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23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237B1
KR100805237B1 KR1020060087570A KR20060087570A KR100805237B1 KR 100805237 B1 KR100805237 B1 KR 100805237B1 KR 1020060087570 A KR1020060087570 A KR 1020060087570A KR 20060087570 A KR20060087570 A KR 20060087570A KR 100805237 B1 KR100805237 B1 KR 10080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int medium
path
discharge path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상
안병선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경로와, 양면인쇄 시 배지경로 상의 인쇄매체를 내부로 진입시키는 소정의 양면인쇄경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지경로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연동되며, 상기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의 배지경로 및 양면인쇄경로 진입 여부를 하나의 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용지센서, 양면인쇄, 배지, 일체형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Ⅳ-Ⅳ 및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인쇄매체가 배지경로로 진입하는 경우,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경우,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화상형성장치 103 : 양면인쇄경로 프레임
104 : 제1레버 지지부 105 : 배지경로 프레임
106 : 제2레버 지지부 108 : 센서지지부
109 : 배지롤러 110, 110a : 제1레버
113 : 제1레버 돌기부 115 : 제1레버 가동부
120, 120a : 제2레버 123 : 제2레버 돌기부
125 : 제2레버 연동부 127 : 피감지부
130 : 감지센서 131 : 발광부
133 : 수광부 140 : 탄성부재
150 : 공통회전축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감지센서로서 인쇄용지의 배출 및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원하는 화상정보를 인쇄매체 또는 전자파일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보통 필요시 인쇄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양면인쇄모드와 한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면인쇄모드를 가지고 있다. 단면 인쇄모드의 경우,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된 배지경로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반면, 양면 인쇄모드의 경우, 배지경로 상에 있는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기외로 배지하는 대신에 배지경로와 연결된 양면인쇄경로를 통해 기내로 재 급지하여 반대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용지가 내부의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배지경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배지센서와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센서를 위한 공간을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별개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내부 공간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센서로 인쇄매체의 배지경로 진입 및 양면인쇄경로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경유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경로와, 양면인쇄 시 배지경로 상의 인쇄매체를 내부로 진입시키는 소정의 양면인쇄경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지경로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연동되며, 상기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인쇄매체의 선단에 접촉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각각 상기 인쇄매체의 진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쇄매체의 선단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인쇄매체의 진입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령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버 또는 상기 제2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에 형성된 화상영역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2레버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레버의 회전 시 상기 제2레버가 연동 회전하며, 상기 제2레버의 회전 시 상기 제1레버의 연동 회전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간효율성 및 조립성 측면에서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동심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된 인쇄매체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미도시)와; 화상이 형성될 소정의 인쇄매체를 적재하여 인쇄부로 적재된 인쇄매체를 급지하는 급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인쇄부는 감광드럼(미도시)과; 감광드럼에 광을 주사하는 노광유니트(미도 시)와; 감광드럼 표면에 현상제를 전기력에 의해 도포하는 공급롤러(미도시) 및 현상롤러(미도시)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미도시)와; 인쇄매체로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정착시키는 정착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화상형성장치(100)가 잉크젯 프린터라면 인쇄부는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는 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기외로 배지되는 배지경로(A)를 형성하는 배지경로 프레임(105)과; 배지경로 프레임(105)의 용지이송면에 연장되어 양면인쇄경로(B)를 형성하는 양면인쇄경로 프레임(103)과; 배지경로(A) 및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제1 및 제2레버(110, 120)와; 제2레버(120)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0)를 포함한다.
배지경로 프레임(105)과 양면인쇄경로 프레임(103)은 소정 간격(G)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간격(G)을 통해 하부의 인쇄부(미도시)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배출된다. 배출되는 인쇄매체는 배지경로(A)를 따라 배지경로 프레임(105) 측으로 진입한다.
배지경로(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상기 간격(S)을 통해 인쇄부(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인쇄매체가 후술할 제1레버(110)에 접촉되어 배지경로 프레임(105) 상의 배지롤러(109) 통해 기외로 배출되는 인쇄매체의 이동 경로이다.
