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390A - 캠 체인 텐셔너 - Google Patents

캠 체인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390A
KR20040044390A KR10-2003-7007391A KR20037007391A KR20040044390A KR 20040044390 A KR20040044390 A KR 20040044390A KR 20037007391 A KR20037007391 A KR 20037007391A KR 20040044390 A KR20040044390 A KR 2004004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oe
resin
resin shoe
bas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414B1 (ko
Inventor
사와무라요시노부
시기하라아키라
아쿠츠도시하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4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OHC형 내연기관에 포함된 밸브기구용 캠 체인 텐셔너(12)는 아암(13), 및 아암(13)의 타이밍 체인을 향한 표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아암(13)에 장착된 수지제 슈(14)를 포함하고 있다. 아암(13)의 자유단부에 걸어맞춤하는 U자 형상의 훅(14i)은 수지제 슈(14)의 자유단부에 형성되고, 측 러그(14c)는 아암(13)의 부착부분(13a)에 대응하도록 수지제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한측으로부터 뻗어 있고, 측 러그(14c)는 아암(13)의 부착부분(13a)과 수지제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개구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완충패드(14g)는 가장자리를 따라 아암(13)의 배면까지 뻗어 있도록 수지제 슈(1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아암(13)은 완충패드(14g)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부품개수가 삭감되고 제조시의 작업공수가 단축될 수 있고 필요한 작업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캠 체인 텐셔너{CAM CHAIN TENSIONER}
도 11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42798/1993 공보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캠 체인 텐셔너(00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캠 체인 텐셔너(001)는 금속제 아암(002), 아암(002)의 전면에 부착된 수지제 슈(003) 및 아암(002)의 중앙하부 부분에 연결된 수지제 패드(00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는 조립된 캠 체인 텐셔너(001)의 패드(004)를 포함하는 일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아암(00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성형되고 부착볼트가 삽입되는 구멍(002b)을 구비한 베이스 끝부분(002a)을 가지고 있다. 타이밍 체인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에 상당하는 홈(003a)은 아암(002)에 부착되는 슈(003)의 작동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홈(003a)은 타이밍 체인이 미끄럼이동되는 바닥면과 낮은 양 측벽(003b)에 의해서 형성된다. 결합 레그는 슈(003)의 베이스 끝부분(003c)에 형성되어 있다. 아암(002)의 베이스 끝부분(002a)은 슈(003)의 베이스 끝부분(003c)의 슬롯(003d)을 각각 구비한 결합 레그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볼트는 슈(003)의 슬롯(003d) 및 아암(002)의 구멍(002b)을 통과하여 아암(002)의 베이스끝부분(002a)과 슈(003)의 베이스 끝부분(003c)을 서로 체결한다. 슈(003)의 자유단부는 U자 형상의 훅(003e)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부러져 있고 이것은 아암(002)의 자유단부와 걸어맞춤된다. 위치결정 돌출부(003f)는 슈(00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돌출부(003f)는 아암(002)에 형성된 오목부(002c)에 끼워져서 슈(003)을 아암(002)에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패드(004)는 배면 즉 아암(002)의 타이밍 체인을 항한 전면에 대향한 표면에 연결된다. 패드(004)는 텐셔너 리프터의 돌출부가 아암(002)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타격음을 흡수하는 타격음 흡수부재로서 작용한다. 캠 체인 텐셔너의 타격음 흡수부재의 타격음 흡수부재로서 작용하는 패드(004)가 아암(002)에 형성된 대응구멍에 패드의 일부분을 삽입시킴으로써 아암(002)에 부착되지만, 많은 다른 아암은 베이킹에 의해서 부착되는 백(back) 고무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기술의 캠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슈의 베이스 끝부분의 결합레그는 아암의 베이스 끝부분의 양측에 뻗어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가공시간은 슈의 결합 레그를 형성하는 데 필요하다. 종래기술의 캠 체인 텐셔너가 아암(002)의 배면 또는 베이킹에 의해서 아암에 결합된 백 고무부재상에 놓여 있는 패드(004)를 가지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부품,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은 패드의 제조, 아암상의 패드의 부착 또는 베이킹에 의해서 아암에의 백 고무부재의 부착하는 데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차량등의 OHC형 내연기관에 포함된 밸브기구용 타이밍 체인 텐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캠 체인 텐셔너를 구비한 OHC형 내연기관의 타이밍 체인을 포함하는 일 부분의 절단 정면도,
