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15)간을 통과하고, 이때 배지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용지의 일단이 반전가이드(5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용지는 반전가이드를 회전시키고, 한면인쇄인 경우에는 배출구롤러(16)를 통해 용지가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양면인쇄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한면인쇄가 한번더 반복되어야 하는데, 이때는 용지가 상기 반전가이드를 통과할 때 도시되지 않은 용지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용지를 감지한다. 그다음, 상기 배출구롤러(16)는 별도로 구비된 보조모터에 의해 역회전하므로, 용지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하가 뒤집힌 채로 다시 배출구롤러 하측에 형성한 이송경로(B)를 따라 역이송롤러(17) 사이로 이송되고, 이어 구동롤러(53)와 이송롤러(52)를 통과해 픽업롤러(11)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역이송롤러 및 구동롤러 역시 별도의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픽업롤러로 이송된 용지는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롤러(16)와 역이송롤러(17) 사이의 이송경로(B)에서 용지잼이 발생할 경우에는, 본체 후면에 설치한 후면커버(22)를 후면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걸린 용지를 손으로 제거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53)와 픽업롤러(11) 사이의 이송경로(B)에서 용지잼이 발생할 경우에는, 급지카세트를 본체에서 분리한 후 힌지(28)를 중심으로 하부가이드(26)를 아래로 회전시키고, 걸린 용지를 손으로 제거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53)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걸린 용지를 빼 내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상기 구동롤러와 맞물려 있는 이송롤러(52)도 구동롤러에 일정한 가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끼인 용지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용지를 억지로 제거하려다 보면 상기 롤러들 사이에 용지의 일부가 끼인 채 일부만이 찢어져 나오므로, 용지잼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용지잼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걸린 용지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양면인쇄기의 롤러 가압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의 용지이송경로 및 화상형성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롤러 가압조절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가 장탈되는 과정에서 롤러 가압조절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구동축 52 : 이송롤러
53 : 구동롤러 54 : 용지가이드
70 : 가압스프링 80 : 회전힌지대
82 : 돌출부 84 : 힌지축
86 : 연결부 88 : 스프링구멍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의 양면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 사이에 용지잼이 발생했을 때 용지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롤러간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롤러 가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롤러 가압조절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롤러 가압조절장치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급지카세트(20)의 단부 상단에 위치한 회전힌지대(80)와, 상기 회전힌지대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돌출하여 급지카세트의 단부 상단과 접하는 돌출부(82)와, 상기 회전힌지대의 중심에는 본체의 일측과 결합된 힌지축(84)과, 상기 회전힌지대의 타단에는 길게 연장 형성한 연결부(86)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한 스프링구멍(88)과, 상기 스프링구멍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구동롤러의 구동축(51)에 지지된 가압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지카세트(20)가 본체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급지카세트의 단부 상단이 회전힌지대의 돌출부(8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회전힌지대는 힌지축(8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부(86)가 아래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회전힌지대의 연결부(86)와 가압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된 구동롤러(53)는, 가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송롤러(52)와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하게 되고 이송되는 용지를 다음 이송경로로 이송시켜 준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용지가 걸렸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20)를 착탈한다. 이때, 상기 회전힌지대의 돌출부(82)가 밑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힌지대(80)는 힌지축(8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부(86)가 상승한다. 즉, 상기 연결부와 구동롤러 간에 설치된 가압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줄어들고, 그로 말미암아 상기 구동롤러(53)와 이송롤러(52) 간의 가압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걸린 용지를 힘들이지 않고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기의 롤러 가압조절장치는 구동롤러와 이송롤러 사이에 걸린 용지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용지잼으로 인한 화상형성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역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하측에 접하도록 설치한 이송롤러를 구비한 전자사진 방식의 양면인쇄기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 장착된 급지카세트의 단부 상단에 위치한 회전힌지대와,
    상기 회전힌지대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돌출하여 급지카세트의 단부 상단과 접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전힌지대의 중심에는 본체의 일측과 결합된 힌지축과,
    상기 회전힌지대의 타단에는 길게 연장 형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한 스프링구멍과,
    상기 스프링구멍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축에 지지된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기의 롤러 가압조절장치.
KR2019970025178U 1997-09-04 1997-09-04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KR200186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178U KR200186324Y1 (ko) 1997-09-04 1997-09-04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178U KR200186324Y1 (ko) 1997-09-04 1997-09-04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75U KR19990012175U (ko) 1999-04-06
KR200186324Y1 true KR200186324Y1 (ko) 2000-07-01

Family

ID=1950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178U KR200186324Y1 (ko) 1997-09-04 1997-09-04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3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75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004Y1 (ko) 양면인쇄장치의 용지가이드
JPH09301565A (ja) ベルト装置
KR100561369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186324Y1 (ko) 양면인쇄기의롤러가압조절장치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US8095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5860043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development unit shifter
JPH07261577A (ja) 電子写真装置
JP2004142845A (ja) 検知装置
JP2010256741A (ja) ドラ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3098855A (ja) 画像形成装置
JPH0780604B2 (ja) 用紙搬送装置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KR100189758B1 (ko) 용지 걸림 발생시 클러치 구동 방법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41922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KR100202381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기록용지 급지 장치
JP200120660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0920A (ja) 加熱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33155Y1 (ko) 양면인쇄기기의용지완충장치
KR920006995Y1 (ko) 정착기의 브레이드 및 핑거 일체형 장치
JP3750478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10924U (ko) 정착부의 잼용지 제거장치
KR19990012729U (ko) 양면인쇄기의 역이송장치
JP202001182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