제1레버(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경로(A)의 상의 상기 간격(S)에 배치되며 배지경로(A)의 가로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한다. 제1레 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경로 프레임(103) 및 배지경로 프레임(105)에 각각 이격 형성된 제1레버 지지부(104)에 의해 지지된다. 제1레버 지지부(104)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하나는 제1레버(110)의 외주 중 일정 부분만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는 제1레버(110)의 외주 중 다른 일정 부분만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10)는 제1레버축(111)의 일단을 수용하는 축수용 지지부(10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레버(110)는 회전중심이 되는 제1레버축(111a)이 형성된 제1레버몸체(111)와, 배지경로(A)를 지나는 인쇄매체와 부딪혀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레버 돌기부(113)와; 제1레버(110)의 회전 시 후술할 제2레버(120)를 연동회전시키기 위한 제1레버 가동부(115)를 포함한다. 조립성 측면에서, 제1레버몸체(111) 및 제1레버 돌기부(113) 및 제1레버 가동부(115)는 일체로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레버돌기부(113) 및 제1레버 가동부(115)가 형성된 제1레버몸체(111)의 중심에 제1레버축(111a)이 삽입될 홀이 형성되고, 제1레버축(111a)이 일체 회전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제1레버(11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레버(110)는 인쇄매체와 부딪혀서 쉽게 회전되기 위해서는 관성모멘트 값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몸체(111)에 길이방향으로 장홈(117)을 형성하여 제1레버몸체(111)를 보다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레버 돌기부(11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몸 체(11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배지경로(A)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배지경로(A)를 지나는 인쇄매체와 부딪혀서 제1레버(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 돌기부(113)는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지경로(도 1의 A 참조)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1레버 돌기부(113)에 부딪히게 해서 인쇄매체를 배지경로 프레임(105)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그와 동시에, 인쇄매체가 배지경로 프레임(105)에서 양면인쇄경로(도 1의 B 참조)로 진입하는 경우, 제1레버 돌기부(113)가 인쇄매체의 진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 돌기부(113)는 대략 쐐기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1레버 가동부(11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몸체(111)에서 돌출 형성된다. 제1레버 가동부(1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레버 연동부(125)를 용이하게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제2레버 연동부(125)를 하향 가압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립성 측면에서 제1레버 가동부(115)는 제1레버(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레버 가동부(11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레 제2레버 연동부(125)의 상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레버 연동부(125)의 상면에 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배지경로(A)로 진입하는 인쇄매체가 제1레버 돌기부(113)를 회동시키게 되어 제1레버(110)가 도 1의 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레버 가동부(115)도 C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2레버 연동부(125)가 하향 가압되면서 제2레버(120)도 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양면인쇄경로(B)로 인쇄매체가 진입하는 경우, 인쇄매체는 제2레버 돌기부(123)를 밀면서 진행하므로 제2레버 돌기부(123)가 도 1의 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제2레버 연동부(125)는 제1레버 가동부(11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어 제2레버 연동부(125)가 회전하더라도 제1레버 가동부(115)가 가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레버 가동부(115)와 후술할 제2레버 연동부(125)에 의해 제1레버(110)의 회전 시 제2레버(120)도 연동 회전하는 반면, 제2레버(120)의 회전 시 제1레버(110)는 연동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제2레버(120) 회전 시 제1레버(110)가 연동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양면인쇄 시 양면인쇄경로(도 1의 B)를 지나가는 인쇄매체의 화상이 형성된 부분이 제1레버(110)의 연동회전으로 제1레버 돌기부(113)에 닿아서 손상되지 않게 된다. 제1레버 돌기부(113)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된 화상이 손상되지 않도록 제1레버 돌기부(113)의 형상 및 배치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제2레버(120) 회전 시 제1레버(110)가 연동 회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레버 가동부(115) 및 제2레버 연동부(125) 대신에 다양한 방법으로 제1레버(110) 및 제2 레버(120)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2레버(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의 선단에 부딪혀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회전 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레버(120)와 제1레버(110)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20)의 회전축과 제1레버축(111a)은 서로 축선이 일치하지 않는다. 즉, 제1레버(110)와 제2레버(120)는 서로 편심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레버(120)는 양면인쇄경로 프레임(103) 상에 형성된 제2레버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제2레버 지지부(미도시)는, 상술한 제1레버 지지부(104)와 같이 제2레버(120)의 일부 원주만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레버(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탄성부재(140)에 의해 배지경로 프레임(105)과 연결된다.
제2레버(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에 부딪히는 제2레버 돌기부(123)와; 제1레버 가동부(115)와 연결되어 제1레버(110)의 회전 시 제2레버(120)가 연동회전 하도록 하는 제2레버 연동부(125); 제2레버 연동부(125)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감지센서(130)에 의해 동작위치가 감지되는 피감지부(127)를 포함한다.
제2레버 돌기부(123)는, 도 1 및 도 2, 자세하게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20)의 외주면에서 양면인쇄경로(B)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양면인쇄경로(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시 인쇄매체가 배지경로 프레 임(105)의 상면에서 양면인쇄경로 프레임(103) 상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제2레버 돌기부(123)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의 양면인쇄경로 진입방향(E)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면(123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2레버 돌기부(123)에 부딪혀서 인쇄매체에 과도한 말림(컬, curl)이 발생하거나, 제2레버 돌기부(123)에 걸려서 인쇄매체가 배지경로 프레임(105) 상에서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2레버 돌기부(123)는, 도 1에서 1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레버 돌기부(123)의 개수를 복수개로 마련하기 위해 제1레버(110) 및 제2레버(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2레버 연동부(12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2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레버 연동부(125)는 제1레버 가동부(115)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레버(110) 회전 시 제2레버(120)도 연동회전 하는 반면, 제2레버(120)의 회전 시 제1레버(110)는 연동회전 하지 않게 된다.