도 2A는 캠 체인 텐셔너에 포함되는 아암의 평면도,
도 2B는 캠 체인 텐셔너의 아암의 측면도,
도 3은 캠 체인 텐셔너에 포함된 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 방향에서 본 슈의 일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화살표 Ⅴ방향에서 본 슈의 일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선 Ⅵ-Ⅵ 단면 확대도,
도 7은 도 3의 선 Ⅶ-Ⅶ 단면 확대도,
도 8은 도 3의 선 Ⅷ-Ⅷ 단면 확대도,
도 9는 도 3의 선 Ⅸ-Ⅸ 단면 확대도,
도 10은 캠 체인 텐셔너의 아암 및 슈의 조립상태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의 캠 체인 텐셔너의 분해사시도, 및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캠 체인 텐셔너의 패드를 포함하는 단면도.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캠 체인 텐셔너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부재 및 작업을 대체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개수의 삭감, 제조시의 작업공수및 작업공정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캠 체인 텐셔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 끝부분에 형성된 부착부분을 가진 아암: 이 아암을 따라 뻗어 있고 체인과 미끄럼 접촉하도록 아암상에 장착된 수지제 슈: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암의 자유단부에 걸어맞춤하는 U자 형상의 훅은 수지제 슈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 러그는 아암의 부착부분에 대응하도록 수지제 슈의 베이스 끝부분의 한측으로부터 뻗어 있어 있는 캠 체인 텐셔너를 제공한다. 수지제 슈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 러그는 아암의 부착부분과 수지제 끝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텐셔너 리프터가 접촉되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완충패드는 아암의 측가장자리중의 하나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뻗어 있도록 수지제 슈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캠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수지제 슈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러그는 단지 아암의 부착부분에 대응하도록 뻗어 있고, 아암의 부착부분과 함께 체결되고 수지제 슈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 러그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제 슈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부착작업을 도모한다.
실질적으로, 슈의 중앙부는 슈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암의 측 에지의 둘레에서 아암의 배측까지 뻗도록 연장되어 완충부재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캠 체인 텐셔너는 부품개수가 삭감되고 완충부재의 부착이 용이하다.
U자 형상의 훅 및 완충패드는 수지제 슈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의 훅은 U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내측표면에 아암에 대한 수지제 슈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완충패드는 그 내측표면에 아암에 대한 수지제 슈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제 슈는 아암에 대한 수지제의 측방향 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레그를 그 중앙부근처의 일 부분에서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캠 체인 텐셔너를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OHC형 내연기관(1)의 타이밍 체인을 포함하는 일 부분의 절단 정면도이다. 상기 내연기관(1)은 크랭크 케이스(2), 실린더 블록(3) 및 실린더 헤드(4)순서로 중첩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체인 챔버(5)는 크랭크 케이스(2), 실린더 블록(3) 및 실린더 헤드(4)를 따라 뻗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내연기관(1)은, 실린더 헤드(4)가 길이방향으로 2부분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어떤 실린더 헤드 커버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 크랭크 축(6)의 끝부분은 체인 챔버(5)의 크랭크 케이스(2)에 대응하는 부위내로 돌출하고, 드라이브 스프로킷(7)은 크랭크 축(6)의 끝부분에 장착된다. 캠축(8)의 끝부분은 체인 챔버(5)의 실린더 헤드(4)에 대응하는 부위내로 돌출한다. 드리븐 스프로킷(9)는 캠축(8)의 끝부분에 장착된다. 타이밍 체인(10)은 드라이브 스프로킷(7)과 드리븐 스프로킷(9)사이에서 뻗어 있다. 드라이브 스프로킷(7)은 타이밍 체인(10)을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리븐 스프로킷(9)을 구동시켜 캠축(8)상에 형성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캠을 회전시킨다.