피감지부(12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20)의 제2레버 연동부(125)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다. 피감지부(127)는, 생산성 측면에서 제2레버(120)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감지부(12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31) 및 수광부(133)로 구성되는 감지센서(130) 사이에 개재되도록 대략 ㄱ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피감지부(12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레버(110)의 제1레버 가동부(115)의 반대측 단 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130)를 제1레버(110)의 피감지부(127) 측에 배치하고, 제1레버(110) 및 제2레버(120)는, 제1레버(110) 회전 시 제2레버(120)는 연동 회전하지 않고, 제2레버(120) 회전 시 제1레버(110)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하면 될 것이다.
피감지부(127)는,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31)에 의해 조사된 광이 수광부(133)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광 차단위치(도 6a 및 도 7a의 H)에 있다가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 또는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여 제2레버(120)가 회전하는 경우, 광 차단을 해제하는 광 차단 해제위치(도 6b 및 도 7b의 I)로 회동한다.
감지센서(130)는 수광부(133)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31)와 광을 수용하는 수광부(133)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광센서에 국한되지 않고, 접촉센서 등과 같이 피감지부(127) 또는 제2레버(12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한편, 탄성부재(140)는 배지경로 프레임(105)과 제2레버(120)를 연결하여, 제2레버(120)를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140)는 인쇄매체의 제1레버 돌기부(113) 또는 제2레버 돌기부(12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경우, 제2레버(120)의 피감지부(127)를 초기의 광 차단위치(도 6a 및 도 7a의 H)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40)의 탄성계수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배지경로(A) 및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의 선단이 각각 제1레버 돌기부(113) 및 제2레버 돌기부(123)를 미는 힘(force)들보다 작도록, 적절하게 결정된다.
한편, 탄성부재(140)의 탄성계수는, 인쇄매체 후단이 제1레버(110) 또는 제2레버(120)를 통과하여 인쇄매체에 의해 제1 또는 제2레버(120)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는 경우에 비로소 피감지부(127)가 원래의 광 차단위치(도 6a 및 도 7a의 H)로 회동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매체가 제1레버 돌기부(113) 또는 제2레버 돌기부(123)를 지나는 동안, 피감지부(127)는 광 차단 해제 위치(도 6a 및 도 7a의 I)에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1레버 돌기부(113) 또는 제2레버 돌기부(123)에 부딪히는 순간 잠시 동안만 피감지부(127)가 광 차단 해제위치(도 6a 및 도 7a의 I)로 회동한 후, 바로 광 차단위치(도 6a 및 도 7a의 H)로 복원되도록 탄성부재(140)의 탄성계수를 결정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감지센서(130)로부터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배지경로 프레임(105) 상에 배치되어 정회전하여 인쇄매체를 기외로 배출하거나 역회전 하여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경로(B)로 진행시키는 배지롤러(109)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인쇄 요청된 인쇄데이터가 단면인쇄모드로 인쇄하는 지 양면인쇄모드로 인쇄하는 지를 먼저 판단한다. 단면 또는 양면인쇄모드 중 어느 모드로 인쇄할지 여부는, 호스트 컴퓨터(미도시)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는 단면인쇄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감지센서(130)의 수광부(133)로부터 광 수령 여부를 입력받는다. 수광부(133)가 광을 수령한 경우,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양면인쇄모드로 판단된 경우, 수광부(133)가 광을 수령한 경우,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로 진입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 후 배지롤러(109)를 역회전 시켜 인쇄매체를 양면인쇄경로(B)로 진행시킨 후 수광부(133)가 광을 수령한 경우,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감지센서(130)로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로 진입하는 지,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도 6a 내지 도 7b에서 제1레버(110)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제2레버(120)는 점선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동작과정 설명에 필요하지 않은 구성요소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는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로 진입하기 전이다. 제2레버(120)의 피감지부(127)는 광 차단위치(H)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수광부(133)에서 감지한 수광신호가 없는 것으로부터 제어부는 인쇄매체가 아직 배지경로(A)로 진입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인쇄매체가 배지경로 진입방향(K)으로 진입하면,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1레버 돌기부(113)의 하면(113a)에 부딪혀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제1레버(110)가 도 6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레버(110)와 연동 회전하는 제2레버(12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레버(120)의 피감지부(12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광 차단 해제위치(I)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비로소 수광부(133)가 발광부(131)의 광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인쇄매체가 배지경로(A)로 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인쇄매체의 후단이 제1레버(110)를 통과하면 제1레버(110)에 대한 인쇄매체의 가압력이 없어지게 된다. 그래서, 제2레버(120)에 연결된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2레버(120)는 도 6a의 초기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레버 돌기부(123)의 회전에 의해 제1레버 돌기부(113)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레버(110)도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면인쇄모드의 경우, 배지경로(A)로 이송된 인쇄매체는 배지경로 프레임(도 1의 105 참조) 상의 배지롤러(109)가 정회전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반면, 앙면인쇄모드의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경로(도 1의 A참조)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배지롤러(109)의 역회전에 의해 배지경로 프레임(도 1의 105 참조)에서 양면인쇄경로 프레임(도 1의 103 참조)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경로(도 1의 B참조)로 진입하는 인쇄매체는 제2레버 돌기부(123)에 부딪히면서 제2레버(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레버 돌기부(113)는 하향 경사되어 있으므로 인쇄매체의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제2레버(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레버(110)는 제2레버(120)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으므로 도 6a와 같은 위치에 있다. 