수지제 타이밍 체인 가이드(11)는 타이밍 체인(10)의 드라이브 스프로킷(7)에 의해서 당겨진 팽팽한 측을 따라 뻗어 있다. 타이밍 체인 가이드(11)는 크랭크 케이스(2)의 체인 챔버(5)의 일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2a)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삽입된 굴곡부(11a)로부터 뻗어 있는 하나의 끝부분을 가지고 있고 다른 끝부분(11b)은 자유단이다. 타이밍 체인 가이드(11)는 다른 끝부분(11b)근처의 일부분에 부착부분(11c)을 가지고 있다. 타이밍 체인 가이드(11)는 핀(11d)에 의해서 실린더 블록(3)상에 지지된다. 타이밍 체인 가이드(11)는 바닥벽의 양측에 바닥벽 및 하부측 벽을 가진 대략 직선형상의 가이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바닥벽 및 측벽은 홈을 형성한다. 타이밍 체인(10)은 바닥벽의 표면을 따라 미끄럼이동된다. 측벽은 타이밍 체인(10)이 체인 가이드(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캠 체인 텐셔너(12)는 타이밍 체인의 이완부의 이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압 텐셔너 리프터(16)에 의해서 타이밍 체인(10)의 드라이브 스프로킷(7)과 드리븐 스프리킷의 가압측사이에 뻗어 있는 이완부에 대해 가압한다. 텐셔너 리프터(16)는 체인 챔버(5)에 위치되고 볼트(17)로 실린더 블록(3)의 외면에 부착된다. 텐셔너 리프터(16)는 체인 챔버(5)내로 돌출하도록 유압에 의해서 가압되는 로드(16a)를 구비하고 있다.
캠 체인 텐셔너(12)는 탄성력이 풍부한 스틸으로 형성된 아암(13)과 아암(13)의 타이밍 체인(10)을 향한 표면에 부착된 수지제 슈(10)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브 스프로킷(7)의 측의 캠 체인 텐셔너(12)의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 러그(14c) 및 아암(13)의 베이스 끝부분은 볼트(15)에 의해서 크랭크 케이스(2)에 서로 체결된다.
도 2A는 캠 체인 텐셔너(12)의 아암(13)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아암(13)의 측면도이다. 아암(13)은 스프링강과 같은 탄성력이 풍부한 스트립을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아암(13)의 베이스 끝부분(13a)은 굴곡부(13b)로부터 연장되어 환상부(13c)로 형성된다.
도 3은 캠 체인 텐셔너(12)의 슈(14)의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화살표 Ⅳ 및 Ⅴ의 방향에서 본 슈(14)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 7, 8 및 9는 각각 도 3의 선 Ⅵ-Ⅵ, Ⅶ-Ⅶ, Ⅷ-Ⅷ 및 Ⅸ-Ⅸ의 확대 단면도이다. 슈(14)는 아암(13)에 따른 형상으로 경질 고무계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다.
도 4 및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홈(14a)의 폭은 슈(14)의 작동측에 형성된 타이밍 체인(10)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슈(14)는 바닥벽의 양측에 바닥벽 및 낮은 측벽(14b)을 가지고 있다. 바닥벽 및 측벽(14b)은 홈(14a)을 형성한다. 타이밍 체인(10)은 바닥벽의 표면을 따라 미끄럼이동한다. 측벽(14b)은 타이밍 체인(10)이 체인 가이드(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4d)를 구비한 측 러그(14c)는 아암(13)의 환상부(13a)에 따라 뻗어 이 환상부(13a)에 대응하도록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한측으로부터 뻗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14)는 그 중앙부에 대한 베이스 끝부분측의 일 부분에 위치결정 레그(14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 레그(14e)는 슈(14)와 일체로 형성된다. 위치결정 레그(14e)는 아암(13)에 대한 슈(14)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아암(13)의 측면중의 하나와 접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14)는 그 중앙부에 대한 자유단측의 일 부분에 슈(14)의 다른측을 따라 텐셔너 리프터(16)에 대응하는 슈(14)의 배측의 접촉 패드로 작용하는 일 부분까지 뻗어 있는 U자 형상의 아암(14f)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14f)는 슈(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돌출부(14h)는 U자 형상의 아암(14f)의 측 부분의 내면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3)의 자유단부는 훅(14i)을 형성하기 위하여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훅(14i)은 위치결정 레그(14e)와 동일측에 측부분(14j)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슈(14)의 자유단부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 돌출부(14k)는 측부분(14j)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아암(13) 및 슈(14)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캠 체인 텐셔너(12)의 베이스 끝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캠 체인 텐셔너(12)가 내연기관에 합체될 때, 아암(13)의 자유단부는 슈(14)의 U자 형상의 아암(14f)에 형성된 홈에 측방향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아암(13)의 자유단부는 슈(14)의 훅(14i)내로 가압된다. 따라서, 아암(13)과 슈(14)의 대응하는 표면은 서로 접촉된다. 아암(13)에 대한 슈(14)의 측방향 위치는 위치결정 레그(14e) 및 위치결정 돌출부(14h 및 14k)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아암(13)의 환상부(13c)의 각각의 측면 및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 러그(14c)는 서로 접촉하고 환상부(13c)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 및 슈(14)의 측 러그(14c)의 개구부(14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치한다. 