제2레버(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감지부(12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광 차단 해제위치(J)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수광부(133)는 발광부(131)의 광을 수령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인쇄매체의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여부를 감 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동작과정에 의해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센서(130)로 인쇄매체의 배지경로 및 양면인쇄경로 진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130)는 광 수령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배지경로(A)로 진입한 것 인지 양면인쇄경로(B) 진입한 것인지 여부는 배지롤러(107)를 역회전 시키는 명령이 있었는 지가 먼저 판단되어야 한다. 즉, 배지롤러(107) 역회전 명령이 있은 후 소정시간 이내에 수광부(133)가 광을 수령한 경우,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B)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배지경로(A)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10a) 및 제2레버(120a)는 공통회전축(150)을 따라 마련된다. 제1레버(110a) 및 제2레버(120a)의 중앙에는 공통회전축(150)이 삽입되며, 공통회전축(150)에 대해 각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공통회전축(150)의 양단만을 지지하면 제1레버(110) 및 제2레버(1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서의 제1레버 지지부(104) 및 제2레버 지지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 제1레버(110) 및 제2레버(120)가 서로 편심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동심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의 작동과정은, 제1레버(110a) 및 제2레버(120a)가 공통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는 것 외에는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와 작동과정이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인쇄매체가 배지경로 또는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하나의 센서로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배지경로 또는 양면인쇄경로에 국한되지 않고 인쇄매체의 분기 이송을 요하는 경로 상 적용되어 각 방향으로의 급지여부를 감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인쇄매체의 배지경로 및 양면인쇄경로 진입 여부를 하나의 센서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하나의 센서만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효율성이 증대되어 보다 작은 사이즈의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경유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경로와, 양면인쇄 시 배지경로 상의 인쇄매체를 내부로 진입시키는 소정의 양면인쇄경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지경로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연동되며, 상기 양면인쇄경로로 진입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각각 상기 인쇄매체의 진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인쇄매체의 진입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령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버 또는 상기 제2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2레버의 동작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레버의 회전 시 상기 제2레버가 연동 회전하며, 상기 제2레버의 회전 시 상기 제1레버의 연동 회전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는 동심의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87570A 2006-09-11 2006-09-11 화상형성장치 KR10080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70A KR100805237B1 (ko) 2006-09-11 2006-09-11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70A KR100805237B1 (ko) 2006-09-11 2006-09-1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237B1 true KR100805237B1 (ko) 2008-02-21

Family

ID=3938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570A KR100805237B1 (ko) 2006-09-11 2006-09-1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846A (ja) 1999-02-12 2000-08-29 Canon Inc 原稿自動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18738B1 (ko) 1999-05-20 2001-12-28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양면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846A (ja) 1999-02-12 2000-08-29 Canon Inc 原稿自動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18738B1 (ko) 1999-05-20 2001-12-28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양면인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3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335434A (ja) 用紙感知装置
US91284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JPH09179361A (ja) 蛇腹状の紙詰まり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US87507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818487A (en) Ink jet printer
KR100727386B1 (ko) 용지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7007941B2 (en) Image forming device to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a printing medium and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5237B1 (ko) 화상형성장치
CN101320246A (zh) 成像设备
JP4078241B2 (ja) 記録装置
JP200626737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32852B2 (en) Regist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7185887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paper feed dir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JP36687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42631A (ja) 画像形成装置
US7001017B2 (en) Drive roller releasing apparatus for ink-jet printer
JP2006219281A (ja) 被記録媒体種類識別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5980137A (en) Printer for facsimile machine
KR10018659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공급 자동감지장치
JP4839842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3890676B2 (ja) 給紙装置
JP330271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100437160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100377368B1 (ko)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