볼트(15)는 환상부(13c)의 개구부 및 측 러그(14c)의 개구부(14d)를 통과하여 아암(14) 및 슈(14)를 크랭크 케이스(2)에 서로 체결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아암(13)은 금속 스트립을 짧은 처리시간내에 굽힘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암(13)에 대한 슈(14)의 측방향 위치는 위치결정 레그(14e) 및 위치결정 돌출부(14h 및 14k)에 의해서 결정되고 슈(14)는 훅(14i)을 아암(13)의 자유단에 걸어맞춤하고 측 러그(14c)를 아암(13)의 환상부(13c)에 볼트(15)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임의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아암(13)상에 유지한다. 따라서, 타이밍 체인 텐셔너 장치는 조립공수를 저감할 수있다. 측 러그(14c)가 슈(14)의 한 측으로만 뻗어 있으므로, 슈(14)는, 그 양측에 측 러그를 구비한 슈와 비교하여 볼 때, 제조 및 아암(13)과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완충부재로서 작용하는 완충패드(14g)가 슈(14)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개수는 삭감되고 별개의 완충부재의 제작, 부착 및 베이킹하는 부가의 공수가 불필요하다.

Claims (5)

  1. 베이스 끝부분에 형성된 부착부분을 가진 아암(13); 및 아암(13)을 따라 뻗어 있고 체인(10)과 미끄럼접촉하도록 아암(13)에 장착된 수지제 슈(14)를 포함하고 있는 캠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아암(13)의 자유단부와 걸어맞춤하는 U자 형상의 훅(14i)은 수지제 슈(14)의 자유단부에 형성되고, 측 러그(14c)는 아암(13)의 부착부분에 대응하도록 수지제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한 측으로부터 뻗어 있고, 수지제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의 측 러그(14c)는 아암(13)의 부착부분과 수지제 슈(14)의 베이스 끝부분을 서로 체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개구부(14d)를 구비하고, 텐셔너 리프터가 접촉되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완충패드(14g)는 측가장자리를 따라 아암(13)의 배면까지 뻗어 있도록 수지제 슈(1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체인 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의 훅(14i) 및 완충패드(14g)는 수지제 슈(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체인 텐셔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의 훅(14i)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내측표면에 아암(13)에 대한 수지제 슈(14)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출부(14k)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체인텐셔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완충패드(14g)는 그 내측표면에 아암(13)에 대한 수지제 슈(14)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출부(14h)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체인 텐셔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슈(14)는 그 중앙부근처의 일 부분에 아암(13)에 대한 수지제 슈(14)의 측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레그(14e)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체인 텐셔너.
KR1020037007391A 2001-10-31 2002-09-13 캠 체인 텐셔너 KR100639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3829A JP3532179B2 (ja) 2001-10-31 2001-10-31 カム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JP-P-2001-00333829 2001-10-31
PCT/JP2002/009422 WO2003038308A1 (fr) 2001-10-31 2002-09-13 Tendeur de chaine a ca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390A true KR20040044390A (ko) 2004-05-28
KR100639414B1 KR100639414B1 (ko) 2006-10-26

Family

ID=1914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391A KR100639414B1 (ko) 2001-10-31 2002-09-13 캠 체인 텐셔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41149B8 (ko)
JP (1) JP3532179B2 (ko)
KR (1) KR100639414B1 (ko)
CN (1) CN1301376C (ko)
AR (1) AR037162A1 (ko)
BR (1) BR0206240B1 (ko)
ES (1) ES2261718T3 (ko)
MY (1) MY134239A (ko)
WO (1) WO2003038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208A (ja) 2005-03-09 2006-09-21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ガイド
JP4873971B2 (ja) * 2006-03-27 2012-02-08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アームおよびチェーンガイド
JP2009103186A (ja) * 2007-10-22 2009-05-14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ガイド
JP5424446B2 (ja) * 2008-06-26 2014-02-26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テンショニング装置
US7972232B2 (en) * 2008-07-24 2011-07-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in drive tensioner system with translating pivot point
CN101684854B (zh) * 2008-09-25 2012-10-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内燃机的凸轮链张紧枢轴安装结构
CN102011621B (zh) * 2010-11-29 2012-11-14 重庆建设摩托车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发动机正时传动机构
JP2014156779A (ja) * 2011-05-20 2014-08-28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及び鞍乗型車両
JP5611145B2 (ja) * 2011-08-02 2014-10-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ガイド
JP5634356B2 (ja) * 2011-08-31 2014-12-0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ガイド
JP5800191B2 (ja) * 2011-10-06 2015-10-28 Nok株式会社 テンショナ
DE102013201334A1 (de) * 2013-01-29 2014-07-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schiene mit einem Tragkörper aus einer AlSi-Legierung
JP5984266B2 (ja) * 2013-07-29 2016-09-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JP5959482B2 (ja) * 2013-08-07 2016-08-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ベース部材
JP5990155B2 (ja) * 2013-11-18 2016-09-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
ES2702283T3 (es) 2014-08-01 2019-02-28 Piaggio & C Spa Barra tensora de cadena
US9850989B2 (en) 2014-10-22 2017-12-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ompliant tensioner ar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201Y2 (ja) * 1989-05-31 1995-08-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合成樹脂製シューを具えたチェーンガイドレール
US4921472A (en) * 1989-06-12 1990-05-01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Chain tensioner
JP2519476Y2 (ja) * 1991-04-11 1996-12-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のシューの浮上り防止構造
JPH089476Y2 (ja) * 1991-11-07 1996-03-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ガイドのアームとシューの一体化構造
JPH08145131A (ja) * 1994-11-22 1996-06-04 Hokushin Ind Inc チェーン支持体
JP3805449B2 (ja) * 1996-12-19 2006-08-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ローラチェーン用走行案内シュー
IT1290499B1 (it) * 1997-03-28 1998-12-04 Borg Warner Automotive Tenditore per catene,con pattino in materia plastica e molla/e a lamina ad estremita' ricurve
JP2000356252A (ja) * 1999-06-15 2000-12-26 Tsubakimoto Chain Co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1311457A (ja) * 2000-04-28 2001-11-09 Ntn Corp チェーンガイド
JP3253951B1 (ja) * 2000-12-15 2002-02-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プラスチック製可動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1149B8 (en) 2006-06-14
BR0206240B1 (pt) 2011-02-08
EP1441149A4 (en) 2004-12-01
AR037162A1 (es) 2004-10-27
CN1417500A (zh) 2003-05-14
KR100639414B1 (ko) 2006-10-26
BR0206240A (pt) 2003-12-30
JP2003139205A (ja) 2003-05-14
WO2003038308A1 (fr) 2003-05-08
EP1441149A1 (en) 2004-07-28
ES2261718T3 (es) 2006-11-16
EP1441149B1 (en) 2006-03-29
JP3532179B2 (ja) 2004-05-31
MY134239A (en) 2007-11-30
CN1301376C (zh)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14B1 (ko) 캠 체인 텐셔너
US5318482A (en) Chain guide having improved arm-shoe attachment feature
US5184983A (en) Floating preventive structure for shoe of tensioner lever
JP3827202B2 (ja) 締結具なしチェーン緩衝器及び該チェーン緩衝器とハウジングとの組立体
JP4480789B1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0257679A (ja) チェーンガイド
JPH09119489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US7074146B2 (en) Chain tensioner
US7018312B2 (en) Chain tensioner
US2766634A (en) Timing chain bumper
JPH11108135A (ja) チェーンガイドの取付構造
EP1609959A3 (en) Engine
US7056246B2 (en) Compliant chain guide with multiple joints
US20040200447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engine timing chain
JP3157365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カム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KR20200110176A (ko) 텐셔너 유닛, 요동 레버 및 텐셔너
JP4466027B2 (ja) 内置き型テンショナー装置
CN217481902U (zh) 一种减震防跳动的曲轴链轮
BRPI0803663B1 (pt) Dispositivo tensor
KR200157040Y1 (ko) 자동차 엔진 프론트 툴스 벨트 커버 장착용 클립
JPH10281244A (ja) エンジンのタイミングチェーン案内部材の支持構造
JPH0914363A (ja) チェーンアジャスタ
KR100216439B1 (ko) 벨트 체결구조
US7404777B2 (en) Power transmission incorporating tensioner lever
JP2007064121A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